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327A - 이도 내시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이도 내시 청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0327A KR20010060327A KR1020000067704A KR20000067704A KR20010060327A KR 20010060327 A KR20010060327 A KR 20010060327A KR 1020000067704 A KR1020000067704 A KR 1020000067704A KR 20000067704 A KR20000067704 A KR 20000067704A KR 20010060327 A KR20010060327 A KR 200100603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 canal
- image
- main body
- earpick
- 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 내부의 귀지, 벌레 또는 물 등의 이물을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청소장치(耳道內視掃除裝置)이다. 귀이개 본체는 선단에 소취부(搔取部)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선단에 광을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광원은 광을 발생한다. 파이버스코프(fiberscope)는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표시한다. 보지부(保持部)는 귀이개 본체 및 파이버스코프를 보지한다. 보지부에 설치된 중공구(中空口)에 파이버스코프가 관통하고, 보지부는 파이버스코프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보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귀이개는 봉상의 선단(先端)에 단지 작은 스푼이 구비되어 있거나, 면 등이 취부되어 있을뿐이었다. 따라서, 귀지를 제거하는 경우, 또는 귀의 내부의 벌레 또는 물 등이 들어간 경우에는, 자신의 이도 내부를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손으로 더듬어 보는 상태로 귀의 내부를 검사하면서, 귀지, 벌레 또는 물 등의 이물의 제거를 행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직감에 의존해서 귀의 내부를 휘젓는 것은 귀의 내부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어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귀이개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귀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귀의 내부의 귀지, 벌레, 또는 물 등의 이물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귀이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단에 소취부(搔取部)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에 광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귀이개 본체와, 그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수단과,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귀이개 본체 및 영상수집수단을 보지하는 보지부로 이도내시소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에 설치된 중공구(中空口)에 영상수집수단이 관통하고, 보지부는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보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귀이개 본체를 통하여 이도내를 조사한다. 광에 의해 조사된 이도 내의 영상은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되고, 표시수단으로 유도되어 비추어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이도 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해서 보지부가 회전하기 때문에,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한 채로, 보지부와 함께 귀이개 본체를 회전시켜 이도 내부를 소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도내시청소장치(耳道內視掃除裝置)의 귀이개부의 단면도,
도 2는 귀이개부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미지 가이드로서 CCD를 이용한 경우의 귀이개부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귀이개부의 접합보지부(接合保持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귀이개부의 귀이개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귀이개 본체의 수광면(受光面)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접합보지부와 귀이개 본체를 조합시킨 귀이개부의 단면도,
도 8은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도내시소제장치의 전체 도면,
도 9는 귀이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귀이개 취부부(取付部)와 지지관(支持管)의 제 1 단부(端部)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커버의 단면도,
도 13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固定部)의 단면도,
도 14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의 사시도,
도 15는 지지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 및 결합부를 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도내시소제장치의 귀이개(10)의 단면도(斷面圖)이다. 이도내시소제장치는 화상표시장치와 광원이 수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섬유를 통해서 귀이개의 취수(取手) 부분(보지부)에서 중계하고, 이러한 광을 귀이개 본체의 조사부로부터 이도 내로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고, 그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스로 자신의 이도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봉상의 보지부(11)는 광을 유도하기 위한 도광수단(導光手段)인 광섬유(12)와 광섬유(12)로부터 광을 수광(중계)하여 이도 내로 광을 유도하기 위해 투명한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만들어지는 귀이개 본체(13)와, 이도 내의 영상을 외부로 안내하는 파이버스코프(이미지가이드)(14)를 보지한다. 이 경우, 광섬유(12)와 귀이개 본체(13)는 도광로결합부(15)에 의해 접합 및 고정되고, 일체화되어 보지부(11)를 관통한다. 귀이개 본체(13)의 선단(이도 내에 삽입하는 쪽)에는 귀지를 제거하기 위한 귀지제거부(소취부)(16)와 이도 내를 조사하는 조사부(17)가 설치된다.
파이버스코프(14)는, 그의 선단에,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수광부(18)를 갖고, 보지부(11)를 관통한다. 파이버스코프(14)의 수광부(18)에는 대물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물렌즈는 파이버스코프(14)의 선단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 근방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대물렌즈 대신에 프리즘 등을 이용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이개 본체(13)는 보지부(11)로부터 이도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한다. 광섬유(12)는 보지부(11)로부터 귀이개 본체(13)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파이버스코프(14)는 보지부(11)로부터 이도의 삽입방향으로, 및 그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파이버스코프(14)의 이도의 삽입방향으로의 돌출량은 귀지제거부(16) 근방의 영상의 수집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귀이개 본체(13)의 돌출량의 반 정도 보다 약간 길게 한다.
그러나,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는 것에 지장이 없게, 또한 귀지제거부(16)가 귀지를 제거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라면, 파이버스코프(14)의 돌출량은 귀이개 본체(13)의 돌출량의 반 보다 커도 작아도 좋다. 파이버스코프(14)의 돌출량은 당해 파이버스코프(14)에 설치된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또한 광섬유(12) 및 파이버스코프(14)의 귀이개 본체(13)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은 광섬유(12) 및 파이버스코프(14)의 꺽임을 피하기 위하여 리드 보호 튜브(19)에 의해 함께 보호되고,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된다.
더욱이, 귀이개 본체(13)는 오손(汚損)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도광로 결합부(15)에 있어서 귀지제거부(16)가 설치되는 쪽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어, 교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귀이개부(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귀이개부(10)에 접속되는 리드 보호 튜브(19)내에는 광섬유(12)와 파이버스코프(14)가 내삽되어 있다.
광섬유(12)의 단부(端部)는 디스플레이 장치(20)내의 집광렌즈(21)의 초점위치에 배치된다. 집광렌즈(21)는 광원(22)으로부터의 광을 모아, 그러한 광을 광섬유(12)의 단부에 조사한다. 이러한 광은 광섬유(12)를 통해서 귀이개 본체(13)로 유도되고 조사부(17)에서 발산된다.
파이버스코프(14)의 디스플레이 장치(20)측의 단면(端面)은 디스플레이 렌즈(23)의 초점위치에 배치된다. 이도 내의 영상은 수광부(18)로부터 수집되어 파이버스코프(14)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렌즈(23)를 통해서 표시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렌즈(23) 대신에 CCD 카메라 등을 이용해도 좋다. CCD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경우, 파이버스코프(14)를 통해 전달된 이도 내의 영상은 CCD 카메라 등에서 수상(受像)되고, 신호처리되어 액정 또는 브라운관에 표시된다.
도 3은 이미지 가이드로서 CCD를 이용한 경우의 귀이개부(30)와 디스플레이 장치(31)를 도시한 도면이다. 귀이개부(30)는 도 1에 도시한 귀이개부(10)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이지만, 귀이개부(10)의 수광부(18)를 파이버스코프(14)로부터 CCD 카메라(32)로 변경한 점이 다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 부재는 도 1과 동일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귀이개부(30)는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CCD 카메라(32)를 갖는다. 조사부(17)에 의해 이도 내가 조사되면, CCD 카메라(32)는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한다. CCD 카메라(32)에 의해 수집된 이도 내의 영상은 신호로서 리드선(33)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1)로 전송된다. 전송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31)의 핸들부(34)내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고, 화상으로서 화상표시부(35)에 표시된다. 핸들부(34)내에는 조사부(17)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도 포함된다.
더욱이, CCD 카메라는 반드시 이미지 가이드의 선단에 취부되는 것은 아니고, 선단 근방 또는 측면에 취부되어도 좋다.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이 디스플레이 장치내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을 보지부 내에 배치하고, 직접 귀이개 본체를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도내시소제장치의 접합보지부(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도내시소제장치의 귀이개 본체(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귀이개 본체(50)의 수광면(受光面)(51)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합보지부(40)는 외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광원을 전송하는 광섬유(41)와 이도 내의 영상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파이버스코프(이미지 가이드)(42)를 갖고, 그들을 보지부(43)로 보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지부(43)의 단면(44)에는 광섬유(41)로부터의 광을 조사하는 조사면(45)이 형성된다. 단면(44)의 중앙부로부터는 원주상의 파이버스코프(42)가 돌출하여 있다. 파이버스코프(42)는 도 5에 도시되는 귀이개 본체(50)의 관통구(52)를 관통한다. 파이버스코프(42)의 선단에는 대물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대물렌즈는 파이버스코프(42)의 선단에 국한되지 않고, 선단 근방 또는 측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대물렌즈 대신에 프리즘 등를 이용해도 좋다.
귀이개 본체(50)는 투명한 플라스틱 등의 광 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고, 파이버스코프(42)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52)가 설치된 귀이개 동체부(胴體部)(530)와, 이도 내를 조사하는 조사부(54)와, 귀지를 제거하는 귀지제거부(소취부)(55)를 일체로 하여 구비한다. 귀이개 동체부(53)에는 접합보지부(40)의 단면(44)에 당접하여 조사면(45)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함과 동시에 관통구(52)의 입구(58)를 갖는 수광면(51)이 형성되며, 반대측에 관통구(52)의 출구(57)를 갖는 사면(56)이 형성되어 있다. 사면(斜面)(56)의 낮은 위치로부터 광전송로(59)가 형성되며, 그의 선단에는 조사부(54)와 귀지제거부(55)가 형성된다.
도 7은 접합보지부(40)와 귀이개 본체(50)를 조합시킨 귀이개부(70)의 단면도이다. 접합보지부(40)와 귀이개 본체(50)는 조사면(44)과 수광면(51)이 접하도록, 링 등의 정지구(7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취부된다. 정지구(71)는 정지시키거나 빼는 것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귀이개 본체(50)는 파이버스코프(4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귀이개 본체(50)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리드 보호 튜브(72)에 의한 접합보지부(40)의 고정에 관계없이, 귀지제거부(55)의 회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지구의 정지 및 빠짐이 자유롭기 때문에 귀이개 본체(50)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합보지부(40)의 광섬유(41) 및 파이버스코프(42)는 리드 보호 튜브(72)의 가운데를 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접속된다. 광섬유(4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운데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고, 조사면(44)에서 발광한다. 조사면(44)에서 발광되는 광은 수광면(51)에서 수광되어, 귀이개 동체부(53)를 사면(56)을 따라 봉상의 광전송로(59)로 전송되며, 조사부(54)에서 조광된다. 조사부(54)에서 조사된 이도 내의 영상은 파이버스코프(42)에서 수집된다. 수집된 영상은 파이버스코프(42)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도 2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미지 가이드로서 파이버스코프(42)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미지 가이드로는 CCD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접합보지부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있어서, 선단의 CCD 카메라와 리드선은 가늘고 긴 봉상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일체로 고정하기에는 파이버로 일체로 합성하거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이미지 가이드로 CCD를 이용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3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CCD 카메라는 반드시 이미지 가이드의 선단에 취부되는 것은 아니고, 선단 근방 또는 측면에 취부되어도 좋다.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원이 디스플레이 장치내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광원을 보지부내에 배치하여, 직접 귀이개 본체를 조사하도록 해도 좋다.
[제 3의 실시형태]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도내시소제장치는 귀이개 본체에 직접 광을조사하도록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도내시소제장치(100)의 전체도면이다. 이도내시소제장치(100)는 귀이개부(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구성된다. 귀이개부(200)는 귀이개 본체(212) 및 영상수집수단(270)을 포함한다. 귀이개 본체(212)에 의해 이도 내의 조사 및 소제가 행해지고, 영상수집수단(270)에 의해 이도 내의 영상의 수집이 행해진다. 수집된 영상은 귀이개부(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접속하는 보호튜브(400)내에 삽입된 이미지 가이드(파이버스코프)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도 9는 귀이개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귀이개부(200)는 귀이개취부부(210)와 지지관(220)과,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와 결합부(240)를 갖는다. 귀이개취부부(210)는 지지관(220)의 제 1 단부(222)와 초음파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관(220)의 제 2 단부(224)는 요부(凹部)(223)를 갖고, 이러한 요부(223)에 결합부(240) 내면에 형성된 인괘부(引掛部)가 요철감합하는 것에 의해, 결합부(240)와 결합된다. 제 2 단부(224)의 내부에는 약간의 극간을 두고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가 배치된다. 지지관(220)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귀이개취부부(210), 지지관(220) 및 결합부(240)가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보지부(250)가 형성된다. 귀이개 취부부(210), 지지관(220) 및 결합부(240)는 각기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의 부재끼리 결합하여 형성된 보지부(25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귀이개부(22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귀이개취부부(210)와 지지관(220)의 제 1 단부(222)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커버(276)의 단면도이다. 더욱이, 도 11에 있어서는, 영상수집수단을 생략하고 있다.
귀이개취부부(21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공의 지지관(220)의 제 1 단부(222)에 취부된다. 그래서, 귀이개취부부(210)와 지지관(220)에 의해 내부공간(260)의 일부가 형성된다. 내부공간(260)에는 영상수집수단인 파이버스코프(270)와 이도 내를 조사하는 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214)이 배치된다.
파이버스코프(270)는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수광부(272)를 갖는다. 파이버스코프(2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을 제외하고, 강철제의 보호튜브(274)에 의해 피복되는 것에 의해, 직선적으로 고정되며, 파손 및 만곡이 방지되어 있다. 직선적으로 고정된 파이버스코프(270)는 보지부(250)를 관통한다. 또한 파이버스코프(270)의 선단은 교체가능한 커버(276)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수광부(272)의 오손 또는 오염 등에 의한 시계의 악화가 방지되어 있다.
커버(276)는 대물렌즈(27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도내시소제장치(100)의 반복사용에 의해 대물렌즈(277)가 뿌옇게 되어도, 커버(276)를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대물렌즈(277)도 교체할 수 있다. 환원하면, 파이버스코프(270)의 선단에 대물렌즈를 취부하는 수고 없이, 흐려진 대물렌즈의 교체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대물렌즈(277)는 커버(276)가 취부된파이버스코프(270)의 선단 근방 또는 측면에 배치되도록 커버(276)와 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물렌즈(277) 대신에 프리즘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12에서는 커버(276)와 대물렌즈(277)를 동일한 재료료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커버(276)와 대물렌즈(277)를 다른 재료로 별체로 해서 형성하여도 좋고, 커버(276)와 대물렌즈(277)를 상이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강철제의 보호 커버(274)의 선단내부에 대물렌즈를 장착하고, 파이버스코프를 렌즈에 접합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렌즈의 오손방지를 위해 투명한 커버를 취부한다. 이렇게 해서, 영상수집수단의 오손을 방지한다.
광원(214)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백열램프 등이다. 광원(214)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관(220)의 내벽에 형성된 대좌(225)상에 적치된다. 더욱이, 광원(21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좌(225)를 끼워 형성된 한쌍의 벽부재(壁部材)(2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좌(225) 및 벽부재(226)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 광원(214)은 귀이개 본체(212)의 단면(213)에 대향한다. 광원(214)은 2 가닥의 도선(215)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단면(213)을 조사한다. 광원(214)은 귀이개 본체(212)의 단면(213)을 직접 조사하기 때문에, 광의 강도를 감쇄시키지 않고, 광을 귀이개 본체(212)에 공급할 수 있다.
귀이개 본체(212)는 단면(213)에 있어서, 광원(214)으로부터 광을 수광하고, 수광한 광을 이도 내에 전달한다. 귀이개 본체(212)는 광을 전달하기 위해, 투명수지로 형성된다. 투명수지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폴리머,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수티렌수지, APO수지,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클로올레핀폴리머는 내습성이 낮고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것을 귀이개 본체(212)의 재료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광원(214)과 귀이개 본체(212) 사이에 볼록 렌즈를 설치하여, 광원(214)의 광을 집광하여 귀이개 본체(212)에 공급하여도 좋다.
광이 전달되는 귀이개 본체(212)의 선단에는, 귀지를 제거하기 위한 귀지제거부(소취부)(218)와 이도 내를 조사하는 조사부(219)가 설치된다. 광은 조사부(219)에서 발산되어, 이도 내를 조사한다. 귀지제거부(218)는 파이버스코프(270)의 수광부(219)로부터 관찰가능한 시계내에 배치된다. 다만, 귀지제거부(218)는 파이버스코프(270)의 시계를 반 이상 가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귀지제거부(218)가 파이버스코프(270)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도 내의 관찰 및 안전한 이도 내의 소제가 달성된다. 여기서, 귀지제거부(218)는 파이버스코프의 중심선축방향으로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버스코프(270)가 귀이개취부부(210)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귀지제거부(218) 부근의 영상의 수집 용이성을 감안하여, 귀이개 본체(212)가 귀이개 취부부(210)로부터 돌출하는 길이의 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버스코프(270)의 선단이 귀지제거부(212)로부터 10㎜ 내지 15㎜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는데 지장이 없고, 귀지제거부(218)가 이도 내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에 장애가 되지 않는 정도이면, 파이버스코프(270)가 돌출하는 길이는 귀이개 본체(212)가 돌출하는 길이의 반 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또한, 귀이개 본체(212)는 귀이개취부부(210)의 내부에 설치된 한쌍의 감합부재(21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요철감합된다. 귀이개 본체(212)는 착탈하는 것에 의해 교환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성인이 사용하는 경우와 자녀가 사용하는 경우에, 상이한 크기의 귀지제거부(218)를 갖는 귀이개 본체(212)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귀이개 본체가 오손되어도 교체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 및 보호 튜브(400)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의 사시도이다.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는 고정부 본체(231)와 보호 튜브 장착부(232)를 갖는다.
고정부 본체(231)는 도선(215) 및 보호 파이프(274)로 피복된 파이버스코프(270)를 보지한다. 그 때문에, 고정부 본체(231)에는 보호 파이프(274) 및 2 가닥의 도선(215)이 관통하는 구멍(233)이 형성된다. 구멍(233)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파이프(274)가 감삽되는 부분과 도선(215)이 통과하는 부분을 갖고, 보호 파이프(274)는 구멍(233)에 감삽되어, 접착재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 본체(231)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 돌기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튜브 장착부(232)에는 외주에 링 형상의 정지구(235)가 고정된 보호 튜브(400)가 삽입된다. 정지구(235)는, 도 9에 도시된 결합부(240)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의 사이에 배치되고, 보호 튜브(400)에 고정된다. 보호 튜브(4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까지 뻗어 있고 내부에 파이버스코프(270)와 도선(215)을 통과시킨다. 파이버스코프(270) 및 도선(215)은 보호 튜브(400)에 의해 파손 및 파손하는 정도의 만곡이 방지된다. 파이버스코프(270)는 보호 파이프(274)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보호 튜브(400)에 의해 보호된다. 보호 파이프(274)는 보호 튜브(400)내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 튜브(400)는 파이버스코프(270) 및 도선(215)이 파손하지 않는 정도로 휠 수 있다.
도 15는 지지관(220),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 및 결합부(240)를 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우선, 파이버스코프(270) 및 도선(215)을 내부에 통과시킨 한 보호 튜브(400)가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 삽입된다. 여기서, 파이버스코프(270)는 보호 파이프(274)에 삽입되고, 도선(215)과 함께,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 형성된 구멍(223)으로 통과된다(도 14 참조). 따라서, 약간의 극간을 두고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의 고정부 본체(231)가 지지관(220)내에 삽입된다. 결합부(240)는 지지관(220)의 제 2 단부(224)에 형성된 요부(223)와 요철감합하기 위한 인괘부(242)를 갖는다. 지지관(220)과 감합된 결합부(240)는 보호튜브(400)의 일부 및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결합부(240)의 내부에 있어서, 보호튜브(400)의 외주에는 정지구(235)가 고정되어 있다. 정지구(235)는 결합부(240)의 외부로 나올 수 없기 때문에, 보호 튜브(400)가 결합부(240)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지지관(220)과 결합부(240)는 요철감합에 의해 일체화된다. 한편, 지지관(220)과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의 사이에는 약간의 극간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관(220) 및 결합부(240)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단,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는 보호 파이프(274)가 고정되어 있고, 보호 파이프(274)의 내면에는 회전하지 않는 파이버스코프(27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지지관(220) 및 결합부(240)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의 구멍(233)으로부터 돌출한 두 가닥의 도선(21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14)에 접속되어 있다. 광원(214)은 지지관(220)의 제 1 단부(222)내에서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관(220)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지지관(220)의 회전에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면, 도선(215)은 회전하지 않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와 회전하는 제 1 단부(222)의 사이에서 꼬여 버린다. 이렇게 되면, 도선(215)이 파손되어 버린다. 도선(21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 및 지지관(220)의 사이에 괘지기구(掛止 機具)가 설치된다.
이러한 괘지기구는 돌기부(234)와 출장부(出張部)(227)가 간섭함으로써, 지지관(220)이 1회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돌기부(234)는 상술한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에 형성된다. 한편, 출장부(227)는 지지관(220)이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를 축으로 하여 1회전하기 전에, 돌기부(234)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출장부(227)는 제 2 단부(224)의 내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링상의 공간(228)의 일부에서 형성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접안부(接眼部)(310)와 디스플레이 본체(320)를 갖는다.
접안부(310)는 2매의 평볼록렌즈(311 및 312)를 구비한다. 볼록렌즈(311)는 사용자가 이도 내의 영상을 보는 경우에, 셰이드(shade)(313)를 통해서 평볼록렌즈(311)의 평면측으로부터 보게된다. 셰이드(313)는 평볼록렌즈(311)의 둘레에 그늘을 만들어 어둡게 함으로써, 평볼록렌즈(311)에 비친 이도 내의 영상을 보기 쉽게 한다. 평볼록렌즈(312)는 평볼록렌즈(311)과 약간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볼록면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접안부(310)에 있어서, 평볼록렌즈(312)의 평면측에는 나사구멍(31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320)는 광원(21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321)와, 해당 밧데리(321)와 광원(214)을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322)와 파이버스코프(270)에 의해 전송된 영상을 확대하기 위한 볼록렌즈(323)를 구비한다. 스위치(322)가 슬라이드(ON)되어 도선(215)이 쇠장식물(324)을 사이에 두고 도선(325)과 접속된 경우에, 밧데리(321)는 전력을 광원(214)에 공급한다. 볼록렌즈(323)는 귀이개부(200)로부터 보호 튜브(400)를 통과시킨 파이버스코프(270)의 단면 근방에 배치된다. 더욱이, 파이버스코프(270)의 단면 및 볼록렌즈(323)는 디스플레이 본체(320)의 내벽에 형성된 벽부(324)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320)는 나사구멍(314)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6)를 갖는다.
나사부(326)와 나사구멍(314)이 나사결합되어, 접안부(310)와 디스플레이 본체(320)는 일체로 된다. 나사부(326)를 나사결합하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볼록렌즈(323)와 평볼록렌즈(31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300)내의 렌즈 사이의 거리가 미소하게 변하여 렌즈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되어도,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도내시소제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도내시소제장치(1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스위치(322)를 온시키고, 귀이개부(200)의 귀이개 본체(212) 및 파이버스코프(270)를 귀에 삽입한다.
스위치(322)가 온 상태로 있는 동안, 도선(215)을 통해서 밧데리(321)로부터 광원(214)에 전력이 공급된다. 광원(214)은 발광하여, 귀이개 본체(212)의 단면(213)을 조사한다. 조사된 광은 귀이개 본체(212)를 전달하여 조사부(219)에서 발산되어 이도 내를 조사한다.
이도 내부가 밝게 되면, 파이버스코프(270)는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영상은 파이버스코프(27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까지 전송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내에서 볼록렌즈(323)에 의해 확대된다. 확대된 영상은 평볼록렌즈(312)를 통해서 평볼록렌즈(311)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이도 내의 영상을 보기 쉽게 확대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도 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도 내의 영상을 보면서, 귀지의 제거를 행한다. 여기서, 영상이 흐려져 있는 경우, 접안부(310)를 회전시켜, 나사부(326)가 나사구멍(314)에 나사를 넣는 양을 변화시켜, 볼록렌즈(323)과 평볼록렌즈(312)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귀이개부(200)의 보지부(250)의 일부를 잡고 귀이개부(200)를 취급한다. 이러한 보지부(250)는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로부터 뻗어 있는 파이버스코프(270)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파이버스코프(270)에 의해 수집되는 영상은 언제나 같은 단일 방향이다. 한편, 귀이개취부부(210)에 취부된 귀이개 본체(212)는 파이버스코프(270)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언제나 일정 방향의 영상을 보면서, 귀이개 본체(212)를 적당하게 회전시켜 이도 내를 소제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이미지 가이드 고정부(230)와 보지부(250)의 사이에는 회전을 제한하는 괘지기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귀이개취부부(210)내의 광원(214)에 접속된 도선(215)이 보지부(250)내의 내부공간(260)에서 지나치게 비틀어져 파손되는 일은 없다.
이상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상수집수단으로서, 파이버스코프(270)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영상수집수단으로서 CCD 카메라 등의 촬상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볼록렌즈 또는 평볼록렌즈 등의 영상을 확대하는 부재는 배치되지 않고, 대신에 CCD 카메라의 신호를 화상처리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장치가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도내시소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수득된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귀이개 본체를 통해서 이도 내를 조사한다. 광에 의해 조사된 이도 내의 영상은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되어, 표시수단으로 전달되어 영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이도 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보지부가 회전하기 때문에,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한 채로, 보지부와 함께 귀이개 본체를 회전시켜 이도 내를 소제할 수 있다.
귀이개 본체를 보지부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어, 교체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귀이개 본체를 통해서 이도 내를 조사한다. 광에 의해 조사된 이도 내의 영상은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되어, 표시수단으로 전송되어 영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이도 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귀이개 본체가 회전하므로,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한 채로, 귀이개 본체만을 회전시켜 이도 내를 소제할 수 있다.
소취부를 보면서 이물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광원의 광을 감쇄시키는 일 없이, 귀이개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도 내의 영상을 보기 쉽게 확대 표시하여 이도 내의 소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파이버스코프 선단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이도 내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멀리 떨어진 광원으로부터 이도 내에 광을 유도할 수 있다.
귀의 내부의 영상은 영상수집수단의 선단의 대물렌즈에 의해 수집되고,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표시장치로 유도된다.
광섬유가 고정되어, 귀이개 본체만이 회전가능하게 보지되기 때문에, 광섬유가 귀이개 본체와 함께 회전하여 비틀리는 일은 없다.
이도 내에 광을 유도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광이 조사된 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이도의 외부에서 이도 내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도 내의 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도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귀지제거부를 갖는 귀이개 본체는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귀이개 본체가 오손하여도 교체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귀이개 본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한 채로, 귀이개 본체만을 회전시켜 이도 내를 소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이도 내의 영상을 보기 쉽게 확대표시하기 때문에, 이도 내의 소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999년 11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요약을 포함하는 일본특허출원 평11-323590호의 명세서 전문을 본원에 참고자료로 첨부한다.
Claims (12)
- 선단(先端)에 소취부(搔取部)가 설치됨과 동시에 당해 선단에 광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귀이개 본체와,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수단과,상기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상기 귀이개 본체 및 상기 영상수집수단을 보지하는 보지부(保持部)를 갖고,상기 보지부에 설치된 중공구(中空口)에 상기 영상수집수단이 관통하고,상기 보지부는 상기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回動)가능하게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耳道內視掃除裝置).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이개 본체가 상기 보지부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선단에 소취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해당 선단에 광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귀이개 본체와,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이도 내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수단과,상기 영상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상기 귀이개 본체 및 상기 영상수집수단을 보지하는 보지부를 갖고,상기 귀이개 본체에 설치된 중공구(中空口)에 상기 영상수집수단이 관통하고,상기 보지부는 상기 영상수집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귀이개 본체를 회동가능하게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부는 상기 영상수집수단의 시계(視界)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한 광을 상기 귀이개 본체에 직접 조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수집수단은 파이버스코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파이버스코프를 통해서 유도된 영상을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스코프는 선단을 포함하고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수집수단은 촬상소자(撮像素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화상처리(畵像處理)하여 형성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귀이개 본체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수집수단은 그의 선단부에 대물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파이버스코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귀이개 본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귀이개 본체와는 별개로 상기 보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내시소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2359099 | 1999-11-15 | ||
JP11-323590 | 1999-11-15 | ||
JP2000-217978 | 2000-07-18 | ||
JP2000217978A JP3577264B2 (ja) | 1999-11-15 | 2000-07-18 | 耳道内視掃除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0327A true KR20010060327A (ko) | 2001-07-06 |
KR100623828B1 KR100623828B1 (ko) | 2006-09-12 |
Family
ID=2657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7704A KR100623828B1 (ko) | 1999-11-15 | 2000-11-15 | 이도 내시 청소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699178B1 (ko) |
EP (1) | EP1101467B1 (ko) |
JP (1) | JP3577264B2 (ko) |
KR (1) | KR100623828B1 (ko) |
CN (1) | CN1200661C (ko) |
DE (1) | DE60022606T2 (ko) |
TW (1) | TW44946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1097B2 (en) * | 2002-01-04 | 2006-07-25 | Vision Sciences, Inc. | Endoscope sheath assemblies having an attached biopsy sampling device |
JP2004358098A (ja) * | 2003-06-06 | 2004-12-24 | Koden Kk | 耳道内視掃除装置 |
US7901351B2 (en) * | 2003-12-24 | 2011-03-08 | Medical Innovations, Llc | Fiberoptic otoscope system |
US7500981B1 (en) * | 2005-06-21 | 2009-03-10 | Lucy Jubrail | Ear cleaning device |
US20080287891A1 (en) * | 2007-05-17 | 2008-11-20 | Foster Kevin L | Device for irrigating and inspecting a wound |
CN201664371U (zh) * | 2009-11-24 | 2010-12-08 | 陈正德 | 耳鼻摄影清理机 |
KR101084544B1 (ko) | 2009-12-15 | 2011-11-17 | 김승현 | 귀청소기 |
US8876707B2 (en) | 2010-09-03 | 2014-11-04 | Alexander Wellen | Hand-held ear vacuum with camera and video display |
KR200467956Y1 (ko) | 2013-03-29 | 2013-07-12 | 주재현 | 발광 귀이개 |
CN103340594B (zh) * | 2013-06-18 | 2014-12-17 | 深圳市古安泰自动化技术有限公司 | 体表检查仪 |
JP6140011B2 (ja) * | 2013-07-04 | 2017-05-31 | コデン株式会社 | 耳道清掃具 |
CN104224441B (zh) * | 2014-02-27 | 2017-01-25 | 青岛光电电子器具有限公司 | 可视挖耳勺 |
KR101642614B1 (ko) * | 2014-12-31 | 2016-07-26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식 귀이개 |
CN105310827B (zh) * | 2015-11-10 | 2017-05-10 | 昆明理工大学 | 一种保护耳膜的挖耳勺 |
CN105287101B (zh) * | 2015-11-23 | 2017-09-29 | 李德东 | 一种耳部清洁设备 |
KR101828849B1 (ko) * | 2017-02-15 | 2018-02-13 | 심양수 | 칼침을 이용한 이명치료시스템 |
GB201706497D0 (en) * | 2017-04-25 | 2017-06-07 | Kwong Tsong Yun | New product |
JP6392965B1 (ja) | 2017-11-02 | 2018-09-19 | コデン株式会社 | 留置装置及び留置システム |
DK3593772T3 (da) | 2018-07-13 | 2021-03-08 | Earbreeze Gmbh | Anordning til et apparat til frembringelse af en luftstrøm eller til afgivelse af et fluid i den ydre øregang samt øretørreapparat med anordningen |
US20200107726A1 (en) * | 2018-10-05 | 2020-04-09 | Acclarent, Inc. | Suction instrument with dissecting tip and axially offset sensors |
US12025904B1 (en) | 2024-02-28 | 2024-07-02 | Songshu Tang | Camera assembly of visual earpick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38643A (en) * | 1967-10-17 | 1972-02-01 | Hotchkiss Instr Inc | Endoscope for photographic recording |
US4411265A (en) * | 1979-06-18 | 1983-10-25 | Eichenlaub John E | Ear wax removing device |
US4572180A (en) * | 1983-11-17 | 1986-02-25 | Deenadayalu R Paul | Lighted ear canal curette instrument |
JPH02132494U (ko) | 1988-09-24 | 1990-11-02 | ||
US5060632A (en) * | 1989-09-05 | 1991-10-29 | Olympus Optical Co., Ltd. | Endoscope apparatus |
US5209757A (en) * | 1991-07-15 | 1993-05-11 | Krug John A | Illuminated ear cleaning device |
JPH05199989A (ja) * | 1991-10-25 | 1993-08-10 | Asahi Optical Co Ltd | 内視鏡の先端部 |
US5762605A (en) * | 1991-11-25 | 1998-06-09 | Cane; Richard M. | Ergonomic hand-held optical diagnostic instrument |
JPH06269474A (ja) | 1993-03-24 | 1994-09-27 | Mochida Pharmaceut Co Ltd | 耳鼻細径内視装置 |
US6500114B1 (en) * | 1993-11-23 | 2002-12-31 | Dofi Technologies, Inc. | Method of extracting biopsy cells from the breast |
JPH08173382A (ja) | 1994-12-27 | 1996-07-09 | Read Max Shiya:Kk | 耳腔内検視具兼掃除具 |
US6168604B1 (en) * | 1995-10-06 | 2001-01-02 | Metamorphic Surgical Devices, Llc | Guide wire device for removing solid objects from body canals |
KR970016166U (ko) * | 1996-03-11 | 1997-05-23 | 박승남 | 후레쉬 기능을 갖춘 귀후비개 |
US5961441A (en) * | 1996-06-11 | 1999-10-05 | Todd R. Plumb | Surgical otoscope and method |
US6059719A (en) * | 1997-08-06 | 2000-05-09 | Olympus Optical Co., Ltd. | Endoscope system |
US5916150A (en) * | 1997-08-29 | 1999-06-29 | Sillman; Jonathon S. | Speculum for simultaneously viewing and removing obstructions |
US5944711A (en) * | 1997-12-19 | 1999-08-31 | Pender; Daniel J. | Ear-irrigating method and device |
US5888199A (en) * | 1997-12-29 | 1999-03-30 | Karell; Manuel L. | Ear cleaning device with a flexion part |
JP3231695B2 (ja) * | 1998-02-13 | 2001-11-26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用細胞診ブラシ |
US5938590A (en) * | 1998-05-18 | 1999-08-17 | Elliott; Peter Christopher | Otoscope retrofit kit to allow multipurpose use |
US6155987A (en) * | 1999-02-11 | 2000-12-05 | Scherl; Michael | Assembly for removing ear wax from one's ear canal |
-
2000
- 2000-07-18 JP JP2000217978A patent/JP357726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1-10 TW TW089123756A patent/TW44946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1-14 DE DE60022606T patent/DE60022606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1-14 EP EP00124794A patent/EP110146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1-15 US US09/713,723 patent/US66991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1-15 KR KR1020000067704A patent/KR1006238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1-15 CN CNB001359932A patent/CN120066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00661C (zh) | 2005-05-11 |
US6699178B1 (en) | 2004-03-02 |
EP1101467A3 (en) | 2003-07-16 |
CN1295826A (zh) | 2001-05-23 |
JP3577264B2 (ja) | 2004-10-13 |
DE60022606T2 (de) | 2006-02-02 |
EP1101467B1 (en) | 2005-09-14 |
DE60022606D1 (de) | 2005-10-20 |
TW449466B (en) | 2001-08-11 |
EP1101467A2 (en) | 2001-05-23 |
KR100623828B1 (ko) | 2006-09-12 |
JP2001204647A (ja) | 2001-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3828B1 (ko) | 이도 내시 청소 장치 | |
US6923760B2 (en) | Endoscopic auditory canal cleaning apparatus | |
CA1047292A (en) | Otoscope construction and optical system | |
US6276934B1 (en) | Dental camera | |
US7710569B2 (en) | Headset mounted apparatus mounting a visor with interchangeable filter sets | |
US7901351B2 (en) | Fiberoptic otoscope system | |
US5662586A (en) | Hand 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 |
US5527262A (en) | Hand-held diagnostic dental probe with video imaging | |
US5951463A (en) | Hand-held endoscopic viewing system | |
JP3607843B2 (ja) | 内視鏡 | |
JPH11113841A (ja) | 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システム | |
JP2004236727A (ja) | マイボーム腺の観察装置 | |
JP2009279181A (ja) | 内視鏡および内視鏡本体 | |
EP1662967A1 (en) | Endoscope | |
EP1056411B1 (en) | Dental camera | |
JPH0331931Y2 (ko) | ||
JP2967368B2 (ja) | 歯科用拡大観察装置の対物具 | |
JPH10258023A (ja) | ビデオスコープ用光学アダプタ | |
JP4581254B2 (ja) | 内視鏡 | |
JP2001221957A (ja) | 内視鏡 | |
JP2000347111A (ja) | 内視鏡の撮像部 | |
JP2004240202A (ja) | 視界の方向が屈曲固定されたハンドルパイプ形内視鏡 | |
JPH028247Y2 (ko) | ||
JP3028027B2 (ja) | 内視鏡の光源コネクタ | |
JP4135877B2 (ja) | 内視鏡の先端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