KR20010069876A -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876A
KR20010069876A KR1020010026702A KR20010026702A KR20010069876A KR 20010069876 A KR20010069876 A KR 20010069876A KR 1020010026702 A KR1020010026702 A KR 1020010026702A KR 20010026702 A KR20010026702 A KR 20010026702A KR 20010069876 A KR20010069876 A KR 2001006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vibration
rod
rotary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729B1 (ko
Inventor
김억수
Original Assignee
김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억수 filed Critical 김억수
Priority to KR10-2001-002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7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항타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상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끝에 떨림을 유발하도록 갖추어지는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면서 항타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파지하도록 갖추어지는 클램핑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항타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성이 용이하고, 특히 베이스 머신의 역활을 하는 굴삭기와의 장착이 용이함으로써, 굴삭기의 기동성을 이용한 작업현장의 접근이 신속함은 물론, 굴절성과 회전성을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 및 지형지물에 대한 항타작업의 수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항타발장치{Vibratory Hamm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항타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타발에 대한 진동의 구현을 다수개의 기어방식과 모터로 제어.구속함으로써, 우선 항타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성이 용이하고, 특히 베이스 머신의 역활을 하는 굴삭기와의 장착이 용이함으로써, 굴삭기의 기동성을 이용한 작업현장의 접근이 신속함은 물론, 굴절성과 회전성을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 및 지형지물에 대한 제약없이 항타작업의 수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항타발장치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항타발장치는 그 구조와 기능이 매우 다양하나, 기본적인 기능을 살펴보면, 건물의 기초공사시에 파일을 박거나 뽑고,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거나 파쇄하며, 각종 구조물을 파지하여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작업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항타발장치에 장착되는 대부분의 진동 발생기는 진동실린더 또는 진동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린더 및 모터의 구조와 달리 복잡함은 물론, 이를 크레인에 매달아 위치.고정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함으로써, 우선 상기와 같은 항타발장치와 구조물의 연결에 의해 전체적인 시스템이 복잡하면서 부피가 커져 조립 및 설치상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확보에 제약이 있어, 지형지물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아울러 협소한 장소와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장소에는 항타발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여 항타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항타발장치는 대부분 무게가 무거워 이동.운반이 어렵고, 이를 해결하고자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운반 후에 재 조립을 할 경우, 분해/조립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야기될 뿐만아니라 이에 따른 재 설치시간이 길어져 신속한 항타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항타발에 대한 진동의 구현을 다수개의 기어방식과 모터로 제어.구속함으로써, 우선 항타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성이 용이하고, 특히 베이스 머신의 역활을 하는 굴삭기와의 장착이 용이함으로써, 작업현장의 접근이 신속함은 물론, 협소한 공간 및 지형지물에 대한 항타작업의 수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항타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타발장치가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발장치의 연결부재를 일부 단면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발장치의 진동부재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발장치의 클램핑부재에 대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항타발장치 12 : 굴삭기
14 : 프레임 16 : 연결부재
18 : 진동부재 20 : 클램핑부재
22 : 공간부 24,40,84 : 로드
26,38,86 : 실린더 28 : 길이조정부
30 : 힌지축 32,42 : 힌지핀
34,36 : 링크 44 : 고정브라켓
46,90 : 고정핀 50 : 동작유체
52 : 공간부 54 : 제 1회전축
56 : 제 2회전축 58 : 제 1회전기어부
60 : 제 2회전기어부 62 : 제 1회전편
64 : 제 2회전편 66: 제 1정.역구동모터
68 : 제 3회전기어부 70 : 제 4회전기어부
72 : 제 3회전축 74 : 제 4회전축
76 : 제 3회전편 78 : 제 4회전편
80 : 제 2정.역구동모터 82 : 개방부
88 : 클램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상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끝에 떨림을 유발하도록 갖추어지는 진동부재와,상기 진동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면서 항타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파지하도록 갖추어지는 클램핑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굴삭기와의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현장의 접근이 신속함은 물론, 협소한 공간 및 지형지물에 대한 항타작업의 수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굴삭기용 항타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항타발장치(10)는 굴삭기(12)의 프레임(14)에 용이한 연결과 길이의 가변적인 조정을 위해 갖추어지는 연결부재(16)와, 이 연결부재(16)의 일단에 연결되어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부재(18)와, 이 진동부재(18)의 일면에 결합되는 클램핑부재(20)로 나뉘어지는 것이다.
우선, 상기 연결부재(16)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부(22)에는 로드(24)를 구비한 실린더(26)가 설치.고정되어 있고, 이 로드(24)의 일끝에는 로드(24)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이와 연결된 길이조정부(28)가 공간부(2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끝부분은 굴삭기(12)에 구비된 프레임(14)과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 힌지축(30)과 이격된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4)으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지는 링크(34,36)와 힌지핀(3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4)에 구비되는 실린더(38)의 로드(40)는 링크(34)와 링크(36)를 연결하는 힌지핀(42)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굴삭기(12)에 갖추어진 실린더(38)의 동작에 따라 연결부재(16)가 프레임(14)의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정부(28)의 일끝에는 회전모터(45)가 고정핀(46)을 매개로 연결.고정되어 있고, 이 회전모터(45)에는 "ㄷ"형상을 이루는 고정브라켓(44)이 회전가능하도록 갖추어져 있으며, 이 고정브라켓(44)의 내부에는 진동부재(18)가 위치되는 상태에서 고정브라켓(44)과 진동부재(18)간에 러버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고정봉(48)을 통하여 진동부재(18)가 지지.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18)의 내부에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동작유체(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5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공간부(52)에는 제1,2회전축(54,56)을 수평으로 구비하는 제 1,2회전기어부(58,60)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2회전축(54,56)상에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 1,2회전편(62,64)이 편심되는 상태에서 일정길이 만큼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회전축(56)과 연결되는 제 1정.역구동모터(66)는 진동부재(18)의 외면에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18)의 바닥면에는 제 3,4회전기어부(68,70)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제 3,4회전기어부(68,70)에는 제 1,2회전편(62,64)의 사이를 통과하는 제 3,4회전축(72,74)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4회전축(72,74)상에는 제 1,2회전편(62,64)의 구조와 동일한 제 3,4회전편(76,78)이 편심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4회전축(74)과 연결되는 제 2정.역구동모터(80)는 진동부재(18)의 외면에 갖추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2회전기어부(58,60)와 연동하는 제 1,2회전편(62,64)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3,4회전기어부(68,70)와 연동하는 제 3,4회전편(76,78)은 제 1,2회전편(62,64)의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상호 회전에 대한 간섭 없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부재(18)의 일면에는 클램핑부재(20)가 갖추어지는데, 이 클램핑부재(20)의 양편에는 내부와 수평으로 통하는 개방부(8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클램핑부재(20)의 내부에는 상기 양편의 개방부(28)를 통하여 각각의 로드(84)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실린더(86)가 갖추어져 있고, 이 로드(84)의 일끝에는 이와 대응하는 각각의 클램프(88)가 고정핀(90)을 매개로 연동하도록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건물의 기초공사시 지면에 파일을 박거나 뽑고,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거나 파쇄하며, 각종 구조물의 위치.이동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먼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머신의 역활을 하는 굴삭기(10)의 최종적인 프레임(14)과 이 프레임(14)에 연결되는 링크(36)에 항타발장치(10)의 연결부재(16)를 힌지축(30)과 힌지핀(32)을 매개로 하여 각각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항타발장치(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우선 연결부재(16)의 내부에 갖추어진 실린더(26)를 동작시켜 그에 대한 로드(24)가 왕복 이동하게 되면, 이 로드(24)와 연동하도록 갖추어진 길이조정부(28)가 연결부재(16)의 공간부(2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항타발장치(1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길이조정부(28)에 연결되는 회전모터(45)의 구동에 따라 그와 연결된 진동부재(18)를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항타발장치(10)에 대한 전체적인 길이 및 진동부재(28)에 대한 조정을 마치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타발장치(10)의 클램핑부재(20)에 구비된 실린더(86)를 동작시켜 양편으로 로드(84)를 왕복 이동시키게 되면, 각 로드(84)를 따라 연동하는 클램프(88)가 상호 오므리거나 벌어져 작업수행에 필요한 각종 공구나 파일 또는 평탄다짐도구(100)등을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클램프(88)를 통하여 파지를 완료한 후, 클램핑부재(20)와 연결된 진동부재(18)의 제 1,2정.역구동모터(66,80)를 동작시키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력이 그와 연동하는 제 2,4회전축(56,74)에 전달되어 제 2,4회전기어부(60,7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 2,4회전기어부(60,70)는 제 1,3회전기어부(58,68)와 상호 각각 맞물려 있어서, 결국 제 1∼4회전축(54,56,72,74)이 연동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4회전축(54,56,72,74)이 회전하게 되면, 제 1∼4회전축(54,56,72,74)에는 반원형상의 제 1∼4회전편(62,64,76,78)이 편심되는 상태로 갖추어져 있어, 이와 같이 편심 회전하는 제 1∼4회전편(62,64,76,78)이 진동부재(18)에 채워진 동작유체(50)를 차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작유체(50)의 심한 유동으로 인하여 진동부재(18)의 전체적인 떨림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진동부재(18)의 심한 떨림이 발생시, 이 진동부재(18)의 양측면은 고정봉(48)을 매개로 고정브라켓(44)에 지지.고정되어 있어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잡아줌으로써, 결국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만이 클램핑부재(20)에 물린 클램프(88)로 집중되고, 이와 같이 집중되는 떨림에 의해 파일을 박거나 뽑고,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거나 파쇄하는등 그 외에 필요한 여러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항타발에 대한 진동의 구현을 다수개의 기어방식과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구속함으로써, 우선 항타발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 및 조립성이 용이하고, 특히 베이스 머신의 역활을 하는 굴삭기와의 장착이 용이함으로써, 굴삭기의 기동성을 이용한 작업현장의 접근이 신속함은 물론, 굴절성과 회전성을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 및 지형지물에 대한 제약없이 항타작업의 수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항타발장치에 있어서,
    굴삭기(12)상에 구비되는 프레임(14)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16)와,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끝에 떨림을 유발하도록 갖추어지는 진동부재(18)와,상기 진동부재(18)의 일측면에 결합되면서 항타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파지하도록 갖추어지는 클램핑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의 내부에는 로드(24)를 구비한 실린더(26)가 설치.고정되어 있고, 이 로드(24)의 일끝에는 연결부재(16)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길이조정부(28)가 연동하도록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18)의 내부에는 제 1,2회전축(54,56)을 수평으로 구비하는 제 1,2회전기어부(58,60)가 상호 맞물려 있고, 상기 제 1,2회전축(54,56)상에는 이와 연동하는 제 1,2회전편(62,64)이 편심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회전축(56)에는 이와 연결되는 제 1정.역구동모터(66)가 진동부재(18)의 외면에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18)의 바닥면에는 제 3,4회전축(72,74)을 수직으로 구비하는제 3,4회전기어부(68,70)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4회전축(72,74)에는 제 1,2회전편(62,64)과 동일한 제 3,4회전편(76,78)이 편심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4회전축(74)과 연결되는 제 2정,역구동모터(80)는 진동부재(18)의 외면에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20)의 내부에는 양편을 통하여 각 로드(84)가 왕복.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86)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각 로드(84)의 일끝에는 클램프(88)가 연동하도록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KR10-2001-0026702A 2001-05-16 2001-05-16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KR10044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02A KR100440729B1 (ko) 2001-05-16 2001-05-16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02A KR100440729B1 (ko) 2001-05-16 2001-05-16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876A true KR20010069876A (ko) 2001-07-25
KR100440729B1 KR100440729B1 (ko) 2004-07-19

Family

ID=1970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702A KR100440729B1 (ko) 2001-05-16 2001-05-16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231A (ja) * 2011-09-09 2013-03-28 Jeong Yel Park 振動リッパー
IT202000028784A1 (it) * 2020-11-27 2022-05-27 F Lli Righini S R L Gruppo di pres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60B1 (ko) 2009-06-08 2012-01-04 김억수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CN115296563B (zh) * 2022-08-10 2024-01-02 长沙一派直驱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永磁同步直线电机用于打桩机的电磁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930A (en) * 1979-09-17 1981-04-18 Kubota Ltd Driving device of pile
JPS56142928A (en) * 1980-04-08 1981-11-07 Fumihiko Suenaga Pile driving apparatus
JPS5789022A (en) * 1980-11-25 1982-06-03 Kensetsu Kikai Chiyousa Kk Vibrating pile driver
JP2729969B2 (ja) * 1990-03-29 1998-03-18 株式会社高橋エンジニアリング 杭打ち装置
JP2976330B2 (ja) * 1996-04-22 1999-11-10 株式会社ユアテック 掘削機装着式ハンディバイブロハンマ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231A (ja) * 2011-09-09 2013-03-28 Jeong Yel Park 振動リッパー
IT202000028784A1 (it) * 2020-11-27 2022-05-27 F Lli Righini S R L Gruppo di pre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729B1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4856A (zh) 用于运行机器的操作杆的无人驾驶系统
KR20100053661A (ko) 자석 해머
WO2012153638A1 (ja) 建設機械
KR20180080066A (ko) 진동 파일 드라이버
KR101640387B1 (ko)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EP1105210B1 (en) Variable eccentric vibratory hammer
KR20010069876A (ko) 굴삭기용 항타발장치
KR102149686B1 (ko)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JP2000337181A (ja) 調整手段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作用駆動装置
CN108679371A (zh) 一种重型机械设备夹持装置
JPH11350480A (ja) 杭の振動圧入・引抜装置および同工法、並びに振動圧入・引抜装置用チャック機構
CN1078286C (zh) 挖掘机
JP2015124816A (ja) スプライン結合装置
JPH10298990A (ja) 振動杭打抜装置、および振動杭打抜の制御方法
CN113653787A (zh) 一种振动锤及工程机械
CN211849426U (zh) 一种侧夹式液压振动锤
US20110110725A1 (en) Vibratory pile driving apparatus
JP5271428B2 (ja) 杭打ち装置
KR101545331B1 (ko) 진동리퍼
JPH08246455A (ja) 油圧式振動杭打装置における回転駆動・制御方法、および、同回転駆動・制御機構
CN213571890U (zh) 一种振冲发生装置
WO2014174670A1 (ja) 動力伝達装置
JP6247457B2 (ja) 建設機械
JPH09242014A (ja) 操向機能を有する締固め機械
JP328060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03

Effective date: 200506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