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617A -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7617A
KR20010057617A KR1019990060976A KR19990060976A KR20010057617A KR 20010057617 A KR20010057617 A KR 20010057617A KR 1019990060976 A KR1019990060976 A KR 1019990060976A KR 19990060976 A KR19990060976 A KR 19990060976A KR 20010057617 A KR20010057617 A KR 2001005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extrusion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713B1 (ko
Inventor
홍명선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9006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7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이 우수한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코팅용 수지로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이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수지를 사용하고, 접착성 개선 수지로서 용융지수가 10~80g/10분이고 밀도가 0.80~0.950g/㎤인 폴리이소부틸렌 수지를 2~20중량% 포함하는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COMPOUNDS FOR EXTRUSION LAMINATE WITH HIGH ADHESION}
본 발명은 접착성이 우수한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압출코팅 및 압출 라미네이트의 목적은 코팅수지와 코팅 대상이 되는 기재를 일체화함으로써 각각의 특성을 상호 보충하여 새로운 고기능성의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데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코팅수지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무극성으로, 불활성이기 때문에 접착성이 열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300℃이상의 고온에서 폴리에틸렌을 압출할 때, 코팅수지가 기재와 접촉하기 전에 짧은 시간내에 공기중에 노출되게하므로써, 산화시켜 극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기재에 앵커(anchor) 코팅제를 도포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앵커 코팅제의 역할은 기재와 코팅수지간의 친화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며, 주로 유기티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이민계 등의 유기 화합물이 사용된다.
유기티탄계 화합물로는 알킬티타네이트가 주로 사용되며, 이는 초기 접착력이 좋고 코팅후 기재에 블록킹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이나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면 가수분해가 일어나 백색 분말이 형성되고 장기간 경과후에는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는 티탄계 화합물과는 달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내습성, 내수성이 우수한 접착제로서, 1액형과 2액형이 있다. 1액형은 말단에 NCO기를 가지고 있는 저분자량의 고분자이며, 공기중의 수분 또는 기재상의 수분과 반응하여 경화가 진행된다. 2액형은 폴리올(Polyol)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일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경화는 OH기와 HCO기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므로써 진행된다. 2액형의 특징은 그 경화막이 유연하고 앵커 코팅제 층을 두껍게 할 수 있어 접착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톨루엔 등과 같은 용제에 희석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톨루엔 등의 용제가 잔류할 수 있으므로, 식품 포장재 등의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며, 최근에는 이들 용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에 이민(imine)계는 3원환 구조의 이민기를 가진 반응성이 매우 우수한 수용성 수지로 사용이 편리하나, 라미네이트 가공공정 중에 또는 라미네이트 가공공정 후에도 화학적으로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미네이트된 필름 사이에서도 수용성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내습성, 내수성을 요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기존의 코팅용 수지에 접착성이 우수한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앵커 코팅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재와 코팅수지간의 접착성이 우수한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성이 우수한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코팅용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성 개선 수지로서 폴리이소부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코팅용 기본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80~98중량%, 접착성 개선수지로서 용융지수가 10~80g/10분이고, 밀도가 0.80~0.950g/㎤인 폴리이소부틸렌이 2~2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기본수지로서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1~15g/10분이고 밀도가 0.915~0.928g/㎤이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5~30g/10분이고 밀도가 0.928~0.94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용융지수가 5~40g/10분이며,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3~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인 경우 압출부하가 과다하게 되며, 15g/10분을 초과하게 되면 필름성형이 불가능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5g/㎤ 미만인 경우, 연신성이 불량하게 되며 0.928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네크인(neck-in)성이 불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도 용융지수가 5g/10분 미만이면 압출부하가 과다하게 되며, 30g/10분을 넘게 되면 성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밀도가 0.928g/㎤ 미만이면 연신성이 불량하게 되며, 0.940g/㎤ 초과시 네크인성이 불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용융지수가 5g/10분 미만인 경우 압출부하가 과다하게 되며, 40g/10분을 초과하게 될 경우 필름성형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이면 접착성이 불량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성형이 불가능하다.
접착성 개선수지로서 사용되는 폴리이소부틸렌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2~2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저하되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투명성이 떨어지게 된다.
기존의 코팅수지에 접착성이 보강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비교예 및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며 수지의 접착성은 ASTM D1876에 제시된 T 박리(peel)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특성 및 조성비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폴리이소부틸렌이 사용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기재와 코팅수지간의 접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 개선 수지를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비율로 사용하므로써, 기존의 코팅용 수지에 코팅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도 접착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기본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80~98중량% 포함되고, 접착성 개선용 수지로서 용융지수가 10~80g/10분이고, 밀도가 0.80~0.950g/㎤인 폴리이소부틸렌이 2~20중량% 포함된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1~15g/10분이고 밀도가 0.915~0.928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5~30g/10분이고 밀도가 0.928~0.94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용융지수가 5~40g/10분이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19990060976A 1999-12-23 1999-12-23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063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976A KR100637713B1 (ko) 1999-12-23 1999-12-23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976A KR100637713B1 (ko) 1999-12-23 1999-12-23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617A true KR20010057617A (ko) 2001-07-05
KR100637713B1 KR100637713B1 (ko) 2006-10-23

Family

ID=1962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976A KR100637713B1 (ko) 1999-12-23 1999-12-23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46B1 (ko) * 2005-01-25 2007-08-22 삼성토탈 주식회사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KR100792110B1 (ko) * 2001-12-21 2008-01-04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접착성을 지닌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조성물
KR100818877B1 (ko) 2007-09-10 2008-04-0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893A (en) * 1980-07-31 1981-06-16 Gulf Oil Corporation Ternary blends of low density ethylene polymers, ethylene-alkyl acrylate copolymers and amorphous isobutylene polymers
JPS58149934A (ja) * 1982-03-02 1983-09-06 Nippon Petrochem Co Ltd ポリエチレン系包装用フイルム
JPS58187444A (ja) * 1982-04-27 1983-11-01 Mitsui Toatsu Chem Inc シ−ト用樹脂組成物
JPH0625293B2 (ja) * 1985-05-13 1994-04-06 東燃料株式会社 変性ポリエチレン組成物
KR900008736B1 (en) * 1987-12-30 1990-11-29 Hanyang Chemical Co Ltd Adhesive polyolefin compositions
US5569693A (en) * 1995-06-05 1996-10-29 Borden Inc. High stretch film for pallet wrapp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10B1 (ko) * 2001-12-21 2008-01-04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접착성을 지닌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수지조성물
KR100750946B1 (ko) * 2005-01-25 2007-08-22 삼성토탈 주식회사 초고속 압출코팅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KR100818877B1 (ko) 2007-09-10 2008-04-02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713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9184A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s
JP4209426B2 (ja) 成形済み形態の予備成形組成物
CA2585290A1 (en) Liquid coating compositions that include a compound formed from at least one polyfunctional isocyanurate, related multi-layer composite coatings, methods and coated substrates
CN102604570A (zh) 一种hdpe自粘卷材用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
KR20070040840A (ko)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이용 방법
EP1186619A3 (en) Polar group-containing olefin copolymer,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ning the copolymer, and uses thereof
CN105602478A (zh) 一种自粘型聚乙烯保护膜及其自粘层的制备方法
KR20190099205A (ko) 접착제,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 전지 외장재, 및 전지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EP3055372B1 (en) Adhesive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JP359864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JPS61272217A (ja)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KR100637713B1 (ko) 압출라미네이트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WO2018030086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接着剤組成物
CN116476496A (zh) 高阻隔抗皱pp隔离膜
WO2020123139A1 (en) Fusion bonded epoxy amine rebar powder coatings
JP4530704B2 (ja) ハイソリッド型接着剤組成物
KR20020046388A (ko) 압출코팅용 고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0826754B1 (ko) 압출코팅 또는 압출라미네이트용 폴리알파올레핀 수지
JP2003103733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64518B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接着剤組成物
TWI722192B (zh) 片型接著劑及使用其之接著方法
JPS6268869A (ja) 水中粘接着剤組成物
CN111718683A (zh) 无溶剂聚氨酯接着剂及双涂布无溶剂聚氨酯接着剂
CN114456741A (zh) 一种具有蓄光效果的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TW202122539A (zh) 黏著薄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