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407A -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407A
KR20010067407A KR1020000077868A KR20000077868A KR20010067407A KR 20010067407 A KR20010067407 A KR 20010067407A KR 1020000077868 A KR1020000077868 A KR 1020000077868A KR 20000077868 A KR20000077868 A KR 20000077868A KR 20010067407 A KR20010067407 A KR 20010067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diffuser
mai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167B1 (ko
Inventor
김정호
최돈혁
김병혁
김응태
문필중
Original Assignee
임정규
한국수자원공사
신규언
코스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규, 한국수자원공사, 신규언, 코스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정규
Priority to KR10-2000-007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1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여과지에서 여재를 전층에 걸쳐 공기 역세척시키도록 하는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재하부에 여러개의 지관이 형성된 본관을 포설하고 상기 본관과 지관에 일정간격의 에어홀을 형성시킨 후 상기 본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Filter deaning method using reverse direct airblow washing}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여과지에서 여재를 전층에 걸쳐 공기 역세척시키도록 하는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정수처리 계통도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1)에서 취수된 정수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침전시키는 착수정(2)과, 착수정(2)에서 처리된 정수원수를 수처리약품과 혼화시키는 혼화지(3)와, 혼화지(3)에서 수처리약품과화화된 정수원수에서 응집된 플록(floc)을 형성시키는 응집지(4)와, 응집지(4)에서 형성된 플록을 중력에 의해 자연침강시켜 침전시키는 침전지(5)와, 침전지(5)에서 플록이 제거된 정수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지(6)와, 여과지(6)에서 여과된원수에 염소등의 소독약품을 투입시켜 최종정수시킨 후 가정집(8)으로 공급하는 정수지(7)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정수처리계통 중 여과지(6)에서는 원수중의 현탁물질을 응집한 후 입상충에 비교적 빠른 속도로 물을 통과시켜 여재에 부착시키거나 여층에서 체거름작용에 의해 탁질을 제거하게 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급속여과지는 여재가 모래단층으로 구성되어 탁질이 표층부에만 억류되므로 여재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표면세척과 여과지 하부에서 물로 역세척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여재세척효과를 내었으나,
최근 원수중에 조류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여과지의 표면이 쉽게 막혀 더 이상 여과를 진행할 수 없어 정수생산이 불가능한 경우가 초래되고 있으며, 이렇게 공극이 쉽게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 모래 보다 비중이 가벼우면서도 공극이 큰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이층여과방법이 최근에 확대 설치되고 있는추세이다.
그러나 안트라사이트는 모래 보다 가격이 7-8배 고가이면서 비중이 가벼워 역세척시 유실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탁질을여재 깊숙히 침투시켜 제거하므로 기존의 표면세척방식으로는 충분한 세척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또한 기존에 모래와 안트라사이트의 이중여재의 효과적인 공기방울의 세척원리를 이용한 공기역세척용 여과지가 일부실시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기존 여과지에서는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이같이 여과가 진행되는 동안 여재사이의 공극은 억류된 탁질로 채워진 후 공극이 막히면서 더이상 여과를 할 수 없는 최종손실수두에 도달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물흐름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세척을 실시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여재의 표면만 세척하고 물로써 역세척을 하게 되어 여재 사이에 낀 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여과지의 여재 하부에서 공기를 분출시켜 공기방울의 세척원리로 여재사이에 낀 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한 것으로써, 여과지의 여재하부에서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공기방울이 여재사이를 통과하면서 여재사이의 탁질을 세척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재하부에 여러개의 지관이 형성된 본관을 포설하고 상기 본관과 지관에 일정간격의 에어홀을 형성시킨 후 상기 본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관에 에어를 공급하면 본과과 지관에 형성된 에어홀로 분출되며 공기방울을 발생시키게되고 공기방울은 여재사이를 통과하면서 여재사이 공극에 억류된 탁질을 세척시킴으로써 여재 사이에 낀 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도 1 은 정수처리 계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 여과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 계통도
도 4 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 배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 지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여과지 14 : 안트라사이트 15 : 모래
16 : 자갈 18 : 스트레이너블록 20 : 산기장치
21 : 본관 22 : 지관 25 : 연결관
27 : 에어홀 28,29 : 배수구멍
여과지(6)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트레이너(17)가 구비된 스트레이너블럭(18)위에 자갈(16)을 깔고 그 위에 모래(15)와 안트라사이트(14)를 깔아주게 되며 정수원수(13)는 배수로(11)에서 상기된 여재를 통과한 후 하부집수구(12)를 통하여 배출되게 구성되며 이러한 여과지(6)의 여재구성은 일반적인 사항이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레이너블럭(18)위에 본관(21)과 지관(22)으로 구성된 산기장치(20)를 포설하고 상기 본관(21)에 블로워(23)등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에어를 공급하게 한 것으로, 스트레이너블럭(18)의 중앙에는 본관(21)이 포설되고 본관(21)의 양측으로는 빗살형태로 다수의 지관(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관(21)은 양측으로 또다른 본관(2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후렌지(24)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연결관(25)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후렌지(26)가 형성되며 본관(21)보다 작은직경의 지관(22)선단은 막힌 형태로 형성된다.
지관(22)의 하단 양측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에어홀(27)을 뚫어주고, 본관(21)과 지관(22)의 하단부에는 물의 유입에 의한단면적 축소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멍(28)(29)을 뚫어준다.
에어홀(27)은 에어분출시 마찰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가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지관(22)이 형성된 본관(21)은 연결후렌지(24)로 연결하여 스트레이너블록(18)위에 전체적으로 포설하고 본관(21)의 연결후렌지(26)와 연결관(25)을 연결시켜 블로워(23)에서 발생된 에어가 연결관(25)과 본관(21)을 통하여 지관(22)으로 유입되게 한다.
지관(22)으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홀(27)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며 공기방울을 형성시키게 되고 에어홀(27)을 통과하며형성된 공기방울은 여재사이를 통과하면서 여재사이에낀 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본관(21)과 지관(22)의 최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뚫어준 배수구멍(28)(29)은 물의 유입에 의한 본관(21)과 지관(22)의단면적 축소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에어홀(27)은 지관(22)의 밑부분에 일정각도를 주고 뚫어주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에어홀(27)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에어홀(27)을 유선형으로 가공하여 에어분출시 마찰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본관(21)과 지관(22)은 일정길이를 한조로 하여 구성하므로써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산기장치를 여과지의 스트레이너 블럭 위에 설치하므로써 여재전층을 공기방울로 세척하여 여과지 수명을 연정하고 역세척에 소요되는 물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정수처리비용을 줄이고 양질의 정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관과 본관보다 작은 구경의 지관을 본관에 일체로 연결하고 지관의 최하부에 일정각도와 일정간격으로 에어홀을 형성시켜 공기의 균등분배와 확산을 도모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며 본관과 지관의 최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구멍을 뚫어 물의 유입에 의한 관의 단면적 축소를 방지하고, 상기 본관에 에어공급장치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2. 제 1 항에서, 본관의 양측으로는 또다른 본관을 연결하는 연결후렌지가 현성되고 본관의 일측상부에는 연결관을 연결하는 연결후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KR10-2000-0077868A 2000-12-18 2000-12-18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KR10039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868A KR100397167B1 (ko) 2000-12-18 2000-12-18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868A KR100397167B1 (ko) 2000-12-18 2000-12-18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779U Division KR200173549Y1 (ko) 1999-09-28 1999-09-28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407A true KR20010067407A (ko) 2001-07-12
KR100397167B1 KR100397167B1 (ko) 2003-09-13

Family

ID=1970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868A KR100397167B1 (ko) 2000-12-18 2000-12-18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49B1 (ko) * 2005-04-06 2008-01-30 주식회사 지승개발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 균등 공급장치
KR100831000B1 (ko) * 2006-12-28 2008-05-20 (주) 디아이엔바이로 급속여과지의 역세공기 공급장치
CN113307375A (zh) * 2021-05-26 2021-08-27 天下光捕(武汉)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蓝藻捕捉和削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242B1 (ko) 2011-10-28 2012-06-07 주식회사 동호엔지니어링 우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934A (en) * 1987-04-22 1988-12-27 Signal Environmental Systems, Inc. Method for enhancing the separation capacity of a multi-bed filtration system
JPH0453491A (ja) * 1990-06-20 1992-02-21 Kurita Water Ind Ltd 酵素反応方法
KR930003040B1 (ko) * 1990-10-22 1993-04-17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급속 여과지의 역 세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49B1 (ko) * 2005-04-06 2008-01-30 주식회사 지승개발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 균등 공급장치
KR100831000B1 (ko) * 2006-12-28 2008-05-20 (주) 디아이엔바이로 급속여과지의 역세공기 공급장치
CN113307375A (zh) * 2021-05-26 2021-08-27 天下光捕(武汉)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蓝藻捕捉和削减装置
CN113307375B (zh) * 2021-05-26 2022-11-22 天下光捕(武汉)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蓝藻捕捉和削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167B1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7887A (zh) 一种微絮凝‑超滤水处理装置及方法
JP200816829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装置における汚泥の処理方法
CN108946995A (zh) 一种施工现场车辆冲洗系统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100397167B1 (ko)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KR100735149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균등분배시스템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CN205204901U (zh) 可连续冲洗悬浮式生物滤床
KR200173549Y1 (ko)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CN210438542U (zh) 一体化净水器
KR19990037584A (ko)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JPH1119672A (ja) 活性汚泥濾過装置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JPH11104684A (ja) 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型活性汚泥処理装置
JPH10151500A (ja) 汚水浄化槽
KR100773510B1 (ko) 급속여과지의 유공블록 시공방법
KR100338525B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200301184Y1 (ko) 공기 역세척 스트레이너 블록
KR101023509B1 (ko) 여과지의 공기 분배관 설치구조
KR101035331B1 (ko) 여과지의 슬리브관 설치구조
KR200381730Y1 (ko) 고도처리 여과장치용 블럭
JP2950399B2 (ja) 重力式ろ過装置用原水流入管
KR20180019362A (ko)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KR100544829B1 (ko) 여재 유실 방지 트러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