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367A -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367A
KR20010062367A KR1020000075853A KR20000075853A KR20010062367A KR 20010062367 A KR20010062367 A KR 20010062367A KR 1020000075853 A KR1020000075853 A KR 1020000075853A KR 20000075853 A KR20000075853 A KR 20000075853A KR 20010062367 A KR20010062367 A KR 2001006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eat exchanger
cladding
percent
magne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머칭나젠드라나라야나
에반스티모시반
Original Assignee
레슬리 씨. 호지스
비스테온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슬리 씨. 호지스, 비스테온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레슬리 씨. 호지스
Publication of KR2001006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23K1/203Fluxing, i.e. applying flux on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01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 B23K35/002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at least one of the workpieces being of ligh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3Halide salts
    • B23K35/3605Fluor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64Next to Al-bas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관, 알루미늄계 클래딩 및 그 클래딩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위 분위기에서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클래딩과 그 요소 사이의 연결부에 납땜 플럭스가 입혀진다.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은 관으로부터 마그네슘의 확산에 대해 효과적인 장벽을 형성하도록 관과 클래딩 사이에 배치되어 주위 분위기로부터 산소를 충분히 제거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HEAT EXCHANGER ASSEMBLY WITH MAGNESIUM BARRIER}
본 발명은 분위기 가스 납땜(controlled atmosphere brazing; CAB)에 의해제조된 차량용의 개선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자동차들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응축기, 증발기, 히터 코어 및 냉각기와 같은 열교환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들은 교대로 배열된 관들 또는 판들을 포함한다. 종종, 열교환기는 관들의 외부면에 납땜된 컨벌류트 핀들과, 그 내부면에 납땜되고 관들 내에 배치된 난류기들을 포함한다. 핀 및 난류기를 튜브 표면에 납땜하는 한가지 방법은 진공로에 의하는 것이다. 또한, "분위기 가스 납땜"(CAB)으로 알려진 공정이 이용된다.
분위기 가스 납땜로에 의한 납땜은 진공로 납땜보다 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조 수율이 개선되고 노 유지 조건이 낮으며 더욱 확실한 납땜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요소가 공기에 노출될 때, 그 표면 층은 산화되고 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한다. 열교환기들이 천연 산화알루미늄 층을 줄이기 위해 알칼리 세척액으로 예비 세척될지라도, 열교환기의 표면은 노에 사용되는 질소 가스 내의 산소 및 수증기의 존재로 인해 분위기 가스 납땜로 내에서 재산화된다. 알루미늄 요소들을 함께 납땜하기 위해, 적합한 연결부의 형성을 방해하는 산화알루미늄을 파괴하도록 관과 관에 접합되는 어떤 요소 사이의 연결부에는 플럭스가 제공된다. 분위기 가스 납땜로 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플럭스는 NOCOLOKTM(등록상표)(종종 "KALF"로 명명되는 플루오알루미네이트 칼륨)이다.
마그네슘은 알루미늄계 관 또는 코어 재료 내에서 그 강도 및 부식 저항을 개선시키기 위해 공통으로 포함된다. 또한, 마그네슘은 코어 재료 상에 배치된 알루미늄 합금 클래딩 내에 포함된다. 1995년 6월 6일에 차일드리(Childr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22,191호는 납땜 연결부의 포스트 납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마그네슘 외에도 리튬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클래딩 재료를 개시한다. 차일드리는 분위기 가스 납땜 공정을 위해 NOCOLOKTM(등록상표) 플럭스가 사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1998년 6월 30일에 에반스(Evans) 등에게 허여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미국 특허 제5,771,962호는 표준 KALF 플럭스가 바람직하게는 높은 수준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코어 및 클래드 재료보다 덜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에반스 등은 NOCOLOKTM(등록상표)과 같은 알루미늄 플럭스 내에 플루오르화 리튬, 플루오르화 세슘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변형된 알루미늄 납땜 플럭스를 개시하고 있다. 에반스는 플럭스 내의 리튬 및 세슘이 마그네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므로 리튬 및 세슘이 먼저 용융되어 마그네슘보다 먼저 연결부 영역으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적합한 납땜 연결부를 형성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에반스 등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슘은 공정 중에 용융되어 연결부 영역으로 흘러 들어간다. 높은 공정 온도에서, 마그네슘은 KALF와 같은 종래의 알루미늄 플럭스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산화마그네슘을 쉽게 형성하므로, 이러한 산화물 및 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 표면 상에 존재하여 납땜 연결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한다. 그러한 저해는 용융된 클래드 층의 "습식성"을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납땜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그 성능을 감소시킴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KALF 플럭스가 MgO 및 Al2O3표면의 착산화물을 파괴하기 위한 분위기 가스 납땜에서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습식이 발생하거나 발생될 때, 납땜 연결부가 불연속적이되고 적합한 납땜 연결부가 제공되지 않는다. 종래의 KALF 플럭스를 이용한 결과 열교환기가 다공성이 되고 취약한 납땜 연결부를 갖게 되었다.
에반스 등에 의해 개시된 열교환기 조립체는 코어 재료 상에 배치된 알루미늄계 합금 클래딩을 갖는다. 클래딩은 다른 원소들과 함께 소정 중량 퍼센트의 리튬(Li)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래드 재료 내에 리튬을 포함하는 것은 마그네슘이 코어 재료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적합한 납땜 연결부의 형성을 방해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산화마그네슘의 형성을 줄이기 위해 장벽을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에반스 등에 의해 개시된 클래딩이 마그네슘 장벽을 제공할지라도, 사용된 리튬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마그네슘 장벽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마그네슘이 적으면 적을수록 알루미늄도 덜 요구됨으로써, 클래드의 중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감시킨다.
따라서, 열교환기 조립체 내에 보다 효과적인 마그네슘 장벽이 요구된다.
에반스 등에 의해 사용된 코어 재료가 강할지라도, 경제적으로 실시 가능한 가장 강한 코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재료가 더 강한 것이 사용되면, 열교환기 조립체는 더 가벼워지므로 제조비 및 연료 효율을 증가시킬 수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조립체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더욱 강한 코어 재료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열교환기 조립체 내에 더욱 효율적인 마그네슘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 조립체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더욱 강한 관 또는 코어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열교환기 조립체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라 도시한 열교환기 내의 하나의 관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원 3 내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4는 도1의 원 4 내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교환기 조립체
11 : 층
12 : 관
14 : 내부면
16 : 외부면
18 : 클래딩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목적은 개선된 열교환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선된 열교환기 조립체는 주위 분위기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관과, 내부면 및 외부면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 알루미늄계 클래딩과, 클래딩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를 포함한다. 주위 분위기에서 납땜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계 클래딩과 알루미늄계 요소 사이에 납땜 플럭스가 입혀질 수 있다. 내부면 및 외부면과 알루미늄계 클래딩 사이에는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이 배치된다.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은 바람직하지 못한 마그네슘 산화물의 형성에 저항하는 알루미늄계 관으로부터 마그네슘의 확산에 대해 충분한 장벽을 형성하도록 납땜 중에 주위 분위기로부터 충분한 산소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의 개선된 열교환기 조립체를 제조하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위 분위기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관을 제공하는 단계와, 내부면 및 외부면과 알루미늄계 클래딩 사이에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을 입히는 단계와, 알루미늄계 클래딩을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에 입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를 클래딩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주위 분위기에서 납땜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계 클래딩과 알루미늄계 요소 사이에 납땜 플럭스가 입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분위기 가스 납땜 공정을 이용하여 주위 분위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과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를 함께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체(10)의 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 조립체(10)는 자동차(도시안됨)와 같은 차량의 공기 조화 시스템(도시안됨)의 응축기이다. 열교환기 조립체(10)는 평행한 열의 응축기, 곡류형 증발기, 히터 코어 또는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기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조립체(10)는 알루미늄계 코어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관(12)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조립체(10)는 복수의 관(12)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관, 클래딩 및 다른 요소들에 대해 "알루미늄계(aluminum based)"라고 하는 것은 알루미늄계 재료가 대부분 알루미늄을 포함하지만 실리콘, 구리, 마그네슘 및 아연 등과 같은 다른 금속으로 합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관(12)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관(12)의 알루미늄계 코어 재료는 알루미늄 어소시에이션(Aluminum Association) 1XXX, 3XXX, 5XXX 및 6XXX 시리즈(series)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선택된다. 코어 재료는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코어 재료는 약 3 중량 퍼센트 이하, 보다 양호하게는 0.4 내지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관(12)은 내부면(14)과 외부면(16)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11)은 내부면(14) 및 외부면(16)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층(11)은 내부면(14) 및 외부면(16)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층(11)은 층(11)의 전체 중량에 기초한 중량 퍼센트에서 약 0.1 내지 9.9 퍼센트 범위 내로 리튬(Li)을 포함한다.
알루미늄계 클래딩(18)은 각각의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11) 상에 부착된다. 클래딩(18)은 클래딩(18)의 전체 중량에 기초한 중량 퍼센트면에서 약 0.1 내지 2 퍼센트 범위의 마그네슘(Mg), 보다 양호하게는 약 0.2 내지 0.7 중량 퍼센트의 마그네슘(Mg)을 포함한다. 또한, 양호하게는 클래딩(18)은 약 0.01 내지 0.1 퍼센트 범위 내의 나트륨(Na), 약 4 내지 13 퍼센트 범위 내의 실리콘(Si), 약 0 내지 1 퍼센트 범위 내의 망간, 약 0.01 내지 0.1 퍼센트 범위 내의 구리, 약 0 내지 0.3 퍼센트 범위 내의 아연, 약 0.01 내지 0.7 퍼센트 범위 내의 베륨(Be),전체적으로 1 퍼센트 이하의 불순물 및 잔부가 알루미늄으로 조성된다. 층(11) 및 클래딩(18)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소정의 표면(14, 16) 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상이한 합금의 알루미늄을 시트를 압연하여 제조됨을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클래딩(18)은 요소 클래딩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면에서 약 0 내지 2 퍼센트 범위 내에서 세슘(Cs)을 함유할 수 있다. 세슘이 클래딩(18) 내에 포함될 때, 코어 재료 내의 마그네슘은 약 3 퍼센트 이하의 양으로, 보다 양호하게는 0.4 내지 2.5 중량 퍼센트 사이의 범위 내에서, 즉 세슘이 클래딩(18) 내에 포함되지 않을 때보다 더 큰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세슘은 플럭스 내의 플루오르화 세슘을 대신하므로 클래딩(18) 내에 포함된다. 분위기 가스 납땜 조작 중에, 클래딩(18) 내의 세슘은 MgO-CsO를 환원시키도록 표면에 확산되고 납땜 연결부다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클래딩 내에 세슘을 첨가하는 것은 알루미늄 납땜 재료들 내에서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마그네슘을 최적으로 해리시킨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조립체(10)는 관(12)에 납땜됨으로써 접합되는 클래딩(18)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2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 조립체(10)는 내부면(14) 상에서 클래딩(18)에 인접하여 관(12) 내에 배치된 난류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난류기(20)는 일련의 파상으로 종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난류기(20)는 열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시 관(12)을 통과한 유체의 유동을 교란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 조립체(10)는 관(12)의 외부면(16) 상에서 클래딩(18)에 인접하게 배치된 핀(22)을포함한다. 핀(22)은 일련의 파상으로 종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난류기(20) 및 핀(22)은 알루미늄 어소시에이션 3XXX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알루미늄계 재료로 각각 제조된다. 난류기(20) 및 핀(22)은 전술한 클래딩(18) 재료 및 층(11) 재료로 덮여진다.
열교환기 조립체(10)의 제조에 있어서, 난류기(20) 및 핀(22)은 분위기 가스로 납땜 공정을 이용하여 관(12)에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플럭스(13)는 관(12) 및 납땜에 의해 관(12)에 접합되는 어떤 요소, 즉 난류기(20) 또는 핀(22) 사이의 연결부에 입혀진다. 플럭스는 브러싱, 디핑 및 분무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부 영역에 입혀지는 데, 보다 균일하게 플럭스를 입히기 위해서는 분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납땜 플럭스는 NOCOLOKTM(등록상표)과 같은 종래의 알루미늄 플럭스를 이용하여 변형될 수 있지만, 양호하게는 에반스 등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은 플루오르화 세슘, 플루오르화 리튬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플럭스 내로 첨가된 첨가제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플럭스 변형예는 플루오르화 세슘을 적어도 포함한다. 이것은 세슘이 리튬보다 먼저 용융되어 산화알루미늄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연결부 영역 내로 유동됨으로써 적절한 납땜 연결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플루오르화물 또는 그 혼합물 중 하나는 플럭스의 전체 중량에 기초해서 적어도 3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알루미늄 플럭스의 변형예에 포함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플루오르화 세슘, 플루오르화 리튬 또는 그 혼합물은 3 내지 30 퍼센트의 양으로 플럭스 변형예 내에 존재한다. 플루오르화 세슘 및 리튬의 혼합물이 플럭스 변형예 내에 포함될 때, 그 혼합물은 1:1 내지 3:1 의 최적의 비율로 존재한다. 때때로,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이로운 데, 그 이유는 특정 혼합물에 기초한 최적의 플럭스 용융 온도를 플럭스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튬 및/또는 세슘의 변형된 알루미늄 플럭스는 변형되지 않은 플럭스와 다른 상태에서 용용될 때 낮은 표면 장력을 가지기 때문에, 변형된 플럭스는 연결 표면을 잘 습식시키고 연결부에서 필렛 이음의 크기를 증가시켜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된 플럭스는 유리하게도 알루미늄 산화층을 파괴시키는 작용을 하고 연결부 영역에서 산화마그네슘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이점들은 더 강한 납땜 연결부에 기인한 것이다.
열교환기 조립체(10)의 제조에 있어서, 난류기(20) 또는 핀(22)은 분위기 가스로 납땜 공정을 이용하여 관(12)에 접합된다. 납땜 공정 중에, 산화알루미늄 층이 파괴되어 플럭스에 의해 다공층을 형성하므로 클래딩(18) 내의 마그네슘(및 세슘이 존재한다면 세슘)은 약 550℃에서 액화되고 외부면(16)을 습식화하도록 외부면(16) 상에 존재하는 다공성 산화알루미늄을 통해 유동한다. 이러한 습식화는 열교환기 조립체(10)의 관(12) 및 다른 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 내로 납땜 재료가 유동될 수 있게 하고 적합한 납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층(11) 내에 리튬을 포함시키는 것은 마그네슘이 코어 재료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고, 적합한 납땜 연결부의 형성을 방해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산화마그네슘의 형성을 더욱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리튬의 체적 크기로 인해, 층(11) 내에 포함된 리튬 원자는 관(12) 내의 포함된 마그네슘 원자보다 더 빨리 관(12)의 인접면(14, 16)을 향해 확산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크기로 인해, 리튬 원자는 확산시에 마그네슘 원자 만큼 알루미늄계 재료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확산된 리튬은 각각의 표면(14, 16) 상에 산소 제거제로서 기능하고 납땜 플럭스에 의해 파괴될 수 잇는 산화리튬을 생성한다. 리튬 원자는 먼저 각각의 표면(14, 16)으로 확산되고 마그네슘 원자보다 먼저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효과적인 마그네슘 장벽을 형성한다. 판 뿐만 아니라 핀(22)과 난류기(20) 및 증발기(도시안됨)의 매니폴드는 층(11) 및 클래딩(18)을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분위기 가스로 납땜 공정은 종래의 공정이다. 분위기 가스 납땜 공정에서, 납땜 연결부가 형성된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입혀진 플럭스를 갖는 열교환기(10)는 납땜 보온 조정로(holding furnace)의 고정구(도시안됨)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224℃ 내지 246℃(425℉ 내지 475℉) 범위의 온도로 예열된다. 열교환기(10) 및 납땜 보온 조정로의 고정구는 예비 납땜 챔버로 운반되고 그 예비 납땜 챔버에서 약 399℃(750℉)에서 3 내지 15분 동안 일정한 온도로 지속된다. 그 이후에, 고온의 열교환기(10) 및 보온 조정로 고정구는 컨베이어로 운반되어 분위기 가스 납땜로(36)를 통해 이동되고, 그 분위기 가스 납땜로(36)는 그 내측에 질소 가스를 인가함으로써 정화된다.
분위기 가스 납땜로에서, 열교환기(10)는 약 591℃ 내지 610℃(1095℉ 내지 1130℉)에서 2 내지 3분 동안 유지된다. 납땜된 열교환기 조립체(10)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냉각, 제거 및 부착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사용된 용어는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그 단어 자체의 고유의 의미를 내포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개시 내용을 고려하여서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예 및 변경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기만 하면 본 명세서에 특정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 조립체 내에 더욱 효율적인 마그네슘 장벽을 제공하고, 더욱 강한 관 또는 코어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열교환기 조립체의 중량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열교환기 조립체에 있어서,
    주위 분위기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관과,
    내부면 및 외부면 중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 알루미늄계 클래딩과,
    클래딩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와,
    주위 분위기에서 납땜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계 클래딩과 알루미늄계 요소 사이에 입혀질 수 있는 납땜 플럭스와,
    내부면 및 외부면과 알루미늄계 클래딩 사이에 위치한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은 납땜 중에 주위 분위기로부터 충분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지 못한 마그네슘 산화물의 형성에 저항하도록 알루미늄계 관으로부터 마그네슘의 확산에 대해 충분한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납땜 플럭스는 적어도 3 중량 퍼센트의 플루오르화 세슘 및 플루오르화 리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납땜 플럭스 혼합물 내의 플루오르화물은 적어도 3 내지 30중량 퍼센트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혼합물 내의 플루오르화 세슘 및 플루오르화 리튬의 비율은 1:1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관은 알루미늄 어소시에이션 3XXX, 5XXX 및 6XXX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클래딩은 중량 퍼센트에 기초해서, 약 0.1 내지 2 퍼센트 범위 내의 마그네슘(Mg), 약 0.01 내지 0.1 퍼센트 범위 내의 나트륨(Na), 약 4 내지 13 퍼센트 범위 내의 실리콘(Si), 약 0 내지 1 퍼센트 범위 내의 망간(Mn), 약 0.01 내지 0.1 퍼센트 범위 내의 구리(Cu), 약 0 내지 0.3 퍼센트 범위 내의 아연(Zn), 약 0.01 내지 0.7 퍼센트 범위 내의 베륨(Be), 전체적으로 1 퍼센트 이하의 불순물 및 잔부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요소는 양 표면들 상에서 클래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내부면 상에서 클래딩에 인접하여 배치된 난류기와, 외부면 상에서 클래딩에인접하게 배치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계 요소는 알루미늄 어소시에이션(Aluminum Association) 3XXX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 내의 리튬은 알루미늄계 리튬이 풍부한 층의 중량에 기초해서 약 0.1 내지 9.9 중량 퍼센트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00075853A 1999-12-14 2000-12-13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KR20010062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60,904 1999-12-14
US09/460,904 US6234243B1 (en) 1999-12-14 1999-12-14 Heat exchanger assembly with magnesium b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67A true KR20010062367A (ko) 2001-07-07

Family

ID=2383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853A KR20010062367A (ko) 1999-12-14 2000-12-13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34243B1 (ko)
KR (1) KR20010062367A (ko)
DE (1) DE10061620C2 (ko)
FR (1) FR2802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6813A1 (en) * 2000-04-14 2003-03-13 Adrian Jackson Heat exchanger and tube therefor
JP2002096132A (ja) * 2000-07-25 2002-04-02 Manto Kucho Kk 熱交換器用冷媒チューブ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2002087814A1 (en) * 2001-05-02 2002-11-07 Norsk Hydro Asa A process of making a shaped product
DE10210217A1 (de) * 2002-03-08 2003-10-16 Behr Gmbh & Co Verfahren zum Löten von Aluminium
US20030183376A1 (en) * 2002-04-02 2003-10-02 Abell Bradley David High strength CAB brazed heat exchangers using high strength fin materials
SE0203009D0 (sv) * 2002-10-14 2002-10-14 Sapa Heat Transfer Ab High strenth aluminium fin material for brazing
GB2411461A (en) * 2004-02-04 2005-08-31 Internat Radiators Ltd A Heat Exchanger and a Method of Forming a Heat Exchanger
FR2873798B1 (fr) * 2004-08-02 2006-09-29 Renault Sas Echangeur thermique a faisceau tubulaire, notamment pour 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suralimente
US7762310B2 (en) * 2006-04-13 2010-07-27 Novelis Inc. Cladding superplastic alloys
FR2905076B1 (fr) * 2006-08-28 2008-12-05 Valeo Systemes Thermiques Procede de brasage d'un echangeur de chaleur.
US20080078536A1 (en) * 2006-09-29 2008-04-03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rrosion resistant bi-metal charge air cooler
US20080078533A1 (en) * 2006-09-29 2008-04-03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rrosion resistant, alloy-coated charge air cooler
DE202009018712U1 (de) * 2008-11-25 2013-01-25 Solvay Fluor Gmbh Antikorrosives Flussmittel
FR2975402B1 (fr) * 2011-05-20 2013-05-10 Constellium France Alliages pour tube d'echangeur thermique a placage interne protecteur et a perturbateur brase
DE102011103641A1 (de) * 2011-06-09 2012-12-13 Erbslöh Aluminium Gmbh Korrosionsgeschütztes System für einen Wärmetauscher
JP2013049085A (ja) * 2011-08-31 2013-03-14 Mitsubishi Alum Co Ltd アルミニウム材のフラックスレスろう付方法
JP6182876B2 (ja) * 2013-01-25 2017-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6184804B2 (ja) * 2013-08-27 2017-08-23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のろう付け方法及びろう付け構造体の製造方法
CN106661677B (zh) 2014-07-30 2018-09-21 株式会社Uacj 铝合金钎焊板
CN107073618B (zh) 2014-12-11 2019-05-28 株式会社Uacj 钎焊方法
JP6186455B2 (ja) * 2016-01-14 2017-08-23 株式会社Uacj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2968B1 (ja) 2016-11-29 2018-04-18 株式会社Uacj 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542684U (zh) * 2017-03-10 2017-10-03 讯凯国际股份有限公司 可连续接合的液冷换热片
JP7053281B2 (ja) 2017-03-30 2022-04-12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69526A (zh) * 2020-04-07 2020-07-31 滁州仕达家电配件有限公司 一种铜铝隔离铝箔自动化贴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400A (en) * 1973-02-08 1975-06-24 Kaiser Aluminium Chem Corp Aluminum vacuum brazing sheet
US4209059A (en) * 1978-12-11 1980-06-24 Swiss Aluminium Ltd. Crevice-corrosion resistant aluminum radiator triclad composite
JPH0711047B2 (ja) * 1990-02-08 1995-02-08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真空ろう付け用Al材料
US5316863A (en) * 1992-05-18 1994-05-31 Alcan International Limited Self-brazing aluminum laminated structure
US5422191A (en) 1994-02-14 1995-06-06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Aluminum-lithium filler alloy for brazing
EP0764493A1 (en) * 1995-09-20 1997-03-26 I.S.C.-Industria Scambiatori Calore S.p.A. Induction welding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fluidtight joint between metal pipes
US5771962A (en) 1996-04-03 1998-06-30 Ford Motor Company Manufacture of heat exchanger assembly by cab brazing
JPH10265882A (ja) *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Al合金製熱交換器
EP1004386A1 (en) * 1998-11-12 2000-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razed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20848A (en) * 1998-11-17 2000-09-19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a braz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4243B1 (en) 2001-05-22
FR2802294B1 (fr) 2003-04-18
DE10061620C2 (de) 2002-02-21
DE10061620A1 (de) 2001-07-05
FR2802294A1 (fr)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2367A (ko) 마그네슘 장벽을 갖는 열교환기 조립체
US5771962A (en) Manufacture of heat exchanger assembly by cab brazing
US5806752A (en) Manufacture of aluminum assemblies by open-air flame brazing
US5894054A (en) Aluminum components coated with zinc-antimony alloy for manufacturing assemblies by CAB brazing
JP6283934B2 (ja) 熱交換器用の流体通路
US5762132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60015749A (ko) 알루미늄재의 납땜방법
US6371201B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PL197808B1 (pl) Sposób łączenia pofałdowanych faliście taśm żebrowanych z aluminium z płaskimi stronami płaskich rur ze stali
JP2006145060A (ja) アルミニウム熱交換器
KR20010062366A (ko) 알루미늄 열교환기를 분위기 가스 납땜하기 위한 플럭스
JP2004042086A (ja) アルミニウム材をろう付けするためのろう材粉末および該ろう材粉末を用いるアルミニウム材のろう付け方法
JP2006188756A (ja) 熱交換器用高耐食性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US20030183376A1 (en) High strength CAB brazed heat exchangers using high strength fin materials
EP1004386A1 (en) Brazed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2173095A (ja) はんだ付用板材
JPH0768374A (ja) アルミニウム材とステンレス鋼材との接合方法
JPS6018294A (ja) アルミニウムロ−付け継手
JPH04263720A (ja) 熱交換器
JPH0890278A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ろう材
US20070000969A1 (en) Brazed aluminum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268603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ろう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150058944A (ko) 공랭식 증기응축 설비용 증기 응축 전열관
JP5288995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ろう付方法
JPS6284894A (ja) A1又はa1合金の真空ろう付け用ろ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