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513A -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513A
KR20010067513A KR1020010005504A KR20010005504A KR20010067513A KR 20010067513 A KR20010067513 A KR 20010067513A KR 1020010005504 A KR1020010005504 A KR 1020010005504A KR 20010005504 A KR20010005504 A KR 20010005504A KR 20010067513 A KR20010067513 A KR 2001006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iquid
iron ring
transfer
dry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100B1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1-000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1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씰의 구성 요소인 철환에 고무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액 철환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철환 표면에 접착액의 도포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일정 용기에 투입된 철환을 제품투입 공정의 제품투입장치로 이송시켜서 접착액도포 공정의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도포를 완료시킨 후 냉풍 건조 공정으로 이송시켜서 일반 상온에서 접착액의 회석제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열풍건조 공정의 건조로 내부에 제품을 이송하여 열풍으로 접착액을 응고시키며, 이때 희석제의 고른 증발과 접착제의 고른 건조로 철환이 서로 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및 회전 공정에서 이송장치와 회전장치를 병행으로 작동시키며, 건조가 완료된 철환을 제품배출 공정에서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체인이송 공정의 체인벨트의 상부에 안착시켜서 투입장치까지 이송하여 오일씰용 철환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도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a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of oil seal inor ring adhesive liquid}
본 발명은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오일씰의 구성 요소인 철환에 고무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액을 철환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철환 표면에 접착액의 도포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 접착액을 일정한 액조에 주입시킨 후 작업자가 일일이 도포할 철환을 접착액 내부에 직접 침전시켜서 일정 시간 동안 철환에 접착액을 도포시킨 후 회수하여 열 건조가 가능한 로 내부에 넣어 건조시키는 작업을 2회 반복하여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통상적인 작업 방법이었으며 간혹 제품 이송 및 접착액 도포작업 등과 같이 작업 방법의 일부를 자동화하여 제품을 생산하기도 하였다.
상기의 통상적인 방법은 작업자가 전 공정을 직접 처리해야 함으로 작업자의 작업능력 및 피로 축적으로 인해 작업조건이 달라지므로 균일한 품질과 일정한 양의 제품을 생산하기 힘들며,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일정 온도로 철환을 가열하여 희석제를 증발시켜야 하는데 기존의 열 건조 방식이 히터를 이용한 방식으로 예열 히터의 거리 단위로 온도 편차가 심하여 철환을 고루 일정하게 건조되지 않고 불균일 하게 건조되며, 이때 발생하는 가스가 연소되지 않아 제품 완성시 고무와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주원인이 되며 또한 철환이 서로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접착액의 희석제가 증발하게 되므로 서로 밀착된 철환들이 접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 완료 후 철환을 분리해야 되는 불필요한 공정이 추가로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어 왔으며, 일부 작업 공정을 자동화 설비로 대체 하기도 했지만 철환의 각 공정별 이송 및 열건조 조건을 맞추지 못하여 자동설비를 방치 또는 폐기하는 등의 이중적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생산 설비를 최대 생산량에 기준으로 설치해야 하며 이로 인한 과다한 생산 설치와 비효율적인 유지 보수로 인한 금전적 손실과 인력 낭비 등이 함께 수반되며, 작업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작업장의 환경오염으로 작업자의 보건 위생 및 안전에도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생산 완료후 제품의 품질 저하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되므로 시간적 낭비와 금전적 손실이 함께 수반되어 왔는데, 관련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이의 적절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오일씰용 철환에 접착액의 도포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설비의 각 공정별로 즉 철환의 이송 및 접착액의 도포와 건조가 효율적으로 작업되도록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여 생산 요소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양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투입장치의 구성 및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액 도포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 및 회전장치의 평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성 및 작동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요부를 발취한 확대 작동도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의 회전장치의 요부를 발취한 구성 및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풍 건조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풍건조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품배출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체인이송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A:용기 1:투입장치
2:도포장치 3:이송 및 회전장치
5:냉건조장치 6:열풍건조장치
7:배출장치 13,20a,21a,66,73:실린더
21:가이드장치 3s,4s,8s,22s:스프라켓
3c,4c,8c,22c,24c:체인 24M:정역모터
22,76:리프트장치 23:이송클램프
24M:모터 24:도포클램프
20:클램프장치 25:접착액조
26,56:송풍기 32:이송롤러
33:걸림핀 34:고정핀
35:걸림편 30:이송장치
36:이송축 37:고정편
3B:구동박스 3M:이송모터
38:연결축 40:회전장치
41:회전롤러 42:고정판
44:지지롤러 4M:회전모터
61:히터 67:히터로
62:송풍구 60:건조로
70:슬라이드장치 74:가이드바
75:클램프 8M:구동모터
본 발명의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제품투입 공정, 접착액도포 공정, 이송 및 회전 공정, 냉건조 공정, 열풍건조 공정, 제품배출 공정 및 체인이송 공정으로 각각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정 용기에 투입된 철환을 상기 제품투입 공정의 제품투입장치로 이송시켜서 접착액도포 공정의 리프트장치와 가이드장치 및 이송클램프를 이용하여 접착액조에 주입하고 철환에 접착액이 고루 도포 되도록 도포클램프로 용기를 회전시키며 도포가 완료된 후 냉건조 공정으로 이송시켜서 도포된 접착액을 일반 상온에서 송풍기로 접착액의 희석제를 증발 제거하고, 열풍건조 공정의 출입문과 배출문이 장착된 건조로 내부로 제품을 이송하여 열풍기의 열풍으로 접착액을 응고시켜 건조시키며 이때 건조시 희석제의 고른 증발과 접착제의 고른 건조로 철환이 서로 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및 회전 공정에서 철환이 담겨진 용기를 이송장치와 회전장치를 병행으로 작동시키며 건조가 완료된 철환을 제품배출 공정에서 리프트장치와 슬라이드장치를 이용하여 체인이송 공정의 체인벨트의 상부에 안착시켜서 제품을 제품 투입 장치까지 이송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공정을 2회 거처서 오일씰용 철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상은 개략적이고 포괄적인 공정 흐름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를 좀더 각 공정별 상세 설명과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제품투입 공정은 제품 체인이송 장치(7)에 정렬된 중심부에 걸림축(A1)이 양측으로 구비된 용기(A)에 철환을 투입한 상태로 운반차(12)상부에 안착하여 후공정인 접착액도포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으로서 하기의 투입장치(1)를 통하여 수행한다.
즉 상기투입장치(1)는 하부 바닥에 레일(11)을 설치하고 그 중앙에 실린더(13)를 고정하고 레일(11)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차(12)에 실린더 로러(14)를 고정시켜 구성시킨다.
상기한 구성으로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체인이송장치(7)에서 이송시켜 운반차(12) 상부에 안착시킨 후 실린더 로드(14)를 후진시켜서 용기(A)가 도포장치(20)의 이송클램프(23) 하부에 이송되도록 하여 접착액도포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이송 공정이다.
접착액도포 공정은 상술된 제품투입 공정에서 공급된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전후 이송/상하 이송과 클램핑 공정으로 접착액조(25)에 이송하여 회전 공정과 함께 접착액을 도포시킨 후 다음 공정인 냉건조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으로서 하기의 도포장치(2)를 통하여 수행한다.
도포장치(2)는 리프트장치(22)와 가이드장치(21) 및 클램프장치(20)를 이용하여 철환을 이송과 침적 및 회전 작업을 통하여 철환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a)를 상부에 정착시켜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장치한 가이드장치(21)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스파라켓(22s)과 채인(22c)을 장착하고 정역모터(22M)로 작동시켜 상하 이송이 용이한 리프트장치(22)를 구성시키고 그 하부로 실린더(20a)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되는 이송클램프(23)와 일 측에 모더(24M)와 체인(24c)을 장착하여 용기(A)의 걸림축(A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도포클램프(24)를 각각 구성시켜 클램프장치(20)를 구성하고 그 하부 바닥에 고정된 레일 상부에 접착액조(25)를 안착되도록 구비하고 그 상부 일 측에 송풍기(26)를 구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장치(21)는 실린더(21a)의 행정 거리가 일정하므로 좌우 이송 지점이 항상 일정하고 정확하므로 보다 간편하면서도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고, 리프트장치(22)는 상기 모터(22M)가 정/역이 가능한 모터(22M)로서 작동 방향에 따라 스프라켓(22s)과 채인(22c)의 구조에 의해 클램프장치(20)를 상/하로 이송하게 되고 또한 상승과 하강을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이송시킬 수 있으며, 클램프장치(20)는 걸림축(A1)이 구성된 용기(A)를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착탈이 용이하면서 용기(A)를 회전시켜서 용기(A) 내의 철환에 도포가 고르게 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의 실린더 로더(20b)를 전진시키면 클램핑이 해지되고 실린더 로터(20b)를 후진시키면 클림핑이 되어 용기(A)의 걸림축(A1)을 고정시키게 되며 모터(24M)를 가동하면 체인(24c)에 의해 도포클램프(24)에 장착된 용기(A)의 걸림축(A1)으로 인해 용기(A)가 회전하며 용기(A)의 회전 여부는 모터(24M)의 작동 여하에 의해 결정되므로 전체적인 작동과는 관계없이 자유롭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조건을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가이드장치(21)와 리프트장치(22) 및 클램프장치(20)들과 하부 레일에 구비시킨 접착액조(25)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작동하여 오일씰용 철환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것이다.
즉 상기 투입장치(1)에서 투입된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이송클램프(23)로 클램핑하여 리프트장치(22)로 상승시키고 가이드장치로 접착액조(25)의 상부까지전진시킨 다음 리프트장치(22)로 하강하여 접착액조(25)에 침적시킨 후 클램핑를 해제하고 상승시킨 후 다시 이송클램프(23)를 후진시킨다.
이때 도포클램프(24)가 접착액조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 하강하여 용기(A)를 클램핑 한 다음 리프트장치(22)로 용기(A)가 접착액조(25)의 바닥에 닫지 않도록 상승시킨 후 모터(24M)를 가동하여 용기(A)를 회전시키면서 철환에 접착액을 도포시키며 도포 완료 후 리프트장치(22)를 완전 상승시켜서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이 자유낙하 되도록 잠시 정지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송풍기(26)로 냉풍을 가하여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의 희석제를 증발시켜 응고시킨 다음 가이드장치(21)로 전진 이송시키고 도포클램프(24)의 모터(24M)의 가동을 중지시켜 용기(A)의 회전 작업을 중지시킨 후 리프트장치(22)를 하강시켜 냉건조 공정에 비치된 이송 및 회전장치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클램핑을 해지한 후 리프트장치(22)를 상승시켜서 가이드장치(21)로 후진하여 접착액도포 공정을 완료한다.
이로 인해 접착액이 접착액조(25)외에 다른 장치에 묻거나 하여 전체 공정에 장에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을 보다 깨끗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 이송클램프(23)와 도포클램프(24)는 상부의 리프트장치(22)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짐으로 클램핑 작업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작동시켜서 서로 다른 클램핑 작업을 한번의 리프팅 작업으로 가능하도록 효율을 높인 것이다.
이송 및 회전 공정은 상기 도포장치(2)에서 도포가 완료된 철환을 용기(A)에 내장된 상태에서 회전과 거리 이송을 반복적으로 진행시켜서 냉건조 공정과 열풍건조 공정 및 제품배출 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이송 공정으로서 하기의 이송 및 회전장치(3)를 통하여 수행된다.
즉 상기의이송 및 회전장치(3)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건조장치(5)와 열풍건조장치(6) 및 배출장치(7) 등 각 장치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30)와 회전장치(40)가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들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1)으로 지지된 이송롤러(32) 다수 개가 고정 배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핀(33)과 고정핀(34)으로 작동되는 걸림편(35)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장착된 이송축(36)의 일 측에 고정편(37)을 부착하여 구동박스(3B)에 구성된 이송모터(3M)와 연결축(38)을 거처서 이송롤러(32)에 각각 구성되는 스프라켓(3s)에 연결되는 체인(3c)에 고정시켜서 구성시킨 것이다.
이는 이송모터(3M)가 정역모터로서 이송모터(3M)를 정회전 시키면 스프라켓(3s)에 연결된 체인(3c)이 이송을 하게 되고 이체인(3c)에 고정된 고정편(37)에 의해 이송축(36)이 이송롤러(32)를 타고 전진하게 되며, 이때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환이 내장된 용기(A)가 상기의 회전롤러(41)에 안착되어 이송축(36)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므로 걸림편(35)이 고정핀(34)의 지지를 받아 용기(A)의 하부에 걸려서 함께 이송되고, 이송모터(3M)가 역회전시 이송축(36)이 후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35)의 하부 무게가 용기(A)의 무게보다 가벼우므로 걸림편(35)이 회전하면서 용기(A)를 지나가게 되어 이송축(36)만 후진하게 되는데 이는 걸림편(35)이 이송축(36)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장착되어 있어 상기 각 건조공정 및 배출공정에서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한번의 공정으로 여러 공정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송모터(3M)와 이송축(36)을 바로 연결시키지 않고 연결축(38)을 구성시켜 체인(3c)으로 연결시킨 것은 하기에 기술되는 열풍건조 공정에서 발샐 되는 열이 이송축(36)을 타고 이송모터(3M)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것이다.
또한 회전장치(40)도 이송축(36)을 중심으로 간격이 일정한 회전롤러(41)가 좌우 양측의 고정판(42)의 베어링(43)에 고정되고 또 지지롤러(44)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에 구비된 구동박스(3B) 내부에 회전롤러(4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M)가 스프라켓(4s)과 체인(4c)으로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장치(40)는 철환이 내장된 용기(A)가 회전롤러(41)에 안착되면 회전롤러(41)는 회전모터(4M)에 의해 회전하여 용기(A)를 회전시킨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44)는 회전롤러(41)의 간격 유지를 지지하여 용기(A)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이송모터(4M)는 이송축(36)이 전진하면서 용기(A)를 이송시킬 때만 정지시켜 원활한 이송이 되도록 한다.
이는 철환이 냉건조장치와 열풍건조장치를 지나면서 건조 공정을 거칠 때 회전에 의해 제품의 점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아주 효과적이면서 중요한 작업 방법이다
냉건조 공정은 상기 도포장치(2)에서 도포가 완료된 용기(A)에 내장 된 상태의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을 일반 상온에서 접착액도포 공정에서 증발되지 않고 남아있는 접착액의 희석제를 열풍건조장치(6)에 투입되기 전에 완전 증발시켜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하기에 기술되는 냉건조장치(5)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냉건조장치(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및 회전장치(3)의일측 상부에서 상온 상태에서 이송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용기(A)에 내장된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의 희석제를 자연 증발시키는 특별한 구성 요소가 없는 장치이다
즉 열풍건조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을 응고시킬 때 접착액 희석제가 남아있으면 희석제로 인해 가스가 발생되고 이 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열풍건조장치(6)의 건조로(60)에 남아 접착제 응고 후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이를 미연에 방지하는 공정인 것이다.
열풍건조 공정은 히터(61)에서 발열되는 열을 송풍구(62)를 통해 강제 송풍하여 상기 냉건조 공정을 거친 용기(A)에 내장된 철환에 열풍이 이송되어 도포된 접착액을 응고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으로서 히터의(61) 온도 조절에 따라 열풍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접착제의 효능 및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정이므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공정이라 할 수 있으며 하기의 열풍건조장치(6)를 통해 서 수행된다.
즉 상기열풍건조장치(6)는 하부에 이송 및 회전장치(3)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에 실린더(66)가 구비된 출입문(63)과 배출문(64)이 각 구성되고 상부에 히터(61)가 장착된 히터로(67)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송풍기(65)가 구비된 각각의 송풍구(62)를 구비시킨 사각의 건조로(60) 구성된다.
상기 출입문(63)과 배출문(64)은 철환이 내장된 용기(A)가 제품이송장치(3)를 타고 건조로(60)에 출입되고 배출될 때에만 실린더(66)를 작동시켜 상부로 상승시켜 개방시키고 출입/배출이 완료되면 항상 하강시켜서 열풍건조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출입문(63)과 배출문(64)의 상/하 작동은 상기 이송장치(30)의 전진이송과 항상 동시에 작동한다.
또 히터로(67)를 상부에 구성시키고 송풍구(62)를 각각 구비시킨 것은 히터(61)의 직접적인 열에 의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철환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도포 완료된 철환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가장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켜 열풍을 송풍구(62)를 통해 골고루 전달함으로서 열 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최적의 조건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1차 건조의 목적은 철환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제거와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이 사용중 이탈되지 않게 철환에 코팅력을 갖도록 하는 작업으로 200℃의 고열이 필요하며, 2차 건조의 목적은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이 실질적인 접착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130℃의 열이 필요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전 공정을 1차와 2차를 거쳐와 필요로 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1차와 2차의 모든 공정이 동일하며 단 열풍건조 공정에서 열풍의 온도 차이에 의해 건조의 목적과 생산되는 철환이 구분된다.
이에 상기의 열풍건조장치(6)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규모를 최소화하면서 열 손실을 방지하여 설비 생산비용과 설비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제품배출 공정은 상기 열풍건조장치(6)에서 건조가 완료되어 이송 및 회전장치의 일 측에 위치한 철환을 내장한 용기(A)를 실린더(71)로 구성된 리프트장치(76)와 이를 이송하는 슬라이드장치(70)를 이용하여 체인이송장치(8)로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 공정으로서 하기의 배출장치(7)를 통해 수행된다.
즉 상기배출장치(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건조장치(6)의 건조로(60) 측면에 프레임(72)을 구성시키고 프레임 상부에 체인(7c)과 스프라켓(7c)을 장착한 모터(7M)에 의해 이송되는 슬라이드장치(70)가 구성되고 그 중앙 하부에 실린더(73)와 가이드바(74)에 연결된 클램프(75)가 장착된 리프트장치(76)를 구성시킨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배출장치(7)는 상기 실린더(73)를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및 회전장치(3)의 회전롤러(41)에 안착된 철환이 내장된 용기(A)의 걸림축(A1)을 클램프(75)로 걸어 실린더(73)를 상승시킨 후 상기의 슬라이드장치(70)를 모터(7M)를 이용해 전진시켜 하기에 기술될 체인이송장치(8)의 체인(8c)상부에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안착시키고 슬라이드장치(70)를 원위치 하여 작업을 완료시킨다.
체인이송 공정은 본 공정인 오일씰용 철환의 도포 및 건조 작업을 하기 위한 준비 공정으로 철환이 투입된 용기(A)를 체인(8c)을 이용하여 상기에 서술된 제품투입 공정을 하기 위한 작업인 동시에 제품배출 공정의 후 공정이 되는 단순한 제품의 배치 및 이송을 목적으로 하는 공정으로서 하기의 체인이송장치(8)를 통하여 수행된다.
체인이송장치(8)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장치(7)에서 투입장치(1)에 이르는 긴 프레임(80)을 구성하고 프레임 상부 일 측에 구동모터(8M)와 연결된 스프라켓(8s)을 장착하고 맞은편 타측에 스프라켓(8s)을 장착하여 체인(8c)으로 연결시키고 프레임(80) 중앙 상부에 이송하는 용기(A)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프레임(81)을 부착시킨 구조로 구성된다.
이는 1차 건조 공정시는 철환을 내장한 용기(A)를 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고, 2차 건조 공정시는 제품배출 공정에서 제품투입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설비의 규모를 최소화하여 설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한 각 공정들의 장치에서 행해지는 연속적인 작동은 각 부분에 각종의 감지 센스들과 리밋 스위치 등의 신호를 전기밸브로 전기적/전자적 제어 체계를 통하여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자동화 시스템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응용하여 별도의 제어장치를 구비시켜서 사용하는 것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도시)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방법 및 그 장치는 도포 및 이송 장치를 자동화하고 건조 방법을 이중으로 함으로서 오일씰용 철환에 접착액의 도포 및 건조를 필요한 조건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고, 필요로 하는 제품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어 양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량률이 자동 감소되면서 생산량이 증대되므로 대량생산의 가능해지고 열악한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설비의 규모를 최소화하면서 열 손실을 방지하여 설비 생산비용과 설비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 바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2)

  1. 체인이송 장치(7)에 정렬된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레일(11)에 안착된 운반차(12)를 이용하여 접착액도포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품투입 공정과;
    제품투입 공정에서 공급된 철환이 내장된 용기(A)를 전후 이송/상하 이송과 클램핑 공정으로 접착액조(25)에 이송하여 회전 공정과 함께 접착액을 도포시킨 후 냉풍으로 접착액 희석제를 증발시키고 다음 공정인 냉건조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접착액도포 공정과;
    도포가 완료된 철환을 용기(A)에 내장된 상태에서 회전과 거리 이송을 반복적으로 진행시켜서 냉건조 공정과 열풍건조 공정 및 제품배출 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시키고 건조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이송 및 회전 공정과;
    접착액도포 공정에서 증발되지 않고 남아있는 철환에 도포된 접착액의 희석제를 열풍건조장치(6)에 투입되기 전에 일반 상온에서 완전 증발시켜 제거하는 냉건조 공정과;
    상기 냉건조 공정을 거친 접착액이 도포된 철환에 히터(61)에서 발열되는 열을 송풍구(62)를 통해 강제 송풍하여 접착액을 응고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으로서 히터의(61) 온도 조절에 따라 열풍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접착제의 효능 및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열풍건조 공정과;
    열풍건조장치(6)에서 건조가 완료되어 이송 및 회전장치의 일 측에 위치한 철환을 내장한 용기(A)를 실린더(71)로 구성된 리프트장치(76)와 이를 이송하는 슬라이드장치(70)를 이용하여 체인이송장치(8)로 이동시키는 제품배출 공정과;
    오일씰용 철환의 도포 및 건조 공정을 하기 위한 준비 공정으로 철환이 투입된 용기(A)를 체인(8c)을 이용하여 상기에 서술된 제품투입 공정을 하기 위한 작업인 동시에 제품배출 공정의 후 공정이 되는 단순한 제품의 배치 및 이송을 목적으로 하는 체인이송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2. 하부 바닥에 레일(11)을 설치하고 그 중앙에 실린더(13)를 고정하고 레일(11)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차(12)에 실린더 로더(14)를 고정시켜 구성시킨 투입장치(1)와;
    실린더(21a)를 상부에 장착시켜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장치한 가이드장치(21)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스프라켓(22s)과 체인(22c)을 장착하고 정역모터(22M)로 작동시켜 상하 이송이 용이한 리프트장치(22)를 구성시키고 그 하부로 실린더(20a)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되는 이송클램프(23)와 일 측에 모터(24M)와 체인(24c)을 장착하여 용기(A)의 걸림축(A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도포클램프(24)를 각각 구성시켜 클램프장치(20)를 구성하고 그 하부 바닥에 고정된 레일 상부에 접착액조(25)를 안착되도록 구비하고 그 상부 일 측에 송풍기(26)를 구성시킨 도포장치(2)와;
    베어링(31)으로 지지된 이송롤러(32) 다수 개가 고정 배치되고 그 상부에 걸림핀(33)과 고정핀(34)으로 작동되는 걸림편(35)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장착된이송축(36)의 일 측에 고정편(37)을 부착하여 구동박스(3B)에 구성된 이송모터(3M)와 연결축(38)을 거처서 이송롤러(32)에 각각 구성되는 스프라켓(3s)에 연결되는 체인(3c)에 고정시켜서 구성시킨 이송장치(30)와, 이송축(36)을 중심으로 간격이 일정한 회전롤러(41)가 좌우 양측의 고정판(42)의 베어링(43)에 고정되고 또 지지롤러(44)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에 구비된 구동박스(3B) 내부에 회전롤러(4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M)가 스프라켓(4s)과 체인(4c)으로 연결 구성된 회전장치(40)가 결합된 이송 및 회전장치(3)와;
    전 후방에 실린더(66)가 구비된 출입문(63)과 배출문(64)이 각 구성되고 상부에 히터(61)가 장착된 히터로(67)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송풍기(65)가 구비된 각각의 송풍구(62)를 구비시킨 사각의 건조로(60)를 구성시킨 열풍건조장치(6)와;
    건조로(60) 측면에 프레임(72)을 구성시키고 프레임 상부에 전후 이송이 모터에 의해 가이드를 타고 이송되는 슬라이드장치(70)가 구성되고 그 중앙 하부에 실린더(73)와 기아드바(74)에 연결된 클램프(75)가 장착된 리프트장치(76)를 구성시킨 배출장치(7)와;
    배출장치(7)에서 투입장치(1)에 이르는 긴 프레임(80)을 구성하고 프레임 상부 일 측에 구동모터(8M)와 연결된 스프라켓(8s)을 장착하고 맞은편 타측에 스프라켓(8s)을 장착하여 체인(8c)으로 연결시키고 프레임(80) 중앙 상부에 이송하는 용기(A)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프레임(81)을 부착시킨 구조로 구성된 체인이송장치(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장치.
KR10-2001-0005504A 2001-02-02 2001-02-02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8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04A KR100386100B1 (ko) 2001-02-02 2001-02-02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04A KR100386100B1 (ko) 2001-02-02 2001-02-02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513A true KR20010067513A (ko) 2001-07-13
KR100386100B1 KR100386100B1 (ko) 2003-06-02

Family

ID=1970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504A KR100386100B1 (ko) 2001-02-02 2001-02-02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434A (zh) * 2019-06-14 2019-08-09 苏州安捷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内孔涂胶机
KR102577066B1 (ko) * 2023-06-12 2023-09-08 공승택 롤러형 철판 도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65B1 (ko) 2009-04-30 2010-01-29 (주)진양오일씰 오일씰용 보강 씨일에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하는 장치
KR101523068B1 (ko) * 2013-04-27 2015-05-26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오일 씰의 고무와 금속 보강재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 도포방법
KR102137948B1 (ko) 2018-10-29 2020-07-27 (주)진양오일씰 접착액 자동 도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2434A (zh) * 2019-06-14 2019-08-09 苏州安捷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内孔涂胶机
KR102577066B1 (ko) * 2023-06-12 2023-09-08 공승택 롤러형 철판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100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541B2 (en) Roll coater assembly system
US20090126630A1 (en) Spindle Spray Coating System
CN104589165B (zh) 一种全自动胶辊磨削系统
KR20110083925A (ko) 휴대폰 케이스 자동 연속 도장장치
US6267587B1 (en) Thermal curing oven and thermal curing process
KR100386100B1 (ko) 오일씰용 철환의 접착액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66433A (ja) 塗装設備
US20090101068A1 (en) Roll Coater Assembly System
CN203843611U (zh) 一种全自动胶辊磨削系统
CN105818527A (zh) 一种全自动电子护套移印机
US20220347884A1 (en) Machine and method for decorating items with granular materials
JPH0999266A (ja) 小物品の頭部自動塗装装置
US4556783A (en) Heat welding apparatus
KR200443821Y1 (ko) 전공정이 일괄수행되는 용사장치
WO2014017830A1 (ko) 금속스크랩 리사이클링 장치
JP2004202384A (ja) 塗装乾燥装置
JPH044082A (ja) 蓋付移動容器の自動洗浄乾燥装置
JPS6233716A (ja) 被熱物の出入装置
CN217715811U (zh) 一种注射剂瓶烘干装置
CN117326323B (zh) 一种纱线筒上料装置
CN218402198U (zh) 热成型板料输送装置
KR200399342Y1 (ko) 엘시디 용 백라이트 유니트 관리를 위한 마킹 및 인쇄물의건조장치
JPH07156056A (ja) 耐火煉瓦表面付着物自動除去装置
JPH0616072B2 (ja) エ−ジング装置
JP2529384Y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