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372A -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 Google Patents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372A
KR20010059372A KR1019990066768A KR19990066768A KR20010059372A KR 20010059372 A KR20010059372 A KR 20010059372A KR 1019990066768 A KR1019990066768 A KR 1019990066768A KR 19990066768 A KR19990066768 A KR 19990066768A KR 20010059372 A KR20010059372 A KR 2001005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al
vertical pipe
body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832B1 (ko
Inventor
표석규
서원석
허만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8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더 하부 수직배관 내부 모든 위치에 부착탄 발생 및 괴탄 막힘 현상을 억제시키고, 부착탄 제거와 청소과정까지 스스로 작업을 수행하며, 피더가 정지하여 괴탄이 낙하하지 않을 경우는 수분에 의한 고착탄이 생성되지 않도록 수직배관 상부에서 하부로 왕복하면서 사전 크리닝 하는 크리닝 머신에 관한 것으로, 수직배관 내에서 왕복이 자유로운 크리닝 머신으로 피더 하부의 원통형 수직배관 내의 부착탄 부착방지와 부착탄에 의한 배관축소 현상 발생시 관통 및 제거를 위해서 피더 낙구부(괴탄이 피더에서 수직배관으로 떨어지는 곳) 상부에 설치되며, 크리닝 머신은 고정장치부와 몸체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치를 상, 하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권상기와 수직배관 내에 부착탄을 제거하고 배관내의 크리닝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드릴 및 와이어 브러쉬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드릴 모터와 감속기로 조합되어 구성된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Vewtical piping coal dust removing type cleaning machine}
본 발명은 미분탄 제조설비에 있어서 관의 전장이 길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밀폐된 수직배관 내에 부착되고 있는 부착탄을 제거하고, 청소하는 크리닝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분탄 제조공정에서 밀(mill)과 피더(feeder) 사이에 설치된 수직배관 내에 자주 발생되는 괴탄(raw coal) 막힘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고 관통이 용이한 수직 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부착탄 제거방법을 도시한 작업도로서, 미분탄을 제조하기까지의 설비는 크게 3종류로, 괴탄을 저장하는 호퍼(hopper, A)와 괴탄을 밀 내부로 적당량을 밀어 넣어주는 피더(feeder, B)(절출장치), 그리고 석탄을 아주 미세한 분탄으로 갈아주는 밀(파쇄장치)로 구분된다.
호퍼(A)에 저장되어 있는 괴탄은 피더(B)의 가동으로 피더(B) 벨트콘베어(belt conveyor) 위에 실려 이송된다. 피더(B)와 밀 사이는 원통 수직배관(chute)(7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곳으로 석탄이 낙하되게 된다. 이러한 일상적인 조업과정을 연속적으로 장시간 수행하게 되면 수직배관(70)의 내부에는 조금씩 부착탄(F)이 붙게 되는데 이를 방치해 둘 경우 결국은 막히게 된다.
종래는 위와 같은 막힘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수직배관(70) 중간 부에 에어 브라스터(air blaster)나 전기해머(electric hammer)(C)를 설치하여 타이머(timmer)에 의해 주기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에어 브라스터나 전기햄머(C)를 설비가동중 주기적으로 기동하여 타격하였는데, 그 설치된 위치 일부분만 효과가 있을 뿐 전장이 길고 튼튼하게 고정된 수직배관(70)전체를 방호하기에는 무리한 실정이며, 내부에서 수분과 결합된 괴탄은 더욱 단단하므로 부착탄(F) 제거의 효과를 크게 보지 못하고 있다.
둘째, 수직배관(70) 내부가 완전히 막힐 경우나, 좁아진 경우 정상적인 조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윗쪽의 피더(H) 맨홀을 열고 꼬챙이(I)나 장삽 등 치공구를 이용하여 부착탄(F)을 제거하며, 아랫쪽에서는 점검구(G)를 통해 꼬챙이(I)로 후비는 인위적 제거 방법을 해오고 있는 실정인데, 깨끗하게 제거가 되지 않으므로 조치 시간이 장기화되고 조업 중 트러블(trouble) 발생이 주기적인 상황이다.
셋째, 치공구를 이용한 관통방법은 높은 위치에서 불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실족으로 인한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대단히 높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더 하부 수직배관 내부 모든 위치에 부착탄 발생 및 괴탄 막힘 현상을 억제시키고, 부착탄 제거와 청소과정까지 스스로 작업을 수행하며, 피더가 정지하여 괴탄이 낙하하지 않을 경우는 수분에 의한 고착탄이 생성되지 않도록 수직배관 상부에서 하부로 왕복하면서 사전 크리닝 하는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은 수직배관 내에서 왕복이 자유로운 크리닝 머신으로 피더 하부의 원통형 수직배관 내의 부착탄 부착방지와 부착탄에 의한 배관축소 현상 발생시 관통 및 제거를 위해서 피더 낙구부(괴탄이 피더에서 수직배관으로 떨어지는 곳) 상부에 설치되며, 크리닝 머신은 고정장치부와 몸체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치를 상, 하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권상기와 수직배관 내에 부착탄을 제거하고 배관내의 크리닝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드릴 및 와이어 브러쉬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드릴 모터와 감속기로 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착탄 제거방법을 도시한 작업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리닝 머신(cleaning machine)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배관 내에 고정되는 크리닝 머신 고정 장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 머신 동력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배관 관통용 드릴(drill)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상부 몸체부 4-1. 배출구
6. 와이어 릴 40. 하부 몸체부
41. 드릴모터 42. 고정지지대
43. 감속기 43-1. 감소기 축
46-8. 확산관 46-b. 배출호스
47. 배기구 50. 드릴
51. 와이어 브러쉬 고정판 52. 와이어 브러쉬
61. 장치 권상기 62. 케이블 릴 구동모터
211. 접촉판 250. 고정장치 실린더
LS5. 고정장치 실린더 리미트 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리닝 머신 사시도로서, 고정장치부와 장치몸체부(4, 40), 드릴모터(41), 감속기(43) 및 드릴(50)로 구성되어 있다.
크리닝 머신은 장치권상기(61)와 전원케이블 릴(reel)(62-1)을 구동하는 드릴모터(62)에 의해 수직배관(70)하부로 내려가며 수직배관 내부의 고착된 부착탄을 제거하는 장치로, 장치 커버(1) 내에 항상 대기하며 위치하게 된다. 장치커버(1)는 일상 및 정기점검을 위해 상부에 맨홀(1-1)이 덮여 있으며, 장치커버 고정볼트(1-2)에 의해 피다 상부측(도 1의 본 발명의 설치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크리닝 머신의 주요장치는 상, 하 2개의 몸체부(상부 몸체-4, 하부 몸체-40)와 아랫쪽의 드릴(50)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형상은 둥근 원기둥을 상, 하로 포개어 놓은 모양이며 아래쪽의 드릴은 거꾸로 된 원뿔 모양을 갖추고 있다.
상, 하 2개의 몸체부(상부 몸체)(4), 하부 몸체(40)를 둥근 원기둥 모양의 형상으로 한 것은 둥근 수직배관(chute)내 이동시 장치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 및 분산으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아래쪽의 원뿔모양의 드릴(50)은 장치가 둥근 배관 내에서 중심잡기가 쉽고 드릴의 회전으로 상부 크리닝 장치쪽으로 비산되는 부착되는 부착탄이 수직 배관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 몸체부(4)와 하부 몸체부(40)는 4개의 몸체 체결용 볼트로(48) 튼튼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몸체부(4) 밖에는 고정 장치부가 상, 하로 붙어있고 하부 몸체부(40) 내에는 최 하단의 드릴을 구동하기 위한 드릴모터(41)와 감속기(43)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부 몸체부(4)에 고정된 고정장치는 상부에 4개, 하부에 4개의 단동식 에어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 원형의 수직배관 내에서 튼튼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수직배관 내에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의 상세한 조립도를 나타낸다.
단동식 에어실린더(일명: 단동 복귀형 실린더)는 전진시는 에어를 매체로 하여 전진하고, 후퇴시는 앞쪽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도 4 실린더 참고)힘에 의해 복귀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실린더 측면에는 근접 스위치(LS1, LS2, LS5, LS6)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위치는 피스톤이 최대로 전진하여 수직배관 내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검지(피스톤 제작시 자석(자성)의 성질을 띠도록 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피스톤 끝 부분에는 접촉판(211, 221, 251, 26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접촉판(일종의 지지대 같은 역할)은 직사각형 구조이며 수직배관 내경에 접촉 압착시 접촉율을 향상시키고자 안쪽으로 휘어진 형상이다. 또한 접촉판 바깥에는 접촉고무(2-4)가 20mm의 크기로 일정간격을 두고 9개의 고무고정볼트(2-5)로 조립되어 있다. 이는 둥근 수직배관(70)에 장치의 고정을 할 경우 배관과 접촉판과(211, 221, 251, 261)의 압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몸체부 상부에 단동식 에어 실린더 4개(210, 220, 250, 260)와 하부의 단동식 실린더 4개로 총 8개로 되어 있어 상, 하부 모든 부분의 실린더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고정이 이루어지고 드릴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부와 하부로 고정장치를 2곳으로 나눈 것은 크리닝 장치가 중량물이므로 튼튼하게 고정을 시키고자함이다.
상부 몸체부(4) 상부에 단동식 에어 실린더 4개(210, 220, 250, 260)는 실린더의 헤드 커버부(접촉판의 반대쪽부)를 모두 한곳(장치의 중심)에 모아져있고 사각 십자형베이스 커버(2)로 고정되어 있다. 사각 십자형 베이스는 상, 하로 분리가 가능하며 베이스 고정볼트(2-1)로 상부 몸체부(4)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는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실린더 고정대(2-2)가 U볼트(2-3)로 채워져 상부 몸체부 상부에(4)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몸체부(4)하부에 단동식 에어 실린더 4개(도 4참고 230, 240, 270, 280)또한 실린더의 헤드커버부(접촉판의 반대쪽부)를 모두 한곳(장치의 중심)에 모아져 있고 사각 십자형 베이스 커버(2)로 고정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에는(210, 220, 250, 260, 도 4참고 230, 240, 270, 280)또한 실린더의 헤드커버부(접촉판의 반대쪽부)를 모두 한곳(장치의 중심)에 모아져 있고 사각 십자형 베이스 커버(2)로 고정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210, 220, 250, 260, 도 4참고 230, 240, 270, 280)는 에어 흡입 호스(hose, 46-b)가 실린더로 유입되게 하고 실린더내의 배출 에어는 배출호스(46-b)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곳에서 배출된 에어는 도 5의 상부몸체부(4)에 유입되어 휠터(filter, 4-3)와 배기구(4-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몸체부(4)는 휠터(4-3) 역할도 겸한다.
도 4는 수직배관 내부에서 고정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고정장치는 모든 설비가 정지된 상태(미분탄 제조설비-mill, fedder 정지후 5분)에서 타이머(2)작동에 의해 관통하기 위해 대기위치에서 수직배관(70)하부로 이동을 하게 되며 에어모터(100)의 기동과 함께 y1의 전자변(101)이 작동된다. Y1 전자변(101)작동으로 에어는 흡입배관(46-a)을 통해 상부 고정장치의 세로방향 실린더(210, 220)를 작동하며, 이어 하부 몸체부의 가로방향 실린더(230, 240)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피스톤이 전진하게 된다. 피스톤의 전진과 함께 피스톤에 부착된 접촉판이 수직배관내에 닿게되어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접촉판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린더 측면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LS1, LS2-상부 세로측 근접 스위치, LS3, LS4-하부 가로측 근접스위치)의 위치검지를 하게된다. 1차적으로 위치검지가 완료된 후 검지 시그날은 Y2 전자변(102)에 전달되어 나머지는 4개의 실린더 상부 가로방향 실린더(250, 260)와 하부 세로방향 실린더(270, 280))를 작동하게 되며 접촉판의 고정작업이 다시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린더 측면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LS5, LS6-상부 가로측 근접스위치, LS7, LS8-하부 세로측 근접스위치)의 위치검지를 하게되어 2차 중심잡기를 한다. 1, 2차 중심잡기를 하는 이유는 장치가 중량이므로 튼튼하게 잡아 주워야되기 때문이며, 드릴의 회전력과 반대로 작용하는 장치의 역회전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1,2차에 걸쳐 고정작업이 완료된 후 크리닝작업이 이루어지는데 Y1(101), Y2(102) 전자변이 10초동안만 살아있으므로 10초 동안만 크리닝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6의 드릴(50)이 회전 관통하는데 드릴 상부의 압축스프링(56) 힘으로 누르게 된다. 드릴(50)은 압축스프링(56)이 인장되는만큼 전진이 이루어진다.
10초 후에는 Y1(101), Y2(102) 전자변이 멈추게 되어 Y1(101), Y2(102) 전자변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에어가 실린더(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에서 배출된다. 이는 실린더의 압축스피링(피스톤 복귀형)의 힘으로 원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이다. 이후 장치는 장치권상기(61)의 1회전으로 자중에 의해 수직배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장치몸체부(4,40)를 좀더 자세히 수록하고자 몸체부를 상세히 나타내었다. 장치몸체부(4, 40)는 상하부 모두 중량물이므로 튼튼한 와이어(6-1)를 이용, 와이어 걸고리(46-3)로 연결되어져 상부 와이어 릴(reel, 도 1의 6)에 감겨져 있고 이 와이어 릴(도 1의 6)을 돌려주는 장치권상기(도 1의 6)에 연결되어 진다.
상부 몸체부(4)와 하부 몸체부(40)는 중간에 몸체 체결용 bolt(48) 4개로 연결되어있다. 상부 몸체부(4)에는 휠터(4-3)와 배출구(4-1)가 몸체하단에 뚫려있는 에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고정장치 실린더 작동용 에어는 흡입호스(46-A)를 통해 상부 몸체내로 유입되고 휠터(4-3)와 배출구(4-1)를 통해 밖으로 나간다. 반대로 밖의 공기는 배출구(4-1)와 휠터(4-3)를 통해 안으로 유입이 된다. 이때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먼지 함유량이 많으므로 휠터(4-3)에서 걸러진 후 유입이 된다.
하부 몸체부(40)내에는 드릴모터(42)와 감속기(4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드릴모터(41)와 감속기(43)는 고정지지대(42)에 의해 하부 몸체부(40)내에 각각 4곳으로 분할 고정, 안착으로 튼튼하게 조립된다. 하부 몸체부(40)내는 드릴모터(41)에서 발열이 일어나므로 이를 식히고자 몸체 하부에 배기구(47)가 있다.
드릴모터(41)와 감속기(43)는 기동중 발열을 식히고자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유입하여 냉각을 시키는데 냉각용 에어와 드릴모터(41) 전원케이블 라인(line)은 함께 묶여 장치밖까지 연결된다. 냉각용 에어와 드릴모터(41)전원케이블 라인을 도 1에서부터 살펴보면 전원함(45)과 에어밸브(46-1)는 외부에서 장치 커버(1)로 들어오며 전원케이블 릴(62-1)에 길게 감겨진 후, 상부 몸체부(4)를 통과하여 하부몸체부까지 이르게 된다. 하부 몸체부(40)내로 진입한 냉각라인은 드릴모터(41) 냉각팬 상부에서 확산관(46-8)을 통해 분사가 되며, 확산관(46-8)을 통해 분사된 냉각용 에어는 드릴모터(41)의 열을 떨어트린 후 하부의 배기구(47)로 배기된다.
도 6은 부착탄 제거 및 관통 드릴(50) 단면도이다. 드릴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 브러쉬(wire brush)(52)는 각각 2분할 타입(type)으로, 각각 3개의 브러쉬 고정 볼트(53)로 관통용 드릴 상부에 연결된다. 와이어 브러쉬(52)는 수직배관(70)에 밀착되는 정도(1차적으로 드릴이 제거하고 남은 여분의 부착탄을 2차로 크리닝 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드릴은 좌, 우 2개의 커다란 홈(칼날)이 있는 구조와 끝이 뾰족한 구조로 하여 좌, 우 균형유지 및 떨어진 부착탄 낙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드릴 압착력 증대와 작업중 계속적인 전진을 위해 상, 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도홈(54)과 압축스프링(56)이 내장되었다. 드릴은 상부의 감속기축(43-1)과 세트볼트(set bolt-55)로 연결되어 있어 세트 볼트(55)해체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로서, 크게 장치 하강 작업(100),고정작업(200) 및 크리닝 작업(300)으로 구분된다.
먼저, 장치 하강 작업(100)은 밀과 피터가 정지(101)도면 타이머 2가 작동되어(102), 에어 모터를 가동(103)한 후 에어 퍼지 밸브가 오픈 되었는지를 확인(104)한다. 상기 에어 퍼지 밸브가 오픈 될 경우, 장치권상기와 케이블 릴 구동모터를 가동하여(105) 하강시킨 후 크리닝 장치의 하강을 확인(106)하게 된다.
크리닝 장치가 하강되면, 고정작업(200)을 진행하게 된다. 즉, 타이머 1을 작동(201)하여, Y1 전자변을 작동하고(202), 1차 고정장치 실린더 작동 후(203), 각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는지를 확인(204)하게 된다. 각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한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면 Y2 전자변을 작동하고(205), 2차 고정장치 실린더 작동 후(206), 각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는지를 확인(207)하게 된다. 각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면 크리닝 작업(300)을 수행하게 된다. 즉, 드릴 모터를 작동하여(301) 크리닝 작업을 수행하고, 타이머 1 동작 크리닝 작업을 정지한 후(302), 장치를 정지(303)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분탄 제조설비의 피다와 밀이 정지 중(정지 5분 후 타이머 2 작동)일 경우에 수직배관내의 크리닝 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크리닝 작업은 기기 동체를 수직배관 입구에서 수직배관 끝까지 하강시키기 위해 와이어릴(6), 장치권상기(61)와 전원 케이블릴(62-1), 케이블릴 구동모터(62)의 가동으로 이루어지며 장치권상기의 1회전으로 중량에 의해 장치가 내려오며 이후 고정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고정 장치는 8개의 접촉판이 달린 실린더(도 4의 210, 220, 230, 240-1차고정 250, 260, 270, 280-2차고정)의 작용으로 크리닝 장치가 수직배관 내에 튼튼하게 고정된다.
수직배관 내에 튼튼하게 고정되므로 드릴의 회전력과 반대로 작용하는 장치의 역회전력을 이겨내는 효과가 있다.
고정장치의 배관내 접촉이 완료되는 신호(8개의 피스톤 근접스위치 작동)를 받아 드릴 모터(41)와 감속기(43)의 운전으로 최하부의 드릴(50)이 회전하여 수직배관(70)내의 부착탄(f)을 제거하고, 드릴(50) 윗부분의 와이어 부러쉬(52)는 수직배관(70)내 접촉에 의해 부착탄(f)과 이물류를 깨끗이 떼어내게 된다. 이어서 10초간의 시간을 두고 장치 고정위치가 변하며 배관하부로 진입하게 되어, 단단하게 굳은 부착탄(고착탄)은 드릴(50)내의 압축스프링(도 6의 56)힘에 의해 접촉면 압착이 강하게 일어나므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크리닝 장치는 하강과 고정, 드릴링을 계속 반복하며 작업이 이루어진다.
수직 배관(7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배관까지 배관내를 깨끗이 크리닝 작업을 마치면 장치의 와이어 릴(6)과 케이블 릴(62-1)또한 모두 풀려짐으로 해서 작업은 더 이상 이뤄지지 않고 드릴모터(41)는 정지하게 되며, 이어 장치권상기(61)와 케이블릴 구동모터(62)가 역회전 운전으로 크리닝 장치는 권상을 하게된다. 권상한 크리닝 장치는 피다 상부 장치 커버(1)내에 대기한다. 운전중 드릴 모터(41)의 열을 식히기 위해, 상시 오픈(open) 되어 에어 퍼지(purge)하도록 한 밸브(46-1)는 장치가 원래 상태(대기위치)로 복귀하기까지 계속적인 에어 퍼지를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배관 크리닝 작업을 하루 2~3회(평균) 본 발명의 장치가 가동되게 됨으로써 배관내에 부착탄이 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미 고착된 부탄은 드릴로 1차 떼어냄과 동시에 와이어 브러쉬로 배관내의 부착탄을 2차로 제거하므로 녹(scale)이 슬지 않도록 광택을 내줌으로 피다와 밀 사이의 수직배관 막힘을 제로(zero)화할 수 있다. 이로써 미분탄 제조설비의 가동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손 제조원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으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3)

  1. 피더 하부의 원통형 수직배관 내의 부착탄 부착방지와 부착탄에 의한 배관축소 현상 발생시 관통 및 제거를 위해 피더 낙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부 및 몸체부와,
    상기 고정장치부 및 몸체부를 상, 하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권상기와,
    상기 수직배관 내의 부착탄을 제거하기 위해 수직배관 내에서 왕복이 자유로운 드릴 및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드릴 및 와이어 브러쉬를 구동하기 위한 드릴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 몸체부 및 하부 몸체부와 아랫쪽의 드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형상은 둥근 원기둥을 상, 하로 포개어 놓은 모양이며, 아래쪽의 드릴은 거꾸로 된 원뿔 모양이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는 4개의 몸체 체결용 볼트로 튼튼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몸체부 밖에는 고정장치부가 상, 하로 붙어있고 하부 몸체부 내에는 최 하단의 드릴을 구동하기 위한 드릴모터와 감속기가 내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부는 피다와 밀사이의 둥근 수직배관 내에 크리닝 장치를 떨어드리지 않고 고정시키기 위한 접촉고무가 달린 다수의 접촉판과,
    근접 스위치가 부착된 다수의 단동 복귀형 실린더와,
    상기 다수의 단동 복귀형 실린더를 상기 몸체부 상, 하에 사각 십자형으로 조립하여 고정하기 위한 사각 십자형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KR1019990066768A 1999-12-30 1999-12-30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KR10057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68A KR100573832B1 (ko) 1999-12-30 1999-12-30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68A KR100573832B1 (ko) 1999-12-30 1999-12-30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372A true KR20010059372A (ko) 2001-07-06
KR100573832B1 KR100573832B1 (ko) 2006-04-26

Family

ID=1963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768A KR100573832B1 (ko) 1999-12-30 1999-12-30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8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16B1 (ko) * 2001-06-15 2007-07-30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조 내부의 부착탄 제거장치
KR101157077B1 (ko) * 2012-03-23 2012-06-21 김제현 부단수 밸브 시공 장치
CN112536283A (zh) * 2020-11-11 2021-03-23 温州法孜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防堵塞功能的多角度洗煤机构
CN113305114A (zh) * 2021-05-28 2021-08-27 浙江省第一水电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利施工管道疏通装置
CN114803521A (zh) * 2022-05-23 2022-07-2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火电厂气力输灰管道
CN116111509A (zh) * 2023-04-11 2023-05-12 河南航鸿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电气施工穿线装置
KR20230115168A (ko) * 2022-01-26 2023-08-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460B1 (ko) * 2018-01-10 2020-07-02 박찬수 관로 세척기
CN111347254B (zh) * 2020-04-18 2021-08-31 赵鑫龙 一种金属管钻孔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16B1 (ko) * 2001-06-15 2007-07-30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조 내부의 부착탄 제거장치
KR101157077B1 (ko) * 2012-03-23 2012-06-21 김제현 부단수 밸브 시공 장치
CN112536283A (zh) * 2020-11-11 2021-03-23 温州法孜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防堵塞功能的多角度洗煤机构
CN113305114A (zh) * 2021-05-28 2021-08-27 浙江省第一水电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利施工管道疏通装置
KR20230115168A (ko) * 2022-01-26 2023-08-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안전장치
CN114803521A (zh) * 2022-05-23 2022-07-2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火电厂气力输灰管道
CN114803521B (zh) * 2022-05-23 2023-08-1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火电厂气力输灰管道
CN116111509A (zh) * 2023-04-11 2023-05-12 河南航鸿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电气施工穿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832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832B1 (ko) 수직배관 부착탄 제거용 크리닝 머신
CN108993736A (zh) 一种新式建筑用破碎装置
CN111502597B (zh) 一种组合式高效解堵系统及其解堵方法
CN107855274A (zh) 一种筛板清洁装置
CN113244993A (zh) 一种废物粉碎用环保机械
CN108787610B (zh) 微耕机用发动机齿轮加工装置
CN219024486U (zh) 一种建筑废料回收装置
CN209998998U (zh) 一种涂层车间钢砂抛丸机
CN214599349U (zh) 一种建筑施工用废弃物收集装置
CN210058570U (zh) 一种对辊制砂机废料清理装置
CN208959989U (zh) 一种具有除尘降温结构的碎石机装置
CN203565311U (zh) 异物分离装置
CN202376872U (zh) 除尘箱的滤网结构
CN207680230U (zh) 一种模块式镀锌除尘器
KR101606388B1 (ko) 이종의 청소장치를 이용한 터널 바닥면 청소방법
CN116181139B (zh) 一种减震隔离带自动清洁装置及使用方法
CN220549998U (zh) 格栅除污设备
CN114226036B (zh) 一种矿山边坡修复治理设备
CN213669627U (zh) 一种强制排球的塔磨机卸球装置
CN215541730U (zh) 一种高效率分选机
CN213792817U (zh) 一种能够自动排杂的煤泥刮板机
CN219309359U (zh) 一种饲料原料筛分装置
CN214609333U (zh) 一种储煤筒仓清理设备
CN116586153B (zh) 一种高性能混凝土用机制砂生产装置
CN214652013U (zh) 一种scr除尘器卸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