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817A -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817A
KR20010054817A KR1019990055792A KR19990055792A KR20010054817A KR 20010054817 A KR20010054817 A KR 20010054817A KR 1019990055792 A KR1019990055792 A KR 1019990055792A KR 19990055792 A KR19990055792 A KR 19990055792A KR 20010054817 A KR20010054817 A KR 2001005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
formula
dioxin
compound
trifluoro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582B1 (ko
Inventor
한호규
장기혁
남기달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9-005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5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10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 C07D319/12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의 화학식 1을 갖는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살균효과 및 식물생장조절 기능을가지며,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아미노기는 -NR1(R2)로 표시되며,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C6-C10의 아릴기; 할로겐,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 C1-C6의 알콕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티오, -NO2, -CN, -OH, -SH, -C6H5, -C(O)R3및 -C(O)OR3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며, R3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알콕시기는 -OR3로 표시되는 데, R3의 정의는 상기와 같다.

Description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TRIFLUOROMETHYLATED DIHYDRO-1,4-DIOXANES AND THEIR PREPARATIVE METHOD}
본 발명은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은 살균제, 식물생장조절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학식 2의 5,6-디히드로-2-메틸-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닐리드는 공지의 화학약품이며, 농산물의 종자처리 소독제로 사용되는 유용한 살균제로서 미국특허 제3,249,499호, 미국특허 제3,393,202호, 카나다특허 제787,893호, 카나다특허 제791,511호, 한국특허공고 제78-235호, 한국특허공고 제78-609호에 보고되었고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공지 화합물 2에서 황원자가 산소원자로 치환된 화학식 3의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은 식물생장조절제 및 항바이러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 미국특허 제5,070,211호, 화학전문잡지 J. Agric. Food Chem.46, 2827 (1998) 및 WO 9105761에 각각 소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4위치의 산소가 황원자로 대체된 화합물인 화학식 4의 5,6-디히드로-2-삼불화메틸-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닐리드는 한국 특허 제176,323호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자들이 출원한 것으로 화합물의 중간체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 살균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든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화합물이 그렇듯이 상술한 살균제도 이들에 저항이 강한 새로운 균종이 생기게 된다. 이런 문제점에 대비하여 저항균종을 극복할 수 있고 보다 강한 살균효과를 갖는 새로운 살균제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농약 살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로서 사용될수 있는 화학식 1의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화합물은 공지의 화학약품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의 메틸기 대신에 삼불화메틸기가 도입된 화합물이며, 디히드로-1,4-옥사티인 유도체의 황원자 대신에 산소원자가 도입된 화합물이기도 하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화학식 1을 갖는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아미노기는 -NR1(R2)로 표시되며,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C6-C10의 아릴기; 할로겐,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 C1-C6의 알콕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티오, -NO2, -CN, -OH, -SH, -C6H5, -C(O)R3및 -C(O)OR3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며, R3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알콕시기는 -OR3로 표시되는 데, R3의 정의는 상기와 같다.
C1-C6의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이 있으며, 메틸과 에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C6-C10의 아릴기"라 함은 6-10개의 탄소원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헥켈의 4n+2 규칙을 만족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말하며, 그 예로는 페닐, 나프틸 등이 있다.
"할로겐화 페닐"이라 함은 페닐기의 오르토,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의 수소 원자 대신에 할로겐 원자, 즉 F, Cl, Br, I에 의해 치환된 형태를 말한다. 그 예로는 2-클로로페닐, 2,4-디클로로페닐, 3-브로모페닐, 2-플로오로페닐 등이 있다.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화 페닐"이라 함은 C1-C6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 대신에 할로겐 원자, 즉 F, Cl, Br, I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화 페닐을 말한다. 비치환된 C1-C6의 알킬화 페닐의 예로는 메틸페닐,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이소프로필페닐, 부틸페닐, 펜틸페닐, 헥실페닐 등이 있으며,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C1-C6의 알킬화 페닐의 예로는 CH3CHF2CF2C6H4-, CHF2CF2C6H4-, CF3C5H4- 등이 있다.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티오화 페닐"이라 함은 알킬기의 수소 원자 대신에 할로겐 원자, 즉 F, Cl, Br, I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티오화 페닐을 말한다.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C1-C6의 알킬티오화 페닐의 예로는 CHF2CF2SC6H4-, CH3CHF2CF2SC6H4-, CF3SC5H4-, CHF2SC6H4- 등이 있으며, 할로겐에의해 비치환된 알킬티오화 페닐의 예로는 CH3CH2CH2SC6H4-, CH3CH2SC6H4-, CH3SC5H4-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반응식 1로 표시된다.
상기 반응식 1 중에서 R1, R2, R3의 정의는 상기한 바와 같고, R4및 R5는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 C6-C10의 아릴, 또는 C6-C10의 아르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페닐기이다.
반응식 1에 소개된 반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물질인 베타케토아세트산 유도체의 알파염화물은 공지의 화학약품으로 화학전물 잡지 J. Am. Chem. Soc.,72, 3289 (1950) 및 본 발명가들이 출원한 한국특허 제176,323호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즉 베타케토아세트산 유도체5를 염소와 반응시키면 알파염화물6을 약 90%의 수율로 생성할 수 있다. 알파염화물6과 머캡탄 (R5SH)과의 반응은 비활성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없이도 진행되지만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반응수율이 더 높다. 이 때 염기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트리부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염기가 보다 경제적이다. 이 때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용해도 및 반응후 처리에서의 간편함 등으로 보아 벤젠, 톨루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반응온도는 0-50℃에서 가능하나, 10-25℃에서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생성된 알피티오 화합물7의 염화는 비활성용매 중에서 염소 또는 술푸릴클로라이드(SO2Cl2)를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이 때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용해도 및 반응후 처리에서의 간편함 등으로 보아 벤젠, 톨루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반응온도는 0-50℃에서 가능하나, 10-25℃에서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파티오-알파클로로 화합물8은 분리가능하나, 본 발명의 화합물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분리할 필요는 없다.
알파티오-알파클로로 화합물8을 2-에틸렌글리콜과 반응시켜 알파티오 에테르9를 얻는다. 염기의 존재없이도 반응이 진행되지만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반응수율이 더 높다. 이 때 염기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용해도 및 반응후 처리에서의 간편함 등으로 보아 벤젠, 톨루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반응온도는 0-50℃에서 가능하나, 10-25℃에서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파티오 에테르9를 환류하는 에탄올 용액 중에서 Raney 니켈로 처리하면 티오기가 제거된 알파에테르10이 생성되는데,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1H NMR)에 의하면 이것은 대부분 알파에테르10과 평형상태의 고리형의 옥소란 화합물11이다. 화합물1011의 분리는 불가능하다. 화합물1011의 혼합물에 티오닐클로라이드(SOCl2)와 염기를 차례로 반응시키면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에스테르12가 생성된다. 이 때 염기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유기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수율이 더 높다. 이 때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비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용해도 및 반응후 처리에서의 간편함 등으로 보아 벤젠, 톨루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반응온도는 0-110℃에서 가능하나, 10-80℃에서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에스테르12의 가수분해는 일반적인 에스테르 유도체의 가수분해 방법에 따라 행해진다. 즉, 화합물12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반응혼합물을 염산 또는 황산 등으로 중화하여 상응하는 카르복시산13을 얻는다. 카르복시산13과 아민 HNR1(R2)와의 반응에 의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화학전문잡지 R.O.C. Norman, 'Principles of Organic Synthesis' 2nd ed., 1978, Champman and Hall, pp359-361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는 바, 혼성산 무수물에 의한 방법, 활성화된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하는 방법, 중간체 아실클로라이드를 통한 방법 등이 있다. 에스테르12를 아민 유도체로 직접 전환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이 방법은 상기 방법보다 불리하다. 아민(HNR1R2) 대신에 알코올(HOR)을 사용하면 R이 알콕시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의 녹는점, 성상 또는 수율을 표 1 및 2에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표 1 및 2에 나타난 화합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번호 R3 수 율 (%) 녹 는 점 (℃)
60 4,6-디메톡시-1,3-피리미딘-2-일 86 160
61 OH 67 120-122
62 OCH3 92 -
63 OCH2CH3 57 기름상 액체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시산 (1, R=OH)의 합성
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5, R4=Et)(83.75 g, 0.45 mol)에 노란색이 나타날 때까지 서서히 염소가스를 주입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증류(끊는점, 92℃/30 mmHg)하여 무색의 액체인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토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6, R4=Et)(83.9 g, 수율 84.0%)을 얻었다.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토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25.5 g, 0.118 mol)의 벤젠(300 ml) 용액에 찬물 중탕하에서 트리에틸아민(17.4 ml, 0.124 mol)을 가하고 에탄티올(11.25 ml, 0.124 mol)을 10분 동안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찬물로 2회 씻고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생성된 노란색 액체인 알파티오화합물(7, R4=Et)(21.91 g, 86mmol)를 벤젠(20 ml)에 녹이고 찬물 중탕하에서 술푸릴클로라이드(7.6 ml, 94 mmol)를 10분 동안 적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고 에틸렌글리콜(19.1 ml, 0.34 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3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300 ml)에 녹이고 찬물로 2회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밥로 제거하여 백색의 고체인 알파티오에테르(9, R4=R5=Et)(22.2 g, 수율 82.0%, 녹는점 92-94℃)를 얻었다. 알파티오에테르(9, R4=R5=Et)(14.8 g, 48 mmol)의 에탄올(100 ml) 용액에 Raney Ni(12.5 g, 0.22 mol)을 가하고 17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갈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1N-염산과 찬물로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노란색의 기름상의 액체인 1,4-디이속란(11, R4=Et)(9.37 g, 수율 78.9%)을 얻었다. 이 화합물(9.0 g, 36.8 mmol)의 벤젠(20 ml) 용액에 피리딘(3.13 ml, 38.6 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티오닐클로라이드(2.82 ml, 38.6 mmol)을 15분 동안에 걸쳐 적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증발로 제거한 다음 벤젠(20 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10.3 ml, 72 mmol)을 가한 다음 16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1N-가성소다수 및 1N-염산으로 각각 1회 씻고 포화 중탄산수와 찬물로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아렸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갈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관크로마토그래피로정제하여 노란색의 기름상의 액체 디히드로-1,4-디옥산(12, R4=Et)(4.78 g, 수율 57.3%)을 얻었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1.27 g, 31 mmol) 수용액(10 ml)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염화메틸렌으로 2회 씻은 다음 6N-염산으로 산성화(pH=3)하고 에테르로 2회 추출한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결정화하여 흰색의 고체 디히드로-1,4-디옥산 카르복시산(13, 2.8 g, 수율 67%)을 얻었다.
1H NMR (300 MHz)(CDCl3) δ 4.21-4.29(m, 4H, 5-CH2and 6-CH2), 10.35(s, 1H, OH); FT-IR (KBr) 1714, 1626 cm-1.
실시예 2
2-트리플루오로메틸-N-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5)
방법 1
디히드로-1,4-디옥산 카르복시산(13, 0.53 g, 2.7 mmol)을 벤젠(10 ml)에 녹이고 티오닐클로라이드(0.21 ml, 2.8 mmol)을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노란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벤젠에 녹이고 아닐린(0.53 ml, 5.4 m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한 다음 1N-염산, 포화중탄산수, 찬물로 차례로 각각 한번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백색의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침상의 고체인 2-트리플루오로메틸-N-페닐-5,6-디히드로-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5)(0.43 g, 수율 60.5%)를 얻었다.
1H NMR (300 MHz)(CDCl3) δ 4.28(s, 4H, 5-CH2and 6-CH2), 7.10-7.60(m, 5H, ArH), 8.01(s, 1H, NH); FT-IR (KBr) 3264, 1638 cm-1.
방법 2.
디히드로-1,4-디옥산 카르복시산(13, 1.98 g, 0.01 mol)의 염화메틸렌(10 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46 ml, 0.01 mol)을 가하고 에틸클로로포메이트(0.95 ml, 0.01 mol)을 서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아닐린(1.0 ml, 0.011 mo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한 다음 1N-염산, 포화중탄산수, 찬물로 각각 한번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백색의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침상의 고체인 2-트리플루오로메틸-N-페닐-5,6-디히드로-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5)(2.75 g, 수율 95%)를 얻었다.
방법 3.
디히드로-1,4-디옥산 카르복시산(13, 0.99 g, 0.005 mol)의 염화메틸렌(10 ml) 용액을 얼음 중탕으로 냉각하고, 아닐린(1.0 ml, 0.011 mol)을 서서히 적가한다음, 염화메틸렌에 녹인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1.03 g, 0.005 mol) 용액(10 ml)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생성된 침전물(urea)을 제거한 다음, 1N-염산, 포화중탄산수, 찬물로 각각 한번 씻은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얻은 백색의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침상의 고체인 2-트리플루오로메틸-N-페닐-5,6-디히드로-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5)(1.1 g, 수율 74%)를 얻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유도체의1H NMR 데이타 및 IR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
2-트리플루오로메틸-N-(2-클로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l))
1H NMR (300 MHz)(CDCl3) δ 4.28(s, 4H, 5-CH2and 6-CH2), 7.03-8.49(m, 4H, ArH), 8.69(s, 1H, NH); FT-IR (KBr) 3376, 1638 cm-1.
실시예 4
2-트리플루오로메틸-N-(3-클로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l))
1H NMR (300 MHz)(CDCl3) δ 4.29(s, 4H, 5-CH2and 6-CH2), 7.09-7.75(m, 4H, ArH), 8.04(s, 1H, NH); FT-IR (KBr) 3312, 1646 cm-1.
실시예 5
2-트리플루오로메틸-N-(3-히드록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OH))
1H NMR (300 MHz)(CDCl3) δ 4.54(s, 4H, 5-CH2and 6-CH2), 4.79(s, 1H, 3'-OH), 6.61-7.44(m, 4H, ArH), 8.00(s, 1H, NH); FT-IR (KBr) 3314, 1668 cm-1.
실시예 6
2-트리플루오로메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F3))
1H NMR (300 MHz)(CDCl3) δ 4.30(s, 4H, 5-CH2and 6-CH2), 7.38-7.84(m, 4H, ArH), 8.15(s, 1H, NH); FT-IR (KBr) 3314, 1652 cm-1.
실시예 7
2-트리플루오로메틸-N-(2-(2-클로로-1,1,2-트리플루오로에틸티오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SCF2CHClF))
1H NMR (300 MHz)(CDCl3) δ 4.31(s, 4H, 5-CH2and 6-CH2), 6.03-8.63(m, 4H, ArH), 9.36(s, 1H, NH); FT-IR (KBr) 3354, 1704 cm-1.
실시예 8
2-트리플루오로메틸-N-(3-(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F2CHF2))
1H NMR (300 MHz)(CDCl3) δ 4.29(s, 4H, 5-CH2and 6-CH2), 5.70-7.59(m, 4H, ArH), 8.10(s, 1H, NH); FT-IR (KBr) 3320, 1676 cm-1.
실시예 9
2-트리플루오로메틸-N-(3-티오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SCH3))
1H NMR (300 MHz)(CDCl3) δ 2.49(s, 3H, 3'-SCH3), 4.28(s, 4H, 5-CH2and 6-CH2), 7.00-7.56(m, 4H, ArH), 8.0(s, 1H, NH).
실시예 10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OCH3))
1H NMR (300 MHz)(CDCl3) δ 3.90(s, 3H, 2'-OCH3), 4.28(s, 4H, 5-CH2and 6-CH2), 6.87-8.45(m, 4H, ArH), 8.66(s, 1H, NH); FT-IR(KBr) 3392, 1644 cm-1.
실시예 11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H3))
1H NMR (300 MHz)(CDCl3) δ 2.28(s, 3H, 2'-CH3), 4.29(s, 4H, 5-CH2and 6-CH2), 7.05-8.00(m, 4H, ArH), 7.91(s, 1H, NH); FT-IR(KBr) 3328, 1654 cm-1.
실시예 12
2-트리플루오로메틸-N-(3-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H3))
1H NMR (300 MHz)(CDCl3) δ 2.34(s, 3H, 3'-CH3), 4.28(s, 4H, 5-CH2and 6-CH2), 6.93-7.51(m, 4H, ArH), 7.97(s, 1H, NH); FT-IR(KBr) 3328, 1654 cm-1.
실시예 13
2-트리플루오로메틸-N-(3-아세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OCH3))
1H NMR (300 MHz)(CDCl3) δ 2.61(s, 3H, 3'-COCH3), 4.30(s, 4H, 5-CH2and 6-CH2), 7.40-8.01(m, 4H, ArH), 8.17(s, 1H, NH); FT-IR(KBr) 3276, 1700 cm-1.
실시예 14
2-트리플루오로메틸-N-((4-프로필카르보닐)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OCH2CH2CH3)), FT-IR(KBr) 3302, 1700 cm-1
실시예 15
2-트리플루오로메틸-N-((4-부틸옥시카르보닐)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OOCH2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8(t, J=7.2 Hz, 3H, 4'-CH3), 1.43-1.51 and 1.70-1.80(2m, 4H, 4'-CH2CH2), 4.31(t, 2H, 4'-OCH2), 4.31(s, 4H, 5-CH2and 6-CH2), 7.66-8.03(m, 4H, ArH), 8.20(s, 1H, NH); FT-IR(KBr) 3296, 1696 cm-1.
실시예 16
2-트리플루오로메틸-N-(2-에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1.25(t, J=7.6 Hz, 3H, 2'-CH3), 2.64(q, J=7.6Hz, 2H, 2'-CH2), 4.29(s, 4H, 5-CH2and 6-CH2), 7.13-7.99(m, 4H, ArH), 7.98(s, 1H, NH); FT-IR(KBr) 3334, 1654 cm-1.
실시예 17
2-트리플루오로메틸-N-(4-부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OCH2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7(t, J=7.4 Hz, 3H, 4'-CH3), 1.44-1.52 and 1.73-1.77(2m, 4H, 4'-CH2CH2), 3.94(q, J=6.4 Hz, 2H, 4'-OCH2), 4.28(s, 4H, 5-CH2and 6-CH2), 6.84-7.50(m, 4H, ArH), 7.93(s, 1H, NH); FT-IR(KBr) 3310, 1658cm-1.
실시예 18
2-트리플루오로메틸-N-(2-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7(t, J=7.4 Hz, 3H, 2'-CH3), 1.62-1.68(m, 2H, 2'-CH2), 2.56(t, J=7.5 Hz, 2H, 2'-CH2), 4.30(s, 4H, 5-CH2and 6-CH2), 7.08-7.26(m, 4H, ArH), 8.00(s, 1H, NH); FT-IR(KBr) 3290, 1658cm-1.
실시예 19
2-트리플루오로메틸-N-(4-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7(t, J=7.4 Hz, 3H, 4'-CH3), 1.62-1.68(m, 2H, 4'-CH2), 2.56(t, J=7.5 Hz, 2H, 4'-CH2), 4.27(s, 4H, 5-CH2and 6-CH2), 7.12-7.49(m, 4H, ArH), 7.96(s, 1H, NH); FT-IR(KBr) 3310, 1654cm-1.
실시예 20
2-트리플루오로메틸-N-(4-부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H2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1(t, J=7.4 Hz, 3H, 4'-CH3), 1.32-1.37 and 1.55-1.60(2m, 4H, 4'-CH2CH2), 2.57(t, J=6.2 Hz, 2H, 4'-CH2), 4.27(s, 4H, 5-CH2and 6-CH2), 7.12-7.49(m, 4H, ArH), 7.96(s, 1H, NH); FT-IR(KBr) 3314, 1656cm-1.
실시예 21
2-트리플루오로메틸-N-(3-이소프로폭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O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31(d, J=6.6 Hz, 6H, 3'-(CH3)2), 4.27(s, 4H, 5-CH2and 6-CH2), 4.52-4.60(m, 1H, 3'-OCH), 6.64-7.31(m, 4H, ArH), 7.96(s, 1H,NH); FT-IR(KBr) 3264, 1644 cm-1.
실시예 22
2-트리플루오로메틸-N-(4-이소프로폭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O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31(d, J=6.6 Hz, 6H, 4'-(CH3)2), 4.27(s, 4H, 5-CH2and 6-CH2), 4.52-4.60(m, 1H, 4'-OCH), 6.83-7.48(m, 4H, ArH), 7.90(s, 1H, NH); FT-IR(KBr) 3302, 1650 cm-1.
실시예 23
2-트리플루오로메틸-N-(4-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3(d, J=6.9 Hz, 6H, 4'-(CH3)2), 2.88(q, J=6.9 Hz, 1H, 4'-CH), 4.28(s, 4H, 5-CH2and 6-CH2), 7.17-7.51(m, 4H, ArH), 7.99(s, 1H, NH); FT-IR(KBr) 3308, 1652 cm-1.
실시예 24
2-트리플루오로메틸-N-(3-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6(d, J=6.7 Hz, 6H, 3'-(CH3)2), 3.00(q, J=6.7 Hz, 1H, 3'-CH), 4.30(s, 4H, 5-CH2and 6-CH2), 7.17-7.89(m, 4H, ArH), 7.98(s, 1H, NH); FT-IR(KBr) 3282, 1644 cm-1.
실시예 25
2-트리플루오로메틸-N-(2-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4(d, J=6.9 Hz, 6H, 2'-(CH3)2), 2.90(q, J=6.9 Hz, 1H, 2'-CH), 4.28(s, 4H, 5-CH2and 6-CH2), 7.17-7.89(m, 4H, ArH), 7.99(s, 1H, NH); FT-IR(KBr) 3428, 1648 cm-1.
실시예 26
2-트리플루오로메틸-N-(4-이소프로필카르보닐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O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38(d, J=6.0 Hz, 6H, 4'-(CH3)2), 4.32(s, 4H, 5-CH2and 6-CH2), 5.21-5.29(m, 1H, 4'-COCH), 7.67-8.04(m, 4H, ArH), 8.22(s, 1H, NH); FT-IR(KBr) 3404, 1712, 1644 cm-1.
실시예 27
2-트리플루오로메틸-N-(4-(1-메틸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H(CH3)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80(t, J=7.2 Hz, 3H, 4'-CH3), 1.21(d, J=6.8 Hz, 3H, 4'-CH3), 1.52-1.65(m, 2H, 4'-CH2), 2.51-2.65(m, 1H, 4'-CH),4.28(s, 4H, 5-CH2and 6-CH2), 7.13-7.52(m, 4H, ArH), 7.90(s, 1H, NH); FT-IR(KBr) 3306, 1676 cm-1.
실시예 28
2-트리플루오로메틸-N-(4-이소부틸옥시카르보닐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COOCH2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01(d, J=6.6 Hz, 6H, 4'-(CH3)2), 2.05-2.09(m, 1H, 4'-CH), 4.08(d, J=6.4 Hz, 2H, 4'-OCH2),4.28(s, 4H, 5-CH2and 6-CH2), 7.66-8.03(m, 4H, ArH), 8.22(s, 1H, NH); FT-IR(KBr) 3356, 1700, 1650cm-1.
실시예 29
2-트리플루오로메틸-N-(2-tert-부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CH3)3))
1H NMR (300 MHz)(CDCl3) δ 1.41(s, 9H, 2'-(CH3)3), 4.28(s, 4H, 5-CH2and 6-CH2), 7.12-7.85(m, 4H, ArH), 8.21(s, 1H, NH); FT-IR(KBr) 3274, 1660 cm-1.
실시예 30
2-트리플루오로메틸-N-(2,4-디클로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l, 4-Cl))
1H NMR (300 MHz)(CDCl3) δ 4.31(s, 4H, 5-CH2and 6-CH2), 7.24-8.47(m, 3H, ArH), 8.66(s, 1H, NH); FT-IR(KBr) 3384, 1638 cm-1.
실시예 31
2-트리플루오로메틸-N-(2,6-디클로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l, 6-Cl))
수율: 68.0%, 녹는점: 167℃,1H NMR (300 MHz)(CDCl3) δ 4.32(s, 4H, 5-CH2and 6-CH2), 7.16-7.39(m, 3H, ArH), 7.81(s, 1H, NH); FT-IR(KBr) 3262, 1664cm-1.
실시예 32
2-트리플루오로메틸-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3-CF3, 4-Cl))
1H NMR (300 MHz)(CDCl3) δ 4.30(s, 4H, 5-CH2and 6-CH2), 7.26-7.89(m, 3H, ArH), 8.15(s, 1H, NH); FT-IR(KBr) 3262, 1664 cm-1.
실시예 33
2-트리플루오로메틸-N-(2-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l, 5-CF3))
1H NMR (300 MHz)(CDCl3) δ 4.33(s, 4H, 5-CH2and 6-CH2), 7.31-8.84(m, 3H, ArH), 8.81(s, 1H, NH); FT-IR(KBr) 3380, 1648 cm-1.
실시예 34
2-트리플루오로메틸-N-(2-클로로-4-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l, 4-CH3))
1H NMR (300 MHz)(CDCl3) δ 2.33(s, 3H, 4'-CH3), 4.28(s, 4H, 5-CH2and 6-CH2), 7.15-7.70(m, 3H, ArH), 7.98(s, 1H, NH); FT-IR(KBr) 3296, 1676 cm-1.
실시예 35
2-트리플루오로메틸-N-(4-클로로-2-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4-Cl))
1H NMR (300 MHz)(CDCl3) δ 2.25(s, 3H, 2'-CH3), 4.30(s, 4H, 5-CH2and 6-CH2), 7.17-7.98(m, 3H, ArH), 7.89(s, 1H, NH); FT-IR(KBr) 3296, 1676 cm-1.
실시예 36
2-트리플루오로메틸-N-(3-클로로-2-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3-Cl))
1H NMR (300 MHz)(CDCl3) δ 2.32(s, 3H, 2'-CH3), 4.30(s, 4H, 5-CH2and 6-CH2), 7.11-7.85(m, 3H, ArH), 7.96(s, 1H, NH); FT-IR(KBr) 3242, 1638 cm-1.
실시예 37
2-트리플루오로메틸-N-(3-클로로-4-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3-Cl, 4-CH3))
1H NMR (300 MHz)(CDCl3) δ 2.33(s, 3H, 4'-CH3), 4.28(s, 4H, 5-CH2and 6-CH2), 7.15-7.70(m, 3H, ArH), 7.98(s, 1H, NH); FT-IR(KBr) 3296, 1650 cm-1.
실시예 38
2-트리플루오로메틸-N-(2,5-디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5-CH3))
1H NMR (300 MHz)(CDCl3) δ 2.23 and 2.31(2s, 6H, 2'-CH3and 5'-CH3), 4.30(s, 4H, 5-CH2and 6-CH2), 6.87-7.87(m, 3H, ArH), 7.89(s, 1H, NH); FT-IR(KBr) 3272, 1654 cm-1.
실시예 39
2-트리플루오로메틸-N-(2,4-디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4-CH3))
1H NMR (300 MHz)(CDCl3) δ 2.23 and 2.28(2s, 6H, 2'-CH3and 4'-CH3), 4.29(s, 4H, 5-CH2and 6-CH2), 7.00-7.79(m, 3H, ArH), 7.82(s, 1H, NH); FT-IR(KBr) 3402, 1638 cm-1.
실시예 40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톡시-5-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OCH3, 5-CH3))
1H NMR (300 MHz)(CDCl3) δ 2.30(s, 3H, 5'-CH3), 3.87(s, 3H, 2'-OCH3), 4.29(s, 4H, 5-CH2and 6-CH2), 6.77-8.32(m, 3H, ArH), 8.68(s, 1H, NH); FT-IR(KBr) 3386, 1688 cm-1.
실시예 41
2-트리플루오로메틸-N-(3,4-디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3-0CH3, 4-OCH3))
1H NMR (300 MHz)(CDCl3) δ 3.86 and 3.89(2s, 6H, 3'-OCH3and 4'-OCH3), 4.28(s, 4H, 5-CH2and 6-CH2), 6.79-7.39(m, 3H, ArH), 7.94(s, 1H, NH); FT-IR(KBr) 3300, 1614 cm-1.
실시예 42
2-트리플루오로메틸-N-(4-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4-OCH3))
1H NMR (300 MHz)(CDCl3) δ 3.79(s, 3H, 2'-OCH3), 4.27(s, 4H, 5-CH2and 6-CH2), 6.85-7.51(m, 4H, ArH), 7.93(s, 1H, NH); FT-IR(KBr) 3300, 1674 cm-1.
실시예 43
2-트리플루오로메틸-N-(2,6-디에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2CH3, 6-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1.19(t, J=7.5 Hz, 6H, 2'-CH3and 6'-CH3),2.60(q, J=7.5 Hz, 4H, 2'-CH2and 6'-CH2), 4.31(s, 4H, 5-CH2and 6-CH2), 7.12-7.26(m, 3H, ArH), 7.46(s, 1H, NH); FT-IR(KBr) 3258, 1656 cm-1.
실시예 44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틸-5-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5-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6(d, J=7.0 Hz, 6H, 5'-(CH3)2),2.24(s, 3H, 2'-CH3), 2.87-2.95(m, 1H, 5'-CH), 4.29(s, 4H, 5-CH2and 6-CH2), 6.96-7.88(m, 3H, ArH), 7.90(s, 1H, NH); FT-IR(KBr) 3414, 1694 cm-1.
실시예 45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틸-6-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6-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2(d, J=7.0 Hz, 6H, 6'-(CH3)2),2.25(s, 3H, 2'-CH3), 3.06-3.13(m, 1H, 6'-CH), 4.31(s, 4H, 5-CH2and 6-CH2), 7.09-7.26(m, 3H, ArH), 7.44(s, 1H, NH); FT-IR(KBr) 3268, 1658 cm-1.
실시예 46
2-트리플루오로메틸-N-(2-메틸-6-tert-부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5-C(CH3)3))
1H NMR (300 MHz)(CDCl3) δ 1.39(s, 9H, 6'-(CH3)3),2.22(s, 3H, 2'-CH3), 4.31(s, 4H, 5-CH2and 6-CH2), 7.14-7.29(m, 3H, ArH), 7.67(s, 1H, NH); FT-IR(KBr) 3258, 1660 cm-1.
실시예 47
2-트리플루오로메틸-N-(2,6-디이소프로필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CH3)2, 6-CH(CH3)2))
1H NMR (300 MHz)(CDCl3) δ 1.20(d, J=6.8 Hz, 12H, 2'-(CH3)2and 6'-(CH3)2),3.06-3.13(m, 2H, 2'-CH and 6'-CH), 4.32(s, 4H, 5-CH2and 6-CH2), 7.17-7.33(m, 3H, ArH), 7.38(s, 1H, NH); FT-IR(KBr) 3282, 1656 cm-1.
실시예 48
2-트리플루오로메틸-N-(2,4,6-트리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2(2-CH3, 4-CH3, 6-CH3))
1H NMR (300 MHz)(CDCl3) δ 2.22 and 2.23(2s, 9H, 2'-CH3, 4'-CH3, and 6'-CH3),4.28(s, 4H, 5-CH2and 6-CH2), 6.89(s, 2H, ArH), 7.38(s, 1H, NH); FT-IR(KBr) 3316, 1674 cm-1.
실시예 49
2-트리플루오로메틸-N-(2,4,6-트리클로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2(2-Cl, 4-Cl, 6-Cl))
1H NMR (300 MHz)(CDCl3) δ 4.28(s, 4H, 5-CH2and 6-CH2), 7.40(s, 2H, ArH), 7.75(s, 1H, NH); FT-IR(KBr) 3278, 1656 cm-1.
실시예 50
2-트리플루오로메틸-N-(3,4,5-트리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2(3-OCH3, 4-OCH3, 5-OCH3))
1H NMR (300 MHz)(CDCl3) δ 3.81 and 3.85(2s, 9H, 3'-CH3, 4'-CH3, and 5'-CH3),4.27(s, 4H, 5-CH2and 6-CH2), 6.80(s, 2H, ArH), 7.95(s, 1H, NH).
실시예 51
2-트리플루오로메틸-N-(4-클로로-2-펜옥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OC6H5, 4-Cl))
1H NMR (300 MHz)(CDCl3) δ 4.21-4.34(m, 4H, 5-CH2and 6-CH2), 7.26-8.74(s, 8H, ArH), 11.39(s, 1H, NH); FT-IR(KBr) 3240, 1636 cm-1.
실시예 52
2-트리플루오로메틸-N-(3-펜옥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OC6H5))
1H NMR (300 MHz)(CDCl3) δ 4.26(s, 4H, 5-CH2and 6-CH2), 6.75-7.42(s, 9H, ArH), 8.00(s, 1H, NH); FT-IR(KBr) 3258, 1640, 1672 cm-1.
실시예 53
2-트리플루오로메틸-N-(4,6-디메톡시-1,3-피리미딘-2-일)-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3,5-디메톡시피리미딘)
1H NMR (300 MHz)(CDCl3) δ 3.95(s, 6H, 3'-OCH3, 5'-OCH3), 4.27(s, 4H, 5-CH2and 6-CH2), 8.42(s, 1H, NH); FT-IR(KBr) 3296, 1650 cm-1.
실시예 54
2-트리플루오로메틸-N-(3,4-메틸렌디옥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3,4-메틸렌디옥시페닐)
1H NMR (300 MHz)(CDCl3) δ 4.26(m, 4H, 5-CH2and 6-CH2), 5.94(s, 2H, CH2), 6.72-7.31(m, 3H, ArH), 7.92(s, 1H, NH).
실시예 55
2-트리플루오로메틸-N,N-(에틸),(3,4-메틸렌디옥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CH2CH3, R2=3,4-메틸렌디옥시페닐)
1H NMR (300 MHz)(CDCl3) δ 1.14(t, J=6.9 Hz, 3H, CH3), 3.69-3.94(m, 6H, N-CH2and 5-CH2and 6-CH2), 6.01(s, 2H, CH2), 6.67-7.24(m, 3H, ArH); FT-IR(KBr) 3448, 1662 cm-1.
실시예 56
2-트리플루오로메틸-N-(프로필)-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H2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0.94(t, J=7.5 Hz, 3H, CH3), 1.51-1.63(m, 2H, CH2), 3.26-3.32(m, 2H, N-OCH2), 4.22(s, 4H, 5-CH2and 6-CH2), 6.28(s, 1H, NH).
실시예 57
2-트리플루오로메틸-N-(tert-부틸)-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CH3)3)
1H NMR (300 MHz)(CDCl3) δ 1.39(s, 9H, N-(CH3)3), 4.19(s, 4H, 5-CH2and 6-CH2), 5.98(s, 1H, NH); FT-IR(KBr) 3296, 1650 cm-1.
실시예 58
2-트리플루오로메틸-N-(5-클로로-2-메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3(2-CH3, 5-Cl))
1H NMR (300 MHz)(CDCl3) δ 2.32(s, 3H, 2'-CH3), 4.30(s, 4H, 5-CH2and 6-CH2), 7.11-7.85(m, 3H, ArH), 7.96(s, 1H, NH); FT-IR(KBr) 3242, 1638 cm-1.
실시예 59
2-트리플루오로메틸-N-(3-에틸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1.25(t, J=7.6 Hz, 3H, 3'-CH3), 2.64(q, J=7.6 Hz, 2H, 3'-CH2), 4.29(s, 4H, 5-CH2and 6-CH2), 7.13-7.99(m, 4H, ArH), 7.98(s, 1H, NH); FT-IR(KBr) 3334, 1654cm-1.
실시예 60
2-트리플루오로메틸-N-(2-에틸옥시카르보닐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2-COOCH2CH3))
1H NMR (300 MHz)(CDCl3) δ 1.41(t, J=7.2 Hz, 3H, 2'-CH3), 4.28-4.42(m,6H, 2'-CH2, 5-CH2and 6-CH2), 7.09-8.81(m, 4H, ArH), 11.81(s, 1H, NH).
실시예 61
2-트리플루오로메틸-N-(3-메톡시페닐)-5,6-디히드로-1,4-디옥신-3-카르복스아미드(1, R1=H, R2=C6H4(3-OCH3))
1H NMR (300 MHz)(CDCl3) δ 3.79(s, 3H, 3'-OCH3), 4.27(s, 4H, 5-CH2and 6-CH2), 6.84-7.51(m, 4H, ArH), 7.92(s, 1H, NH); FT-IR(KBr) 3300, 1650 cm-1.
실시예 62
메틸-5,6-디히드로-2-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신-3-카르복실레이트
(R=OCH3)
연노란색 액체;1H NMR (CDCl3) δ 3.58(s, 3H, OCH3), 4.21-4.25(m, 4H, 5-CH2and 6-CH2); FT-IR (NaCl) 1730(C=O).
실시예 63
에틸-5,6-디히드로-2-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신-3-카르복실레이트
(R=OCH2CH3)
연노란색 액체;1H NMR (CDCl3) δ 1.33(t, J=7.1Hz, 3H, CH3), 4.20-4.26(m, 4H, 5-CH2and 6-CH2), 4.31(q, J=7.1Hz, 2H, OCH2); FT-IR (NaCl) 1730(C=O).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및 식물 잡초에 대한 제초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in vivo, 250 ppm)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식물 잡초에 대한 제초활성(in vivo, 4 kg/h, paddy submerged)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의 목적하에, 화학식 4를 갖는 5,6-디히드로- 2-삼불화메틸-1,4-옥사티인-3-카르복스아닐리드의 제조활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과 같다.
상기 표 4 및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화학식 4의 화합물과 비교되는 제초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에서 R1=C6H3(3-COOCH(CH3)2) 4-Cl)이고 R2=H인 화합물에 대한 항바이어스 효과를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Claims (7)

  1. 화학식 1을 갖는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아미노기는 -NR1(R2)로 표시되며,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C6-C10의 아릴기; 할로겐,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 C1-C6의 알콕시,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6의 알킬티오, -NO2, -CN, -OH, -SH, -C6H5, -C(O)R3및 -C(O)OR3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이상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며, R3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알콕시기는 -OR3로 표시되는 데, R3의 정의는 상기와 같다.
  2.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아민 또는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제1항에 따른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이:
    a) 화학식 9의 화합물에서 알킬티오기를 탈보호화하여 화학식 10 또는 11의 화합물을 얻고,
    b) 화학식 10 또는 11의 화합물을 탈수하여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얻고,
    c)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상기 화학식 9, 10, 11 및 12에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 C6-C10의 아릴, 또는 C6-C10의 아르알킬기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a) 단계를 Raney Ni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
  6. 제1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생장조절제.
  7. 제1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KR10-1999-0055792A 1999-12-08 1999-12-08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8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2A KR100387582B1 (ko) 1999-12-08 1999-12-08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2A KR100387582B1 (ko) 1999-12-08 1999-12-08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17A true KR20010054817A (ko) 2001-07-02
KR100387582B1 KR100387582B1 (ko) 2003-06-18

Family

ID=1962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92A KR100387582B1 (ko) 1999-12-08 1999-12-08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5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582B1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1777B2 (en) Aniline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411912A (en) Insecticidal isovaleric acid esters
CA1147745A (en) M-phenoxy-benzyl esters of amino acids such as valine
KR100387582B1 (ko) 삼불화메틸 디히드로-1,4-디옥신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Z64097A3 (cs) Derivát amidu kyseliny karbamoylkarboxylové způsob jeho přípravy a jeho použití
RU2134262C1 (ru)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2-перфторалкил-3-оксазолин-5-она, промежуточные соединения
FI93950B (fi) Menetelmä -(1-metyylietyyli)-3,4-dimetoksibentseeniasetonitriili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ssä käytettäviä välituotteita
JPH02200658A (ja) N―(置換)ベンジル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及び除草剤
BE865114A (fr) Esters et thiolesters d'acides amines, procede d'obtention et application a titre pesticides.
FI7807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a p-oxo-oxazolindinylbensensulfonamider.
PT98477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tos 2-aril-5-(trifluorometil)pirrole uteis como insecticidas acaricidas e nematicidas
KR100543527B1 (ko) 감마-클로로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역병원균 방제제로서의 용도
SU1083906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ениловых сложных эфиров карбаминовой кислоты
PT99839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tos 2-aril-1-substituido-5-(trifluorometil)pirrole uteis como agentes insecticidas acaricidas e nematicidas e como intermediarios para a producao dos referidos agentes
Feuer et al. New synthesis of α‐nitroalkyl‐and α‐nitroaralkylcarboxylic esters from α‐nitroalkyl‐and α‐nitroaralkyl‐2‐oxazolines
HU201516B (en) Process for producing 2-cyano-2-oximinoacetamide derivatives
SU1403986A3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сорн ками
KR100201583B1 (ko)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1764B1 (ko) 비닐카바모일아지드 유도체
AU714377B2 (en)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aryl-5-perfluoroalkylpyrrole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useful therefor
SU165750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4,4-диалкилтиазиний хлоридов
Semenovykh et al.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2-aryloxy-N, N-diethylethanamine derivatives
WO2021057852A1 (zh) 噁唑啉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EP0378707A1 (en) AMINOACETONITRILE DERIVATIVES.
KR870001044B1 (ko) 디히드로-1,4-옥사티인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