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602A -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602A
KR20010069602A KR1020010021388A KR20010021388A KR20010069602A KR 20010069602 A KR20010069602 A KR 20010069602A KR 1020010021388 A KR1020010021388 A KR 1020010021388A KR 20010021388 A KR20010021388 A KR 20010021388A KR 20010069602 A KR20010069602 A KR 2001006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fried food
paste
cooking oil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629B1 (ko
Inventor
조재곤
Original Assignee
조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곤 filed Critical 조재곤
Priority to KR10-2001-002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6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전을 위생적으로 양산제조하고 장기보존이 이루어지게 함에 목적을 둔 것으로 전의 주재료를 길이 1~5Cm 정도로 세절하고 부침가루와 물을 중량비율로 65:20:15의 비율로 반죽하여 정량씩을 식용유를 도포시킨 프라이팬에서 전후면을 조리한 다음 냉각하여 급속동결시켜 포장제품화하는 제조방법과 테이블에 다량의 프라이팬을 선회되도록 한 저부는 가열버너를 설치하고 테이블에 선회하는 프라이팬에 식용유 분사장치, 재료의 정량공급장치, 재료의 펼침장치, 프라이팬에 재료의 분리장치, 프라이팬의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 전의 인출부를 각 설치하여 일연의 과정을 연속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전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의 전을 위생적이면서 자동으로 제조하여 양산제조를 할 수 있게 되고 급속동결시켜 포장하여 상품화하므로 장기보존이 이루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quipment of fried food }
본 발명은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전을 위생적으로 양산제조하고 장기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煎)의 경우에는 우리 민족의 전통식품으로 널리 확산되어져 있고 재료에 따라 호박전, 부추전, 김치전, 해물파전, 고기전, 고추전, 감자전, 버섯전‥‥등이 있으며 그 조리방법은 소재를 일정규격으로 썰어서 부침가루와 물로 반죽하면서 조미제를 첨가하여 이를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이용하여 정량씩 넣고 펼쳐서 전후를 뒤집어서 조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은 조리와 동시에 먹게 되므로 가정에서 이와 같은 전을 조리하는데는 재료의 준비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폐단과 조리가 불편하고 또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폐단을 동시에 수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전을 양산제조하고 장기보존이이루어지게 하는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전의 자동제조과정을 보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전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전의 제조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식용유의 분사공정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재료공급공정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재료펼침공정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프라이팬과 재료의 분리공정의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전을 뒤집어 옮기는 공정의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전의 제조장치에서 프라이팬을 발췌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테이블 2 : 프라이팬
3 : 가열버너 4,7 : 식용유 분사장치
5 : 재료공급장치 6 : 재료펼침장치
8 : 프라이팬에 재료의 분리장치
9 : 프라이팬의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
세척된 전의 재료(호박, 부추,김치‥등)를 길이 1~5Cm정도로 세절하고 부침가루와 물을 중량비율로 65:20:15로 하여 반죽하면서 조미제를 첨가시켜 전의 재료를 조성하고 이를 호퍼에 수납시켜 식용유를 도포시켜 가열되는 프라이팬에 정량을공급하여 조리하면서 그 위에 식용유를 도포시키고, 조리되는 재료를 뒤집어 조리를 완료한 후에 이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25℃이하에서 급속동결시킨 후 포장 제품화하는 제조방법이다.
또 전의 제조장치는 테이블(1)에 다량의 프라이팬(2)을 선회되도록 하고 그 저부에는 다수개의 가열버너(3)를 설치한 테이블(1) 위에 식용유 분사장치(4), 재료공급장치(5), 재료펼침장치(6), 식용유 분사장치(7), 프라이팬에 재료의 분리장치(8), 프라이팬의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9), 전의 인출부(10)를 각 설치하여 일련의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식용유 분사장치(4)(7)는 테이블(1) 일단에 지지대(20)를 설치하고 동 지지대(20)에 식용유 공급관(21)과 연결된 분사노즐(22)을 설치하여 선회되는 프라이팬(2) 위에 식용유를 정량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재료공급장치(5)는 테이블(1) 일단에 재료공급장치본체(30)를, 그 상부에는 재료낙하회전판(32)을 구비한 호퍼(31)를 설치하고, 동 재료공급장치 본체(30)에는 재료정량수납구(33a)를 갖는 재료이송축(33)을 내장한 일측방향으로 구성한 실린더(34)에 재료공급판(35)을 갖는 축봉(36)을 에어실린더(37)와 연결하여 호퍼(31)의 재료를 프라이팬(2)에 정량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재료펼침장치(6)는 테이블(1)의 일단에 지지대(40)를 설치하고 동 지지대(40)의 윗면에 승강과 회전이 이루어지는 에어실린더(41)를 고정시킨 하방의 축(42) 선단에는 재료펼침날개(43)를, 그 외곽에는 재료성형판(44)을 설치하여 승강되도록 하고 날개(43)는 회전되도록 하여 프라이팬(2) 위에 낙하된 재료를 규격의 크기와 두께로 펼쳐지게 구성하고,
프라이팬에 재료의 분리장치(8)는 테이블(1) 일단에 지지대(50)를 설치하고 선단의 축(52)에는 원판(53)을 결합하고 그 하방으로는 다수의 고정핀(54)을 형성하여 원판(53)이 하강되어 프라이팬(2)에 1차 조리되는 재료를 프라이팬(2)과 분리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프라이팬에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9)는 테이블(1) 일단에 일정각 회전되는 모터(60)를 설치하고 동 모터축(60a)에는 지지대(61)를 설치하여 동 지지대(61)로 프라이팬(2) 측방을 지지 일정각을 회전시켜 전방의 빈 프라이팬 위에 옮긴 후 원상복귀되도록 구성하고,
전의 인출부(10)는 테이블(1)의 일단에서 제조 완성된 전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은 프라이팬 선회용 체인, 80은 가이드로울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전의 제조방법을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재료의 세절공정)
전의 주재료를 길이를 1~5Cm 정도가 되도록 세절한다.
즉 호박의 경우에는 길이는 1~5Cm로 하고 두께와 폭은 3~5mm로 하고, 부추의 경우에는 길이를 1~5Cm정도가 되게 하고, 김치의 경우에는 길이를 2~3Cm로 하고 폭은 5~10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제2공정] (반죽공정)
제1공정의 주재료에 부침가루와 물을 65:20:15의 중량비율로 반죽하고 여기에 각종 조미제를 첨가하여 전의 재료를 조성한다.
이 때 주재료의 상태에 따라서 부침가루와 물의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제3공정] (제조공정)
제2공정으로 반죽된 전의 재료를 전의 제조장치의 호퍼에 수납하여 테이블 위에서 가열되면서 선회되는 프라이팬에 적정량의 식용유를 도포한 다음 전의 재료를 정량 낙하시키고 이를 형틀에서 펼치고 그 위에 식용유를 도포시켜 프라이팬에서 분리시켜 다른 프라이팬으로 뒤집어 옮기면서 전을 제조한다.
[제4공정] (인출과 냉각공정)
제3공정에서 제조 완성된 전을 인출시켜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제5공정] (급결냉동 및 포장제품화 공정)
제4공정에서 냉각된 전을 -25℃ 이하에서 급속동결시킨 후 포장 제품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전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의 재료를 혼합 조성한 재료를 테이블(1)에 설치된 재료공급장치(5)의 호퍼(31)에 수납하고 전을 자동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테이블(1)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버너(70)를 점화시키고, 테이블(1) 위의 프라이팬(2)이 선회용 체인(71)에 의해 선회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게 되면 테이블(1)의 식용유 분사장치(4)에서 식용유가 프라이팬(2)의 바닥에 일정량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식용유가 정량 분사된 프라이팬(2)은 테이블(1) 일단의 재료공급장치(5)로 이송되고 호퍼(31)의 재료낙하회전판(32)의 구동으로 재료가 하방으로 이동이 유도되어 재료공급장치본체(30)에 내장된 재료이송축(33)의 재료정량수납구(33a)에 수납되어져 일정량을 회전하게 되면 측방의 에어실린더(37)의 축봉(36)이 전진하면서 선단의 재료공급판(35)을 실린더(34)로 진입시켜 재료정량수납구(33a)에 수납된 재료를 하방의 프라이팬(2) 위에 밀어내게 되고 재료공급판(35)의 진입이 완료되면 재료이송축(33)은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다시 재료정량수납구(33a)가 호퍼(31) 하방에 위치되고 전진된 재료공급판(35)은 실린더(34)의 축봉(36)이 복귀하면서 호퍼(31)의 재료를 재료수납구(33a)에 유입되도록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료공급장치(5)에서 전의 재료를 프라이팬(2)에서 공급을 받아 프라이팬(2)이 테이블(1)을 타고 재료펼침장치(6)로 이동되면 테이블(1) 일단의 지지대(40)에 설치된 에어실린더(34)가 동작하면서 축(42) 선단이 전진하여 재료성형판(44)이 프라이팬(2)의 바닥에 닿게 되면 재료펼침날개(43)가 회전하여 재료성형판(44) 내에 위치한 전의 재료를 균일한 규격과 두께가 유지되도록 펼치게 되고 설정시간이 완료되면 재료펼침날개(43)의 회전은 정지되고 재료 성형판(44)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라이팬(2) 위에 공급된 전의 재료가 균일한 규격과 두께로 펼쳐져 조리가 이루어지면서 프라이팬(2)이 식용유 분사장치(7)에 이르면 프라이팬(2) 위에 식용유를 분사시키는 식용유분사장치(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용유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식용유의 분사가 이루어진 프라이팬(2)은 테이블(1)을 따라 이동되면서 프라이팬(2)이 재료의 분리장치(8)에 이르면 테이블(1) 일단의 지지대(50)에 설치된 실린더(51)의 축(52)이 하강하여 선단의 원판(53)이 조리되는 전의 재료위에 닿게 되면서 고정핀(54)이 전의 재료에 꽂히게 되면 축(52)이 회전하게 되면서 프라이팬(2) 위에서 조리되는 전의 재료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축(52)이 일정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정지된 다음 축(52)과 원판(53), 고정핀(54)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라이팬(2) 위에 조리되는 전의 재료를 분리시키면 프라이팬(2)은 프라이팬에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9)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동 지점에 이르면 지지대(61)에 프라이팬(2)의 외측 측방이 위치됨과 동시에 모터축(60)이 회전되어 프라이팬(2)을 회전시켜 조리되는 전의 재료를 전방에 위치하는 빈 프라이팬에 뒤집어진 상태로 옮겨지게 되고 동 작업이 완료되면 모터축(60)이 역회전되어 지지대(61)를 원상으로 복귀하면서 다음 프라이팬이 위치될 수 있도록 준비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의 재료가 옮겨진 프라이팬은 조리가 계속되면서 인출부(10) 지점에 이르면 전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이를 인출시켜 자연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각 장치부의 조정으로 전의 크기와 두께 및 조리상태와 제조 효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위생적으로 양산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전의 제조방법은 재료를 반죽하고 전을 제조하여 냉각 후 급속동결시켜 제품화하므로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 급속동결된 전을 프라이팬에서 재가열하거나 전자렌지등에서 데워서 섭취하게 되면 즉석 제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의 제조방법은 전을 양산제조하여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장기 보존할 수 있게 되어 계절에 구애 없이 먹을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고 그 제조장치는 전의 제조를 자동화하고 위생적으로 양산제조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세척된 전의 재료(호박, 부추,김치‥등)를 길이 1~5Cm정도로 세절하고 부침가루와 물을 중량비율로 65:20:15로 하여 반죽하면서 조미제를 첨가시켜 전의 재료를 조성하고 이를 호퍼에 수납시켜 정량씩을 식용유를 도포시켜 가열하는 프라이팬에 정량을 공급하여 조리하면서 그 위에 식용유를 도포시키고 뒤집어 일정시간을 가열하여 제조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25℃이하에서 급속동결시킨 후 포장 제품화함을 특징으로 한 전의 제조방법
  2. 테이블(1)에 다량의 프라이팬(2)을 선회되도록 하고 그 저부에는 다수개의 가열버너(3)를 설치한 테이블(1)위에 식용유 분사장치(4), 재료공급장치(5), 재료펼침장치(6), 식용유분사장치(7), 프라이팬에 재료의 분리장치(8), 프라이팬의 재료를 뒤집어 옮기는 장치(9), 전의 인출부(10)를 각 설치하여 일련의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 전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테이블(1) 일단에 재료공급장치본체(30)를, 그 상부에는 재료낙하회전판(32)을 구비한 호퍼(31)를 설치하고, 동 재료공급장치본체(30)에는 재료정량수납구(33a)를 갖는 재료이송축(33)을 내장한 일측방향으로 구성한 실린더(34)에, 재료공급판(35)을 갖는 축봉(36)을 에어실린더(37)와 연결하여 프라이팬(2)에 호퍼(31)의 재료를 정량 공급되도록 하는 재료공급장치(5)가 구비된 전의 제조장치
KR10-2001-0021388A 2001-04-20 2001-04-20 전의 제조장치 KR10036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388A KR100368629B1 (ko) 2001-04-20 2001-04-20 전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388A KR100368629B1 (ko) 2001-04-20 2001-04-20 전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602A true KR20010069602A (ko) 2001-07-25
KR100368629B1 KR100368629B1 (ko) 2003-01-24

Family

ID=1970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388A KR100368629B1 (ko) 2001-04-20 2001-04-20 전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66A (ko) * 2002-11-21 2002-12-16 권선호 전류의 연속식 자동 제조방법
KR100747512B1 (ko) * 2006-08-04 2007-08-08 양건태 부침개 포장방법 및 부침개 포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40B1 (ko) 2014-12-11 2015-11-24 박동우 반죽시트 형성 노즐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제과장치
KR102546215B1 (ko) 2021-07-08 2023-06-21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KR102484398B1 (ko) 2021-07-08 2023-01-03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및 반죽 탱크
KR102661135B1 (ko) 2024-01-12 2024-04-29 주식회사 아미티푸드테크 간편 조리및 맞춤형 토핑이 가능한 트레이형 비가열 전 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66A (ko) * 2002-11-21 2002-12-16 권선호 전류의 연속식 자동 제조방법
KR100747512B1 (ko) * 2006-08-04 2007-08-08 양건태 부침개 포장방법 및 부침개 포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629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885B1 (ko)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20060125728A (ko) 속 재료가 채워진 식 제품, 관련된 반-가공 제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0435667C (zh) 有烘烤外观的产品的制作方法
KR20100090500A (ko) 호떡 및 찹쌀도넛용 자동성형기
KR100368629B1 (ko) 전의 제조장치
CA3016416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rmed meat patties
KR102375056B1 (ko)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및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KR100512922B1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US6244164B1 (en) Process and correspon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ready-cooked and semi-cooked dishes
KR101920179B1 (ko) Iqf 돈등심 또는 돈안심 돈까스의 제조방법
JP2016220640A (ja) 揚げフレンチトーストの製造方法及び揚げフレンチトースト
JP2005224109A (ja) かき揚げの製造法
KR102561017B1 (ko) 육류 스낵 제조장치
CN215533803U (zh) 可制作多种食物的设备
CN215075239U (zh) 制作食物的设备及食物成型装置
JPH045417B2 (ko)
CN215124043U (zh) 可制作多种食物的设备以及食物制作设备
KR20210016706A (ko) 아란치니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906432B1 (ko) 한입 고추튀김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9191859A (ja) 蒲鉾せんべいの製造法
JPH0337908B2 (ko)
CA2457068A1 (en) Convenient high protein sandwich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14532860A (zh) 食物制作方法、系统、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57608A (zh) 食物制作方法、设备、系统、成分获取方法以及存储介质
CN114563961A (zh) 食物制作设备、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