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194A -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194A
KR20010068194A KR1020000029719A KR20000029719A KR20010068194A KR 20010068194 A KR20010068194 A KR 20010068194A KR 1020000029719 A KR1020000029719 A KR 1020000029719A KR 20000029719 A KR20000029719 A KR 20000029719A KR 20010068194 A KR20010068194 A KR 20010068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 invoice
service
tax
web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천
Original Assignee
임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천 filed Critical 임호천
Priority to KR102000002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194A/ko
Publication of KR2001006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9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수의 사업자가 발행하고 접수하는 다수의 세금계산서를 사업자별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와, 고객 관리 정보와 다수의 고객 각각의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록하기 위한 저장장치, 및 인터넷 네크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접수하며, 상기 발행된 세금계산서 및 상기 접수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들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 정보를 집계하며, 이 집계 결과에 따라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자동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웹서버를 포함하여,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전달, 접수, 보관, 조회 등의 중복되는 작업을 모두 자동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Tax Invoic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금계산서에 대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서버에서 운영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접수 및 부가가치세 신고까지 세금계산서에 대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업자들은 종이로 된 세금계산서를 작성하여 발행하고 있으며, 역시 종이로 된 세금계산서를 접수하고 있다. 따라서, 발행, 접수된 세금 계산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발행되거나 접수된 세금계산서에 관한 데이터를 다시 전산프로그램에 입력하여 관리할 수 밖에 없으며, 세금계산서 자체는 별도로 보관해야 한다. 즉, 기존 세금 계산서의 작성과 전달, 접수, 보관 및 조회 방법은 모든 작업이 종이로 된 문서를 직접 전달하는 등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고, 사업자 간에 서로 세금계산서를 주고 받으므로 특정 사업자의 전산화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므로 회계/경리 업무의 완전 전산화와 업무효율 향상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전자 세금계산서를 사업자 간에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전자 세금계산서에 대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서버에서 운영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서비스 이용 신청 처리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처리에 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전자 세금계산서 접수 처리에 관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처리에 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매출 세금계산서 재발행처리에 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중 부가가치세 신고 처리에 관한 순서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
고객 관리 정보, 다수의 고객 각각의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록하기 위한 저장장치; 및
상기 인터넷 네크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접수하며, 상기 발행된 세금계산서 및 상기 접수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의 매입매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들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 정보를 집계하며, 이 집계 결과에 따라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자동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웹서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은
1) 소정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금계산서업무를 서비스 받기 위한 웹 서버에 접속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였을 경우, 상기 웹 서버에서 서비스 받기 위해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3) 서비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4)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 모드인 경우,
(a)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작성된 세금계산서를 웹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공급받는 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금계산서 발행 단계; 및
5)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접수 서비스 모드인 경우,
(a') 접수된 세금계산서의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수된 세금계산서를 웹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금계산서 접수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전자 저장부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20)와 웹서버(30)및 웹서버에서 처리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로 이루어진다. 저장부(40)는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49)와 회원사 각각의 매입/매출 데이터베이스(41, 42...)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1) 세금계산서 발행, (2) 세금계산서 접수, (3)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4) 매출 세금계산서 재발행 및 (5) 부가가치세 신고 및 (6) 서비스 (1) 내지 (6)의 내용 조회 서비스가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11, 12)은 서비스 받으려는 전자 세금계산서 업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인터넷(20)을 통하여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용 웹서버(3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웹서버(30)에서는 고객이 요청한 전자 세금계산서 업무를 처리하여 웹서버(30)의 저장부(40) 중 고객의 매입매출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회원사 A(11)가 회원사 B(12)로 매출세금계산서를 발행하려고 하는 경우, 회원사 A(11)가 인터넷(20)을 통하여 웹서버(30)에 접속하여 매출세금계산서를 작성하여 저장부(40)의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하고, 이를 발송하면 회원사 B의 데이터베이스(42)에 자동적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회원사 B(21)가 인터넷(20)을 통해 웹서버(30)에 접속하는 경우 간단히 회원사 A(11)의 매출세금계산서를 접수하게 된다.
또한, 회원사 A(11)의 매출세금계산서를 접수할 자가 비회원사(50)인 경우에는 팩스, 전자우편, 전화, 무선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통합 메세징 서비스(United Messaging Service: UMS)를 통해 세금계산서가 비회원사(50)에게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 순서를 도 2 내지 도 8의 순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의 개략적인 처리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인터넷(20)을 통하여 웹서버(30)에 접속한 경우, 웹서버는 사용자가 이용 등록을 한 회원사인지를 판단한다(S10). 사용자가 회원사인 경우, 바로 사용자 인증 단계(S20)으로 넘어가고, 회원사가 아닌 경우에는 본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 신청(S30)을 한 후 사용자 인증 단계(S20)으로 넘어간다.
서비스 이용 신청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원이 되고자 하는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번호, 상호, 대표자, 개업년월일 등의 사업자 등록 정보를 입력하고(S310), 이용할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S320).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는 세금계산서 발행 및 접수, 비회원사로부터의 접수한 세금계산서의 입력, 세금계산서의 재발행 요청 및 재발행, 부가가치세 신고, 및 기타 조회 등이며, 이중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일부 서비스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부 선택할 수도 있다.
이용할 서비스를 선택한 후, 회원사에 대한 사용자번호 및 패스워드를 등록하고, 회원사 내의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사용자별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330). 설정된 정보는 저장부(40)의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49)에 저장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단계(S10)에서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바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20), 비회원사인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한후(S30) 사용자 인증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증 단계(S20)는 상기 웹서버(30)에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되어 전자 세금계산서에 관한 업무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번호'와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한 후, 기 설정되어 웹서버(30)의 저장부(40) 중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49)에서 입력된 '사용자번호'와 '패스워드'에 대해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인증 단계 수행 결과, 상기 사용자가 웹서버(30)를 사용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용자로 인증되었을 경우(S40),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떤 서비스업무를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받아 처리한다(S50). 지정된 서비스업무 처리후 사용자가 다른 업무까지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S60) 지정된 서비스업무를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종료하게 된다.
서비스 선택 및 처리 단계(S5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1) 세금계산서 발행, (2) 세금계산서 접수, (3)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4) 매출 세금계산서 재발행 및 (5) 부가가치세 신고가 있다. 이외에도 (1)내지 (5)의 내용 조회 서비스도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증 단계를 거치면 메뉴 화면이 생성되어 상기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으로는 서비스 선택 및 처리 단계(S50)에서 처리하는 각각의 서비스 처리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1)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발행할 세금 계산서의 내용을 입력한다(S410). 즉, 공급받는 자, 거래품목, 수량, 단가 및 금액 등을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승인 절차에 들어간다. 즉,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예를 들어 업무담당자의 상사)인지를 판단하여(S42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입력 내용이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430). 승인권자가 입력된 세금계산서의 내용을 승인하게 되면, 발행할 세금계산서가 확정되고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된다(S440).
다음으로, 승인되어 저장된 세금계산서는 자동으로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에게 전송된다(S450). 이때,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가 본 시스템의 회원사인 경우에는 바로 웹서버(3))의 저장부(40)에 바로 저장되어, 공급받는 자가 웹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접수하고,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금계산서 발행인이 회원사 A(11)이고 접수인인 회원사 B(12)인 경우에는 단계(S440)에서 발행된 세금계산서는 저장부(40)의 회원사 A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됨과 동시에 회원사 B 데이터베이스(42)에도 저장되게 된다.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가 본 시스템의 회원사가 아닌 경우에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공급받는 자에게 팩스, 전자우편, 전화, 무선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도 5의 승인 절차에서는 승인권자가 한명인 경우를 설명한 것으로서, 담당자로부터 최종 승인권자까지 중간 승인권자가 많은 경우에는 승인 절차를 반복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담당자로부터 최종 승인권자까지 승인 절차를 반복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 뿐 아니라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2) 세금계산서 접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금계산서 접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본 시스템은 타 회원사의 사용자가 도 4에서 설명한 (1)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에 의해 당 회원사에게 전송하여 저장된 세금계산서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510). 당 회원사에게 전송되어 저장된 세금계산서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세금계산서를 조회하여 그 내용을 확인한다(S520). 내용 확인 후, 접수된 세금계산서가 실제 공급받은 품목의 내역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S530), 세금계산서의 내용이 정확한 경우에는 승인절차에 들어간다. 즉,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인지를 판단하여(S54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세금계산서 접수 내용이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550). 승인권자가 접수 내용을 승인하게 되면, 접수한 세금계산서가 확정되고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확정된 내용이 다시 저장된다(S560).
단계(S530)에서, 접수된 세금계산서의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즉, 공급받지 않은 품목에 대한 내역이 있거나 부실하거나 허위로 기재된 세금계산서인 경우에는 접수할 수 없으므로 반송 사유를 입력하여(S570), 바로 발행인에게 반송을 하게 된다(S580). 도 5에 개시된 플로우에는 사용자가 바로 반송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단계(S570)와 단계(S580) 사이에도 승인 절차를 두어 승인권자의 승인여부를 확인한 후 반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반송 시에는 웹서버(30)의저장부(40)에서 자동적으로 반송되는 세금계산서를 삭제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우편이나 인편 등으로 접수된 종이 세금계산서를 접수한 경우(비회원사로부터 접수)에는, 이를 본 시스템에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단계(S510)에서 단계(S590)로 넘어가 사용자가 직접 세금계산서 내역을 입력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종이로 된 세금계산서의 내역이 입력된 후에는 역시 승인 절차(S540-S550)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 승인권자에게 전송하여 승인권자가 접수 내용을 승인하게 되면, 접수한 세금계산서가 확정되고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된다(S560).
도 5에서는 세금계산서를 접수하는 시점에서 세금계산서가 잘못된 경우 반송하는 단계(S530, S570, S580)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접수 시점 이후에라도 세금계산서의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재발행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발행 요청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3)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본 시스템에서 접수된 매입 세금계산서 중에 수정해야 될 사항이 있는 세금계산서를 발견한 경우에는, 도 2의 서비스 선택 및 처리 단계(S50)에서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서비스를 선택한다.
매입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은 먼저 재발행해야될 세금계산서를 선택한 후(S610), 이에 대한 재발행 사유를 입력한다(S620). 즉, 공급받지 않은 품목에 대한 내역이 있다거나 단가, 금액이 맞지 않는 등의 사유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승인 절차에 들어가게 되는데,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인지를 판단하여(S63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재발행 사유 내용이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640). 승인권자가 재발행 사유를 승인하게 되면, 재발행 요청이 확정되어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되며(S650), 세금계산서 발행인에게 재발행 요청이 전송된다(S660).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매출 세금계산서의 재발행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매출 세금계산서의 재발행 서비스는 본 시스템의 다른 회원사로부터 도 6의 재발행 요청을 접수한 경우나, 기타 비회원사로부터 재발행 요청을 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발행한 세금계산서에 오류가 있는 것을 발견한 경우, 이를 수정하여 재발행하는 서비스이다.
먼저 다른 회원사로부터 도 6의 세금계산서를 재발행해달라는 요청이 접수된 경우에는(S710), 재발행 요청 대상 및 사유 등의 내용을 확인하고(S720), 재발행 요청이 타당한지를 판단하여 재발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730). 재발행 요청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유를 세금 계산서를 수정한 후(S740) 승인 절차에 들어간다. 즉,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인지를 판단하여(S76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재발행 사유 및 수정된 세금계산서가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770). 승인권자가 이를 승인하게 되면,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된다(S780). 이때, 이전의 세금계산서는 저장부(40)에서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정된 세금계산서는 자동으로 재발행 요청을 회원사에게 전송된다(S548), 이때, 공급받는 자의 해당 저장부(40)에 저장된 이전의 세금계산서가 자동으로 삭제되어 새로운 세금계산서로대체되어 저장된다.
또한, 재발행 요청이 타당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730)에서 재발행 요청이 타당하지 않고, 재발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재발행 불가능 사유를 입력한 후(S750), 승인 절차에 들어간다(S760-S770). 승인권자가 재발행 불가능 사유를 승인하게 되면, 재발행할(30)의 저장부(40)에 재발행 불가능 사유가 저장되며(S780), 재발행 불가능 사유는 재발행 요청을 한 자에게 전송된다(S790).
한편, 본 시스템의 비회원사(도 1의 50)로부터 재발행 요청을 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발행한 세금계산서에 오류가 있는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본 시스템에서 접수한 재발행 요청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단계(S710)에서 단계(S800)로 넘어가 재발행되어야 할 세금 계산서를 선택하고 재발행 사유를 입력한다(S800-S810). 다음으로 재발행되어야 할 세금계산서를 수정한 후(S740),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인지를 판단하여(S76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재발행 사유 및 수정된 세금계산서가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770). 승인권자가 이를 승인하게 되면,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된다(S780). 이때, 재발행 요청이 있었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세금계산서는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정된 세금계산서는 자동으로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에게 전송된다(S790).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가 본 시스템의 회원사인 경우에는 바로 웹서버(30)의 해당 저장부(40)에 바로 저장되며, 이때, 공급받는 자의 해당 저장부(40)에 저장된 이전의 세금계산서도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세금계산서를 받을 자가 본 시스템의 회원사가 아닌 경우에는 통합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비회원사(50)의 공급받는 자에게 팩스, 전자우편, 전화, 무선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부가가치세 자동 신고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기 위해서 우선 세금계산서의 내역을 확정한다. 즉, 발행 또는 접수한 세금계산서를 확정하고(S910), 세금계산서 외에 기타 부가가치세 신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S920). 입력이 끝난 후에는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S930). 사용자의 확인이 끝난 후 승인 절차에 들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승인권자인지를 판단하여(S940),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권자에게 입력 내용이 전송되어 승인권자가 승인하기 전까지 대기된다(S950). 승인권자가 신고 내용을 승인하게 되면, 신고서는 웹서버(30)의 저장부(40)에 그 내용이 저장된다(S960). 다음으로, 승인되어 저장된 신고서는 자동으로 세무서로 전송된다(S970).
이외에도 기타 내용 조회 서비스가 있으며, 조회할 내용(예를 들어 매출 세금계산서) 등을 선택하여 간단히 조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로 된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전달, 접수, 보관, 조회 등의 중복되는 작업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처리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업무 효율 향상을 통해 인건비 및 세금계산서 전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매출/매입의 기초 자료인 세금계산서의 전산화를 통해 부가가치세 신고를 비롯한 각종 경영 근거 자료의 산출이 가능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경영 현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경영이 가능하다.
특히, 해외출장이나 지방출장이 잦은 경영진일 경우, 세무관리 업무를 보기 위한 문서의 준비 및 이동이 없이도 인터넷을 통하여 어디에서나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4)

  1. 인터넷 네트워크;
    고객 관리 정보, 다수의 고객 각각의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록하기 위한 저장장치; 및
    상기 인터넷 네크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접수하며, 상기 발행된 세금계산서 및 상기 접수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의 매입매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들 매입 또는 매출 세금계산서 정보를 집계하며, 이 집계 결과에 따라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자동 산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갖춘 웹서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프로그램이 접수된 세금계산서를 재발행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프로그램이 세금계산서를 재발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프로그램이 상기 산출된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세무서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자가 상기 시스템의 타 사용자일 경우에는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상기 저장장치의 타사용자 매입매출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자가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가 아닐 경우에는 팩스, 전자우편, 전화, 무선단말기 등을 이용한 통합 메세징 서비스를 통해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
  7. 1) 소정의 통신선로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금계산서업무를 서비스 받기 위한 웹 서버에 접속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였을 경우, 상기 웹 서버에서 서비스 받기 위해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3) 서비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4)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 모드인 경우,
    (a)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작성된 세금계산서를 웹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공급받는 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금계산서 발행 단계; 및
    5)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접수 서비스 모드인 경우,
    (a') 접수된 세금계산서의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수된 세금계산서를 웹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금계산서 접수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 판단 단계는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 세금계산서 발행 단계는 (a) 작성단계와 (b) 전송단계 사이에, 사용자가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 승인권자의 승인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5) 세금계산서 접수 단계는 (a') 확인 단계와 (b') 저장 단계 사이에, 사용자가 승인권자가 아닌 경우 승인권자의 승인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드가 부가가치세 신고 서비스 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행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내역과 저장부에 저장된 접수된 세금계산서의 내역에 근거하여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가치세 신고 양식을 세무서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 서비스 모드인 경우, 재발행할 세금계산서를 선택하여 재발행 사유를 입력한 후 웹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공급받는 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드가 세금계산서 재발행 서비스 모드인 경우,
    (a)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을 접수한 경우, 재발행 요청 내용을 확인한 후,
    (ⅰ) 재발행 사유가 있는 경우, 세금계산서를 수정하여 재발행하는 단계;
    (ⅱ) 재발행 사유가 없는 경우, 재발행 불가능 사유를 입력하여 공급받는 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b) 세금계산서 재발행 요청을 접수하지 않은 경우, 재발행할 세금계산서를 선택하여 세금계산서를 수정하여 재발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 세금계산서 발행 단계 중 (b) 전송단계에서 팩스, 전자우편, 전화, 무선단말기 등을 이용한 통합 메세징 서비스를 통해 세금계산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방법.
KR1020000029719A 2000-05-31 2000-05-31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10068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19A KR20010068194A (ko) 2000-05-31 2000-05-31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19A KR20010068194A (ko) 2000-05-31 2000-05-31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94A true KR20010068194A (ko) 2001-07-23

Family

ID=1967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719A KR20010068194A (ko) 2000-05-31 2000-05-31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19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80A (ko) * 2000-08-19 2001-06-05 서병찬 인터넷을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1713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모시스 세금계산서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및방법
KR20040004939A (ko) * 2002-07-06 2004-01-16 이형영 세금계산서에 의한 은행의 기업 금융 지원시 상거래 여부확인방법
KR20040022805A (ko) * 2002-09-09 2004-03-18 (주) 오브젝트솔루션 세무관리 시스템
KR100437708B1 (ko) * 2000-08-19 2004-06-26 (주)인컴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7166B1 (ko) * 2005-09-13 2007-12-21 (주)세경멀티뱅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CN112651685A (zh) * 2020-12-23 2021-04-13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785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税務証明書発行・納税業務システム
KR20000050050A (ko) * 2000-05-12 2000-08-05 최종선 인터넷을 통한 세금계산서 발급, 교부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044A (ko) * 2000-04-19 2001-06-05 서병찬 세금계산서 발행/수령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와 이를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10093590A (ko) * 2000-03-29 2001-10-29 윤용범 일상어로 입력하는 인터넷의 회계장부 작성방법
KR20010097821A (ko) * 2000-04-26 2001-11-08 이병양 인터넷을 이용한 부가가치세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부가가치세 신고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785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税務証明書発行・納税業務システム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10093590A (ko) * 2000-03-29 2001-10-29 윤용범 일상어로 입력하는 인터넷의 회계장부 작성방법
KR20010044044A (ko) * 2000-04-19 2001-06-05 서병찬 세금계산서 발행/수령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와 이를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7821A (ko) * 2000-04-26 2001-11-08 이병양 인터넷을 이용한 부가가치세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부가가치세 신고 처리 방법
KR20000050050A (ko) * 2000-05-12 2000-08-05 최종선 인터넷을 통한 세금계산서 발급, 교부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80A (ko) * 2000-08-19 2001-06-05 서병찬 인터넷을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7708B1 (ko) * 2000-08-19 2004-06-26 (주)인컴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금계산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1713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모시스 세금계산서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및방법
KR20040004939A (ko) * 2002-07-06 2004-01-16 이형영 세금계산서에 의한 은행의 기업 금융 지원시 상거래 여부확인방법
KR20040022805A (ko) * 2002-09-09 2004-03-18 (주) 오브젝트솔루션 세무관리 시스템
KR100787166B1 (ko) * 2005-09-13 2007-12-21 (주)세경멀티뱅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CN112651685A (zh) * 2020-12-23 2021-04-13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CN112651685B (zh) * 2020-12-23 2024-03-29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值税电子发票的自动补仓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265A (en) Online gift-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a server system, terminal equipment, a gift-present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7778922B2 (en) Account settlement method in online shopping
KR100282750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US6477507B2 (en) Online commodity management, a server system applied in the online commodity management system, terminal equipment applied in the online commodity management system, a managing method in the online commodity management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a program making a computer execute the method recorded therein
US20020004760A1 (en) Online settlement system,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00409206C (zh) 交互式发票接口
US200602594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disputes in an electronic invoice management system
JPH0934841A (ja) 記憶媒体のオンライン暗号解除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40098321A1 (en)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3978991B2 (ja) 受発注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US20020010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ixed-mode electronic commerce processing of on-line orders
MXPA04003531A (es) Un sistema y metodo de transferencia de dinero computarizado.
CN111177597B (zh) 扫码收取电子发票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339643B1 (ko) 무역업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6950808B1 (en) Booking certificate issu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90724B1 (ko)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68194A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세금계산서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20006868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수출통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TW201723942A (zh) 用於代收第三方帳款的代收帳款平台、代收帳款系統與代收帳款的方法
KR100407198B1 (ko) 부가가치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6041A (ko) 웹기반으로 무역수수료, 물류비, 관부과세 등 토탈 자동계산시스템
KR20000053982A (ko)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쇼핑몰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JP3828517B2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JP2002318838A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US20010051912A1 (en) Commodity ordering method and commodity ord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