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459A -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459A
KR20010062459A KR1020000076884A KR20000076884A KR20010062459A KR 20010062459 A KR20010062459 A KR 20010062459A KR 1020000076884 A KR1020000076884 A KR 1020000076884A KR 20000076884 A KR20000076884 A KR 20000076884A KR 20010062459 A KR20010062459 A KR 20010062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lamp
electrical connector
protective hous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593B1 (ko
Inventor
펭거스테판
쇼엔펠드미카엘
칼하머하네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6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심선(core)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전기적 결합을 위하여 소켓 부분과 플러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locking element)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 부분에 배열되는 고정부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플러그 부분에 배열된 고정 클램프(locking clamp)를 고정부재에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WITH AT LEAST ONE LOCKING ELEMEN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심선(core)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전기적 결합을 위하여 소켓 부분과 플러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locking element)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 부분에 배열되는 고정부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플러그 부분에 배열된 고정 클램프(locking clamp)를 고정부재에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DE 제39 32 709호)에는 플러그 부분이 본래의 플러그 상에 고정되어 있고, 플러그와 결합된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경우에 고정 클램프의 삽입 방향으로의 자유 단부(free end)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에 포함되는 고정 클램프는 삽입된 상태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된 고정 노우즈에 맞물리게 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클립형태의 고정 클램프는 네트워크용 케이블, 특히 이서넷 커넥터(ethernet connector)에도 사용된다.
특히 종래 방식에 따른 고정 클램프는, 정확하게 삽입 방향으로 가해지지 않고 고정 클램프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가해질 경우 플러그 부분에 형성된 고정 클램프의 결합 기능은 손상되어 플러그 부분과 소켓 부분 사이의 안전한 결합을 구축하는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으므로 이 고정 클램프는 삽입된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클립 형태로 형성된 고정 클램프는 이 고정 클램프의 휨(bending) 길이가 길어 적은 힘으로도 커넥터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또한 고정 클램프의 강도와 플러그 결합의 결합력은 온도(점진적인 변형, creeping)나 인장력(고정 클램프를 작동하지 않고 소켓 부분에서 플러그 부분을 무리한 힘으로 당기는 것)의 영향 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장력 또는 압착력으로서의 횡력이 플러그 부분 또는 소켓 부분 또는 고정 클램프에 가해질 경우에도 고정부재의 고정 클램프가 자신의 기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플러그 부분과 소켓 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추구되는 원리는 특히 고정 클램프를 거의 완전하게 감싸는 장치를 통해 고정 클램프를 손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래의 고정 결합에서 발생하는 힘을 다른 부위로 전달시키는 리밋스톱 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과제는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클램프가 보호하우징 내에 배열되도록 고정 클램프를 U-자 형태로 감싸는 보호하우징을 소켓 부분에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고정부재의 고정 클램프가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클램프를 U-자형으로 감싸는, 소켓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호벽을 통해 가능하다. 상기 U-자형 구조물의 개구부는 삽입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 부분이 소켓 부분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에 고정 클램프가 상기 U-자형 구조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특히 고정 클램프를 작동하지 않고 소켓 부분에서 플러그 부분을 무리한 힘으로 당기는 경우에 고정 클램프를 보호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외에도 특히 삽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에 고정 클램프의 휨 장력(bending tension)을 고정 클램프에서 다른 부위로 전달시키고 따라서 고정 클램프의 손상과 전체 고정 결합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와 도면 그리고 특허청구항을 통해 설명된다.
도 1은 삽입된 상태의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면 II를 따라 절단한 소켓 부분 및 플러그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형 커넥터 2: 고정부재
3: 플러그 부분 4: 소켓 부분
5: 개구부 6: 삽입 방향
7a,7b: 세로면 8: 고정 클램프(locking clamp)
9: 자유 단부(free end) 10: 보호하우징
11: 개구부 12: 고정 노우즈
13: 홈(recess) 14,17: 정지면
16,18: 면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2)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는 소켓 부분(4)과 플러그 부분(3)으로 이루어지며, 소켓 부분(4)에는 플러그 부분이(3) 삽입방향(6)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5)가 포함되어 있다. 소켓 부분(4) 또는 플러그 부분(3)의 자유 단부에는 여러 개의 심선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가 배열되는데, 이 심선은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플러그 부분(3)의 양쪽 세로면(7a,7b)에는 고정부재(2)의 일부로서 각각 한 개의 고정 클램프(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클램프(8)는 클립의 형태로 플러그 부분(3)의 양쪽 세로면(7a,7b)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의 자유 단부(9)는 삽입방향(6)을 향한다. 화살표(6) 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에 플러그 부분(3)은 소켓 부분(4)의 개구부(5)의 안쪽으로 활주하며 이와 동시에 클립형태의 고정 클램프(8)는 소켓 부분(4)의 측면에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으로 활주한다. U-자형으로 형성된 보호하우징(10)의 개구부(11)도 삽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고정 클램프(8)는 삽입과정 중에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보호하우징(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과정이 종료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2) 중 고정 클램프(8)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홈(13)이 소켓 부분(4)에 형성된 고정 노우즈(12)와 맞물리면서 고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켓 부분(4)과 플러그 부분(3)의 본래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고정 클램프(8) 자체는 상기 실시예에서 소켓 부분(4)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U-자형의 보호하우징(10)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둘러싸여져 있어 구축된 결합을 분리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직접적인 횡력(lateral force)이 고정 클램프(8)에는 가해질 수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는 보호하우징(10)에 추가적으로 정지면(stopping face)(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안내레일의 형태로 고정 클램프(8)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된 상태에서 정지면(14)과 고정 클램프(8)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존재하게 되므로 플러그 부분(3)을 소켓 부분(4)으로 삽입하는 과정 중에 마찰로 인한 마모가 일어나지 않는다.
도 2의 화살표(15)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1)의 삽입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정 클램프(8)의 면(16)이 정지면(14)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횡력이 직접 보호하우징(10)에 전달이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전체 횡력이 고정 클램프(8)에 직접 가해짐에 의해서 이 고정 클램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이유에서 또 다른 정지면(17)이 형성된다. 이 정지면(17)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종단(longitudinal)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화살표(19)를 통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단력(longitudinal force)이 가해질 경우에 이 정지면(17)은 동일하게 고정 클램프(8)의 종단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른 면(18)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 클램프(8)의 자유 단부(9)가 보호하우징(10)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고정 클램프(8)의 클립형태의 구조물이 고정 노우즈(12)에서 분리되어 원치 않게 고정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런 해결방안을 통해서 여기에 작용하는 종단력이 고정 클램프(8)에서 보호하우징(10)으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다단계형의 정지면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2)를 통해 이루어지는 고정 결합은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상응하는 보호하우징(10)이 형성되어 있어 매우 견고하다. 따라서 고정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온도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이외에도 특히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클램프(8)와 고정부재(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 클램프(8) 또는 고정부재(2)의 클립형 구조물의 모든 장점이 계속 유지된다.

Claims (4)

  1. 여러 개의 심선(core)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전기적 결합을 위하여 소켓 부분(4)과 플러그 부분(3)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locking element)(2)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 부분(4)에 배열되는 고정부재(2)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플러그 부분(3)에 배열된 고정 클램프(locking clamp)(8)를 고정부재(2)에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클램프(8)가 보호하우징(10) 내부에 배열되도록 상기 고정 클램프(8)를 거의 U-자 형태로 감싸는 보호하우징(10)을 소켓 부분(4)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보호하우징(10)과 소켓 부분(4)이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호하우징(10)에 정지면(stopping face)(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지면(14)은 고정 클램프(8)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정지면(14)은 플러그형 커넥터(1)에 작용하는 힘이 존재할 경우 마찬가지로 고정 클램프(8)의 종단 방향으로 형성된 면(16)과 삽입 방향(6)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하우징(10)에 또 다른 정지면(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지면(17)은 고정 클램프(8)의 종단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정지면(17)은 플러그형 커넥터(1)에 종단 방향의 힘이 가해질 경우 마찬가지로 고정 클램프(8)의 종단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형성된 면(18)과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1020000076884A 1999-12-18 2000-12-15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100848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22261.6 1999-12-18
DE29922261U DE29922261U1 (de) 1999-12-18 1999-12-18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mindestens einem Rast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59A true KR20010062459A (ko) 2001-07-07
KR100848593B1 KR100848593B1 (ko) 2008-07-28

Family

ID=808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84A KR100848593B1 (ko) 1999-12-18 2000-12-15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12714A1 (ko)
JP (1) JP3078317U (ko)
KR (1) KR100848593B1 (ko)
DE (1) DE29922261U1 (ko)
IT (1) IT2503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47B1 (ko) * 2005-05-26 2007-01-04 주식회사 씨티씨 커넥터
KR100723063B1 (ko) * 2006-04-21 2007-05-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와 리어홀더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756B2 (ja) * 1991-03-28 1999-12-27 三井化学株式会社 接着性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3041314B2 (ja) * 1991-03-28 2000-05-15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体組成物
KR100955299B1 (ko) 2008-03-31 2010-04-3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터커넥팅 장치
JP2012150913A (ja) * 2011-01-17 2012-08-09 Yazaki Corp 電線ホルダ、及び、この電線ホルダの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2709A1 (de) * 1989-09-29 1991-04-18 Rose Walter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47B1 (ko) * 2005-05-26 2007-01-04 주식회사 씨티씨 커넥터
KR100723063B1 (ko) * 2006-04-21 2007-05-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와 리어홀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2714A1 (en) 2001-08-09
DE29922261U1 (de) 2001-04-19
ITMI20000698U1 (it) 2002-06-14
KR100848593B1 (ko) 2008-07-28
IT250389Y1 (it) 2003-09-10
JP3078317U (ja) 2001-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2672B1 (en) Dual-function dust cover for fiber optic connector
JP5273916B2 (ja) 接続装置
US6840795B1 (en) Connector
KR20020087965A (ko) 광섬유플러그접속부용 이중접속부
JP5401090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及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接続方法
EP0175788A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OPTICAL FIBERS.
US20150338581A1 (en) Optical Connector
JP2006190685A (ja) パネル取付け用電気コネクタ
CN1094656C (zh) 光纤放大器的封装装置
CA2146201C (en) Plug connector in which the cables are led out at an angle and with a releasable secondary lock
US6741783B2 (en) Optical cable adapter or connector
JP2017517857A (ja) ケーブルの緊張緩和装置
KR100848593B1 (ko) 적어도 한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20200138357A (ko) 플러그 장치
KR20140016817A (ko) 전기 단자
JPS646441B2 (ko)
ATE338286T1 (de) Hermaphroditische steckersysteme
US5742719A (en) Fastening device for light waveguides
KR102107776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US4818057A (en) An apparatus for fixing light waveguide cables in a plug housing
US4799758A (en) Adaptor for a light waveguide plug connector
CN110542953A (zh) 一种光纤连接器的密封系统
JP3332642B2 (ja) 光コネクタ
CN110888198A (zh) 光纤衰减器
JP3198145B2 (ja) 多段積層型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02

Effective date: 200805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