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952A -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952A
KR20010064952A KR1019990059393A KR19990059393A KR20010064952A KR 20010064952 A KR20010064952 A KR 20010064952A KR 1019990059393 A KR1019990059393 A KR 1019990059393A KR 19990059393 A KR19990059393 A KR 19990059393A KR 20010064952 A KR20010064952 A KR 2001006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ing
density polyethylene
layer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조병천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유승렬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렬,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승렬
Priority to KR101999005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952A/ko
Publication of KR2001006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융지수(Melt Index)가 0.2∼7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용융지수가 0.04∼3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산화티타늄 0∼2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0∼30중량부, 폴리스티렌 0∼30중량부, 및 무기물 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의 인쇄용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은 플라스틱 재생시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쇄성 및 도모성, 은폐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성형방법{Polyethylene compound composition for printing and method for forming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재생시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쇄성 및 도모성, 은폐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재료로 자리잡은 것이 플라스틱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폴리에틸렌이다. 샴프 용기, 세제 용기, 우유 용기 등 대부분의 플라스틱 용기들이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현재플라스틱병 등의 용기에 부착시켜 내용물의 표시에 사용되는 라벨이나 스티커는 종이 재질이거나 플라스틱 합성지의 표면에 인쇄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종이 재질로 된 라벨이나 스티커는 찢어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물에 접촉하면 쉽게 박리가 일어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이 재질로 된 라벨이나 스티커가 부착된 플라스틱 용기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종이 재질의 라벨이나 스티커를 제거한 후 재생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폐플라스틱 처리가 점차 사회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어 플라스틱 용기의 회수 및 재생에 중점을 둔 법안 제정 등이 국가 정책의 기본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 라벨이나 스티커를 만들어 부착된 상태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최선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개발된 플라스틱 라벨이나 스티커의 대표적인 것은 일본의 왕자 유화합성(주)에서 개발한 기술(일본 특개소 64-81829호)로 일명 "합성지"라 알려진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무기물을 과량 혼입한 후 연신시켜 제조한 인쇄용 플라스틱 필름이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지는 고가이며 재질 또한 폴리프로필렌이므로 플라스틱 용기 재질의 대부분이 폴리에틸렌인 점을 감안하면 동일 재질을 추구하는 정부 정책에도 부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 재질의 라벨이나 스티커 제조 기술은 거의 없어 일본 특개평 3-258882호의 폴리에틸렌, 가교연신필름 기술과 국제공개특허 WO93/17411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층 구조의 인-몰드 필름 제조기술이 보고되고 있는 정도이다. 그러나, 일본 특개평 3-258882호의 경우 가교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가교 공정이 추가됨은 물론 플라스틱 용기 재생시 가교로 인한 재생 플라스틱의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국제공개특허 WO93/17411호에서는 인-몰드 필름 기술로 플라스틱 용기 생산시 생겨날 수 있는 스크랩을 재생하기 위해 층간 박리가 가능한 다층 구조의 필름으로 복잡하게 디자인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성 및 도모성, 은폐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하고, 플라스틱용기의 재생시 물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지수(Melt Index)가 0.2∼7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용융지수가 0.04∼3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산화티타늄 0∼2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0∼30중량부, 폴리스티렌 0∼30중량부, 및 무기물 0∼3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성형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용융, 압출시켜 펠렛으로 제조한 다음, 단층 또는 다층 블로운 필름기를 사용하여 인쇄용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을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층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된 인쇄용 폴리에틸렌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삼층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된 인쇄용 폴리에틸렌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D D1238)가 0.2∼7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3이다. 이때, 용융지수가 0.2 미만이면 인쇄용 필름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7을 초과하면 필름 생산시 가공성이 떨어진다. 또한, 그 사용량은 5∼95중량부가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이면 필름 가공성이 저하되고, 95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쇄용 필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0.04∼33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7∼20이다. 이때, 용융지수가 0.04 미만이면 인쇄용 필름의 성능이 저하되고, 33을 초과하면 필름의 가공성이 저하된다. 또한, 그 사용량은 5∼95중량부가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이면 인쇄용 필름의 성능이 저하되고, 95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 티타늄은 아나타제(Anatase)형(이하 "A-형"이라 함)이나 루타일(Rutile)형(이하 "R-형"이라 함) 산화 티타늄으로 마스타 배치를 구입하여 사용했고, 그 사용량은 0∼2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은폐력은 우수해지나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스티렌은 강성(Stiffness) 보강재로 사용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0∼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강성이 지나치게 커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스티렌은 일반적인 상업생산 제품들을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이나 내충격성 폴리스틸렌(HIPS)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0∼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모성과 인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 무기물로는 탈크, 또는 탄산칼슘 등을 사용하고, 그 사용량은 0∼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가공성 및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폴리에틸렌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산화티타늄, 강성 보강재, 무기물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믹서(Mixer)에서 용융, 혼합시키거나 단축압출기 또는 이축압출기를 이용해 각각의 성분을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으로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펠렛을 단층 블로운 필름기나 이층 블로운 필름기, 삼층 블로운 필름기에 넣고 용융시켜 인쇄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조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층블로운 필름기 또는 삼층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된 인쇄용 폴리에틸렌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드라이 블렌딩(Dry Blending)하여 사용하거나 용융 불렌딩(Melt Blending)하여 사용한다. A-형 또는 R-형 산화티타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하여 62중량% 함유된 마스타배치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탄산칼슘과 탈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50중량%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세부 성분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단층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인쇄용 필름의 조성
1-1 1-2 1-3 1-4 1-5 1-6 1-7
폴리에틸렌 수지(kg)
저밀도 폴리에틸렌 3 4 5 6 7 8 9
고밀도 폴리에틸렌 7 6 5 4 3 2 1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1 1 1 1
강성 보강재(kg)
폴리프로필렌 1
폴리스틸렌 1 2 2
무기물 마스타 배치(kg)
탄산칼슘 2 4 4
탈 크 2 4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재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조성물의 용융점도를 향상시켜 필름 가공성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3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1.0, d=0.952) 7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압출온도 180℃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 혼련시키면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 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80∼120㎛이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인쇄용 필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찢김성이 양호해 인쇄시 도모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한 후 압출기 온도 190℃,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을 압출온도 145℃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시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 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110㎛이었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의 강성 보강 기능 및 도모성 향상을 위해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탄산칼슘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50% 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2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 혼련시키면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110㎛이었다.
실시예 1-4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재로 폴리프로필렌, 도모성 향상 무기물로 탈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탈크(한중자원공사 KCM 6300)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하여 50% 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6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3, d=0.950) 4kg, 임팩트 폴리프로필렌(MI=16) 1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탈크 마스타 배치2kg을 압출기 온도 200℃,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유지되는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을 압출온도 170℃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시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100㎛이었다.
실시예 1-5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 및 도모성 향상을 위해 탄산칼슘을 과량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7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3, d=0.950) 3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4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혼련시키면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90㎛이었다.
실시예 1-6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재로 폴리스티렌을 과량 사용하고 도모성 향상을 위한 무기물로 탄산칼슘을 과량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MI=2.8 d=0.925) 8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3, d=0.950) 2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2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4kg을 드라이 블렌딩한후 압출기 온도 190℃,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유지되는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을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시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90㎛이었다.
실시예 1-7
본 실시예에서는 도모성 향상을 위해 무기물로 탈크를 과량 사용하고 MI가 높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MI=7, d=0.918)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3, d=0.950) 1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BASF, Polystyrol 158K) 2kg, 탈크 마스타 배치 4kg을 압출기 온도 200℃, 스크류 속도 200rpm으로 유지되는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가공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을 압출온도 145℃로 유지되는 단층 블로운 필름기에서 용융시켜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 두께는 약 110㎛이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용 필름 인쇄층의 광택 증가와 인쇄성 향상을 위해 인쇄층과 내층의 수지 조성물을 상이하게 디자인 하고자 이층 블로운 필름기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하거나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하여 사용했다. 산화티타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A-형 또는 R-형 산화티타늄이 62중량% 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구입하여 사용했다. 탄산칼슘과 탈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각각이 50중량% 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의 세부 조성비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층 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된 인쇄용 필름의 조성
2-1 2-2 2-3 2-4 2-5 2-6 2-7 2-8 2-9
인쇄면층(5-40㎛) 폴리에틸렌 수지(kg)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10 10 9 9 9 7 4 2
고밀도 폴리에틸렌 1 1 1 3 6 8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1 1
무기물 마스타 배치(kg)
탄산칼슘 1
탈크 1
내층(50-100㎛) 폴리에틸렌 수지(kg)
저밀도 폴리에틸렌 3 3 4 4 5 5 4 4 5
고밀도 폴리에틸렌 7 7 6 6 5 5 6 6 5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1 1 1 1 1 1
강성 보강재(kg)
폴리프로필렌 1
폴리스틸렌 1 1 1 1
무기물(kg)
탄산칼슘 1 2 1
탈 크 2
실시예 2-1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쇄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 만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7, d=0.918)만을 사용하고 내층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3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7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45℃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수지들을 각각 투입하여 용융 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20㎛이고 내층이 90㎛이었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에서는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층에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를 사용하고 내층에는 강성 보강재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10kg과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3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7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1kg, 폴리스틸렌(효성 BASF, Polystyrol , 158K)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수지들을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25㎛이고 내층이 75㎛이었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쇄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사용하고 내층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만을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1kg, 폴리프로필렌(MI=16)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15㎛이고 내층이 85㎛이었다.
실시예 2-4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강성을 보강하고 인쇄성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1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해서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해서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15㎛이고 내층이 80㎛이었다.
실시예 2-5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인쇄성 향상과 내층의 강성 보강 및 도모성 향상을 위해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MI=30, d=0.963)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3)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2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10㎛이고 내층이 80㎛이었다.
실시예 2-6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층 및 내층의 강성 및 도모성 향상을 위해 탈크와 폴리스티렌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3) 1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탈크 마스타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1kg, 탈크 마스타 배치 2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10㎛이고 내층이 75㎛이었다.
실시예 2-7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층의 강성(Stiffness)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을 증가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7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1) 3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K)1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면 또는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15㎛이고 내층이 75㎛이었다.
실시예 2-8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강성(Stiffness)및 도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을 더 크게 증가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이층 블로운 필름기의 두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45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 면 또는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30㎛이고 내층이 80㎛이었다.
실시예 2-9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층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광택도 향상시키기 위해 MI가 낮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2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1.0, d=0.952) 8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두개의 압출기로 이루어진 이층 블로운 필름기를 사용해 필름을 제조했는데 이 때 상기 인쇄층 수지가 투입되는 압출기의 온도는 175℃를 유지했고, 내층 수지가 투입되는 압출기의 온도는 160℃를 유지하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한 면 또는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이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30㎛이었고 내층이 70㎛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용 필름의 광택 및 인쇄성 향상은 물론 컬링(Curling) 방지에 의한 후가공성 향상을 위해 삼층 블로운 필름기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하거나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하여 사용했다. 산화티타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산화티타늄이 62%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구입하여 사용했다. 탄산칼슘과 탈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 수지로 하여 각각이 50%함유된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여 사용했다. 실시예 3의 세부 조성물을 하기 표 3에 기재했다.
조성물 실시예 3-1 3-2 3-3 3-4 3-5 3-6 3-7 3-8 3-9
인쇄용(5~50㎛) 폴리에틸렌(kg)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10 9 8 6 4 3 1 10
고밀도 폴리에틸렌 1 2 4 6 7 9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무기물 마스타 배치(kg)
탄산칼슘 1 2
탈크 1
내층(10~100㎛) 폴리에틸렌 수지(kg)
저밀도 폴리에틸렌 5 4 4 3 4 4 5 4 4
고밀도 폴리에틸렌 5 6 6 7 6 6 5 6 6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1 1 1 1 1 1
강성 보강재(kg)
폴리프로필렌 1
폴리스틸렌 1 1
무기물 마스타 배치(kg) 1
탄산칼슘
탈크 2
접착층(5~50㎛) 폴리에틸렌 수지(kg)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10 9 8 6 4 3 1
고밀도 폴리에틸렌 1 2 4 6 7 9 10
TiO₂마스타 배치(kg) 1 1 1 1 1
강성 보강재(kg)
폴리프로필렌 1
폴리스틸렌 1
무기물 마스타 배치(kg)
탄산칼슘 1 2
탈크 2
실시예 3-1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인쇄성 및 광택향상을 위해 인쇄층과 접착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만을 사용했다. 내층용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MI=20, d=0.961)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15㎛이고, 내층이 약 80㎛이며, 접착층이 약 15㎛이었다.
실시예 3-2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인쇄성 향상을 위해 산화티타늄과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10kg과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3)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10kg과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프로필렌 (MI=16) 1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20㎛이고, 내층이 약 60㎛, 접착층이 약 20㎛이었다.
실시예 3-3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인쇄면의 광택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강성(Stiffness)을 높이기 위해 인쇄층과 접착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소량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4, d=0.925)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0, d=0.961) 1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탈크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4, d=0.925) 9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30, d=0.961) 1kg, 탈크 마스타 배치 2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10㎛이고, 내층이 약 80㎛, 접착층이 약 20㎛이었다.
실시예 3-4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층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비를 증가시키고 강성 보강재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2.8, d=0.925) 8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2kg, 탈크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3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7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프로필렌(MI=16) 1kg을 압출온도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MI=2.8, d=0.925) 8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2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20㎛이고, 내층이 약 70㎛이며, 접착층이 약 20㎛이었다.
실시예 3-5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층과 접착층에 폴리스티렌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6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d=0.963) 4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티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3)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 BASF, Polystyrol, 158K) 1kg을 압출온도 20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6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7.5, d=0.963) 4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 폴리스티렌(효성BASF, Polystyrol, 158K) 1kg을 압출온도 20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5℃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30㎛이고, 내층이 약 50㎛이며, 접착층이 약 30㎛이었다.
실시예 3-6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내층과 접착층의 수지 조성을 같게 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을 압출온도 18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내층용과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압출온도 18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45℃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30㎛이고, 내층이 약 40㎛이며, 접착층이 약 30㎛이었다.
실시예 3-7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생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내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비를 증가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3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MI=7.5, d=0.963) 7kg, 탄산칼슘 마스타 배치 2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5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20) 5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5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20㎛이고, 내층이 약 60㎛이며, 접착층이 약 20㎛이었다.
실시예 3-8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에 용융지수(M.I.)가 낮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고함량으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1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0.04, d=0.956) 9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용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1.0, d=0.952)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85℃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15㎛이고, 내층이 약 60㎛이며, 접착층이 약 15㎛이었다.
실시예 3-9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쇄용 필름의 강성(Stiffness) 및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인쇄층과 접착층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MI=1.0, d=0.952) 10kg과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내층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MI=1.2, d=0.920) 4kg과 고밀도 폴리에틸렌(MI=20, d=0.961) 6kg, 산화티타늄 마스타 배치 1kg을 드라이 블렌딩하여 사용했다. 압출온도 160℃로 유지되는 삼층 블로운 필름기의 세 개의 압출기에 상기의 인쇄층 수지와 내층, 접착층 수지를 각각 투입하여 용융 혼련시키면서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면서 50dynes/cm의 세기로 필름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재질의 인쇄용 필름을 제조했다. 각 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약 20㎛이고, 내층이 약 60㎛이며, 접착층이 약 20㎛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은 플라스틱 재생시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고 인쇄성 및 도모성, 은폐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융지수(Melt Index)가 0.2∼7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용융지수가 0.04∼3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5∼95중량부, 산화티타늄 0∼2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0∼30중량부, 폴리스티렌 0∼30중량부, 및 무기물 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형 또는 루타일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은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 또는 내충격성 폴리스틸렌(HIPS)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용융, 압출시켜 펠렛으로 제조한 다음, 단층 또는 다층 블로운 필름기를 사용하여 인쇄용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
KR1019990059393A 1999-12-20 1999-12-20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KR20010064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93A KR20010064952A (ko) 1999-12-20 1999-12-20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93A KR20010064952A (ko) 1999-12-20 1999-12-20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52A true KR20010064952A (ko) 2001-07-11

Family

ID=1962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393A KR20010064952A (ko) 1999-12-20 1999-12-20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9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5879A (zh) * 2020-12-31 2022-07-01 上海昶法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层塑料、原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5879A (zh) * 2020-12-31 2022-07-01 上海昶法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层塑料、原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85879B (zh) * 2020-12-31 2024-02-09 上海昶法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层塑料、原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1283A (en) Method of making a uniaxially oriented label film with compatibilizer
EP0470760B1 (en) Composite plastics film or sheet
US20220282037A1 (en) High-barrier biodegradable Doypac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H0985824A (ja) エンボス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EP1118452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three layers co-extrusio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 My m
KR100831377B1 (ko) 친환경 다층 플라스틱 봉투 및 그 제조방법
JPH0220417B2 (ko)
JP2001232682A (ja) 型内貼りラベル用の三層共押出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パール光沢合成紙及び透明膜の製造方法
US6025058A (en) Composite plastics film or sheet
CN104943308A (zh) 一种聚丙烯合成纸及其生产方法
US20080233413A1 (en) Polypropylene films employing recycled commercially used polypropylene based films and labels
JP3912556B2 (ja)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58573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20010064952A (ko) 인쇄용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성형방법
CN112848588B (zh) 抗介质低迁移的易撕聚烯烃膜、制备方法、易撕包装结构
JPH05125232A (ja) リグラインド品の製造方法
KR101307004B1 (ko) 블로우 성형 인몰드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757688B2 (ja) 多層ブロー容器
EP2094482B1 (en) Labels
CN109719858B (zh) 一种多层功能性共挤膜的回收方法
JP200506839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874909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押し出し成形積層体
KR100263021B1 (ko) 폴리프로필렌 합성지 및 그 제조방법
KR950010585B1 (ko) 3층구조로 된 합성수지필름
JP463606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