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959A -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959A
KR20010054959A KR1019990055967A KR19990055967A KR20010054959A KR 20010054959 A KR20010054959 A KR 20010054959A KR 1019990055967 A KR1019990055967 A KR 1019990055967A KR 19990055967 A KR19990055967 A KR 19990055967A KR 20010054959 A KR20010054959 A KR 2001005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nut
operation control
screw shaft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채
문동훈
이규택
정상호
Original Assignee
한연섭
주식회사 신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연섭, 주식회사 신성전자 filed Critical 한연섭
Priority to KR101999005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959A/ko
Publication of KR2001005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6M1/10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electromo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9/00Counting of objects in a stack thereof
    • G06M9/02Counting of objects in a stack thereof by using a rotating separator incorporating pneumatic suction nozz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지폐이송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수단(200)이, 양쪽 선단부가 베어링(221,222)을 매개로 지지체(7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한쪽 선단에 풀리(211)가 구비되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에 의해 회동제어되는 스크류축(210)과 ; 스크류축(210)에 맞물려서 스크류축(21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230)로 이루어져서, 지폐이송수단(300)의 연결플레이트(350)가 너트부재(230)의 위치에 따라 축부재(3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형제작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VACUUM SUCTION TYPE BANKNOTECOUNTER}
본 발명은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형제작이 가능하도록 된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장치는 그 계수방법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들 중에서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는 묶여진 상태의 지폐뭉치도 계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종래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와,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하는 동작제어수단(200), 동작제어수단(2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지폐뭉치(900)를 계수위치로 이동시키는 지폐이송수단(300), 계수위치로 이송된 지폐뭉치(900)를 계수하는 로타장치(500) 및, 로타장치(500)를 구동하는 로타장치용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와 로타장치용 구동장치(400)는 일반 회전모터가 모두 이용될 수 있지만, 동작제어가 정확한 서보모터(110',41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경우, 풀리(111')가 선택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어야 하므로, 정확한 동작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110')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동작제어수단(200)으로는, 한쪽 선단이 체결부재(651)를 매개로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 선단에는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652)를 매개로 지폐이송수단(300)의 연결플레이트(350)에 다른 한쪽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암(210')이 이용된다.
도 6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종래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계수할 지폐뭉치(900)를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얹어서 지폐뭉치(900)의 뒷면이 등받이부재(380)에 접하도록 한 후, 작동스윗치(도시안됨)를 ON시키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가 구동되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아암(210')이 지폐지지부재(340)쪽으로 이동되는데, 고정플레이트(330)와 연결플레이트(350)는 스프링(390)의 복원력에 의해 상호 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아암(210')이 지폐지지부재(340)쪽으로 이동되면, 지지바아(321)를 관통하며 체결되어진 제1스토퍼(322)의 돌출 선단(322a)에 고정플레이트(330)의 걸림부(331)가 접해진 상태에서, 연결플레이트(350)와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 및 등받이부재(380)가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얹혀진 지폐뭉치(900)가 등받이부재(380)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폐지지부재(340)인 지지바아(341')에 접하게 된다.
이후,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연속적으로 수행한 후,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가 정지되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면, 우선 지폐뭉치(900)가 지폐지지부재(3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아암(210')이 지폐지지부재(340)쪽으로 이동되므로, 연결플레이트(350)와 지폐지지플레이트(370, 371) 및 등받이부재(380)가 정지된 상태에서 아암(210')이 지폐지지부재(340)쪽으로 이동되어, 연결플레이트(350)의 체결부재(652)가 아암(210')의 가이드홈(211') 뒷쪽에 위치된다. 이후, 지폐뭉치(900)가 계수위치에 놓여질 때까지, 즉 지폐뭉치(900)의 앞면이 로타장치(500)의 진공흡착스핀들(550)의 흡착면(551)에 접할 때까지, 고정플레이트(330)와 지폐지지부재(340), 연결플레이트(350),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 등받이부재(380) 및 지폐뭉치(900)가 스프링(336)에 의해서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8에 도시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지폐뭉치(900)가 계수위치에 놓여지면, 로타장치용구동장치(400)에 의해 로타장치(500)가 구동되어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연속적으로 수행될수록 지폐뭉치(900)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스프링(336 ; 39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30)와 지폐지지부재(340), 연결플레이트(350),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 및 등받이부재(380)가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플레이트(350)의 체결부재(652)가 아암(2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완료되면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부(351)가 지지바아(321)를 관통하며 체결되어진 제2스토퍼(323)의 돌출 선단에 걸리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재(380)의 지폐선단 누름부(381)가 계수위치에서 정지되고, 모든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후,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가 구동/정지되어 도 6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된 후 계수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별도의 제어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자동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는, 가이드홈(211')이 형성된 아암(210')을 동작제어수단(200)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계적인 공차에 의해 동작제어가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체결부재(652)와 가이드홈(211') 사이에 부쉬(660)를 삽입하더라도 기계적인 공차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아암(21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의 풀리(111')와 아암(210') 및 연결플레이트(350)가 거의 유사한 높이의 수평면상에 위치되어야 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를 소정 높이 이상으로 높게 설치해야 하므로,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의 소형화가 제약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형제작이 가능한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와 동작제어수단 및 지폐이송수단을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대한 대응도이다.
100 ;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 110 ; 구동모터,
111 ; 풀리, 200 ; 동작제어수단,
210 ; 스크류축, 211 ; 풀리,
221,222 ; 베어링, 230 ; 너트부재,
231 ; 너트, 232 ; 너트 케이스,
233 ; 걸림부재, 234 ; 보강부,
235 ; 감지부, 236 ; 체결부재,
300 ; 지폐이송수단, 310 ; 축부재,
311 ; 축지지부, 320 ; 정지수단,
321 ; 지지바아, 322 ; 제1스토퍼,
323 ; 제2스토퍼, 324 ; 보강부재,
330 ; 고정플레이트, 331 ; 걸림부,
332 ; 스프링선단 지지부, 333 ; 체결부,
334 ; 고정바아, 335 ; 진동억제부재,
336 ; 스프링, 340 ; 지폐지지부재,
341 ; 축고정부재, 342 ; 회전축,
343 ; 회전판, 344 ; 제1지지바아,
345 ; 제2지지바아, 346 ; 토오션 스프링,
246a, 246b ; 선단부, 347 ; 스프링선단 고정부재,
348 ; 보강부재, 350 ; 연결플레이트,
351 ; 걸림부, 352 ; 스프링선단 지지부,
353 ; 걸림턱, 360 ; 연결부재,
370,371 ; 지폐지지플레이트, 380 ; 등받이부재,
381 ; 지폐선단 누름부, 390 ; 스프링,
391,392 ; 스프링선단, 400 ; 로타장치용 구동장치,
410 ; 구동모터, 411 ; 풀리,
500 ; 로타장치, 520 ; 고정플레이트,
531 ; 스핀들위치감지센서, 532 ; 지폐계수센서,
540 ; 로타, 550 ; 진공흡착스핀들,
551 ; 흡착면, 610,620 ; 동력전달부재,
700 ; 지지체, 810,820 ; 위치감지센서,
900 ; 지폐뭉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와,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하는 동작제어수단, 동작제어수단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지폐뭉치를 계수위치로 이동시키는 지폐이송수단, 계수위치로 이송된 지폐뭉치를 계수하는 로타장치 및, 로타장치를 구동하는 로타장치용 구동장치로 이루어져서,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제어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수단은, 양쪽 선단부가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한쪽 선단에 풀리가 구비되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에 의해 회동제어되는 스크류축과 ; 스크류축에 맞물려서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져서, 지폐이송수단의 연결플레이트가 너트부재의 위치에 따라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와 동작제어수단 및 지폐이송수단을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는,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와,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하는 동작제어수단(200), 동작제어수단(2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지폐뭉치(900)를 계수위치로 이동시키는 지폐이송수단(300), 계수위치로 이송된 지폐뭉치(900)를 계수하는 로타장치(500) 및, 로타장치(500)를 구동하는 로타장치용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제어된다.
상기 동작제어수단(200)은, 양쪽 선단부가 베어링(221,222)을 매개로 지지체(7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체(700)의 외부로 돌출된 한쪽 선단에 풀리(211)가 구비되어진 스크류축(210)과 ; 스크류축(210)에 맞물려서 스크류축(21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너트부재(230)는, 스크류축(210)에 맞물리는 너트(231)와, 너트(231)를 감싸는 너트 케이스(232), 너트 케이스(232)의 외주면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233), 지지체(700)에 스크류축(2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40) 및, 너트 케이스(232)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40)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보강부(2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폐이송수단(300)의 연결플레이트(350)에 걸림턱(353)이 형성되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에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폐이송수단(300)은, 축부재(310)와, 축부재(310)의 축지지부(311)에 고정되는 정지수단(320), 축부재(3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30), 고정플레이트(330)에 체결되어 지폐뭉치(900)의 앞면을 지지하는 지폐지지부재(340), 축부재(3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350), 연결부재(360)를 매개로 연결플레이트(350)에 고정되는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고정되어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얹혀지는 지폐뭉치(900)의 뒷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재(380) 및, 고정플레이트(330)의 스프링선단 지지부(332)와 연결플레이트(350)의 스프링선단 지지부(352)에 양쪽 스프링선단(391,392)이 각각 지지되어 축부재(310)를 기준으로 고정플레이트(330)와 연결플레이트(350)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9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스프링(390)은 고정플레이트(330)와 연결플레이트(350)에 양쪽 스프링선단(391,392)이 각각 고정되어, 고정플레이트(330)와 연결플레이트(350)가 상호 근접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부재로서, 연결플레이트(350)가 고정플레이트(330)에 근접할수록 복원력의 크기가 감소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아(321)의 보강부재(324)와 고정플레이트(330)의 체결부(333)에 양쪽 선단이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336)을 보강하면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하는 고정플레이트(33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한편, 상기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로 서보모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스크류축(210)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230)를 정지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위치감지센서(810,820 ; 도 1 내지 도 5 참조)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로 일반 회전모터(1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너트부재(230)에 감지부(235)를 보강 설치하고, 너트부재(230)의 양쪽 정지위치에 위치감지센서(810,820)를 설치하여, 위치감지센서(810,820)에 너트부재(230)의 감지부(235)가 감지되면, 회전모터(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계수할 지폐뭉치(900)를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얹어서 지폐뭉치(900)의 뒷면이 등받이부재(380)에 접하도록 한 후, 작동스윗치(도시안됨)를 ON시키면, 회전모터(110)가 구동되어 스크류축(210)이 회전되고, 이에 의해 너트부재(230)가 스크류축(210)을 따라서 로타장치(500)쪽으로 이동된다.
도 1의 경우, 지지바아(321)를 관통하며 체결되어진 제1스토퍼(322)의 선단(322a)에 고정플레이트(330)의 걸림부(331)가 접한 상태에서, 연결플레이트(350)가 너트부재(230)에 의해 로타장치(50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져서 스프링(390)에 토오크가 가해진 상태이므로, 너트부재(230)가 스크류축(210)을 따라서 로타장치(500)쪽으로 이동되면, 스프링(390)의 복원력에 의해서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연결플레이트(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에 얹혀진 지폐뭉치(900)가 등받이부재(380)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폐지지부재(340)의 제2지지바아(345)에 접하게 된다.
이후, 회전모터(110)에 의해 너트부재(230)가 로타장치(500)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위치감지센서(820)에 너트부재(230)의 감지부(235)가 감지되면, 회전모터(110)의 동작이 정지되어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이룬다. 도 3을 참고해 보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와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상호 이격되는데, 이는 계수위치에 놓여진 지폐뭉치(900)의 두께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폐뭉치(900)가 계수위치에 놓여지면, 로타장치용 구동장치(400)에 의해 로타장치(500)가 구동되어 로타(540)와 진공흡착스핀들(550)이 회전하면서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이루어진다. 진공흡착스핀들(550)에 의한 계수동작시 진공흡착스핀들(550)의 위치는 스핀들위치감지센서(531)에 의해 파악되고, 진공흡착스핀들(550)의 흡착면(551)에 지폐가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는 진공흡착스핀들(550)의공압라인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단을 매개로 감지하며, 진공흡착스핀들(550)의 흡착면(551)에 흡착된 지폐의 계수는 지폐계수센서(532)에서 카운터한다.
한편, 상기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연속적으로 수행될수록 지폐뭉치(900)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스프링(336 ; 39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30)와 지폐지지부재(340), 연결플레이트(350), 지폐지지플레이트(370,371) 및 등받이부재(380)가 축부재(31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지폐뭉치(900)의 계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에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접하게 되어, 시계방향으로의 더이상의 회전이 방지되고, 등받이부재(380)의 지폐선단 누름부(381)가 계수위치에 정지되고, 모든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후, 위치감지센서(810)에 너트부재(230)의 감지부(235)가 감지될 때까지 회전모터(110)가 역방향으로 구동된 후 정지되어,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에 단순하게 걸쳐지도록 된 구조이지만, 너트부재(230)와 연결플레이트(350)의 연결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제어수단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너트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지폐이송수단의 연결플레이트와 너트부재 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를 매개로 연결플레이트의 회동운동이 제어되므로 보다 정확한 동작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축과 너트부재를 동작제어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와 동작제어수단을 지폐이송수단의 연결플레이트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지폐계수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와,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하는 동작제어수단(200), 동작제어수단(2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지폐뭉치(900)를 계수위치로 이동시키는 지폐이송수단(300), 계수위치로 이송된 지폐뭉치(900)를 계수하는 로타장치(500) 및, 로타장치(500)를 구동하는 로타장치용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져서,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제어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수단(200)은, 양쪽 선단부가 베어링(221,222)을 매개로 지지체(7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한쪽 선단에 풀리(211)가 구비되어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에 의해 회동제어되는 스크류축(210)과 ; 스크류축(210)에 맞물려서 스크류축(21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너트부재(230)로 이루어져서, 지폐이송수단(300)의 연결플레이트(350)가 너트부재(230)의 위치에 따라 축부재(3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230)는, 스크류축(210)에 맞물리는 너트(231)와, 너트(231)를 감싸는 너트 케이스(232), 너트 케이스(232)의 외주면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233), 지지체(700)에 스크류축(2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40) 및, 너트 케이스(232)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40)의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보강부(2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폐이송수단(300)의 연결플레이트(350)에 걸림턱(353)이 형성되어, 너트부재(230)의 걸림부재(233)에 연결플레이트(350)의 걸림턱(353)이 지지되어, 연결플레이트(350)가 너트부재(230)의 위치에 따라 축부재(3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수단용 구동장치(100)로는 일반 회전모터(110)가 이용되고, 상기 너트부재(230)에 감지부(235)가 구비되며, 너트부재(230)의 양쪽 정지위치에 위치감지센서(810,820)가 보강되어, 위치감지센서(810,820)에 너트부재(230)의 감지부(235)가 감지되면, 회전모터(11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KR1019990055967A 1999-12-08 1999-12-08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KR20010054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67A KR20010054959A (ko) 1999-12-08 1999-12-08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67A KR20010054959A (ko) 1999-12-08 1999-12-08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59A true KR20010054959A (ko) 2001-07-02

Family

ID=1962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967A KR20010054959A (ko) 1999-12-08 1999-12-08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80A (ko) * 2001-03-15 2001-06-05 문동훈 진공 흡입식 지폐 계수기용 회전 로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7372U (ko) * 1975-11-14 1977-05-18
JPS5561888A (en) * 1978-10-31 1980-05-09 Laurel Bank Mach Co Ltd Paper holder for paper counter
JPS5642888A (en) * 1979-09-14 1981-04-21 Tokyo Electric Co Ltd Sheet substance counting device
US4314148A (en) * 1979-02-09 1982-02-02 Societe D'etude Et De Construction D'appareils De Precision Device for counting and distributing sheets
JPS5750085A (en) * 1980-09-10 1982-03-24 Laurel Bank Mach Co Ltd Bank note stack supply device of bank note counting machine
JPS59114696A (ja) * 1982-12-22 1984-07-02 武蔵株式会社 紙幣計数帯封装置
EP0704080A1 (en) * 1993-06-18 1996-04-03 Pelcombe Limited Sheet counter head contr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7372U (ko) * 1975-11-14 1977-05-18
JPS5561888A (en) * 1978-10-31 1980-05-09 Laurel Bank Mach Co Ltd Paper holder for paper counter
US4314148A (en) * 1979-02-09 1982-02-02 Societe D'etude Et De Construction D'appareils De Precision Device for counting and distributing sheets
JPS5642888A (en) * 1979-09-14 1981-04-21 Tokyo Electric Co Ltd Sheet substance counting device
JPS5750085A (en) * 1980-09-10 1982-03-24 Laurel Bank Mach Co Ltd Bank note stack supply device of bank note counting machine
JPS59114696A (ja) * 1982-12-22 1984-07-02 武蔵株式会社 紙幣計数帯封装置
EP0704080A1 (en) * 1993-06-18 1996-04-03 Pelcombe Limited Sheet counter head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80A (ko) * 2001-03-15 2001-06-05 문동훈 진공 흡입식 지폐 계수기용 회전 로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094B1 (en) Object holding device
US20210177045A1 (en) Cigarette Paper Twisting Apparatus
KR20010054959A (ko)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KR20010054960A (ko) 진공흡착식 지폐계수기
JPH05220684A (ja) チャック機構
EP0435831B1 (en) A device for operating a motor-vehicle windscreen-wiper arm
JPS5828633B2 (ja) 紙葉類計数機における紙葉類束保持装置
JP4741091B2 (ja) くわえづめドラム装置、くわえづめドラム、および、印刷された製品を把持する方法
KR100192633B1 (ko) 진공흡입식 지폐계수기와 그 작동방법
KR100375570B1 (ko) 실린더를 이용한 지폐 계수기
CN213037966U (zh) 塑钢拉链车的定量送布装置
JPH0116210Y2 (ko)
CN207872932U (zh) 一种送料主轴装置及弯管机
SE507036C2 (sv) Falscylinder
JPH0231430B2 (ko)
CN220485990U (zh) 缝纫机的自动换梭装置
CN217260926U (zh) 一种机械手抓袋旋转机构
CN211010077U (zh) 电动执行机构位置检测装置
JPH0426749B2 (ko)
JPS634237B2 (ko)
JPS5897790A (ja) 紙葉類計数機
JPH0584619A (ja) ピツクアンドプレイスユニツト
CN114890225A (zh) 一种纱线自动取样装置
CN117961944A (zh) 一种仿生手指、仿生手及机器人
JP2507838Y2 (ja) ラベリングマシンのラベル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