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550A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550A
KR20010059550A KR1019990067067A KR19990067067A KR20010059550A KR 20010059550 A KR20010059550 A KR 20010059550A KR 1019990067067 A KR1019990067067 A KR 1019990067067A KR 19990067067 A KR19990067067 A KR 19990067067A KR 20010059550 A KR20010059550 A KR 2001005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wee
depositing
poly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식
채수진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550A/ko
Publication of KR2001005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22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 G03F7/2026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for the removal of unwanted material, e.g. image or background correction
    • G03F7/2028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for the removal of unwanted material, e.g. image or background correction of an edge bead on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02Preparing wafers
    • H01L21/02005Preparing bulk and homogeneous wafers
    • H01L21/02008Multistep processes
    • H01L21/0201Specific process step
    • H01L21/02021Edge treatment, chamf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MO를 2㎛ 두께로 증착하고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를 2.5mm 까지 처리하던 것을 1.3mm 까지 처리하여 레이저 마킹이 형성되는 지역인 1.5∼2.5mm 부분에 IMO 가 평탄화 공정 후 0.7㎛ 이 남도록 하여 마킹 홀의 단차가 3.25∼3.95㎛ 이 되도록 하고, 텅스텐을 증착한 후 에치-백 처리시 홀 지역 텅스텐이 제거 되도록 함으로써, 텅스텐 난반사로 인한 마킹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레이저 마킹을 IPO3 BPSG를 증착한 후 다시 진행할 경우 생기는 결함이 메탈 콘택 포토레지스트 제거시 습식 싱크에서 웨이퍼 전면으로 흘러 나오는 것으로 인해 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 중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이하 'CMP'라 함)등의 평탄화 공정이 많이 적용됨에 따라 웨이퍼를 인식하게 하는 레이져 마크(Laser Marker)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0.18㎛ 이하의 고집적 소자에서 레이저 마킹방법은 베어 웨이퍼(Bare Wafer)의 플랫 존(Flat Zone)의 중앙에서 왼쪽으로 4mm, 상부로 2.5mm 의 위치에 글자 크기 1mm 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홀을 4㎛ 정도로 형성한다.
이후 ISO 마스크시 웨이퍼 에지 2.3mm를 제외하고(Wafe Edge Exclusio, ; 이하 'WEE'라 함) 마스크 공정을 진행한 후 식각하여 질화막 제거시 마킹이 형성되는 1.5∼2.5mm 지역의 필름은 완전히 제거된다.
워드라인까지 형성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시 레이저 마크 홀에 남아 있는 단차는 0.46㎛ 가 된다.
제1 IPO 로 BPSG 1㎛를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거치면 워드라인 상부 0.3㎛의 단차가 남고 2.5mm 이하 총 단차는 0.76㎛가 된다.
제1 IPO 필름위에 산화막 0.13㎛를 증착하고 폴리2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9mm 까지 하고 식각하면 1.9∼2.1mm 까지는 0.28∼0.58㎛의 단차를 형성한다.
비트라인을 형성한 후 제2 IPO BPSG 0.8㎛을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비트라인 위 0.2㎛의 단차가 남도록 진행을 하고 폴리3 스토퍼 0.015㎛, 산화막 0.15㎛를 증착한 후 폴리3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면 1.5∼1.9mm 까지 0.5∼0.7㎛, 1.9∼2.1mm 까지 0.7∼0.9㎛, 2.1∼2.5mm 까지 0.9∼1.2㎛ 의 단차가 남는다.
이 후 폴리3, ONO2,3 폴리4를 증착하고 WEE 처리를 하여 식각할 경우 위 단차에서 0.3㎛ 정도가 1.5∼2.5mm 지역에 추가된다.
IPO3 BPSG를 증착한 후 폴리4 위에 0.3㎛ 가 남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고 IPO3 HTO 산화막을 0.05㎛ 증착하면 1.5∼1.9mm 까지 1.15∼1.35㎛, 1.9∼2.1mmmm 까지 135∼1.55㎛, 2.1∼2.5mm 까지는 1.55∼1.85㎛ 의 단차가 남게 된다.
메탈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고 메탈-1을 0.6㎛ 증착하고, 메탈-1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하면 1.5∼2.5mm 까지 약 1㎛ 정도 단차가 증가한다.
IMO를 두 번에 걸쳐 2㎛ 정도 증착하고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처리를 하고 식각을 하면 2.5mm 이하에서의 산화막층은 제거가 된다.
이 후 텅스텐을 0.5㎛ 증착하고 에치-백 공정을 진행하면 마킹이 형성되는 지역인 1.5∼2.5mm 까지의 지역의 마킹 홀의 적층된 단차는 텅스텐을 포함하여 2.65∼3.35㎛ 정도가 되고 마킹 홀이 4㎛ 되므로 텅스텐 에치-백시 텅스텐이 제거되지 않는다.
이때 남은 텅스텐이 빛의 난반사를 일으켜 전공정이 끝난 후 레이저 마킹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메탈 공정 전 IPO3 BPSG를 증착한 후 리이저 마킹을 웨이퍼의 중앙부분에서 위로 4mm, 왼쪽으로 7mm 에 다시 한번 진행하고 있으며, 이 후 메탈 콘택 식각 후 포토레지스트 제거시 습식 싱크에서 두 번째 레이저 마킹때 발생한 결함이 웨이퍼 전면에 흘러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IMO을 일정 두께 증착하고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3 mm 까지 처리하여 레이저 마킹이 형성되는 홀의 단차가 3.25∼3.95㎛ 가 되도록 하여 텅스텐을 증착한 후 에치-백 처리시 홀 지역 텅스텐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난반사로 인한 마킹이 보이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어 웨이퍼 3 : ISO 층
5 : ISO 마스크 7 : 폴리-1 층(워드라인)
9 : 폴리-1 마스크 11 : 제1 IPO
13 : LPC 마스크 15 : 폴리-2 층
17 : 폴리-2 마스크 19 : 제2 IPO
23 : 폴리-3 콘택 마스크 29,31 : IMO
33 : 비아 콘택 마스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베어 웨이퍼의 플랫 존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4mm, 상부로 2.5mm 의 위치에 글자 크기 1mm 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홀을 4㎛ 단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ISO 층을 증착하고 마스크시 WEE 처리를 2.3mm 까지 한 후 식각하는 단계와;
워드라인 층을 형성하고, 마스크시 WEE를 2.5mm 까지 처리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1 IPO 로 BPSG를 1㎛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거치면 워드라인 상부에 0.3㎛의 단차가 남도록 하는 단계와;
LPC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한 후, 랜딩 프러그 폴리를 0.3㎛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제1 IPO층을 0.1㎛ 더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와;
제1 IPO층의 상부에 산화막을 0.13㎛ 증착하고 폴리-2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9mm 까지 하고 식각을 하는 단계와;
폴리-2 층을 증착하고 폴리-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2 IPO 층으로 BPSG 0.8㎛를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비트라인 위 0.2㎛ 의 단차가 남도록 진행하는 단계와;
폴리-3 스토퍼 0.015㎛, 산화막 0.14㎛를 증착한 후, 폴리-3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폴리-3, ONO2-3, 폴리-4를 증착하고 폴리-4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3 IPO 층으로 BPSG를 증착하고, 폴리-4 위에 0.3㎛ 가 남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고, 제3 IPO HTO를 0.05㎛ 증착하는 단계와;
메탈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메탈-1을 0.6㎛ 증착하고, 메탈-1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IMO를 두 번에 걸쳐 2㎛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0.7㎛만 남도록 하는 단계와;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3mm 까지 하여 식각하는 단계와;
텅스텐 플러그를 0.5㎛ 증착하여, 레이저 마킹 홀에는 텅스텐을 포함하여 3.25∼3.95㎛ 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텅스텐 플러그 에치-백 공정시 130% 과도 시각을 진행하여 마킹 홀 내부의 텅스텐이 전부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 후 메탈-2 및 리페어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여 식각을 진행하여 더 이상의 필름이 적층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웨이퍼를 인식하게 하는 레이져 마크의 인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베어 웨이퍼(1)의 플랫 존(Flat Zone)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4mm, 상부로 2.5mm 의 위치에 글자 크기 1mm 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홀을 4㎛ 단차로 형성한다.
이후 ISO 층(3)을 증착하고 마스크시 WEE를 2.3mm 까지 처리하고 식각을 한다.
워드라인 층(7)을 형성하고, 마스크시 WEE를 2.5mm 까지 처리하고 식각을 한다.
다음, 제1 IPO(11) 로 BPSG를 1㎛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거치면 워드라인 상부 0.3㎛의 단차가 남는다.
다음, LPC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2.1mm 까지 하고, 식각 한 후 랜딩 프러그 폴리(15)를 0.3㎛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제1 IPO층(11)을 더 제거되도록 한다.
다음, 제1 IPO층(11)의 상부에 산화막을 0.13㎛ 증착하고 폴리-2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9mm 까지 하고 식각을 한다.
다음, 폴리-2 층(15)을 증착하고 폴리-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을 한다.
제2 IPO 층(19)으로 BPSG 0.8㎛를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비트라인 위 0.2㎛ 의 단차가 남도록 진행을 한다.
폴리-3 스토퍼 0.015㎛, 산화막 0.14㎛를 증착한 후, 폴리-3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을 한다.
이 후 폴리3, ONO2,3 폴리-4를 증착하고 폴리-4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을 한다.
IPO3 BPSG를 증착하고, 폴리-4 위에 0.3㎛ 가 남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고, IPO3 HTO 산화막을 0.05㎛ 증착한다.
메탈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고 메탈-1을 0.6㎛ 증착하고, 메탈-1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한다.
메탈-1(27)을 0.6㎛ 증착하고 메탈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을 한다.
다음 IMO(29,31)를 두 번에 걸쳐 2㎛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0.7㎛만 남도록 한다.
그리고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 1.3mm 까지 하여 식각을 하고, 텅스텐 플러그를 0.5㎛ 증착한다.
이상 상기한 공정까지 진행시 레이저 마킹 홀에는 텅스텐을 포함하여 3.25∼3.95㎛ 의 단차가 형성된다.
텅스텐 플러그 에치-백 공정시 130% 과도 시각을 진행하여 마킹 홀 내부의 텅스텐이 전부 제거되도록 하다.
이 후 메탈-2 및 리페어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여 식각을 진행하여 마킹 홀에 더 이상의 필름이 증착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MO 2㎛을 증착하고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를 2.5mm 까지 처리하던 것을 1.3mm 까지 처리하여 레이저 마킹이 형성되는 지역인 1.5∼2.5mm 부분에 IMO 가 평탄화 공정 후 0.7㎛ 이 남도록 하여 마킹 홀의 단차가 3.25∼3.95㎛ 이 되도록 하여 텅스텐을 증착한 후 에치-백 처리시 홀 지역 텅스텐이 제거 되도록 함으로써, 텅스텐 난반사로 인한 마킹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레이저 마킹을 IPO3 BPSG를 증착한 후 다시 진행시 생기는 결함이 메탈 콘택 포토레지스트 제거시 습식 싱크에서 웨이퍼 전면으로 흘러 나오는 것으로 인해 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베어 웨이퍼의 플랫 존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4mm, 상부로 2.5mm 의 위치에 글자 크기 1mm 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홀을 4㎛ 단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ISO 층을 증착하고 마스크시 WEE 처리를 2.3mm 까지 한 후 식각하는 단계와;
    워드라인 층을 형성하고, 마스크시 WEE를 2.5mm 까지 처리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1 IPO 로 BPSG를 1㎛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거치면 워드라인 상부에 0.3㎛의 단차가 남도록 하는 단계와;
    LPC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한 후, 랜딩 프러그 폴리를 0.3㎛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제1 IPO층을 0.1㎛ 더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와;
    제1 IPO층의 상부에 산화막을 0.13㎛ 증착하고 폴리-2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9mm 까지 하고 식각을 하는 단계와;
    폴리-2 층을 증착하고 폴리-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2 IPO 층으로 BPSG 0.8㎛를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을 비트라인 위 0.2㎛ 의 단차가 남도록 진행하는 단계와;
    폴리-3 스토퍼 0.015㎛, 산화막 0.14㎛를 증착한 후, 폴리-3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폴리-3, ONO2-3, 폴리-4를 증착하고 폴리-4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제3 IPO 층으로 BPSG를 증착하고, 폴리-4 위에 0.3㎛ 가 남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고, 제3 IPO HTO를 0.05㎛ 증착하는 단계와;
    메탈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메탈-1을 0.6㎛ 증착하고, 메탈-1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고 식각하는 단계와;
    IMO를 두 번에 걸쳐 2㎛ 두께로 증착하고, 평탄화 공정으로 0.7㎛만 남도록 하는 단계와;
    비아 콘택 마스크시 WEE 처리를 1.3mm 까지 하여 식각하는 단계와;
    텅스텐 플러그를 0.5㎛ 증착하여, 레이저 마킹 홀에는 텅스텐을 포함하여 3.25∼3.95㎛ 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텅스텐 플러그 에치-백 공정시 130% 과도 시각을 진행하여 마킹 홀 내부의 텅스텐이 전부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 후 메탈-2 및 리페어 마스크시 WEE 처리를 2.5mm 까지 하여 식각을 진행하여 더 이상의 필름이 적층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90067067A 1999-12-30 1999-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005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67A KR20010059550A (ko) 1999-12-30 1999-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67A KR20010059550A (ko) 1999-12-30 1999-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550A true KR20010059550A (ko) 2001-07-06

Family

ID=1963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067A KR20010059550A (ko) 1999-12-30 1999-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5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93A2 (en) * 2007-11-22 2009-05-28 Mimos Berhad Use of selective wee to obtain near planar topography
KR101696431B1 (ko) * 2015-09-24 2017-01-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초박형 실리콘-금속 이종 접합 기판 제조 방법
US10008389B2 (en) 2016-05-09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vertical memory devices at an edge reg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93A2 (en) * 2007-11-22 2009-05-28 Mimos Berhad Use of selective wee to obtain near planar topography
WO2009066993A3 (en) * 2007-11-22 2009-10-15 Mimos Berhad Use of selective wee to obtain near planar topography
KR101696431B1 (ko) * 2015-09-24 2017-01-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초박형 실리콘-금속 이종 접합 기판 제조 방법
US10008389B2 (en) 2016-05-09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vertical memory devices at an edge reg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218B1 (ko) 반도체장치
CN101789391B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38350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271602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susceptibility to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damage of an alignment mark formed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6020249A (en) Method for photo alignment after CMP planarization
CN113078109B (zh)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及半导体结构
US20020192926A1 (en) High contrast lithography alignment mark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N110310953A (zh) 一种半导体器件结构及其制作方法
KR2001005955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10664A (ko) 트렌치 개방 방법
US748554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overlay vernier
US712247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by forming trenches in different depths at a cellregion and a peripheral region for reducing self aligned source resistance at the cell region
US20040033689A1 (en) Method for defining a dummy pattern around an alignment mark on a wafer
KR100645188B1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영역 형성방법
US848682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ummy pattern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1572225B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KR19990052529A (ko) 반도체소자의 도전 라인 형성방법
KR10073408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US202203103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structure
KR10067322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라인 형성방법
KR20040057634A (ko) 정렬 버니어 형성 방법
KR20010056779A (ko) 금속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퓨즈 형성 방법
KR20040080539A (ko) 반도체 소자의 패시베이션막 형성방법
KR20030058246A (ko) 가장자리에서의 패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칩
KR19980065713A (ko) 단차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