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724B1 -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724B1
KR100390724B1 KR10-2000-0007455A KR20000007455A KR100390724B1 KR 100390724 B1 KR100390724 B1 KR 100390724B1 KR 20000007455 A KR20000007455 A KR 20000007455A KR 100390724 B1 KR100390724 B1 KR 10039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nformation
wig
ticke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506A (ko
Inventor
정훈
한수정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주) 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우 filed Critical (주) 하우
Priority to KR10-2000-000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7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과 공간에 제한받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티켓검색 및 발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 티켓발매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티켓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티켓 발권이 승인된 이용자에게 가발권 정보 또는 발권정보를 제시하는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 및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발권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장소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출력하는 발권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갖는다.

Description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ISSUING TICKET WITH USE OF IMAGINARY TICKET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간과 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모든 티켓에 대한 티켓검색 및 발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현대인의 문화 생활에 대한 욕구가 커짐에 따라 이들의 이러한 욕구를 손쉽고 빠른 방법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매 기기가 나왔다.
그러나 기존의 무인전용 발권기기는 전용기이므로 다양성이 없고 장비가격이 비싸서 설치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발권방법은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예약한 후 신용카드결제를 하고 티켓은 우편발송을 함으로써 티켓을 발송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며 발송에 대한 물류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화(ARS)를 통해 티켓을 예약하는 방법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도착하여 매표소에서 발권을 받음에 따른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발권점에 있는 발권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티켓 판매망에 대한 검색 및 발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그 웹사이트에서 제공해주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로 하여금 열람하고 티켓을 발권받을 수 있게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 티켓발매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티켓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티켓 발권이 승인된 이용자에게 가발권 정보 또는 발권정보를 제시하는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발권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장소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출력하는 발권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로부터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한 이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c) 이용자의 티켓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티켓 발권이 승인된 이용자에게 가발권 정보 또는 발권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d) 상기 (c)단계에서 제공받은 가발권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발권기기를 통해 해당 장소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4a, 4b 및 4c는 외부의 입력에 따른 서버의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22 : 티켓 판매 업소
30,32 : 발권 기기 40 : 결제기관
50 : 티켓 발매 사이트 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시스템의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60) 상에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 발권기기(30,32),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20,22) 및 티켓발매 사이트를 운영하고 및/또는 사용자의 신용정보(금융기관 또는 신용카드사와 관련된 신용거래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사이버 머니와 관련된 신용거래정보 등을 포함하고, 또 다른 형태로 거래되는 신용거래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를 결제기관(40)으로부터 검색 및 조회받기 위한 온라인 조회를 위한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서버(50)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50)는 상기 네트워크(60)를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에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20,22)에서 지원하는 각각의 이벤트 정보를 안내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발권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 발매가능한 티켓에 대해서, 선택된 티켓종류에 따라 이용자 정보를 요구하여 발매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승인된 사용자에게 실제의 티켓을 발권 받는데 필요한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를 제공하고, 및 상기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를 소유한 사용자의 발권 요구에 반응해서 상기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에 해당하는 티켓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50)의 어플리케이션은 가발권 발행 요구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로부터 수신받고 해당하는 접수결과를 송신하며, 발권조회 요구 및 발권 정보를 발권기기(30,32)로부터 수신받고 해당조회 결과와 해당 티켓에 대한 고유 이미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용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로부터 입력받아 결제기관(40)으로 전송한 후 결제기관으로부터 해당조회결과를 전송받는 송수신수단(54); 사용자의 발권요구시 중복발권을 방지하기 위한 해당 티켓에 대한 기존의 발행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가발권이 정상적인 가발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56);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서버를 경유하여 얻을 수 있도록 사용자를 다수의 티켓판매업소(20,22)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링크하는 링크 수단(58); 및 상기 송수신수단(54), 판단수단(56) 및 링크수단(58)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 및 발권서비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70), 상기 가발권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발권 데이터베이스(74), 발권된 티켓정보를 위한 발권 데이터베이스(76), 발권이 가능한 티켓정보를 위한 발권가능 데이터베이스(72), 결제조회 및 수수료 수익 분배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정산 데이터베이스(78)를 더 포함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버의 엑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도 3에서는 외장용 데이터 베이스를 한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를 자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권기기(30,32)는 기존의 전국단위의 전용 네트워크를 갖춘 24시간 편의점과 같은 영업점포망에 설치되어 상시 발권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는 개인용 PC는 물론 핸드폰이나 개인휴대용 단말기 상에서도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티켓판매 사이트에 접속하여 발권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발권기기에서 발행하는 티켓은 이벤트의 입장 권한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형태를 띤 표식이거나 ID, 패스워드와 같은 소프트웨어적 표식일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에서 지원하는 각각의 이벤트 정보를 안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발권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S100~S106); 상기 판단결과 발매가능한 티켓에 대해서, 선택된 티켓종류에 따라 이용자 정보를 요구하여 발매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승인된 사용자에게 실제의 티켓을 발권 받는데 필요한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를 제공하는 제 2단계(S108~S118); 및 상기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를 소유한 사용자의 발권 요구에 반응해서 상기 가발권정보 및/또는 발권정보에 해당하는 티켓을 제공하는 제 3단계(S200~230)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로 접속을 하면, 상기 서버는 안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상기 S100단계의 이벤트 정보메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유료 및/또는 무료로 제공되는 문화행사의 입장권 발매정보 및/또는 운송수단의 탑승권 발매정보로서 지정된 장소 및/또는 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 즉,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문화행사 및/또는 운송수단에 대한 발매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는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에서 지원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홍보자료, 시간표정보, 좌석 배치 및/또는 남은 좌석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로부터의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발권요청된 해당 티켓의 판매업소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링크한 후 상기 링크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를 통해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50)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가발권 요구시(S102) 선택한 티켓이 발권가능한지 판단하여(S104) 발권가능하지 않다면 발권불능 메시지를 표시하고(S106) 발권가능하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신용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S108).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한 주민등록번호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신용정보는 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 유효기간 등 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상 및 신용상태를 조회하기 위하여 상기 신상정보 및 신용정보를 온라인 조회수단을 통해 결제기관으로 전송한다(S110). 상기 신상 정보는 상기 신용정보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결제결과를 확인하도록 한다(S112).
상기 서버(50)는 결제기관으로부터 결제승인이 되면(S114) 가발권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로 제공하며(S118) 승인이 되지 않으면 오류 메세지를 표시한다(S116).
여기서 상기 가발권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티켓 발행결과 및 실제티켓을 발권 받는데 필요한 즉, 이벤트 주최측에서 부여한 소정의 정보 예를 들어 고유 번호, 일련번호 등을 포함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유번호를 사용자의 이메일 또는 전화로 통지해 줄 수 있으며 상기 발권정보는 해당 티켓이 갖는 고유 이미지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50)는 이벤트 정보 메뉴를 안내하고(S200)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S202) 요청된 메뉴가 발권 요구인지 판단한다(S204).
사용자의 발권요청에 반응하여, 가발권이 정상적인 접수번호나 고유번호 등의 정보를 가진 정상적인 가발권인지 확인한다(S206). 상기 확인결과 정상적인 가발권인 경우 중복 발권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가발권에 대해 기존에 실제의 티켓이 발행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8); 상기 판단결과 기존에 발행된 적이 없는 해당 티켓에 대해서, 티켓이 갖는 고유의 이미지를 발권기기로 전송하는 단계(S210); 및 가발권 데이터베이스(74)에 저장되어있는 상기 가발권에 대한 가발행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정산데이터베이스(78)에 정산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212)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삭제 단계(S212)는 서버가 티켓이 갖는 고유이미지를 발권기기로 전송하면 상기 가발권 데이터베이스(74)에서 가발행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되거나 상기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삭제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가발권 정상여부 확인단계에서 비정상 가발권인경우 및/또는 상기 기발행 여부판단결과 발행된 적이 있는 경우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고(S214) 상기 사용자의 발권에 대한 재시도를 요구한다(S216).
상기 발권요구판단 단계(S204)에서 사용자가 발권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가발권의 취소여부를 입력받아 판단하고(S218) 상기 사용자의 가발권취소 요청시 판단후 즉시 가발권을 취소하고(S224) 발권가능 데이터베이스에 가발권을 취소한 티켓정보를 등록하고(S226) 다른 발급 가능한 티켓을 조회할 것인지를 입력받아(S228) 사용자의 조회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티켓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발권가능여부를 표시한다(S230). 상기 사용자가 단계 S218에서 가발권을 취소하지 않는 경우 원래 발행되었던 즉 현재 소지하고 있는 가발권(S220)을 접수하여 가발권 데이터베이스(74)에 등록 및 저장한다(S222). 여기서 가발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벤트 주최측에서 부여한 일련번호나 고유번호 등을 말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서버(50)는 티켓 판매 업소의 정보 입력에 대하여(S300) 티켓 정보를 접수한 후 데이터형태변환, 배열형태변환 등의 가공절차를 통해(S302) 발권가능 데이터베이스(72)와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시킨다(S304). 티켓 판매 업소의 발권가능 수량에 대한 입력에 의해 가발권 티켓의 중복 문제가 처리되며 발권가능 티켓을 발권가능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한 후 광고의 목적 등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12)에 티켓의 정보를 전송한다(S306).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상에서 티켓 발매 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티켓의 위조가능성의 감소와 기존의 전용기를 설치하는데 필요했던 추가 하드웨어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을 통한 이미지 티켓의 경우 전용지, 전용의 발권기기가 불필요하므로 따라서 무한한 종류의 티켓을 취급할 수 있다.
소비자측면에서는 원하는 일시 및 원하는 좌석의 지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모든 종류의 티켓을 필요한 때 언제나 상시 발권받을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운영자 측면에서는 광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발권을 통한 발권점 및 발권사이트 접속의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발권 유치를 통한 편의점의 매출을 증대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삭제
  2.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
    티켓발매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티켓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티켓 발권이 승인된 이용자에게 가발권 정보 또는 발권정보를 제시하는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발권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장소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출력하는 발권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는 문화행사의 입장권 발매정보 또는 운송수단의 탑승권 발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지정된 장소 또는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인터넷 통신망(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을 통해 제공되는 문화행사 또는 운송수단에 대한 발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에서 지원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홍보자료, 시간표정보, 좌석 배치 또는 남은 좌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정보는
    해당 티켓이 갖는 고유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는
    상기 이벤트 정보 및 발권서비스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내정보 DB;
    상기 가발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발권 DB;
    발권된 티켓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권 DB;
    발권이 가능한 티켓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권가능 DB;
    결제조회 및 수수료 수익 분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산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는
    가발권 발행 요구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받고 해당하는 접수결과를 송신하며, 발권조회 요구 및 발권 정보를 발권기기로부터 수신받고 해당조회 결과와 해당 티켓에 대한 고유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용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결제기관으로 전송한 후 결제기관으로부터 해당조회결과를 전송받는 송수신수단;
    이용자의 발권요구시 중복발권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티켓에 대한 기존의 발행여부 및 상기 이용자가 입력하는 가발권 정보가 정상적인 가발권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상기 티켓발매 사이트 서버를 경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티켓 판매업소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링크되도록 하는 링크 수단;
    상기 송수신수단, 판단수단 및 링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시스템.
  9. (a)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티켓 판매 업소 단말기로부터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한 이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티켓 발매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c) 이용자의 티켓 발권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에 따라 해당 티켓의 발매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티켓 발권이 승인된 이용자에게 가발권 정보 또는 발권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d) 상기 (c)단계에서 제공받은 가발권 정보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발권기기를 통해 해당 장소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는 문화행사의 입장권 발매정보 또는 운송수단의 탑승권 발매정보 또는, 지정된 장소 또는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인터넷 통신망(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을 통해 제공되는 문화행사 또는 운송수단에 대한 발매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다수의 티켓 판매 업소에서 지원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홍보자료, 시간표정보, 좌석 배치 또는 남은 좌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정보는
    해당 티켓이 갖는 고유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0-0007455A 2000-02-17 2000-02-17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9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55A KR100390724B1 (ko) 2000-02-17 2000-02-17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55A KR100390724B1 (ko) 2000-02-17 2000-02-17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506A KR20000024506A (ko) 2000-05-06
KR100390724B1 true KR100390724B1 (ko) 2003-07-10

Family

ID=1964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55A KR100390724B1 (ko) 2000-02-17 2000-02-17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60B1 (ko) 2008-08-25 2012-09-04 주식회사 브레비코 가승인된 상품권 발행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740A (ko) * 2000-07-07 2002-01-16 이충전 인터넷을 이용한 복합 자동판매시스템
KR20020016066A (ko) * 2000-08-24 2002-03-04 최용택 티켓 발급시스템과 티켓 발급방법 및 티켓 발급시스템용단말장치
KR20020017020A (ko) * 2000-08-28 2002-03-07 박경용 인터넷을 이용한 티켓 예매 및 발행 방법
KR20010000512A (ko) * 2000-10-04 2001-01-05 진교영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648922B1 (ko) * 2000-12-11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티켓 에이전트 시스템 및 그 예약방법
KR20020048202A (ko) * 2000-12-16 2002-06-22 윤석순 피오에스 기기를 이용한 복권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81893A (ko) * 2001-04-20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티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4289A (ko) * 2002-03-04 2002-03-29 양창영 고유아이피가 부여된 발권기의 무선통신기기 제어를 통한티켓팅 시스템
KR20040013676A (ko) * 2002-08-08 2004-02-14 심재윤 공연시간 임박 미판매 티켓의 할인판매 거래중개 방법
KR100688623B1 (ko) * 2004-12-22 2007-03-02 이강헌 주문형 티켓을 발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824563B1 (ko) * 2006-06-29 2008-04-23 주식회사 골든오일 잔여 티켓 중계처리 시스템과 잔여 티켓 중계처리 장치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60B1 (ko) 2008-08-25 2012-09-04 주식회사 브레비코 가승인된 상품권 발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506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9914A1 (en) Electronic service system using saf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KR100390724B1 (ko)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110241A (ko) 쿠폰 관리 서버
KR20010062689A (ko)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3228642A (ja) くじシステム
KR10036068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티켓 발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MXPA04003531A (es) Un sistema y metodo de transferencia de dinero computarizado.
JP2005275459A (ja) クレジットカードチェックシステム、クレジットカードの決済の可否のチェック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82563B1 (ko) 오프라인 상점에서의 임시쿠폰과 실제쿠폰을 이용한 쿠폰발행 인증시스템 및 방법.
WO20061357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egating management of a financial transaction account to a designated assistant
KR20020006182A (ko) 다수의 신용카드 통합관리 및 이용방법
KR20010067000A (ko) 낙첨 복권에 대한 온라인 재추첨 방법
JP3428979B2 (ja) 有償情報の流通方法
KR100476236B1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신용카드의 매출전표 처리 방법
KR20010102742A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복권구매방법 및 당첨정보 확인방법
KR20050014617A (ko) 통합정산 지원 시스템
JP2002117308A (ja) 案内情報提供装置
KR2002005813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KR10047735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기반의 물건대여 방법 및 시스템
US7519545B2 (en) System for selling commodities and method thereof
KR20010077776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면세품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JP4672122B2 (ja) 貴重品集配管理システム
JP3955183B2 (ja) 電子書面保管装置、電子書面保管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6317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10110617A (ko) 인터넷상에서의 부동산 권리 분석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