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703A -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703A
KR20010060703A KR1019990063112A KR19990063112A KR20010060703A KR 20010060703 A KR20010060703 A KR 20010060703A KR 1019990063112 A KR1019990063112 A KR 1019990063112A KR 19990063112 A KR19990063112 A KR 19990063112A KR 20010060703 A KR20010060703 A KR 2001006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rush
conveyor belt
lagg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457B1 (ko
Inventor
양성운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4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원료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의 풀리축에 형성되는 풀리 래깅의 손상을 검지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풀리래깅의 마모 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풀리 측면휠과 풀리래깅 사이에 삽입된 검지 코일과, 코일 손상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로서 구성되어 래깅의 손상을 미연에 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DETECTING APPARATUS FOR PULLEY OF CONVEYOR BELT}
본 발명은 풀리 래깅(Pulley Lagging)의 마모를 검지하는 장치가 부착된 일체형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풀리의 래깅마모를 조기에 검출하여 콘베이어벨트의 손상이나 풀리휠(Pulley wheel)의 파손을 방지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베이어벨트는, 물질 또는 물건을 목적하는 위치까지 수송하는 장치로서 이 콘베이어 벨트의 구성요소중의 하나인 풀리는 콘베이어 벨트를 지지하거나 또는 구동의 축이 되는 중요 장치이기 때문에 풀리는 중요 관리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풀리에서, 그 둘레에 일체로 부착되는 래깅(Lagging)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나, 콘베이어벨트의 이상가동(편기, 편적)이 발생될 경우 마모가 되면 Pulley side wheel 또는 풀리축이 절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콘베이어 벨트 자체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콘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수송되는 물품 또는 물질의 수송이 중단됨에 따라 연속 생산라인의 다음 공정 생산 능력이 저하되어 원가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풀리 래깅의 마모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특성상 콘베이어 벨트로 물질을 운반하는 공정의 대부분이 여러개의 조합된 콘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지기 때문에 콘베이어벨트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풀리는 그 숫자가 더욱 많아지게 되고, 이를 관리하는데는 작업부하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느때 풀리 래깅이 마모될 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풀리래깅의 마모 또는 손상을 조기에 검지하여 콘베이어 벨트 또는 풀리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하고, 특히 풀리래깅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게 되므로 풀리래깅의 점검을 운전자가 직접하지 않아도 손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설비사고 확대를 예방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이 장착된 풀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인 풀리의 손상을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리손상 검지장치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A.B: 풀리래깅 검지장치
1...도체연결 코일 3...스프링
4...브러쉬세트 케이스 5...커넥터
6...브러쉬
A.B: 풀리래깅 검지장치
C...풀리 래깅 D...풀리축
G...제어부 J...풀리측면 휠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풀리래깅의 마모 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풀리 측면휠과 풀리래깅 사이에 삽입된 검지 코일과, 코일 손상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로 구성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를 마련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이 장착된풀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인 풀리의 손상을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리손상 검지장치의 요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풀리 래깅(C)과 풀리측면 휠(J)(Pulley side wheel) 사이에 풀리래깅(C)의 마모시 이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코일(F)이 3방향(바람직 하게로는 120도 방향)으로 3개가 풀리의 외경측이 풀리래깅(C)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풀리래깅(C)이 마모될 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검지코일(F)이 절손되면 이를 검지하는 검지장치(A)(B)가 풀리축(D)에 각각 부착된다.
이때, 상기 풀리는 양측에 돌출되는 풀리축(D)에 풀리베어링(E)이 결합되어 용이하게 회전토록 된다.
상기 검지장치(A)(B)는 풀리의 회전에 의해 검지코일((F)이 단선되지 않도록 즉 풀리가 회전 상태에서도 검지장치(A)(B)는 계속 검지할 수 있도록 풀리축(D)에 일체로 고정된 검지도체(d)와 이에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쉬 세트(a)(Brush Set)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 세트(a)는, 풀리의 양측에 돌출되는 풀리축(D)을 감싸도록 각각 형성되는 브러쉬세트 장착하우징(2)의 내측에 브러쉬세트 케이스(4)가 결합되어 그 내측에 스프링(3)과 브러쉬(6)가 순차로 삽입되고, 상기 제어부(G)에 연결되는 도체연결 코일(1)이 컨넥터(5)에 의해 브러쉬(6)에 연결된다.
상기 풀리의 양측면 풀리축(D)에 설치되는 각각의 브러쉬 세트(a)는 각각 제어부(G)에 도체연결코일(1)로 연결되어 전류가 계속흐르게 되고, 이때 상기 검지도체(d)는 풀리의 둘레에 설치되는 검지코일(F)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토록 된다.
그리고,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마모 검지장치(A)(B)는, 풀리축(D)에 설치된 검지장치(A)(B)에는 풀리의 축에 일체형 Type의 원형으로 부착된 검지도체(d)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체(d)는 풀리에 같이 결합된 검지코일(F)에 연결되어 풀리의 회전시 동일하게 회전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체(d)에는 브러쉬 세트(a)가 밀착되어 전류를 인가하고 검지장치중 전류인가 부분의 고정은 브러쉬세트 장착 하우징(2)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세트(a)는 도4에서와 같이, 도체(d)에 연결된 도체연결 코일(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류는 도체연결코일(1)에 일렬로 연결되는 브러쉬(6)에 각각 공급된다.
상기, 브러쉬(6)를 풀리축(D)에 부착된 검지도체(도3의 d)에 밀착시키기 위해 브러쉬 세트 케이스(4)에 내장된 브러쉬 압착용 스프링(3)에 의해 밀착되어 풀리축(D)에 부착된 검지도체(도3의 d)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브러쉬 세트(a)는, 브러쉬세트 장착 하우징(도3의 b)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동작은 콘베이어 기동되면 마모 검지장치(A)(B)의 전원이 제어부(G)에서 ON 되어 검지코일(F)의 손상유무를 검지하고 있다가 코일이 절손, 즉 풀리래깅의 마모로 인해 3개중 하나의 검지코일(F) 이라도 절손이 되면 제어부(G)에 신호가 공급되어 콘베이어 벨트를 정지 시키며, 이때 제어동작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에 있어서는, 풀리래깅의 마모를 운전자가 점검하지 않고도 마모상태를 검지하여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고, 풀리래깅의 마모로 인해 풀리측면 휠의 파손 또는 콘베이어벨트의 찢어짐 등으로 설비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에따라 원활한 콘베이어벨트 수송을 함으로써 전후공정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에 있어서,
    풀리의 외경측에 일체로 부착되는 풀리래깅(C)의 내측에 다수개 설치되는 검지코일(F)과,
    상기 검지코일(d)과 각각 연결토록 풀리 양측의 돌출되는 풀리축(D)의 둘레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검지도체(d)및,
    상기 검지도체(d)에 브러쉬 세트(a)에 의해 탄성접속되어 그 신호를 도체연결코일(1)로서 전달받는 제어부(G)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래깅(C)의 내측에 설치되는 검지코일(F)은, 풀리의 둘레에 120°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G)와 검지도체(d)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 세트(a)는, 양측의 풀리축(D)을 감싸도록 각각 형성되는 브러쉬세트장착하우징(2)의 내측에 브러쉬세트 케이스(4)가 결합되어 그 내측에 스프링(3)과 브러쉬(6)가 순차로 삽입되고, 상기 제어부(G)에 연결되는 도체연결 코일(1)이 컨넥터(5)에 의해 브러쉬(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KR1019990063112A 1999-12-27 1999-12-27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KR10062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112A KR100627457B1 (ko) 1999-12-27 1999-12-27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112A KR100627457B1 (ko) 1999-12-27 1999-12-27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703A true KR20010060703A (ko) 2001-07-07
KR100627457B1 KR100627457B1 (ko) 2006-09-22

Family

ID=1963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112A KR100627457B1 (ko) 1999-12-27 1999-12-27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00B1 (ko) * 2019-12-20 2020-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풀리의 손상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5575A (en) * 1974-11-09 1976-05-15 Bon Denki Kk Konbeaberutono sonshokenshutsusochi
JPH086493Y2 (ja) * 1990-01-19 1996-02-2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脱▲ふ▼機における脱▲ふ▼ロールの摩耗検出装置
JPH06107316A (ja) * 1992-09-28 1994-04-19 Kawasaki Steel Corp コンベアベルトのスリップ検出方法
JPH09301520A (ja) * 1996-05-15 1997-11-2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スリップ検出装置
JPH11301929A (ja) * 1998-04-16 1999-11-0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プーリ回転検出機構
JP2000289836A (ja) * 1999-04-02 2000-10-17 Nippon Steel Corp タンデム駆動ベルトコンベアのプーリーラギング摩耗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457B1 (ko) 200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99B1 (ko) 컨베이어벨트 이송장치
KR20010060703A (ko) 콘베이어벨트의 구동풀리 검지장치
US4889519A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KR101913756B1 (ko)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KR101490633B1 (ko) 루퍼 장치
JPH11262932A (ja) 射出成形機の駆動力伝達装置
KR101526542B1 (ko) 컨베이어풀리 파손 감지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JP3126836B2 (ja) ワイヤソー装置の異常検出方法
US4326677A (en) Monitoring circuit for high speed spindle assembly
KR10219050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안전장치
JP3054550B2 (ja) ワイヤソー装置
CN218144019U (zh) 一种新型伸缩皮带机
JP2000190196A (ja) ワイヤソ―のリ―ルボビンの異常回転検知構造
KR100332670B1 (ko) 스틸코드 연선기의 단선검출기 자기진단 방법 및 장치
JPH10249787A (ja) 産業用ロボット
JPH0781608B2 (ja) 伝導ベルトの劣化検出装置
US20240149475A1 (en) Joint device and robot apparatus
KR20070037134A (ko)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JP2004137040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3773690B2 (ja) コネクタ機構、及び、補助動力付自転車
KR20030044591A (ko) 벨트 컨베이어의 롤러 파손 감지 장치
JPH0632534A (ja) 撚線機と断線の検出方法
KR200152376Y1 (ko) 기계제어장치의 모터브레이크 이상검출회로
JP2004091958A (ja) ワイヤの異常検出装置
JP2003026385A (ja) 乗客コンベヤー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