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362A -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 Google Patents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362A
KR20180019362A KR1020160103617A KR20160103617A KR20180019362A KR 20180019362 A KR20180019362 A KR 20180019362A KR 1020160103617 A KR1020160103617 A KR 1020160103617A KR 20160103617 A KR20160103617 A KR 20160103617A KR 20180019362 A KR20180019362 A KR 2018001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dissolved air
tank
air float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362A/ko
Publication of KR2018001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해수 취수 장치는, 바다 속에 설치되는 취수탑 및 상기 취수탑과 유체 연통하는 지하에 설치된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에 의하면,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의 해수 취수 장치 내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부지가 협소한 지역에도 해수 담수화 플랜트 및 하수 처리 플랜트 등을 적용하기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SIMPLIFIED SEAWATER DESALINATION PLANT}
본 발명은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용존 공기 부상 설비를 지하 구조물에 설치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해수 취수 시스템(Seawater Intake System; 110)은 해변의 지하 구조물로 설치되어 왔다. 이 해수 취수 시스템(110)에는 바다에 설치된 취수탑(Bell Mouth; 101)이 연결되어, 해수를 상기 해수 취수 시스템(110) 내로 유입시킨다. 상기 해수 취수 시스템(110)으로 유입된 해수는 이동식 밴드 스크린(traveling band screen; 113)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해수 공급 펌프(SSP)에 의해 지상으로 펌핑되어 용존 공기 부상 장치(150)로 공급되고, 한외여과 장치 또는 이중 여재 필터 장치(120) 및 역삼투 장치(130) 등으로 공급되어 담수화 처리가 진행된다.
종래의 해수 취수 시스템은 위와 같이 밴드 스크린(113)을 포함하면서, 용존 공기 부상 장치(150)를 지상에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스크린의 설비 비용이 별도로 필요하고, 운영비가 증가하는 등 운영 및 비용 상의 문제가 있었고, 취수탑(101)의 구조물 간격이 커서 해양 생물(예를 들어 물고기)이 해수와 함께 유입되어 스크린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면 간혹 운전이 중지되는 사례들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바 스크린(Bar screen), 이동 밴드 스크린(Traveling band screen)을 포함하는 해수 취수 장치 대신 기존에 지상에 설치되어왔던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지하에 설치하여 해수 취수 장치와 통합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 및 운영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바다 속에 위치되고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 1 여과부를 포함하는 취수탑, 공기 포화 장치를 포함하여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 및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 의해 정화된 해수를 한번 더 여과시키는 제 2 여과부, 및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 의해 정화된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역삼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취수탑으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정화된 해수를 상기 제 2 여과부로 보내는 유출구를 갖는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하류에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격벽이 위치되고, 상기 제 1 격벽 하류에는 제 1 교반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교반기 하류에 수면(WL)보다 약간 아래까지 연장되는 제 2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 하류에 제 2 교반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교반기의 하류에는 저장조의 상부에서부터 하향으로 저장조의 바닥과 만나지 않도록 연장하는 제 3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격벽의 하류에 상기 공기 포화 장치가 위치되고, 상기 공기 포화 장치의 하류에는 미세 기포에 부착되어 부유하는 물질이 하류로 임의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제 4 격벽이 위치되고, 상기 제 4 격벽 하류에는 해수 공급 펌프가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로 정화된 해수를 제 2 여과부로 펌핑한다.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제 2 여과부, 및 역삼투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하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내의 수면 위로 공기 저장 공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상부가 해수면보다 높다.
상기 제 1 여과부는 바람직하게는, 존슨 스크린(Johnson screen)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여과부는 한외여과(ultrafiltration) 장치 또는 이중 여재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취수탑,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상기 제 2 여과부, 및 상기 역삼투 장치는 해수의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취수탑부터 차례대로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추가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여과부는 섬유볼 여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여과부 및 상기 역삼투 장치는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수 전처리 장치는, 바다 속에 위치되고 이물질을 여과하여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탑 및 취수된 해수가 도관을 통하여 바로 유입되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플록(floc)을 형성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 다음에 위치되고 공기 포화기의 노즐을 통해 미세 기포가 유입되는 접촉조, 및 상기 접촉조 다음에 위치되고 상기 플록에 상기 미세 기포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플록이 수면으로 부상되어 제거되는 분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지하에 설치된다.
상기 응집조는 상기 취수탑과 상기 도관으로 직접 연결되어, 용존 공기 부상 장치 자체가 지하에서 해수를 직접 취수하는 해수 취수 장치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상기 응집조에서 플록을 형성할 때는 응집제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응집조, 접촉조, 및 분리조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격벽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분리조에 불순물 제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스컴(scum) 제거 장치 또는 스크레이퍼(scrap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스크린(screen)을 포함하는 해수 처리 시스템을 없애는 대신 취수탑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지하에 설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부지가 협소한 지역에도 해수 담수화 플랜트 및 하수 처리 플랜트 등을 적용하기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되고, 한외여과 장치가 제외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수 취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이다. 바다 속에 취수탑(101)이 설치되고, 상기 취수탑(101)으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도관이 취수탑(101)으로부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저수조(110)에 연결된다. 저수조(110)와 상기 도관이 만나는 지점에는 해수의 유입을 개방 및 차단하는 게이트(111)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111)의 하류에 쓰레기막이 격자(112), 이동 밴드 스크린(113), 해수 공급 펌프(SSP) 등이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111)는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도관과 저수조(110)가 만나는 지점을 개폐할 수 있다. 쓰레기막이 격자(112)는 해수의 유입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밴드 스크린(113)은 1차 여과를 담당한다. 상기 이동 밴드 스크린(113)은 밴드형으로 이루어져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크린은 해수를 여과하고, 일정 속도로 또는 제어에 의해 회전하여 수면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반대편으로 내려가기를 반복한다.
지상에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150), 한외여과 장치(120), 역삼투 장치(130) 등 후속 공정 설비가 설치되어 해수 담수화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이다. 종래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와는 달리, 용존 공기 부상 장치(150)가 저수조(110)에 포함되어 있다. 즉, 취수탑(101)에서 해수를 유입시켜 도관을 통해 저수조(110)에 해수가 공급된다. 공급된 해수는 공기 포화 장치(saturator; 114) 쪽으로 이동하고, 공기 포화 장치(114)에 의해 발생된 미세 기포에 불순물이 부착되어 물과 공기가 접하고 있는 수면(Water Line, WL)까지 부유하게 된다. 이로써 해수는 1차적으로 정화된 상태로 해수 공급 펌프(SSP)에 의해 후속 공정 설비로 공급된다.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상세히 살펴보면, 해수를 유입하는 입구가 일측의 하부에 형성된다. 하부에서 유입된 해수는 인접한 제 1 격벽(w1)의 중앙 개구를 통해 흐르고, 제 1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다. 제 1 교반기의 하류에는 수면(WL)보다 약간 아래까지 연장되는 제 2 격벽(w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격벽(w2) 하류에 제 2 교반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교반기의 하류에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상부에서부터 하향으로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바닥과 만나지 않도록 연장하는 제 3 격벽(w3)이 형성된다. 제 3 격벽(w3)을 지나면 해수는 공기 포화 장치(114)와 만나 미세 기포로 포화되고, 이 때 미세 기포에 부유물 또는 불순물이 부착되어 수면(WL)으로 상승한다. 공기 포화 장치의 하류에는 제 2 격벽(w2)과 유사한 제 4 격벽(w4)이 위치되어, 미세 기포에 부착되어 부유하는 물질이 하류로 임의로 확산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제 4 격벽(w4)은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바닥에서부터 연장하여 수면(WL) 미만의 높이까지 연장하므로, 제 3 격벽(w3)과 제 4 격벽(w4)의 사이에서 불순물이 주로 부유한다.
각 격벽이 해수를 통과시키는 높이는 각각 다르다. 예를 들어 제 1 격벽(w1)은 수면(WL)과 바닥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해수를 통과시키고, 제 1 격벽(w1) 다음에 위치되는 제 2 격벽(w2)은 수면(WL) 근처까지 상향 연장되어, 수면(WL) 근처에서 해수를 통과시킨다. 제 2 격벽(w2) 다음에 위치되는 제 3 격벽(w3)은 저수조(110)의 상부에서부터 연장하여 바닥과는 만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해수가 바닥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제 4 격벽(w4)은 제 3 격벽(w3)의 다음에 위치되어 제 2 격벽(w2)과 유사한 높이까지 연장하지만, 상부 일부가 해수 유동 방향으로 꺾여 있다. 제 5 격벽(w5)은 제 4 격벽(w4) 다음에 위치되며 제 3 격벽(w3)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 5 격벽(w5)은 저수조(110)의 상부에서부터 연장하여 바닥과는 만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해수가 바닥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제 5 격벽(w5) 다음에 위치되는 제 6 격벽(w6)은 제 2 격벽(w2)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 6 격벽(w6)은 수면(WL) 근처까지 상향 연장되어, 수면(WL) 근처에서 해수를 통과시킨다.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분류하면, 유입수에 투입된 응집제를 혼합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고 상기 플록의 크기를 성장시키는 응집조(flocculation basin; 10), 공기 포화기(114)의 노즐(114a)를 통해 미세 기포가 유입되는 접촉조(contact zone; 20), 및 상기 플록에 미세 기포가 부착됨으로써 플록이 수면으로 부상되어 제거되는 분리조(separation zone; 30)를 포함한다.
상기 응집조(10)에는 제 1 교반기(11) 및 제 2 교반기(12)가 배치되고, 각 교반기(11, 12)는 두 개의 격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수에 투입된 응집제에 의해, 유입수 내 포함된 조류나 유기 화합물과 같은 저밀도의 부유 고형물 또는 입자성 물질이나 부유 물질 등이 응집된다. 응집조에서 응집제가 투입된 유입수를 상기 교반기들을 통해 혼합시키며, 플록(floc)의 크기를 부상에 적절한 크기로 성장시킨다.
상기 "플록(floc)"이란 원수 내 현탁 물질이나 유기물, 미생물 등의 미립자를 응집제로 응집시킨 큰 덩어리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0.1㎛ 이상의 입자가 응집한 집합물을 가리킨다. 여과나 침전을 통해 제거할 수 없는 작은 크기나 밀도를 갖는 플록의 경우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여 수면 위로 부상시켜 제거하게 된다.
응집조(10)에서 생성 및 성장된 플록은 접촉조(20)로 유입되며 저부에서 생성되는 미세 기포와 충돌 및 결합하여 부상하게 되고, 분리조(30)에서 스컴(scum) 제거장치, 스크레이퍼(scraper) 등을 통하여 제거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분리조의 물 표면에 떠서 슬러지를 제거하는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일 수도 있고, 수압 타입(hydraulic type)일 수도 있고, 기계식 타입일 수도 있다.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는 용존 순환수를 공급하기 위한 순환수 공급 펌프 및 용존 순환수를 접촉조에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 노즐 및 헤더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집조(10)와 접촉조(20)는 제 3 격벽(w3)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접촉조(20)와 분리조(30)는 제 4 격벽(w4)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격벽의 수나 순서는 필요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바 스크린 또는 이동 밴드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 기자재 비용 및 운영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지상에서 해수 담수화 플랜트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 구성에 포함되었던 스크린 등이 수행하던 여과 기능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수탑(101)에 포함되는 스크린이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취수탑(101)은 스크린, 바람직하게는 존슨 스크린(Johnson screen)을 포함하거나, 존슨 스크린의 형태로 제작되어 취수탑에서부터 미리 물고기와 같은 해양 생물 및 이물질을 걸러낸다. 따라서, 저수조(110) 내에 별도의 밴드 스크린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저수조(110) 내에서 바로 용존 공기 부상법을 활용하여 해수를 정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115)가 지하에 설치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와는 달리,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취수탑(101)에서 해수를 유입시켜 도관을 통해 저수조(110)에 해수가 공급된다. 공급된 해수는 교반기에 의해 공기 포화 장치(saturator; 114) 쪽으로 이동하고, 공기 포화 장치(114)에 의해 발생된 미세 기포에 불순물이 부착되어 물과 공기가 접하고 있는 수면(Water Line, WL)까지 부유하게 된다. 또한, 공기 포화 장치(114) 하류에는 여재(Filter medium), 바람직하게는 섬유볼 여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해수가 다공질 재료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가 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해수는 1차적으로 정화된 상태로 해수 공급 펌프(SSP)에 의해 후속 공정 설비로 공급된다.
도 2에서 설명한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 덧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제 4 격벽(w4)과 제 5 격벽(w5) 사이에 여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4 격벽(w4)은 바닥에만 붙어 있고, 제 5 격벽(w5)은 상부에만 붙어 있으므로, 제 4 격벽(w4)을 넘어 흘러온 해수는 펌프들의 작용에 의해 섬유볼 여재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한다. 이렇게 해수가 섬유볼 여재를 통과함으로써 여과 효과는 더욱 강해진다. 여과된 해수는 제 6 격벽(w6)의 상부를 넘어 해수 공급 펌프에 의해 해수 취수 장치의 출구로 끌어올려진다.
도 3에서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저수조(110)는 그 안에 바 스크린 또는 이동 밴드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용존 공기 부상 장치 및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 기자재 비용 및 운영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지상에서 해수 담수화 플랜트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가 지하에 설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후속 공정 설비인 한외여과 장치(120) 및 역삼투 장치(130)는 저수조(110)가 매립된 바로 위에 설치된다. 즉, 해수 취수 장치가 포함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저수조(110)가 차지하는 면적과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이 실시예에 의한 구성으로, 플랜트 설치 면적을 더욱 줄임으로써 부지가 협소한 지역에도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설치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후속 공정 설비인 한외여과 장치(120) 및 역삼투 장치(130)는 저수조(110)가 매립된 바로 위에 설치되므로, 플랜트 설치 면적을 더욱 줄임으로써 부지가 협소한 지역에도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설치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섬유볼 여재가 지하에 설치되고, 후속 공정 설비로서 한외여과 장치가 제외되고 역삼투 장치만을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저탁도의 깨끗한 해수가 모여드는 지역의 경우, 한외여과 장치를 생략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바다 속에 위치되고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 1 여과부를 포함하는 취수탑, 공기 포화 장치를 포함하여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 및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 의해 정화된 해수를 한번 더 여과시키는 제 2 여과부, 및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에 의해 정화된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역삼투 장치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취수탑으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정화된 해수를 상기 제 2 여과부로 보내는 유출구를 갖는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하류에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격벽이 위치되고, 상기 제 1 격벽 하류에는 제 1 교반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교반기 하류에 수면(WL)보다 약간 아래까지 연장되는 제 2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 하류에 제 2 교반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교반기의 하류에는 저장조의 상부에서부터 하향으로 저장조의 바닥과 만나지 않도록 연장하는 제 3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격벽의 하류에 상기 공기 포화 장치가 위치되고, 상기 공기 포화 장치의 하류에는 미세 기포에 부착되어 부유하는 물질이 하류로 임의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제 4 격벽이 위치되고, 상기 제 4 격벽 하류에는 해수 공급 펌프가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로 정화된 해수를 제 2 여과부로 펌핑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제 2 여과부, 및 역삼투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하에 설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지하에 설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내의 수면 위로 공기 저장 공간을 포함하도록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상부가 해수면보다 높은, 해수 담수화 플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과부는 존슨 스크린(Johnson screen)인, 해수 담수화 플랜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부는 한외여과(ultrafiltration) 장치 또는 이중 여재 필터인, 해수 담수화 플랜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탑,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 상기 제 2 여과부, 및 상기 역삼투 장치는 해수의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취수탑부터 차례대로 하류에 위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추가 여과부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여과부는 섬유볼 여재인, 해수 담수화 플랜트.
  10.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부 및 상기 역삼투 장치는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11. 바다 속에 위치되고 이물질을 여과하여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탑 및 취수된 해수가 도관을 통하여 바로 유입되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를 포함하는 해수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플록(floc)을 형성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 다음에 위치되고 공기 포화기의 노즐을 통해 미세 기포가 유입되는 접촉조, 및 상기 접촉조 다음에 위치되고 상기 플록에 상기 미세 기포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플록이 수면으로 부상되어 제거되는 분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지하에 설치되는, 해수 전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는 상기 취수탑과 상기 도관으로 직접 연결되는, 해수 전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 접촉조, 및 분리조는 부분 개방된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해수 전처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 공기 부상 장치는 상기 분리조에 불순물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해수 전처리 장치.
KR1020160103617A 2016-08-16 2016-08-16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KR20180019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17A KR20180019362A (ko) 2016-08-16 2016-08-16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17A KR20180019362A (ko) 2016-08-16 2016-08-16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62A true KR20180019362A (ko) 2018-02-26

Family

ID=6153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17A KR20180019362A (ko) 2016-08-16 2016-08-16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793A (zh) * 2018-03-14 2021-08-06 曾碧阳 一种大型蒸馏海水淡化设备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793A (zh) * 2018-03-14 2021-08-06 曾碧阳 一种大型蒸馏海水淡化设备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864B2 (en) Dissolved 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KR100901922B1 (ko) 해수 담수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전처리 장치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SE503468C2 (sv) Förfarande för rening av en vätska från fasta och upplösta föroreningar med ett flotationsuppklarnings- flockningsförfarande
RU2426696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10049543A (ko)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CN108379885A (zh) 一种污水沉淀池及其复合流自清的方法
US6358407B1 (en) High turbidity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CN105129969B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EP0626932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KR101774866B1 (ko)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방법
KR20180019362A (ko)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KR101591791B1 (ko) 재이용수 처리 방법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N108164038A (zh) 一种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CN108083507A (zh) 一种集成式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RU2547498C1 (ru)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й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KR20140093378A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CN210710975U (zh) 一种斜板-气浮泥水分离池
KR102026130B1 (ko)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CN207330627U (zh) 造纸废水处理系统
CN206244612U (zh) 新型地埋式污水处理装置
JPH02152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