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140A -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140A
KR20010068140A KR1020010023046A KR20010023046A KR20010068140A KR 20010068140 A KR20010068140 A KR 20010068140A KR 1020010023046 A KR1020010023046 A KR 1020010023046A KR 20010023046 A KR20010023046 A KR 20010023046A KR 20010068140 A KR20010068140 A KR 2001006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ubscriber
time
called subscribe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671B1 (ko
Inventor
지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철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2001002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6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71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착신자의 수신 불능 상태를 감지하여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적어도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함-, 착신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 후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 시각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여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시점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 경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시간 또는 서비스 시작 시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CEIVING STAT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수신 가능 유무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 착신자의 수신 불능 상태를 감지하여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수신 가능 유무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 중에서 개인 통신 서비스(PCS)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로 휴대가 간편한 초소형, 초경량 단말기를 사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어디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더 나아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문자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받고 있다.
일반적인 공중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과 같은 통신망에 속한 가입자(이하, 발신 가입자라 칭함)가 이동 통신망에 속한 특정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이하, 착신 가입자라 칭함)에 대해 호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 해당 착신호가 불완료 호로 처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착신 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착신 가입자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는 경우, 착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또는 착신 단말기가 호 진행 상태(Busy/Idle) 상태인 경우에 발신 가입자의 호에 대한 착신 가입자의 착신호가 불완료 호로 처리된다.
상기한 경우에 의해 해당 착신호가 불완료 호로 처리되면, 안내 방송 또는 소정 톤(tone)을 이용하여 착신 실패 정보를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한다.
예를 들어, 발신 가입자가 착신을 시도한 착신 가입자가 현재 등록되어 있는 위치에 존재하지 않아 착신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으면, 발신 가입자에게 '위치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발신 가입자에 의해 발생된 호에 대하여 착신 가입자가 응답을 하지 않거나 또는 착신 가입자가 통화 상태인 경우에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달한다.
이때,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전환 서비스나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발신 가입자는 미리 설정된 제3자에게 착신 전환되거나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를 남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되는 시점에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발신 가입자가 상기의 부가 서비스에 의해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파악하더라도, 원하는 일정 시간 내에 착신 가입자와의 통화를 해야 하는데, 상기 착신 가입자가 일정 시간 이후에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한 상태가 통보되면 상기의 서비스는 발신 가입자에게 무효한 서비스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통보를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기간 동안 수행하기 위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부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이 설정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8은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이 설정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가입자 110 : 제2 가입자
120 : 이동 교환 시스템 130 : 홈 위치 등록기
140 : 기기국 제어기 150 : 기지국
160 : SMS 시스템 170 : 음성 메시지 시스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적어도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함-, 착신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 후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 시각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여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시점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 경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시간 또는 서비스 시작 시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를 더 포함하되, 발신 가입자 정보는 유선 전화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의 판단은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시점이 서비스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에 따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의 판단은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시점이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한 시점인지를 판단함에 따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의 판단은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시점이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하고,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에 따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는 제1 가입자(100), 제2 가입자(110), 이동 교환 시스템(120), 홈 위치 등록기(130), 기기국 제어기(140), 기지국(150), SMS(Short Message Service) 시스템(160) 및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포함한다.
제1 가입자(10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발생하는 발신 가입자이고, 제2 가입자(110)는 제1 가입자(100)에 의해 발생된 호를 착신하는 착신 가입자이다.
여기서, 제1 가입자(10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이거나 또는 공중 전화망에 접속되는 유선 전화 단말기 사용자이다. 이때, 제1 가입자(1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제2 가입자(110)의 이동 교환 시스템(120)에 접속된다.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기지국 제어기(140), 홈 위치 등록기(130), SMS 시스템(160) 및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에 접속되어 제1 가입자(100)의 호 발생에 따라 제2 가입자(110)와의 음성 및 비음성의 통화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가입자(100)에 의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선택에 따라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수신 가능 상태를 제1 가입자(110)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130)는 제1 정보 저장부(132) 및 제2 정보 저장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정보 저장부(132)는 제1 가입자(10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신청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정보 저장부(134)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기지국 제어기(140)은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기지국(150)과 이동 교환 시스템(120) 사이에 구성되어, 기지국(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지국(150)은 기지국 제어기(140)에 의해 제어되어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무선 접속, 동기 유지, 통화 채널 할당 및 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입자(100)가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호를 발생하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홈 위치 등록기(130)에 의해 파악된 제2 가입자(110)의 위치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140)를 통해 해당 기지국(150)으로 호 접속 신호를 출력한다.
기지국(150)은 호 접속 신호에 따라 제2 가입자 단말기(112)로 호 신호를 전송하고, 제2 가입자 단말기(112)를 통해 수신된 호 신호에 제2 가입자(110)가 응답을 수행함에 따라 제1 가입자(100)와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1 가입자(100)에 의해 발생된 호에 대하여 제2 가입자(110)가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가입자(100)에게 제2 가입자(110)의 통화 불능 상태를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통보한다.
여기서, 통화 불능 상태는 제2 가입자(110)가 발생된 호에 대하여 고의로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다른 가입자와 통화 중일 경우,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통화 불능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제1 가입자(100)가 제2 가입자(110)의 불능 상태를 통보 받은 후 수신 가능 유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 가입자(100)는 적어도 수신 가능 상태를 알고자 하는 착신 가입자 즉,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동 교환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제1 가입자(1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에 접속된 단말기에 구성되어 있는 특수키 및 숫자키 입력에 따라 이동 교환 시스템(120)으로 수신 가능 유무 서비스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입자(100)가 특수문자 '*', 수신 알림 서비스 신청번호 '90',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을 차례로 입력한 후통화(Send)키를 입력한다.
여기서, 서비스 시간은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메시지를 제1 가입자(100)가 통보받기 위한 서비스 유지 시간이다.
이때, 서비스 시간은 분, 시간 또는 일별 형태로 다양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10분, 1시간 또는 하루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입자(110)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후 해당 서비스가 일정 시점부터 수행되도록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가입자(100)가 회의 또는 모임 참가 등에 의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신청한 서비스에 대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제1 가입자(100)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신청시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입자(100)는 14시라는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한다.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상기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가입자(100)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1 정보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정보 저장부(132)는 제1 가입자(100)에 대한 제2 가입자 단말기(112)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또는 서비스 시작 시각) 형태로 제1 가입자(100) 정보가 저장된다.
제1 가입자(100)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구시 서비스 기간을 설정한 경우,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일정 주기로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2 저장부(134)에 저장되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상태를 반복적으로 체크한다.
여기서, 제2 가입자 단말기(112)가 수신 가능 상태인 경우,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저장부(132)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시간 내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시간 내이면,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제1 가입자(100)에게 통보한다.
제1 가입자(100)는 이동 교환 시스템(120)으로부터 통보된 수신 가능 상태 정보에 의해 제2 가입자(110)가 수신 가능 상태임을 확인하여, 제2 가입자(110)에게 통화를 위한 호를 발생한다.
이때,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가입자(100)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간 내에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통보가 수행되면, 제1 가입자(100)에 의해 설정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해제한다.
또한,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가입자(100)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기간이 경과하면, 제1 가입자(10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해제한다.
또한, 제1 가입자(100)는 설정된 서비스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해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입자(100)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해지를 위하여 특수 문자 '*' 및 서비스 해지 번호 '910'를 입력함에 따른 서비스 해지 신호를 이동 교환 시스템(120)에 전송한다.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제1 가입자(100)로부터 서비스 해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해지 신호에 따라 설정된 제1 가입자(10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해지한다.
한편, 제1 가입자(100)가 수신 가능 상태 서비스 요구시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한 경우,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시간을 카운팅함에 따라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인지를 판단한다.
이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2 정보 저장부(134)에 저장되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상태 정보에 의해 제2 가입자(110)가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제2 가입자(110)가 수신 가능한 상태이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1 가입자(100)에게 통보한다.
또한, 제1 가입자(100)가 수신 가능 상태 서비스 요구시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을 함께 설정한 경우,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서비스 시각인지를 판단한다.
이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제2 가입자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의해 수신 가능 상태를 파악하고, 수신 가능 상태로 파악된 시점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 내인지를 판단하여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제1 가입자(100)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에 의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접속된 제1 가입자(100)로부터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200).
여기서,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제1 가입자(100)의 무선 전화번호 또는 유선 전화번호, 제2 가입자 단말기(112)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가입자(100)는 발신 가입자이고, 제2 가입자(110)는 착신 가입자이다.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수신된 연락처 정보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1 저장부(132)에 저장한다(S202).
이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2 저장부(134)에 저장되는 있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상태에 의해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다(S202). 이때,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서비스 수행 시간을 카운팅한다.
위의 단계(S202)에서 제2 가입자(110)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S206),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카운팅된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서비스 설정 정보 중 서비스 시간 내인지를 판단한다.
카운팅된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 내인 경우(S208),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1 가입자(100)에게 전송한다(S210).
도 3은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이 설정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이동 교환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접속된 제1 가입자(100)로부터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300).
여기서, 제1 가입자(100)는 발신 가입자이고, 연락처 정보는 제1 가입자(100)의 무선 전화번호 또는 유선 전화번호를 포함이다. 또한,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 전화번호,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고, 제2 가입자(110)는 착신 가입자이다.
이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수신된 제1 가입자(100)의 연락처 정보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1 저장부(132)에 저장한다(S302).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시간을 카운팅하여 현재 시각이 제1 가입자(132)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한다(S304).
위의 단계(S304)에서 서비스시작 시간에 도달한 경우(S306),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홈 위치 등록기(130)의 제2 정보 저장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제2 가입자 단말기(112)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다(S308). 이때,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시간을 카운팅한다.
제2 가입자 단말기(112)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이동 교환 시스템은 카운팅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서비스 설정 정보의 서비스 기간 내인지를 판단한다(S312).
여기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서비스 시간 내이면, 이동 교환 시스템(120)은 SMS 시스템(1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170)을 통해 제2 가입자(110)의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1 가입자(100)에게 전송한다(S314).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 데이터베이스(420),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 이동 전화 시스템(440), IP 게이트웨이(450), SMS 시스템(460) 및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을 포함한다.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는 이동 통신 단말기(402) 또는 PC 단말기(404)를 포함하고, 인터넷을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에 접속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인터넷 접속된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 또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420)는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 및 착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4)를 포함한다.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발신자 이름 필드, ID 필드, 연락처 필드, 착신 가입자 ID 필드, 서비스 기간 필드, 알림 메시지 형태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는 서비스 시작 시각 필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착신자 ID 필드,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 및 수신 가능 상태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SMS 시스템(4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에 의해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동 전화 시스템(440)은 이동 교환 시스템(442), 홈 위치 등록기(444), 기지국 제어기(446) 및 기지국(448)을 포함한다. 이동 전화 시스템(440)은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를 IP 게이트웨이(450)를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에 인터넷 접속된다.
이동 전화 시스템(440)의 이동 교환 시스템(442), 홈 위치 등록기(444), 기지국 제어기(446) 및 기지국(448)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발신 가입자는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를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에 접속하고,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에 따라 도 6과 같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구성하여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도 6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은 발신자 ID 입력창(600), 연락처 입력창(602), 착신자 ID 입력창(604), 착신자 단말기 전화번호 입력창(606), 서비스 시간 입력창(608), 알림 메시지 형태 선택창(610) 및 확인 아이콘(6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은 서비스 시작 시각 입력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락처 입력창(602)에 발신 가입자의 전자 우편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발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통해 ID,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에 따른 연락처를 입력하고, 착신자 ID 및 착신자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발신 가입자는 서비스 시간을 입력하고, 단문 메시지, 음성 메시지 또는 전자 우편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알림 메시지 형태를 선택한 후 확인 아이콘(612)을 클릭함에 따른 서비스 설정 정보를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로 전송한다.
이때, 발신 가입자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통해 요청한 서비스의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도 6과 같은 화면을 통한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Hong' 이라는 ID를 갖는 홍길동' 이라는 발신 가입자가 '016-001-0123'의 연락처를 입력하고,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상대방 즉, 착신 가입자의 ID 'kim01', '1 시간'의 서비스 시간 및 'SMS'의 알림 메시지 형태를 입력하면, 도 5a와 같은 형태로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된다.
이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요청을 인터넷 접속된 IP 게이트웨이(450)를 통해 이동 교환 시스템(442)으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일정 주기를 갖고 이동 교환 시스템(442)으로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를 요청한다.
이동 교환 시스템(442)은 홈 위치 등록기(444)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상태에 의한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IP 게이트웨이(450)를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홈 위치 등록기(444)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위치 및 상태를 저장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IP 게이트웨이(450)를 통해 수신된 수신 가능 상태 정보에 의해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판단 수행시간을 카운팅하고, 인터넷을 통해 IP 게이트웨이(450)로부터 수신된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착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4)에 저장한다.
즉, 발신 가입자에 의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상대인 'kim01'의 ID를갖는 착신 가입자의 이동 전화번호에 대해 도 5b와 같이 수신 가능 상태 여부가 저장된다.
수신 가능 상태 정보에 의해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를 검색하여 카운팅된 수신 가능 상태 수행시간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 내인지를 판단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카운팅된 수신 가능 상태 수행 시간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 이내이면, SMS 시스템(460) 및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을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기가 수신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발신 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 상태임을 확인하여 통화를 위한 호를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로 발생한다.
한편, 발신 가입자가 서비스 시간에 부가하여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한 경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현재 시각이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각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한 경우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를 요청한다.
이동 교환 시스템(442)은 홈 위치 등록기(444)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상태에 의한 수신 가능 상태 정보를 IP 게이트웨이(450)를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로 전송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IP 게이트웨이(450)로부터 수신된 수신 가능 상태 정보에 의해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서비스 시작 시각부터 서비스 수행 시간을 카운팅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상태이면,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22)를 검색하여 카운팅된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내인지를 판단한다.
카운팅된 서비스 수행 시간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 내이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SMS 시스템(460) 및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을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기가 수신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의 해지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인터넷 접속된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를 통해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S700), 도 6과 같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구성하여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702).
이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통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다(S704). 여기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발신 가입자의 ID, 연락처, 착신 가입자 ID, 착신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 및 알림 메시지 형태를 포함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수신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다(S706).
위의 단계(S706)에서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S708),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시점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한다(S710).
즉,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 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상태가 1시간 이내에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시점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내 인경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SMS 시스템(4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을 통해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전송한다(S712).
한편, 발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시작 시각을 설정한 경우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수행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이 설정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인터넷 접속된 발신 가입자로부터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를 통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S800), 도 6의 화면 구성에 서비스 시작 시각 입력창(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구성하여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에게 전송한다(S802).
이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화면을 통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를 통해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한다(S804). 여기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발신 가입자의 ID, 연락처, 착신 가입자 ID, 착신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 서비스 시간,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알림 메시지 형태를 포함한다.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인지를 판단하고(S806), 서비스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수신된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한다(S808).
위의 단계(S808)에서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시점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한다(S810).
즉,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 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상태가 1시간 이내에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감지 시점이 설정된 서비스 시간내 인경우(S812),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410)는 SMS 시스템(460) 또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470)을 통해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착신 가입자 단말기(430)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814).
본 발명에 따른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발신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 및 서비스 시간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원하는 시점 및 시간 동안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하여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정된 서비스 시간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와의 통화가 필요한 시간을 파악하여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서비스 시작 시각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알림 메시지를 통보 받을 수 있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알림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가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적어도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함-;
    상기 착신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 경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시간 또는 서비스 시작 시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한 시각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하고, 상기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신 가입자 정보는 유선 전화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7.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적어도 서비스 설정 정보를 포함함-;
    상기 착신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 경우 착신 가입자의 수신 가능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되,
    상기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은 발신 가입자 정보, 착신 가입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시간 또는 서비스 시작 시각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한 시각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상응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수신 가능 상태로 감지된 감지 시각이 상기 서비스 시작 시각을 초과하고, 상기 서비스 시간내 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장치.
KR20010023046A 2001-04-27 2001-04-27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42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3046A KR100420671B1 (ko) 2001-04-27 2001-04-27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3046A KR100420671B1 (ko) 2001-04-27 2001-04-27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40A true KR20010068140A (ko) 2001-07-13
KR100420671B1 KR100420671B1 (ko) 2004-03-02

Family

ID=1970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23046A KR100420671B1 (ko) 2001-04-27 2001-04-27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6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034B1 (ko) * 2002-08-06 2005-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호 완료 서비스 방법
KR100684941B1 (ko) * 2004-04-28 2007-02-22 (주) 콘텔라 구내 무선 통신망에서의 프리젠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838B1 (ko) * 2006-01-02 2008-01-14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9695B1 (ko) * 2006-12-04 2008-04-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735B1 (ko) * 2006-04-26 2008-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36887B1 (ko) * 2007-08-27 2010-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68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알림 방법
KR20040050109A (ko) * 2002-12-09 2004-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 호 연결 가능 알림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034B1 (ko) * 2002-08-06 2005-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호 완료 서비스 방법
KR100684941B1 (ko) * 2004-04-28 2007-02-22 (주) 콘텔라 구내 무선 통신망에서의 프리젠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838B1 (ko) * 2006-01-02 2008-01-14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4735B1 (ko) * 2006-04-26 2008-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19695B1 (ko) * 2006-12-04 2008-04-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936887B1 (ko) * 2007-08-27 2010-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671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74908A (ja) 通信システム
US200402485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ce-based call routing using computers
KR100420671B1 (ko)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7184672A (ja) 通信制御装置
KR100738204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571953B1 (ko)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음성 메일 지원방법
KR102143771B1 (ko)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JP7347239B2 (ja) 主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電話端末へのマルチライン着信通知方法
KR101082343B1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002545B2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音声通信方法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100313853B1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JP2004289676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留守録メッセージの処理方法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JP7384052B2 (ja) 主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電話端末からのプリセレクション操作受付方法
KR20030082722A (ko)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JP2004363711A (ja) Ip電話接続装置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JP2007281866A (ja) 電話システム
JP2004357152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呼救済方法および電話交換機
JP3862157B2 (ja) 文字送受信システム
KR20030043537A (ko) 공중전화망(pstn망)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전화장치 및 그 방법
JP2015139152A (ja) 相手応答前プレゼンス通知機能を有する呼制御装置
JP2000201375A (ja) 個人情報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1223281B1 (ko) 자동 메시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