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135A -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135A
KR20020058135A KR1020000085227A KR20000085227A KR20020058135A KR 20020058135 A KR20020058135 A KR 20020058135A KR 1020000085227 A KR1020000085227 A KR 1020000085227A KR 20000085227 A KR20000085227 A KR 20000085227A KR 20020058135 A KR20020058135 A KR 2002005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er
information
utility
billing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곤
Original Assignee
장태곤
주식회사 주부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곤, 주식회사 주부닷컴 filed Critical 장태곤
Priority to KR102000008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8135A/ko
Publication of KR2002005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메일(E-mail)과 SMS(sho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공과금 납부를 안내하고,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온라인 공과금 납부페이지를 납부자에게 다운로드하며, 납부자가 다운로드된 온라인 공과금 납부페이지에서 신용카드 혹은 인터넷뱅킹을 통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면, 해당 공과금 납부정보와 영수증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영수증을 발행하여 납부자에게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해당 공과금 부과기관에 공과금 납부정보를 전송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납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납부자에게 개인용 컴퓨터 혹은 휴대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자메일 혹은 SMS로 공과금 안내정보 및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공과금 부과기관은 납부 고지서를 발송하기 위한 인력 및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Method for public imposts payment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메일(E-mail)과 SMS(sho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공과금 납부를 안내하고,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온라인 공과금 납부페이지를 납부자에게 다운로드하며, 납부자가 다운로드된 온라인 공과금 납부페이지에서 신용카드 혹은 인터넷뱅킹을 통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면, 해당 공과금 납부정보와 영수증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영수증을 발행하여 납부자에게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해당 공과금 부과기관에 공과금 납부정보를 전송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납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과금 납부 방법으로는, 각종 국세, 지방세, 과태료 등의 공과금을 납부자가 해당 공과금 부과 기관(예를 들면, 국세청, 세무서, 시청, 구청, 동사무소, 경찰청, 한국 전력공사, 한국 통신공사 등)에서 발급한 납부 고지서를 지참하고, 공과금 부과기관에서 지정한 수납기관(예를 들면, 은행, 우체국 등)을 방문하여 직접 납부하는 방법과, 납부자가 텔레뱅킹의 기능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금융기관의 개인 계좌를 통해 공과금을 공과금 부과 기관으로 자동 이체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공과금 납부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공과금 부과기관에서 납부 고지서를 발급하는 경우, 납부 고지서를 발급하고, 발급된 납부 고지서를 각 납부자에게 발송하기 위한 시간적 및 인력 적인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공과금 부과기관에서 납부 고지서를 발급하는 경우, 해당 납부 고지서가 납부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공과금 부과기관에서는 공과금의 수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행정적인 손실이 발생하며, 납부자는 공과금 수납일자를 놓치게 되어 과태료를 납부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텔레뱅킹을 이용한 자동 이체방식은 최근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있는 해킹(유선상의 통화내용을 해킹하여 납부자의 통장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불법적으로 획득하는 행위)에 대하여 아무런 대응책이 없다. 따라서, 텔레뱅킹을 이용한 자동 이체방식은 납부자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메일과 SMS를 이용하여 납부자에게 공과금 납부 안내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납부 고지서를 발송하기 위한 인력 및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납부자와 서비스 제공서버간에 안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주민등록번호로 로그-인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등의 보안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내부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납부자101: 개인용 컴퓨터
102: 휴대통신 단말기200: 공과금 수납기관
300: 공과금 부과기관400: 서비스 제공서버
401: 인터페이스부402: 공과금 부과정보 수신부
403: 정보 분류부404: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
405: 공과금 부과정보 데이터베이스
406: 공과금 부과정보 검출부407: 전자메일주소 검출부
408: 전화번호 검출부409: 전자메일 전송부
410: SMS 전송부411: 채널 생성부
412: 로그-인 페이지 전송부413: 공과금 부과정보 전송부
414: 공과금 납부페이지 전송부415: 공과금 납부 요청부
416: 승인 요청부417: 공과금 납부정보 데이터베이스
418: 영수증 생성 및 전송부419: 영수증 데이터베이스
420: 중앙처리장치421: 메모리
500: 인터넷망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공과금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갖는 납부자와, 납부자에 대한 납부자정보와 납부자에게 부과할 공과금 부과정보를 생성하는 공과금 부과기관과, 납부자가 납부하는 공과금을 수납하는 공과금 수납기관 및 공과금 부과기관에서 생성된 공과금 부과정보 및 납부자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공과금 납부 및 처리를 대행하는 서비스 제공서버가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시스템에 적용되며; 공과금 부과기관으로부터 다운로드된 공과금 부과정보와 납부자정보를 이용하여 납부자의 단말장치에 공과금 안내정보를 발송하고; 납부자가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SSL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납부자가 로그-인하면, 납부자에게 공과금 부가정보를 전송하고; 납부자가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한 각종 항목을 입력하면, 입력된 항목을 공과금 수납기관에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며; 입력된 항목이 승인되면, 공과금 납부영수증을 발행하여 납부자의 단말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공과금 납부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생성된 공과금 납부정보를 공과금 부과기관에 전송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공과금 안내정보는, 전자메일로 전송 가능한 공과금 안내정보와, SMS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정보로 전송 가능한 공과금 안내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단말장치는 전자메일형태의 공과금 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와,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납부자정보는, 전자메일주소와, 휴대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과금 부과정보는, 공과금의 부과금액 및 발송 예정일자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는 공과금 부과기관으로부터 다운로드된 공과금 부과정보 중 발송 예정일자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발송 예정일자가 도래하면, 납부자정보와 공과금 부과정보를 검출하여 납부자의 단말장치에 공과금 안내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 단계는, 납부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그-인한 후, 납부자가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납부자에 의해 선택된 공과금 납부방식에 대응하는 입력 항목을 입력하도록 납부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공과금 납부방식은,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뱅킹 납부방식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납부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내부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와 공과금 수납기관(200) 및 공과금 부과기관(300)과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인터넷망(500)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납부자(100)는 전자메일을 가지고 있거나 적어도 휴대통신 단말기(102)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며, 개인용 컴퓨터(101)의 전자메일주소 혹은 휴대통신단말기(102)의 전화번호는 공과금 부과기관(300) 혹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즉,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공과금 부과기관(300)에서 제공하는 공과금 부과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납부자(100)에게 전자메일을 이용한 공과금 안내메일 및 SMS를 이용한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발송하고, 납부자(100)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면, 온라인 공과금 납부페이지를 납부자(100)에게 다운로드하며, 이에 납부자(100)가 신용카드 혹은 인터넷뱅킹 등을 이용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면,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공과금 납부에 대한 영수증을 납부자(100)에게 온라인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공과금 납부정보와 발행된 영수증정보를 저장하며, 공과금 납부정보를 해당 공과금 부과기관(300)에 전송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401)는 서비스 제공서버(400)와 인터넷망(500) 사이에 교환되는 각종 정보를 인터페이스한다.
공과금 부과정보 수신부(402)는 등록된 공과금 부과기관(300)으로부터 각 납부자(100)에 대한 공과금 부과정보를 인터넷망(500) 및 인터페이스부(401)를 통해 수신하여 정보 분류부(403)로 전송한다.
정보 분류부(403)는 인터페이스부(401)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해당하는 정보 항목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분류하여 저장한다.
공과금 부과정보 검출부(406)는 공과금 부과정보 데이터베이스(405)에 저장된 공과금 부과정보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420)에 전송한다.
전자메일주소 검출부(407)는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4)에 저장된 납부자(100)의 납부자정보 중 전자메일주소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420)로 전송한다.
전화번호 검출부(408)는 납부자(100)가 전자메일주소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4)로부터 납부자(100)의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420)에 전송한다.
전자메일 전송부(409)는 전자메일주소 검출부(407)에 의해 검출된납부자(100)의 전자메일주소로 공과금 안내메일을 전송한다.
SMS 전송부(410)는 전화번호 검출부(408)로부터 검출된 납부자(100)의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채널 생성부(411)는 납부자(100)가 개인용 컴퓨터(101)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면, SSL(secure sockets layer)을 사용하여 안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중앙처리장치(420)에 이를 통지한다.
로그-인 페이지 전송부(412)는 납부자(100)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였을 때 납부자(100)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주민등록번호)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납부자(100)인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납부자(100)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로그-인 페이지를 생성하여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전송한다.
공과금 부과정보 전송부(413)는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된 납부자(100)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납부자(100)의 신원이 파악되면, 해당 납부자(100)에 대한 공과금 부과정보를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전송하여 납부자(100)가 자신의 공과금 부과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공과금 납부페이지 전송부(414)는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한 납부자(100)가 해당 공과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공과금 납부에 관련된 각종 페이지를 생성하여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전송한다.
공과금 납부 요청부(415)는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전송된 공과금 납부페이지의 각 항목을 입력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도록 요청한다. 즉, 공과금 납부 요청부(415)는 공과금을 납부할 방식(신용카드, 인터넷뱅킹 등)을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납부자(100)가 선택한 방식에 따른 각종 항목을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승인 요청부(416)는 납부자(100)가 입력한 각종 항목을 공과금 수납기관(200)에 전송하여 해당 납부자(100)가 입력한 항목에 대한 납부방식의 승인을 승인하도록 요청한다.
영수증 생성 및 전송부(418)는 납부자(100)가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여 공과금을 납부한 영수증을 생성하여 영수증 데이터베이스(419)에 저장함과 동시에 납부자(100)에게 해당 영수증을 온라인으로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420)는 서비스 제공서버(400)내의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420)는 인터넷망(500)과 인터페이스부(401)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분류하도록 제어하고, 분류된 각 정보를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공과금 부과기관(300)으로부터의 납부자정보를 이용하여 각 납부자(100)에게 공과금 안내메일 혹은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전송하고, 납부자(100)가 납부한 공과금의 납부 영수증을 발송함과 동시에 발송된 영수증과 공과금 납부정보를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공과금 납부 처리결과를 공과금 부과기관(300)에 통지한다.
메모리(421)는 중앙처리장치(420)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420)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임시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4)는 공과금 부과기관(300)으로부터 전송된 납부자(100)의 개인정보(성명, 주소, 전자메일주소,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 등)를 저장한다.
공과금 부과정보 데이터베이스(405)는 각각의 납부자(100)에게 부과되는 공과금의 부과정보(공과금의 부과금액, 납부일자 등)를 저장한다.
공과금 납부정보 데이터베이스(417)는 납부자(100)가 해당 공과금을 납부함에 따라 공과금 납부정보(납부일자, 납부금액, 공과금 납부방식, 처리번호 등)를 저장한다.
영수증 데이터베이스(419)는 납부자(100)가 공과금을 납부함에 따라 생성된 영수증을 보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서버(400)내의 중앙처리장치(420)는 인터페이스부(401)와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기 설정된 기간을 주기로 공과금 부과기관(300)에 접속하고(S101), 공과금 부과정보 수신부(402)를 통하여 공과금 부과기관(300)으로부터 공과금 부과정보와 납부자정보를 다운로드한 후(S102), 정보 분류부(403)를 통하여 각각의 정보항목으로 분류하여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4)와 공과금 부과정보 데이터베이스(405)에 각각 저장한다(S103). 이때, 납부자정보에는 납부자(100)의 주민등록번호, 전자메일주소 혹은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며, 공과금 부과정보에는 공과금의 부과금액, 납부 기한일자, 발송 예정일자, 지정된 공과금 수납기관(200)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420)는 공과금 부과정보 검출부(406)를 통하여 공과금 부과정보에 포함된 발송 예정일자를 검출하고(S104), 검출된 발송 예정일자가 도래하면(S105), 전자메일주소 검출부(407) 및 전화번호 검출부(408)를 통하여 납부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4)로부터 납부자정보에 포함된 전자메일주소 혹은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며(S106), 전자메일 전송부(409)를 통하여 검출된 전자메일주소로 공과금 안내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SMS 전송부(410)를 통하여 휴대통신 단말기(102)의 전화번호로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S107).
이후, 납부자(100)가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면(S108), 중앙처리장치(420)는 채널 생성부(411)를 통하여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한 안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S109), 로그-인 페이지 전송부(412)를 통하여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로그-인 표시정보를 다운로드한다(S110). 이에, 납부자(100)는 개인용 컴퓨터(101)에 표시된 로그-인 표시창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S111), 중앙처리장치(420)는 공과금 부과정보 검출부(406)를 통하여 공과금 부과정보 데이터베이스(405)로부터 공과금 부과정보를 검출하고, 공과금 부과정보 전송부(413)를 통하여 검출된 공과금 부과정보를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다운로드하며(S112), 공과금 납부페이지 전송부(414)를 통하여 공과금 납부에 필요한 각종 항목이 포함된 공과금 납부페이지를 납부자(100)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다운로드한 후, 공과금 납부 요청부(415)를 통하여 해당 공과금을 납부하도록 요청한다(S113).
여기서, SSL(secure sockets layer)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SSL은 네트워크 내에서 메시지 전송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넷스케이프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계층을 말한다. 넷스케이프의 생각은, 비밀이 보장되어야 하는 메시지를 맡은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 또는 HTTP와 같은 응용프로그램과, 인터넷의 TCP/IP 계층 사이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소켓"이라는 용어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프로그램 사이, 또는 같은 컴퓨터의 프로그램 계층끼리 주고받는 소켓방식을 줄여서 말한 것이다. 넷스케이프의 SSL은 디지털 증명의 사용에도 포함되는 RSA(Rivest-Shamir-Adleman)의 공개/개인키 암호화시스템을 사용한다.
SSL은 넷스케이프 브라우저의 없어서는 안될 핵심 부분이다. 만약, 어떤 웹사이트에 넷스케이프 서버가 설치되어 있으면, SSL을 사용하여 특정한 웹 페이지가 SSL 엑세스를 필요로 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서버들에서는 넷스케이프의 SSLRef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된다. 넷스케이프는 SSL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 표준 프로토콜로서 제안했으며,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는 웹브라우저와 서버를 위한 표준 보안 접근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납부자(100)가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101)에 표시된 공과금 부과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공과금 납부페이지의 공과금 납부기능을 선택하면(S114), 중앙처리장치(420)는 공과금 납부페이지 전송부(414)를 통하여 납부자(100)가 공과금을 납부할 방식(신용카드 혹은 인터넷뱅킹 등)을 선택하도록 해당 표시창을 다운로드하여 표시하고(S115), 납부자(100)가 납부방식을 선택함에 따라(S116), 공과금 납부페이지 전송부(414)를 통하여 납부자(100)에 의해 선택된 해당 납부방식에 따른 입력항목(예를 들면, 신용카드번호, 비밀번호, 인터넷뱅킹 암호, 계좌번호, 금액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다운로드하여 표시한다(S117).
이후, 납부자(100)가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한 각종 항목을 입력하면(S118), 중앙처리장치(420)는 승인 요청부(416)를 통하여 납부자(100)가 입력한 각종 항목을 이용하여 공과금 수납기관(200)에 승인을 요청한다(S119). 즉, 납부자(100)가 신용카드로 공과금을 납부하고자 하면, 중앙처리장치(420)는 인터페이스부(401) 및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공과금 수납기관(200)에 접속한 후, 승인 요청부(416)를 통하여 납부자(100)가 입력한 신용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및 납부자(100)의 인적사항을 전송하여 신용카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
또한, 납부자(100)가 인터넷뱅킹으로 공과금을 납부하고자 하면, 중앙처리장치(420)는 인터페이스부(401) 및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공과금 수납기관(200)에 접속한 후, 승인 요청부(416)를 통하여 납부자(100)가 입력한 은행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인터넷뱅킹의 승인을 요청한다.
이후, 공과금 수납기관(200)이 해당 공과금을 수납하였음을 승인하면(S120), 중앙처리장치(420)는 정보 분류부(403)를 통하여 공과금 납부정보(공과금 납부일자, 시간, 금액, 납부방식, 승인번호 등)를 공과금 납부정보 데이터베이스(417)에 저장한다(S121).
만약, 공과금 수납기관(200)이 해당 공과금의 수납을 승인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420)는 해당 납부자(100)에게 공과금의 납부가 처리되지 않았음을 통지한다(S122).
이후, 중앙처리장치(420)는 영수증 생성 및 전송부(418)를 통하여 해당 공과금 납부정보가 표시된 영수증을 생성하고(S123), 생성된 영수증을 납부자(100)에게 전송함과 동시에 영수증 데이터베이스(419)에 저장한다(S124). 이때, 영수증은 납부자(100)가 전자메일주소를 갖고 있는 경우 전자메일로 전송하고, 납부자(100)가 전자메일주소가 없는 경우, SMS 전송부(410)를 통하여 해당 납부자(100)의 휴대통신 단말기(102)로 영수증이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납부자(100)는 임의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에 접속하고, 납부자(100)의 주민등록번호로 로그-인함으로써, 영수증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프린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420)는 공과금의 납부정보를 공과금 부가기관(300)에 전송하여 해당 공과금의 납부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S125).
따라서, 납부자(100)에게 개인용 컴퓨터(101) 혹은 휴대통신 단말기(102)를 통해 전자메일 혹은 SMS로 공과금 안내정보 및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공과금 부과기관(300)은 납부 고지서를 발송하기 위한 인력 및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납부자(100)와 서비스 제공서버(400)간에 안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주민등록번호로 로그-인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등의 보안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납부자에게 개인용 컴퓨터 혹은 휴대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자메일 혹은 SMS로 공과금 안내정보 및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공과금 부과기관은 납부 고지서를 발송하기 위한 인력 및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납부자와 서비스 제공서버간에 안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 후, 주민등록번호로 로그-인하여, 공과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등의 보안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8)

  1. 공과금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갖는 납부자와, 상기 납부자에 대한 납부자정보와 상기 납부자에게 부과할 공과금 부과정보를 생성하는 공과금 부과기관과, 납부자가 납부하는 공과금을 수납하는 공과금 수납기관 및 상기 공과금 부과기관에서 생성된 상기 공과금 부과정보 및 상기 납부자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공과금 납부 및 처리를 대행하는 서비스 제공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공과금 부과기관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공과금 부과정보와 상기 납부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납부자의 단말장치에 상기 공과금 안내정보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납부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SSL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납부자가 로그-인하면, 상기 납부자에게 상기 공과금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납부자가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한 각종 항목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항목을 상기 공과금 수납기관에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항목이 승인되면, 공과금 납부영수증을 발행하여 상기 납부자의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공과금 납부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공과금 납부정보를 상기 공과금 부과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과금 안내정보는, 전자메일로 전송 가능한 공과금 안내정보와, SMS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정보로 전송 가능한 공과금 안내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전자메일형태의 공과금 안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공과금 안내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납부자정보는,
    전자메일주소와, 상기 휴대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과금 부과정보는,
    상기 공과금의 부과금액 및 발송 예정일자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공과금 부과기관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공과금 부과정보 중 상기 발송 예정일자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발송 예정일자가 도래하면, 상기 납부자정보와 상기 공과금 부과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납부자의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공과금 안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단계는,
    상기 납부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납부자가 상기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납부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공과금 납부방식에 대응하는 입력 항목을 입력하도록 상기 납부자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납부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과금 납부방식은,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뱅킹 납부방식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납부방식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KR1020000085227A 2000-12-29 2000-12-29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KR20020058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27A KR20020058135A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27A KR20020058135A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35A true KR20020058135A (ko) 2002-07-12

Family

ID=2768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227A KR20020058135A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81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267A (ko) * 2002-10-19 2004-04-29 엘지카드 주식회사 세금 납부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44061A (ko) * 2002-11-20 2004-05-27 손을택 공공요금 등 월납금 납입시스템 및 방법
KR100462656B1 (ko) * 2002-08-30 2004-12-17 주식회사 에스엠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고지서의 전산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0189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내일랩 가상 통장 기반의 통장 내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528A (en) * 1995-10-31 1997-12-1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ill delivery and payment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19990068699A (ko) * 1999-06-09 1999-09-06 윤해근 이-메일을통한금융기관이용일자사전통지방식
US6052671A (en) * 1997-12-03 2000-04-18 Avista Advantage, Inc. Computerized bill consolidation, billing and payment authorization with remote access to the billing information
KR20000024105A (ko) * 2000-01-21 2000-05-06 김갑수 인터넷공과금시스템
KR20000036837A (ko) * 2000-03-30 2000-07-05 신복영 인터넷 지로 서비스 방식
KR100267697B1 (ko) * 1997-12-11 2000-10-16 김덕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고지서 결재장치
KR20000063543A (ko) * 2000-01-07 2000-11-06 정용상 전자 빌링 시스템
KR20020027769A (ko) * 2000-10-05 2002-04-15 라응찬 가상결제계좌를 이용한 인터넷 청구 및 결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528A (en) * 1995-10-31 1997-12-1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ill delivery and payment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6052671A (en) * 1997-12-03 2000-04-18 Avista Advantage, Inc. Computerized bill consolidation, billing and payment authorization with remote access to the billing information
KR100267697B1 (ko) * 1997-12-11 2000-10-16 김덕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고지서 결재장치
KR19990068699A (ko) * 1999-06-09 1999-09-06 윤해근 이-메일을통한금융기관이용일자사전통지방식
KR20000063543A (ko) * 2000-01-07 2000-11-06 정용상 전자 빌링 시스템
KR20000024105A (ko) * 2000-01-21 2000-05-06 김갑수 인터넷공과금시스템
KR20000036837A (ko) * 2000-03-30 2000-07-05 신복영 인터넷 지로 서비스 방식
KR20020027769A (ko) * 2000-10-05 2002-04-15 라응찬 가상결제계좌를 이용한 인터넷 청구 및 결제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656B1 (ko) * 2002-08-30 2004-12-17 주식회사 에스엠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고지서의 전산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5267A (ko) * 2002-10-19 2004-04-29 엘지카드 주식회사 세금 납부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44061A (ko) * 2002-11-20 2004-05-27 손을택 공공요금 등 월납금 납입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0189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내일랩 가상 통장 기반의 통장 내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598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information
CN100362508C (zh) 验证和支付系统的操作方法及控制信息提供装置
US20020107745A1 (en) Payment system by means of a mobile device
CN111343233A (zh) 一种基于存储的数字货币支付的方法、装置与移动终端
US200401285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bearing instruments
CN1399753A (zh) 用于对通过计算机网络的购买进行授权的方法和系统
CN101124593A (zh) 用于提供银行服务的电子系统
KR101751640B1 (ko) 결제카드의 결제시스템 및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방법과 부가정보서비스의 제공방법
US20090157549A1 (en) Using a mobile phone as a remote pin entry terminal for cnp credit card transactions
CN1476578B (zh) 用于经金融数据网络接入点购买商品和服务的系统和方法
GB2390211A (en) Ticket and authentication data stored on portable handset
RU2263347C2 (ru) Способ совершения платежных операций пользователям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электронной связи и компьютерная система безналичного расчет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7505960A (ja) 送金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25416B1 (ko) 무선단말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결제방법
US200402208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s over a financial transaction platform
US20200349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unds from an account to an individual
KR20090036165A (ko) 온라인 계좌와 연계된 메일뱅킹을 통한 자금이체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697629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2005813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과금 납부방법
WO2001031536A2 (en) A direct stock purchas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O2019025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JP2001325439A (ja) サービス契約方法
KR20040085552A (ko) 결제창을 이용해 광고를 실행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KR20020063349A (ko) 민원서류발급대행 서비스방법
US20040143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alue bear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