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182A - 차량용 폐쇄 클러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폐쇄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182A
KR20010062182A KR1020000074055A KR20000074055A KR20010062182A KR 20010062182 A KR20010062182 A KR 20010062182A KR 1020000074055 A KR1020000074055 A KR 1020000074055A KR 20000074055 A KR20000074055 A KR 20000074055A KR 20010062182 A KR20010062182 A KR 2001006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losing clutch
elastic member
car closing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752B1 (ko
Inventor
아랍라바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1006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05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wo chamber system, i.e. without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원의 폐쇄 클러치(lock-up clutch)는 차량에 양호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폐쇄 클러치는 1개 이상의 탄성 부재(6)용 안내 요소(8)에 장착되는 피스톤(4)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 요소(8)는 탄성 부재(6)를 장착하기 위해 피스톤 쪽으로 축선 방향으로 개방된 홈(80)의 형태로 이루어진 둘레 부분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폐쇄 클러치{LOCK-UP CLUTCH, NOTAB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와의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와, 터어빈 휠에 고정될 수 있는 출력 요소와, 케이싱과 결합 해제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입력 요소를 가진,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의 터어빈 휠과 케이싱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lock-up clutch)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피스톤은 탄성 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축선방향 연장 환형상 플랜지를 구비하며, 반면에 출력 요소는 피스톤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있고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와의 접합용으로 피스톤의 플랜지 밑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지지 러그를 구비하고, 그리고 일측에 입력 요소는 탄성 부재가 내부적으로 반경방향 유지를 이루도록 피스톤에 고정된 적어도 일 안내 요소를 구비하고, 그리고 타측에 입력 요소는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와의 접합용으로 지지 러그의 각각의 측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합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를 기재하고 있는 FR-A-2 271 084호의 명세서에서는, 피스톤 플랜지에 탄성 부재가 매립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에 마모를 절감시키기 위해서, 피스톤의 외부 둘레, 특히 그 플랜지에서 경화처리를 이루었다. 예를 들면, 피스톤에 탄소질화 처리(carbonitriding operation)를 가하였다. 이러한 행위는 피스톤의 제조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 상술된 타입의 폐쇄 클러치에서, 안내 요소는, 그 외부 둘레에서, 피스톤의 환형상 플랜지의 반경방향으로 밑에, 피스톤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개방되고 저부를 가진 축선 홈으로 형상된 환형상 부분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환형상 부분은 탄성 부재를 원주둘레방향으로 안내하고, 그 저부에 의해 피스톤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유지하며; 그리고 홈의 저부는 관련 지지 러그의 통로에 적합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원주둘레 방향으로 트인 구멍을 가지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탄성 부재가 안내 요소에 홈에 의해 형성된 포켓에 수용되기 때문에 피스톤 플랜지와 탄성 부재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피스톤을 처리할 필요가 없어서, 피스톤은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터어빈 휠에 가능한 근접하게 되는데 필요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게 제조할 수 있는 압착 판금속(pressed sheet metal)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피스톤은 터어빈 휠에 외부 반-원환체(semi-torus)로 블레이드를 클램핑하는 적어도 일 러그와의 임의적인 간섭을 방지하도록 보스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일 릴리프를 그 내부 둘레에서 갖는다.
또한, 피스톤과 출력 요소는 관련 지지 러그의 통로용 안내 요소의 저부에 생성된 트인 구멍의 현저한 도움으로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스톤, 탄성 부재, 및 안내 요소를 포함하는 소 조립체를 용이하게 생산하게 하는 것이다. 조립체는 먼저, 안내 요소에 탄성 부재를 장착하고, 다음 피스톤에 탄성 부재가 장착된 안내 요소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획된 탄성 부재가 내재된 조작 가능하고 운반 가능한 소-조립체가 이루어진다. 양호하게, 안내 요소가 환형상 안내 섹터로 분할되어, 탄성 부재의 장착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시키게 한다.
양호하게 분할된 홈은, 저부에서 함께 연결되는 축선방향으로 향해진 환형상 외부 파트와 축선방향으로 향해진 환형상 내부 파트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한정 형성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파트와 내부 파트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파트는 탄성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보유한다. 양호하게, 외부 파트는 피스톤 플랜지에 대한 접합부에 있다.
홈의 저부는 터어빈 휠에 가능한 근접하게 접근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파트는 그 자유 단부에서 탄성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보유하기 위한 돌출부를 1개 이상 구비한다. 이러한 배열은 포획 방식(cative manner)으로 안내 요소의 전진으로 탄성 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실은 또한 피스톤과의 탄성 부재의 임의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양호하게, 상술된 방식에서, 안내 요소는 환형상 안내 섹터로 분할 된다. 트인 구멍의 형태는 탄성 부재의 길이에 종속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트인 구멍은 안내 섹터의 저부에 생성된 슬롯을 폐쇄하여서, 일 탄성 부재만이 그에 따라 강력해진 단일 안내 섹터에 장착되는 것이다.
임의적 변경으로, 트인 구멍이 섹터의 각각의 축선 단부에 슬롯을 폐쇄하도록 탄성 부재를 더 길게 하고 2개 안내 섹터에 장착한다.
둘레 부분에 홈은 피스톤과 접촉하는 고정부분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평형추는 상기 부분에서 나타나는 상승 클램핑 러그에 의해 각각이 상기 부분에 스냅 동작으로 장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폐쇄 클러치가 장착된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의 부분 반(半) 단면도,
도 2는 피스톤과 도 1의 분할된 안내 요소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횡단 벽과 터어빈 휠이 없는, 도 1에 화살표 3과 화살표 4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모습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예의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유사하게 나타낸 도면,
도 9는 다른 예의 실시예로서, 도 1의 도시와 유사하게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터어빈 휠 3: 허브
4: 피스톤 6: 탄성 부재(스프링)
7: 출력 부재 8: 안내 요소
15: 케이싱 40: 환형상 플랜지
77: 러그 87: 슬롯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1)는 오일과 같은 유체로 채워진 유체기밀 케이싱을 포함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용 폐쇄 클러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플랜지에 의해 일반적으로 구동축에 회전에 대해서 고정되는 케이싱은, 플랜지용 고정 수단이 설치된 대략적 횡 방향의 환형상 벽을 가진다. 상기 벽은 제 1파트에 기밀하게 고정된 제 2파트가 설치된 케이싱의 제 1파트에 속해 있다. 커플링 장치는 그 회전 축선을 이루는 대칭의 축선 축을 가진다. 폐쇄 클러치는 블레이드형 임펠러 휠과 마찬가지로 케이싱 내측에 수용되며, 케이싱의 제 2파트에 고정되며, 유체 공급 수로가 중앙에 설치된 구동축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어 허브에 고정되는 블레이드형 터어빈 휠과 대면한다. 따라서, 허브에는 구동축에 회전식 접속을 위해 내부에 세로 홈(flute)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반작용 휠도 설치되어, 터어빈, 임펠러, 및 반작용 휠의 세트가 토오크 컨버터를 구성한다. 클러치(1)는 횡단 방향의 환형상 피스톤을 구비한다. 클러치와 똑같이 피스톤이, 그와 접촉 되는 케이싱의 횡단 벽과 터어빈 휠과의 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접촉은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마찰 라이닝은, 케이싱/피스톤 의 일 벽 요소에 고정되는 환형상 마찰 면과 접촉하도록 케이싱의 다른 하나의 피스톤-벽 요소에 고정되는 환형상 면에 고정된다. 상기 면은, 케이싱의 벽의 외부 둘레와 피스톤의 외부 둘레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향해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각 측부에 압력을 변경하여, 마찰 라이닝을 클램프 하도록 케이싱의 벽의 방향으로 또는, 마찰 라이닝을 헐겁게 하도록 터어빈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이 축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경우에서는 클러치(1)가 결합되고, 반면에 제 2 경우에서는 클러치(1)가 결합 해제 또는 클러치 해제 된다. 이러한 사실은, 예를 들어 피스톤, 케이싱의 벽 및 마찰 라이닝에 의해 한정되는, 컨트롤 챔버로서 참고된 챔버에 압력을 변경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챔버는,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 변속기 박스의 입력 축인 피동축의 피드 채널과 소통하고 반면에, 구동 축은 차량의 엔진의 출력 축으로서, 크랭크 축이 벽 및 그에 따른 케이싱과의 접속을 위해 구동 축에 고정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발진 시에, 피동축은 케이싱의 제 2 파트를 경유하여 구동 축과 허브를 통해 피동축에 회전에 대하여 각각 고정되는 임펠러 휠과 터어빈의 블레이드 사이에 오일 순환에 의해 구동 축에 의해 회전된다. 차량의 연료 소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클러치는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피동축이 폐쇄 클러치(1)를 경유하여 구동 축에 의해 직접 회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피스톤은 차량 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여과하도록터어빈 휠/허브 조립체에 탄성적으로 회전 결합된다. 따라서, 비틀림 댐퍼(torsion damper)가 피스톤과 터어빈 휠/허브 조립체 사이에서 작용한다. 이러한 조립체를 이하에서는 출력 조립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피스톤은, 출력 요소가 출력 조립체로 지칭되는 터어빈 휠/허브 요소의 하나에 고정되는 비틀림 댐퍼의 입력 요소에 속해진다.
피스톤에 탄성적으로 출력 요소가 결합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가 비틀림 댐퍼의 출력 요소와 피스톤과의 사이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클러치(1)는, 터어빈 휠(2), 점선으로 나타낸 허브(3)의 가로 플랜지의 일 파트, 피스톤(4), 점선으로 나타낸 케이싱(15)의 가로 벽의 파트(5), 피스톤(4)과 벽(5)에 각각 고정된 가로 표면(61, 62)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 라이닝(60), 원주방향 작동 탄성 부재(6) 및 출력 조립체(2, 3)에 고정된 비틀림 댐퍼의 출력 요소(7)를 포함하는 것이다.
피스톤(4)은 그 외부 둘레에서 터어빈 휠(2)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향해진 축선방향 환형상 플랜지(40)를 구비한다. 적어도 일 안내 요소(8)는 피스톤(4)에 고정되어, 반-원환체 형태인 터어빈 휠(2)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복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 부재(6)를 그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유지한다. 예를 든 실시예에서, 스프링(6)은 짝으로 이루어진 동심 스프링에 장착된다. 피스톤(4)은 기밀 방식으로 허브(3)에 안내면(언급 않음)을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스톤(4)은 터어빈 휠에 근접하게 접근하도록 그 내부 둘레에서 물결 모양을 이루며, 터어빈 휠의 외부 원환체에 블레이드(도시 않음)를고정하는 클램프(도시 않음) 사이에 임의적 간섭을 방지한다. 따라서, 피스톤(4)은 상술된 클램프의 임의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틈새 보스(41)를 가진다. 내부적으로, 리벳 작업으로 허브의 가로 플랜지(3)에 고정되는 내부 둘레를 가지는 터이빈 휠(20)에는 내부 환형부 쪽으로 방향진 슬리브(42)가 설치된다. 피스톤(4)은 압축 판금속으로 제조된다. 스프링(6)이 피스톤의 플랜지(40)에 장착된 후에 취하는 자세에는,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 플랜지(40)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도록 허용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만약에 대비책이 취해지지 않으면, 스프링(6)이 플랜지에 매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피스톤(4)의 외부 둘레 파트에서 마모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내 요소에 포켓(80)에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상기 포켓은 이러한 플랜지와의 임의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플랜지(40)와 탄성 부재(5)사이에 개재(介在)하여서, 종래 기술의 해결방식과 다르게, 피스톤을 경성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졌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탄화처리(carbonitriding operation)의 과정이 없어졌다.
도면의 좌측 파트를 전방으로 그리고 도면의 우측 파트를 후방으로 하여 나타낸 도 1에서, 포켓(8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후방 쪽으로, 안내 요소(8)에 의해 그리고 피스톤(7)에 의해 한정된 케이지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6)를 축선 방향으로 보유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출력 요소(7)는, 터어빈 휠의 블레이드와 동일한 시간에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클램핑에 의해 그 외부 둘레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어빈 휠(2)에 고정된다. 출력 요소(7)는 탄성 부재(6)의 원주방향단부용의 복수 지지 러그(77)를 구비한다. 러그(77)는 피스톤(4)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향해 있다. 러그가 축선 방향체 이어서, 출력 요소는 터어빈 휠(2)의 외부 반-원환체에 고정용 환형상 파트가 있는 빗(comb) 모양체를 가진다. 이러한 고정 파트는 연속성인 것이다.
일 변형에 의해 분할이 이루어지고, 고정 파트는 터어빈 휠의 모양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러그(77)는 크롭핑 및 벤딩(cropping and bending)에 의해 구해진다. 폐쇄 클러치의 입력 요소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리벳 작업으로 또는 다르게 용접, 접합 또는, 다른 임의 수단으로 피스톤(4)에 고정되는 안내 요소(8)와 피스톤(4)을 구비한다.
입력 요소는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 단부의 접합용으로 지지 러그(77)의 각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합부(181, 182)를 소유한다. 입력 요소(4, 8)는 상술된 바와 같이 클러치(1)가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되기 때문에, 케이싱(15)에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그 대략적 가로 벽(5)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찰 라이닝(60)이 접속되도록 피스톤(4)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입력 요소(4, 8)와 출력 요소(7)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 중에, 러그(77)는 탄성 부재(6)가 압축되도록 접합부(181, 18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동작한다.
포켓(80)은 홈(80)에 의해 형성되고, 안내 요소(8)는 환형상 안내 섹터(90)로 분할된다. 변형으로, 안내 요소(8)는 연속성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경우에서, 안내 요소(8)는 그 외부 둘레에, 도 1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인 피스톤(4)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축선 홈으로 형성된 둘레 부분(80)을피스톤(4)의 환형상 플랜지(40) 밑에 반경방향으로 구비한다. 홈(8)은 저부(85, 86)를 가진다. 이러한 홈은 탄성 부재(6)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고 그리고 그 저부(85, 86)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저부(85, 86)에 힘으로, 도 1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인, 피스톤(4)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탄성 부재(6)를 보유한다. 저부(85, 86)는 관련 러그의 통로용으로 긴 직사각형(oblong)의 모양의 원주둘레 방향으로 트인구멍(87)을 가진다. 홈(80)은 내부와 외부에 탄성 부재(6)를 반경방향으로 보유한다.
홈(80)은, 일측에서 플랜지(40)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고 있으면서 피스톤(4)의 플랜지(40)에 인접한 반경방향 외부 파트(83)에 의해서 그리고 타측에서 반경방향 내부 파트(84)에 의해서 한정 형성된다. 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있으면서 피스톤(4)의 플랜지(40)에 대해 평행하게 축선방향으로 방향진 것이다. 상기 파트(83, 84)는 플랜지(40)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안내 요소(8)는 피스톤(4)보다 덜 두껍다. 그 자유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부 파트(83)는 피스톤(4)을 향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도 1에 후방 방향으로 탄성 부재(6)를 축선 방향으로 보유하는 적어도 일 돌출부(88), 양호하게는 적어도 2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진 돌출부(88)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피스톤(4)과 탄성 부재(6) 사이에 임의적 간섭이 방지된다. 이러한 사실은 피스톤(4)에 탄성 부재(6)의 전진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부재(6)는 안내 요소(8)가 환형상 안내 섹터(90)로서 분할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상 섹터로 분할되는 홈(80)에 스냅 동작으로 용이하게장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각각의 섹터(90)는 립(lip)의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부(88)를 가지고, 외부 파트의 자유 단부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다르게는, 돌출부(88)는 림으로 구성된다. 자연적으로, 안내 요소(8)와 그에 따르는 섹터(90)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부재(6)에 마모에 대한 보호부가 설치된다. 각각의 섹터는 탄화(carbonitrid)되거나 또는 질화(nitrid)되거나 또는 다른 경화처리를 받게 된다. 변형으로, 각각의 섹터는 반-마모재(ante-wear material)의 층으로 커버된다. 섹터(90)로 요소(8)를 분할하여, 다수의 파트를 동시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하면서 만들 수 있다.
섹터(90)의 각각의 둘레 부분(80)은 형태가 납작한 고정 부분(81)에 내부적으로 접속되고 그리고 피스톤(4)과, 보다 정확하게는 그 가로 파트와 접촉하도록 근접하게 된다. 피스톤에 섹터(90)를 고정하는 것은 마찰 라이닝(60) 밑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81)에 대해 2개 리벳(82)의 연장부에 리벳(82)에 의해 리벳작업으로 이행된다. 리벳(82)은 섹터(90)의 원주방향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행위로서, 각각의 섹터는 피스톤(4)을 관통하는 리벳(82)용의 2개 통로 홀(282)을 가지게 된다. 자연적으로, 변형에서, 리벳(82)과 홀(282)의 수를 2보다 더 크게 하거나 적용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변형에서, 리벳(82)은 고정 부분(81)을 가진 단일 피스로 압출에 의해 구해진 리벳이다. 양호하게, 고정 부분(81)에 중앙 위치된 상승 클램핑 러그(284)를 각각의 고정 부분(81)에서 창출하도록 2개 홀(282) 사이에 자유 공간을 취한다. 각각의 러그(284)는 폐쇄된 트인구멍(285)에서 크롭핑 및 벤딩작업으로 형성한다. 하프 플런지 보스의 형태로 이루어진 각각의 러그(284)는, 고정 부분(8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놓여있는 대략적 가로방향으로 향해진 단부 영역에 의해 연장되는 루트 부분의 물결모양 영역을 가진다. 러그(284)는 단부 영역이 홈(80)의 저부(85, 86)의 방향으로 축선방향으로 옵셋되는 둘출 러그 이다. 러그(284)에는 둘레 부분(8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단부 영역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은 스냅 작용에 의해 각각의 러그(284)에 균형 팁(283)을 장착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팁(283)은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고, 그 소형 베이스에서 상부 파트에 도브테일(dovetail) 모양의 트인 구멍(286)을 가진다. 상기 팁(283)은 그 대형 베이스에서 페쇄된 트인 구멍(285)보다 더 폭이 넓게 형성 된다. 팁(283)은, 약간 곡선진 또는 설치 가능하게 변형된 경사진 자유 영역을 가진 자유 단부가, 러그(284) 밑에서 횡단 슬립 동작으로 압압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러그(284) 밑으로 장착하는 이동 중에, 팁(283)은, 다음에 클램핑 작용을 발휘하는 자유 단부를 약간 상승시킨다. 따라서, 부분(81)에 팁(283)의 강력한 스냅 작용으로 장착동작이 행해지며, 러그(284)는 트인 구멍(286)의 저부의 수준으로 팁과 접촉하게 된다.
변경으로서, 예를 들어 팁(283) 당 2개 러그인 대형수의 러그(284)를 제공할 수 있다.
본래, 모두는 아니지만, 섹터(90)에는 팁(283)이 설치되고, 이들은 전체적으로 동적 평형을 위해 스프링(6), 피스톤(4), 및 안내 요소(8)로 구성된 조립체에서검출되는 불균형에 따라서 장착된다. 트인 구멍(286)은 팁(283)의 소 베이스의 수준에서 밖으로 개방된다. 트인 구멍(283)을 한정하는 경사진 모서리는, 루트 영역의 모서리와 접촉하고 그리고 클램핑 동작을 발휘하는 러그(284)에 의해 부분(81)과 접촉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팁(283)이 전환하지 않도록 러그(284)의 강력한 루트 영역의 측면 모서리와의 결합을 이룬다. 따라서, 각각의 팁(283)은 강력하게 장착된다. 평판(283)의 모양은 자연적으로 적용물에 따른다.
균형 팁(283)은 그 작용이 가장 우호적인 피스톤(4)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다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장착 타입은, 기밀부의 파괴 없이, 피스톤(4)에 고정 부분(81)을 가진 임의 타입의 안내 요소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러그(284)가 섹터(90)를 가진 단일 피스에 있으므로 파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안내 요소(8)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평판(283)의 고정은 리벳과 같은 추가적인 고정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오직 팁(283)만이 부가적으로 저장 되어 진다.
러그(284)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진 탄성체이어서 제작 공차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스프링(6)은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컵(61)은 스프링(6)의 원주 둘레 단부의 각각에 설치된다. 컵(61)은 공지된 방식으로 각각이 스프링(6)에 결합되는 원통형 스터드(언급 없음)를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접합부(181, 182)에 스프링(6)은컵(61)에 의해 우회적으로 있게 된다. 도 3과 도 4에서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은 곡선진 모양이다. 스프링(6)은 자유 상태로 프리커브(precurve)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실시예에서, 스프링(6)은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며, 일 스프링(6)만이 환형상 안내 섹터(90)에 대해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6)은 자유 상태로 직선적인 것이다. 스프링(6)의 원주 둘레 길이는 섹터(90)에 홈으로 형성된 둘레 부분(8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실질적으로, 접합부(181, 182)는 둘레 부분(80)의 원주방향 단부에 생성된다. 접합부(181, 182)는 홈의 저부(85, 86)에 중앙에 생성되는 트인 구멍(87)의 각각의 측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접합부는 내부 파트(84)와 외부 파트(83)에 대해 각각 대략 수직인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둘레 부분(80)의 원주방향 단부는, 여기서는 부분(80)의 관련 원주방향 단부에서 밖으로 개방되는 환형상의 블라인드 슬롯(blind slot) 형태로, 원주부가 경사진 모양인 트인 구멍(87)의 각 측부에 저부(85, 86)와 마찬가지로 파트(84, 83)에 영향을 미치는 접합부(181)를 형성하도록 트인 구멍(83)의 각 부분에서 연장하는 파티션을 형성하도록 대략 90°로 포개진다. 슬롯(87)은 그 원주방향 폭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형태가 납작하고 얇은 지지 러그(77)의 두께보다 약간 더 높은 높이를 가진다. 그러므로, 러그(77)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을 가지며 환형상 슬롯(87)을 관통한다. 슬롯(87)의 원주방향 길이는 피스톤(4)과 러그(77) 사이에 상관 각도 틈새의 함수 이다. 러그(77)는 각각이 다른 섹터(90)에 속해 있는 2개 연속성 슬롯(87)의 유입이 가능한 것이다. 모든 것은 마치 원주방향 단부에서 폐쇄되는 단일 슬롯이 있는 것같이 발생하며, 안내 요소가 섹터(90)로 분할되기 때문에 그 중간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는 각각의 섹터용으로, 각각의 부분의 저부의 중앙 영역에 연속재와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을 향하고 있는 2개 블라인드 슬롯이 있다. 피스톤의 플랜지(40)가, 측면으로 플랜지(40)에 2개 단부 루트 영역과 상기 루트 영역과 함께 접속하는 중앙 영역을 가지는, 연속재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에 국부적 변형을 구비하는 것을 주의 한다. 상기 변형부(41)는 플런지 보스로 구성된다.
변형부에 루트가 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변형부(41)의 원주방향 단부는, 접합부용의 역-접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적어도 일 스프링(6)이 장착된 각각의 섹터(90)를 2개 변형부(41) 사이에 장착하여, 접합부(182)를 강화시킨다.
본래,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부분(80)에는 상관 지지 러그(77)용 단일 통로 트인 구멍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트인 구멍(87)과 마찬 가지 모양의 원주방향 경사진 트인 구멍(187)은, 환형상 페쇄 슬롯의 형태로 된다. 구성 요소는 주위 부분(80)의 원주방향 단부와 슬롯(187)의 저부 또는 원주방향 단부와의 사이에 존재 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4에 것과 다르게 대비되도록 배분된다. 홈(80)의 저부(85, 86)는 원주방향 단부에서 더 강력하다. 홈(80)의 내부 파트(84)에 형성된 제 1 접합부(381)와 이러한 홈의 외부 파트에 형성된 제 2 접합부(382)는, 파트(84, 83)에 중앙 절결된 경사진 러그에 의해 형성된다. 4개 경사진 러그(381, 382)는 섹터 당(per sector)으로 제공된다. 2개 러그(381)는 외부파트(83) 쪽으로 향하여 있으면서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것이다. 유사하게, 2개 러그(382)는 내부 파트(84) 쪽으로 향하여 있으면서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것이다. 러그(381)는 팁(283)을 고정하기 위해 러그(284)의 각 측부에 배치된다. 동일물이 러그(381) 위에 반경방향으로 놓여진 러그(382)에 적용되고, 그 자신들은 러그(284) 위에 반경방향으로 놓여진다.
러그(381, 382)는 슬롯(187) 쪽으로 방향진 2쌍의 러그(381, 382)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 쌍의 러그(381, 382)의 단부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6)의 상관 원주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컵(61)용의 제 1 및 제 2 접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6)은 2개 섹터(90) 사이로 연장되어 더 길어진다.
러그(77)는 섹터(90)에서 중앙 연장되고 반면에 도 1 내지 도 4에서의 러그(77)는 2개 섹터 사이로 연장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는 외부 파트(83)에 접속된 횡단 부분(86)이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 슬롯(87, 187)이 개별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저부(86, 85)는 내부 파트(84)와의 접속을 위한 경사 부분(85)도 가진다. 이러한 배열은, 경사진 부분에 도움으로 스프링(6)에 간섭없이 터어빈 휠(2)에 가능한 근접하는 둘레 부분의 벌크를 감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임의 변형으로, 반-원형체의 저부로 홈(80)은 U형상 단면을 가지게 된다. 임의 변형으로, 지지 러그(87)는, 이것이 벌크를 증가시키더라도, 터어빈 휠의 내부 둘레에 고정된 댐퍼 평판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동일 리벳이 터어빈 휠(2)의 모양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댐퍼 평판의 그리고 터어빈 휠(2)의 허브(3)에공지된 방식으로 고정 동작을 제공한다.
주시되는 바로서, 도 5 내지 도 8에서는 피스톤(4)에 플랜지(40)가 역-접합부를 가지지 않으며, 그리고 러그(381, 382)는 서로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 옵셋되며, 러그(382)는 저부(85, 86)에 보다 가깝게 접근한다.
도면을 통해서 보았을 때, 컵(61) 사이에서 동작하는 이동 스프링의 단부를 조성하거나 또는 보다 큰 토오크를 전달하도록 스프링(6) 내측에 내부 스프링(6')을 수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모든 스프링(6)이 내부 스프링(6')과 필수적으로 상관되는 것은 아니다.
본래, 저부(85, 86)의 경사진 부분(85)에서 부분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임의 변형으로, 제 1 및 제 2 접합부는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로부터 단독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제 1 및 제 2 접합부는 개별적으로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의 원주방향 단부가 대략 90°로 포개져 만들어짐을 도면부호(481, 48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접합부(481, 482)는 슬롯(87)의 각각의 측부에 배치된 설(舌)부로 구성되고, 상기 설부(481)는 보다 짧은 축선으로 있다. 동일 쌍의 경사진 러그(381 또는 382)는 제 1 및/또는 제 2 접합부가 플런지 보스로 구성되도록 서로 접속된다.
상기 실시예는 단일 피스로 안내 요소(8)가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 동일물은 상기 접합부를 설부로 구성할 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9에서, 피스톤(4)의 축방향 이동은 출력 요소(7)의 고정 파트에 대한 접합부가 되는 부분(85)에 의해 제한되고 반면에, 도 1에서, 허브(3)에 터어빈 휠 고정용으로 환형상 부분에 보다 정밀하게 대항하여 또는 터어빈 휠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피스톤(4)의 내부 둘레가 있다는 사실에 주의 한다. 피스톤(4)의 슬리브(언급 없음)는 허브로부터 발생되는 안내 파트를 축선으로 따라서 활주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85)은 피스톤의 축선 이동을 제한 정지하고 축선 벌크를 감소하는 이중 기능을 가진다.
본래, 상기 접합부는 부분(80)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파티션(181, 182)은 섹터(90)의 원주방향 단부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임의 변경에서, 요소(8)는 단일 피스로 있고 그리고 파티션은 용접에 의해 홈(80)에 부착된다. 동일물은 설부(481)에 적용된다. 접합부는 부분(80)에 클램프 되는 헤어핀의 아암에 의해 형성된다. 균형 팁은 피스톤(4)에 스커트를 형성하는 플랜지(40)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플랜지(40) 또는 피스톤(4)의 횡단 파트에는 러그 또는 플런지 보스가 설치되어 섹션(90)을 유지하다. 예를 들어, 러그는 섹터를 축선에 고정하도록 플랜지(40)의 자유 단부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은 터어빈 휠에 외부 반-원환체로 블레이드를 클램핑하는 적어도 일 러그와의 임의적인 간섭을 방지하고, 또한 안내 요소가 환형상 안내 섹터로 분할됨으로써 탄성 부재의 장착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피스톤(4)이 탄성 부재(6)를 둘러싸는 축선방향 환형상 플랜지(40)를 구비하고, 반면에 출력 요소(7)는 탄성 부재(6)의 원주방향 단부의 접합용으로 피스톤(4)의 플랜지(40) 밑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고 피스톤(4)를 향하는 축선방향으로 방향진 지지 러그(77)를 구비하며, 그리고 일측에 입력 요소(4, 8)는 내부적으로 탄성 부재(6)를 반경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피스톤(4)에 고정된 1개 이상의 안내 요소(8)를 구비하고 그리고 타측에 입력 요소는 탄성 부재(6)의 원주방향 단부의 접합부용 지지 러그(77)의 각각의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접합부(181, 381, 481)와 제 2 접합부(182, 382, 482)를 가지는 출력 요소(7)와 입력 요소(4, 8)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6)와, 터어빈 휠(2)에 고정될 수 있는 출력 요소(7)와, 케이싱(15)과 결합 해제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피스톤(4)을 포함하는, 입력 요소(4, 8)를 가진 유체동역학 커플링 장치의 터어빈 휠(2)과 케이싱(15) 사이에서 작용가능한 차량용 폐쇄 클러치에 있어서,
    안내 요소(8)는, 피스톤(4)의 환형상 플랜지(40) 밑에 반경방향으로 그 외부 둘레에 저부(85, 86)를 가지고 피스톤(4) 쪽으로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축선 홈으로 형상진 둘레 환형상 부분(80)을 구비하고, 환형상 부분(80)은 탄성 부재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며 그 저부(85, 86)의 수단에 의해, 피스톤(4)에 반대 방향으로 탄성 부재(6)를 축선방향으로 유지하며, 그리고 홈의 저부(85, 86)는 상관 지지 러그(77)의 통로용 경사 모양의 원주방향 트인 구멍(87, 18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80)은 일측에서 피스톤(4)에 플랜지(40)에 인접한 반경방향 외부 파트(83)에 의해 그리고 타측에서 반경방향 내부 파트(84)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한정되며, 그리고 저부(85, 86)는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를 함께 접속하며 그리고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는 축선 방향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181, 381, 481)와 제 2 접합부(182, 382, 482)는 반경방향 내부 파트(84)로부터 그리고 반경방향 외부 파트(83)로부터 적어도 부분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181)는 홈(80)의 저부(85, 86)로부터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381, 481)와 제 2 접합부(382, 482)는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로부터 단독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381)와 제 2 접합부(382)는 경사진 러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381)와 제 2 접합부(382)는 플런지 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인 구멍(187)은 환형상 폐쇄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8)는 환형상 안내 섹터(90)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181)와 제 2 접합부(182)는 반경방향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를 벤딩하여 안내 섹터의 원주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파티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인 구멍(87)은 안내 섹터(90)의 일 원주방향 단부의 수준에서 개방된 블라인드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섹터는 안내 섹터(90)의 원주방향 단부의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외부로 개방되는 2개 블라인드 슬롯(87)을 구비하고 그리고 슬롯(87)은 둘레 부분(80)의 저부(85, 86)의 스트립 구성요소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제 1 접합부(381)와 제 2 접합부(382)는 외부 파트(83)와 내부 파트(84)의 원주방향 단부를 벤딩하여 획득되는 파티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환형 부분(80)은 피스톤(4)에 고정되는 부분(81)에 내부적으로 접속되고 그리고 상승 클램핑 러그(284)는 클램핑 러그(284) 밑에 균형 팁이 소요되어 장착을 위한 고정 부분으로부터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러그(284)는, 고정 부분에 루트되는 영역을 가지고 그리고 단부 영역은 둘레 부분(84)의 저부(85, 86)의 방향으로 고정 부분(71)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팁(283)은 러그(284) 밑에 팁의 도입용으로 외부 개방되는 트인 구멍(28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인 구멍(286)은 도브테일 모양을 가지고 그리고 트인 구멍(286)의 경사진 모서리의 단부는 러그가 루트 되는 영역의 모서리와 협력동작하며, 반면에 클램핑 러그(284)는 트인 구멍(286)의 저부 근처에 팁에 접합부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6)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6)은 지지 러그(77)와 제 1 접합부(181, 381, 481)와 제 2 접합부(182, 382, 482)와 결합되도록 지지 컵(61)이 있는 그 원주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트(83)는 탄성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유지하는 1개 이상의 돌출부(88)를 그 자유 단부에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돌출부(88)는 내부 파트(84) 쪽으로 경사진 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폐쇄 클러치.
KR1020000074055A 1999-12-10 2000-12-07 차량용 폐쇄 클러치 KR10068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5640A FR2802265B1 (fr) 1999-12-10 1999-12-10 Embrayage de verrouill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99/15640 199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82A true KR20010062182A (ko) 2001-07-07
KR100686752B1 KR100686752B1 (ko) 2007-02-23

Family

ID=955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055A KR100686752B1 (ko) 1999-12-10 2000-12-07 차량용 폐쇄 클러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91246B2 (ko)
KR (1) KR100686752B1 (ko)
FR (1) FR2802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6453B1 (fr) 2003-06-17 2006-05-19 Valeo Embrayages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garniture de friction pour un tel appareil
DE102021115521B3 (de) 2021-06-16 2022-09-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agungseinrichtung und Antriebs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842Y2 (ja) * 1986-11-06 1995-10-11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装置
JPH01176855A (ja) * 1987-12-28 1989-07-13 Daikin Mfg Co Ltd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FR2721084B1 (fr) 1994-06-08 1996-08-23 Valeo Embrayage de verrouillag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JP2816958B2 (ja) * 1995-10-27 1998-10-27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トルクダンパ
US6056102A (en) * 1996-11-26 2000-05-02 Exedy Corporation Lockup damper, lockup mechanism and damper mechanism of torque converter
JP3879950B2 (ja) * 1997-07-04 2007-02-14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ダンパーの釣合装置
FR2775747B1 (fr) * 1998-03-03 2000-07-13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93818A (ja) 2001-07-17
FR2802265B1 (fr) 2002-03-01
FR2802265A1 (fr) 2001-06-15
KR100686752B1 (ko) 2007-02-23
JP4691246B2 (ja)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23B2 (en) Lock-up clutch for hydrokinetic coupling device including improved connection means
KR100572271B1 (ko)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US10145458B2 (en) Torque converter drive assembly including bias spring and axially movable turbine
KR102524861B1 (ko) 클러치판 조립체의 리프트-오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체
US5810140A (en) Locking clutch, notably for motor vehicles
JP200952016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外縁部に取り付けられた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をトルクコンバータ内に組み付けるための方法
JP2003505652A (ja)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JP2017075694A5 (ko)
KR102321117B1 (ko)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US6264018B1 (en) Lockup device of a torque converter
US6186898B1 (en) Elastic coupling device between two substantially aligned shafts
KR100301264B1 (ko) 다이어프램클러치기구
US5224576A (en) Damper disk
US10648548B2 (en) Thrust washer including radially extending connectors
KR102427594B1 (ko) 클러치 결합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충격 흡수기를 구비하는 자동차 클러치 조립체
JP3168188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ため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US5105921A (en) Damper disk
KR100686752B1 (ko) 차량용 폐쇄 클러치
US5806639A (en) Fluid coupling with a lock-up clutch
KR100722331B1 (ko)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US20110209964A1 (en) Wet clutch
KR102094607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US20020010028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5186293A (en) Damper disk
WO2017189458A1 (en) Torque converter including damper assembly with hysteresis control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