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438A -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 Google Patents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438A
KR20010060438A KR1019990062422A KR19990062422A KR20010060438A KR 20010060438 A KR20010060438 A KR 20010060438A KR 1019990062422 A KR1019990062422 A KR 1019990062422A KR 19990062422 A KR19990062422 A KR 19990062422A KR 20010060438 A KR20010060438 A KR 2001006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ede
fabric
polyurethane
woven
excellent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남
김원준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9006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0438A/ko
Publication of KR2001006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43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웨이드는 0.5~0.05데니어의 극세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에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5~25중량% 함침되어 있고, 마모강도가 2,000회 이상이고, 습마찰견뢰도가 3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스웨이드는 의류용 및 가구용 원단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An excellent wear-resistance fabric or knit typed swede}
본 발명은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하여 사용중 극세사 모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직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스웨이드는 주로 (ⅰ) 극세성분 원사를 위사, 경사 혹은 파일사로 사용하여 제직 또는 제편하고, (ⅱ) 생지를 감량 혹은 추출가공하여 극세성분 원사를 극세화한 후, (ⅲ) 염색전후에 기모 혹은 버핑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때 극세성분 원사로는 극세화 가능한 2~5데니어의 직방형, 분할형, 추출형 또는 해도형 필라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고수축사와 합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웨이드는 극세성분이 표면으로 돌출되어 모우가 발현되어 외관상 라이팅 이펙트가 발현된다. 특히 초극세원사 등을 사용하게 되면 외관 및 촉감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직편물 스웨이드는 기존 직편물과 비교시 촉감 및 외관이 우수하고 라이팅 이펙트도 발현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인공피혁과 비교시에는 촉감 및 외관은 비슷하나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최근 직편물 스웨이드는 의류용 및 가구용 분야에서 기존 인공피혁의 대체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직편물 스웨이드는 표면에 형성된 극세섬유의 모우가 원단조직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더욱 상기 기모의 대다수가 절단된 형태이기 때문에 외부 마찰이나 마모에 의해 상기 모우가 쉽게 빠져 나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빠져나온 모우는 다른 피복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특히 직물 스웨이드의 경우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등 물성편차가 심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그 결과 직물 스웨이드는 그 용도가 의류용으로 한정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편물 스웨이드의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를 향상시키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물성편차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하여 모우의 탈락이 없고,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물성편차가 개선된 직편물 스웨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0.5~0.05데니어의 극세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에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5~25중량% 함침되어 있고, 마모강도가 2,000회 이상이고, 습마찰견뢰도가 3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극세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에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함침되어 있어서, 형성된 기모가 이들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직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극세섬유는 두 종류의 폴리머를 해도형 또는 분할형으로 복합방사한 원사이거나, 두 종류의 폴리머를 혼합방사한 원사이거나, 1종의 폴리머를 0.5데니어 이하로 단독 방사한 원사이다.
해도형에 있어서 도성분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혹은 나일론계 고분자를 사용하고, 해성분으로는 도성분과 용제용해성이 상이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사용 가능하다. 분할형에 있어서 두가지 고분자중 하나의 성분은 가성소다 등의 용제에 의해 추출되거나 감량되어 극세성분이 분할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극세섬유는 극세화 시킨 후의 섬도가 0.5데니어 내지 0.05데니어인 경우가 스웨이드 효과를 얻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은 복합섬유 혹은 단독섬유를 주자직의 직물로 제직하거나 경편의 편물로 제직, 제편하여 생지를 제조하게 된다.
이어서 생지를 로타리 워셔에 정련축소하고 가성소다를 1~10% 투입하여비오(보일드 어프) 가공하므로써 겉보기 밀도를 높이고 섬유를 극세화 한다. 이어서 비오 가공지를 170℃ 정도에서 건열처리하여 형태안정성을 높인 후 기모기로 2회 내지 10회 기모처리하거나, 메쉬 #100번 내지 #240번 사포를 적용하여 버핑가공하므로써 극세섬유의 일부를 절단시켜 일으켜 세우면 모우가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모우가 형성된 스웨이드조 원단에 물성을 강화하고 촉촉한 감촉을 내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습식 함침한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탄성체는 고형분 30% 정도를 갖는 인공피혁용 일반 폴리우레탄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이 사용가능하다.
이들을 용제인 4,4-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적정한 혼합비로 1시간 이상 교반, 혼합하여 폴리우레탄의 고형분 농도가 6%~13%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한 후 이들 용액을 함침조, 응고조, 수세조가 달린 일반 습식 함침용 함침기대를 사용하여 상기 원단내에 함침시킨다.
이때 부여하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함침액의 농도, 패딩롤의 간격, 처리할 원단의 밀도 및 후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스웨이드의 요구특성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폴리우레탄 함침량은 5~25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폴리우레탄 함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스웨이드의 물성 개선효과가 미약하게 될 수 있고, 함침량이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모우가 폴리우레탄에 파묻혀 스웨이드 효과 및 촉감이 저하될수 있다. 폴리우레탄 함침시 맹글 또는 나이프를 사용할수 있으나,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폴리우레탄 함침량 조절에 더욱 바람직 하다.나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나이프 각도를 표면쪽은 직각으로 이면쪽은 60°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을 직편물에 함침하므로서 폴리우레탄 함침전에 형성된 극세사 모우가 마찰이나 마모에 의해 쉽게 탈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직물 조직에 의한 길이방향과 폭방향간 강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습식 폴리우레탄 특유의 미끈한 촉감을 발현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함침공정 후 기모 혹은 버핑을 다시 실시하여 스웨이드의 모우를 고르게 할수도 있고, 함침후에 바로 염색할 수도 있다. 사용된 섬유가 나일론-6인 경우에는 통상 합금속 염료 또는 밀링타입 산성염료로 염색하고 폴리에스테르계일 경우에는 분산염료로 고압래피드 염색기에서 염색하게 된다. 끝으로 발수 및 대전방지가공을 행하면 유연성이 뛰어난 고품위의 직편물 스웨이드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직편물 스웨이드는 0.5~0.05데니어의 극세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에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5~25중량% 함침되어 있고, 마모강도가 2,000회 이상이고, 습마찰견뢰도가 3급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촉감, 마모강도 및 습마찰견뢰도는 아래와 같이 평가(측정) 한다.
·촉감
전문가의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한다. 10명의 전문가가 평가하여 8명 이상이 좋다고 하면 양호로, 7명 이하가 좋다고 하면 불량으로 평가한다.
·마모강도
테버(Taber)법에 의해 측정한다. 시료(원단)를 회전하는 롤에 공급하여 시료(원단)에 구멍이 발생할 때가지 마모시킨다. 시료(원단)에 구멍이 발생할때 까지의 롤 회전수를 측정하여 마모회전수로 한다.
·습마찰견뢰도
크록체르메터(Crocker meter)에 백색면포를 덮고 이를 10회전 시키면서 시료(원단)와 마찰시킨 후 백색면포의 오염정도를 표준방법으로 판정하여 등급을 매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하니다.
실시예 1
극세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부와 추출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30중량부를 복합방사하여 150데니어의 복합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상기 복합섬유는 추출성분 제거시 극세섬유의 섬도는 0.2데니어가 된다. 제조된 상기 복합섬유를 위사로, 75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경사로 사용하여 주자직 직물(직경 200g/야드)을 제직한다.
계속해서 상기 직물을 로터리 워셔에서 120℃에서 40분간 정련 및 축소하고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를 1% 투입하여 120℃에서 30분간 비오(보일드 어프) 가공하므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추출하여 극세성분만 남게하여 섬유를 극세화 한다.
이어서 비오 가공지를 170℃의 온도에서 건열처리하여 형태안정성을 높인 후 메쉬 #180번 사포를 적용하여 버핑가공하므로써 극세섬유의 일부를 절단시켜 일으켜 세워 모우를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모우가 형성된 스웨이드조 원단상에 나이프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13중량% 함침시킨다.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체는 고형분 3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100중량부를 용제인 4,4-디메틸포름아마이드 22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2시간동안 교,혼합한 후 희석시켜(고형분 농도 8%) 제조한다.
계속해서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함침된 원단을 3회 기모한 후 분산염료로 염색하고, 발수제 및 대전방지제를 처리하여 본 발명의 직물 스웨이드를 제조한다. 제조한 직물 스웨이드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 실시예 5 및 비교실시예 1 ~ 비교실시예 4
극세섬유의 단사섬도, 폴리우레탄 농도 및 함침량, 후버핑(기모) 실시여부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직물 스웨이드를 제조한다. 제조한 직물 스웨이드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분 극세섬유섬도(데니어) 폴리우레탄농도(%) 폴리우레탄함침량(중량%) 후버핑(기모)실시여부
실시예 1 0.2 8 13 실시
실시예 2 0.05 8 13 실시
실시예 3 0.5 8 13 실시
실시예 4 0.2 6 7 실시
실시예 5 0.2 10 20 실시
비교실시예 1 0.2 0 0 실시
비교실시예 2 0.2 5 4 실시
비교실시예 3 0.2 12 26 실시
비교실시예 4 0.2 8 13 미실시
직물 스웨이드 물성평가 결과
구 분 촉감 마모강도(마모회전수) 습마찰견뢰도
실시예 1 양호 2700회 4급
실시예 2 양호 2500회 3급
실시예 3 양호 3000회 4급
실시예 4 양호 2200회 3급
실시예 5 양호 3500회 4급
비교실시예 1 양호 1500회 2급
비교실시예 2 양호 1800회 3급
비교실시예 3 불량 4000회 4급
비교실시예 4 불량 4400회 5급
본 발명의 직편물 스웨이드는 모우들이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서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매우 우수하며,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물성편차가 크게 개선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직물용 스웨이드는 의류용 분야 뿐만아니라 가구용 분야 등에서도 인공피혁이나 기존의 직편물의 대체소재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0.5~0.05데니어의 극세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에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5~25중량% 함침되어 있고, 마모강도가 2,000회 이상이고, 습마찰견뢰도가 3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2. 1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물이 기모 또는 버핑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3. 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탄성체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KR1019990062422A 1999-12-27 1999-12-27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KR2001006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22A KR20010060438A (ko) 1999-12-27 1999-12-27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22A KR20010060438A (ko) 1999-12-27 1999-12-27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38A true KR20010060438A (ko) 2001-07-07

Family

ID=1962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422A KR20010060438A (ko) 1999-12-27 1999-12-27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04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makar Chemical technology in the pre-treatment processes of textiles
KR100534525B1 (ko) 저신장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인공피혁용 복합시트
KR20200038460A (ko) 항필링천 및 그 제조법
US3532529A (en) Process for making synthetic suedes
KR100614625B1 (ko)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36445A (ko) 장섬유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695740B1 (ko) 촉감 및 마모강도가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10060438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KR100469753B1 (ko) 스웨드조 극세사 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1166453B1 (ko) 내필링성이 우수한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4145B1 (ko) 고발색성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스웨이드조 원단
KR100822283B1 (ko) 해도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직편물의 해성분 용출방법
KR100510957B1 (ko) 나일론 해도사를 사용한 스웨드조 극세사 편직물의 제조방법
JP2022060610A (ja) 竹繊維を使用して織編みした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7102677B2 (ja) ニット編み連続フィラメントリヨセル布
KR100580323B1 (ko) 촉감 및 폴리우레탄 수지 함침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0614623B1 (ko)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S5935591Y2 (ja) パイル織物
KR100358361B1 (ko) 스웨드조 환편지의 제조방법 및 그 스웨드조 환편지
KR100667621B1 (ko)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1375B1 (ko) 중량감과 두께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원단 및 그의제조방법
JPS61152849A (ja) 内装用パイル布帛
JPH07197383A (ja) 伸縮性合成皮革の製造方法
CN115961414A (zh) 一种持久抗菌防螨抗静电绒类面料及其生产方法
Byrne Machine-washable knitwear—Production rou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