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811A -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811A
KR20010054811A KR1019990055785A KR19990055785A KR20010054811A KR 20010054811 A KR20010054811 A KR 20010054811A KR 1019990055785 A KR1019990055785 A KR 1019990055785A KR 19990055785 A KR19990055785 A KR 19990055785A KR 20010054811 A KR20010054811 A KR 2001005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eight
contact hole
stage contac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853B1 (ko
Inventor
박재만
Original Assignee
박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242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548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만 filed Critical 박재만
Priority to KR2019990027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827Y1/ko
Priority to KR1019990055785A priority patent/KR1003548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0Constructional features with positive brakes o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잭의 실린더에 상승되어진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크시키기 위한 로킹수단과,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인상된 인상 대상물의 인상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 2단 접촉구를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잭의 플런저 상부에 2단 접촉구를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상 대상물과 지지요소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보수, 보강공사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플런저 조립체를 인상시킨 후, 로킹수단의 잠금구로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킹함으로써 인상된 인상 대상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인상 후 행하는 보수, 보강공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상잭의 상단부에 합성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보수, 보강공사를 위한 인상작업시 교좌장치의 공백으로 인한 교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PULLING UP APPARATUS FOR WORK REPAIRING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런저 조립체의 스크류형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인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인상후, 로킹수단의 잠금구로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킹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합성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보수, 보강공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는 교량빔와 상판 등의 구조물로 구서외고, 그 교량 상판과 빔은 설치후 작용하는 신축응력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을 할 수 있도록 일단은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가동단의 상태로 교각 위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러한 팽창 또는 수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교각과 빔 및 교량상판의 가동간 사이에는 고정식 교좌 또는 진동 흡수식 합성교좌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구축된 교량은 설치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교량 구조체나 교좌장치가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들면, 교량상판의 조인트 부분에서의 누수 등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파괴, 교좌장치에 주입된 그리스의 기능 마비 현상 등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교각의 균열이나 상판 및 빔의 균열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 이외에도 지반의 부동침하 현상으로 인한 교각의 붕괴와 상판의 위치 변동, 빔이 충격하중으로 파괴되어 상판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아 상판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기타 교량의 당초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차량의 등장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단면 부족과 교량 상판의 교체 필요성 등 여러가지 형태의 요인으로 교량을 보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파손 또는 변형된 교량을 보수함에 있어서는 파손 정도에 따라서 교량 전체 또는 일부분을 철거하고 다시 복구하거나, 혹은 부분적 보수작업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교량 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 구축하는데는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보수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복구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 통행의 폐쇄 또는 우회로 인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교량 보수시 교량상판이나 빔 구조물을 철거 또는 해체함이 없이 보수를 요하는 부위만을 상하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수하는 작업으로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교량 빔이나 상판을 들어 올려서 보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상장치는 높이의 조절 기능이 없어 강관 및 강판을 겹치는 방법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교량 등 구조물을 인상하여 불안정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구조물의 안정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사용되는 교량보수용 인상잭은 유압펌프에서 유압을 가하여 압력에 의하여 구조물이 인상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인상 당시에 주어진 유압이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통행 등의 외압에 의하여 잭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당초에 계획된 높이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상장치는 교량 보수 작업시 PC빔 하단 등에 인상용 잭만을 고정하여 인상한 후 보수작업을 행함으로써 교좌장치에서 흡수하던 외압에 대한 보호조치가 미흡하게 되어 구조물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플런저 조립체의 스크류형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인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인상후, 로킹수단의 잠금구로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킹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합성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보수, 보강공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2a는 인상 대상물과 지지요소 사이에 유압 인상장치를 삽입한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여 2단 접촉구를 인상 대상물의 하면에 밀착시킨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2c는 유압잭에 압유를 공급하여 높이가변 플런저 조립체를 인상시키는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2d는 높이가변 플런저 조립체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잠금구로 로킹한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3a, 3b는 크로스 빔의 인상작업을 인상고가 높은 경우를 예시하여 보인 설명도로서,
도 3a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도 3b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도 4a, 4b는 크로스 빔의 인상작업을 인상고가 낮은 경우를 예시하여 보인 설명도로서,
도 4a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도 4b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도 5a, 5b는 PC빔의 인상작업 예를 보인 설명도로서,
도 5a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도 5b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플런저
3 : 플런저 본체 4 : 유압잭
5 : 1단 접촉구 5A : 밀착판
5B : 나사부 9 : 잠금구
10 : 로킹수단 11 : 측정수단
12 : 지지대 12A : 고정구
13 : 다이알 게이지 13A : 접촉봉
14 : 2단 접촉구 14A : 밀착판
14B : 나사부 15 : 높이조절수단
16 : 소켓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는 유압잭의 실린더에 상승되어진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크시키기 위한 로킹수단과,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인상된 인상 대상물의 인상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는 2단 접촉구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플런저의 밀착판을 걸어 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잠금구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알 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알 게이지에는 상기 인상 대상물의 하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봉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런저 본체와, 이 플런저 본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1단 접촉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1단 접촉구의 상단부에는 밀착판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1단 접촉구의 밀착판의 상면에 형성한 나사부와 상기 2단 접촉구의 밀착판의 하면에 형성한 나사부의 외측으로 소켓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소켓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2단 접촉구가 신축되게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유압 인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는 실린더(1)의 내부에 플런저(2)가 결합된 유압잭(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2)는 실린더(1)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런저 본체(3)와, 이 플런저 본체(3)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1단 접촉구(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플런저(2)의 1단 접촉구(5)의 상단부에는 밀착판(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의 일측 유압포트(1A)에 결합되는 유입관(6)에는 압력 게이지(7)와 개폐밸브(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의 유입관(6)에는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6A)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1)의 외주면에는 플런저(2)가 작업에 필요한 높이로 상승한 때에 로킹시키기 위한 잠금구(9)가 결합되어 있다. 또 실린더(1)의 외주면에는 인상 대상물(O)이 인상되는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1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의 플런저 본체(3)와 1단 접촉구(5)는 플런저 본체(3)의 내주면과 1단 접촉구(5)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와 잠금구(9)도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잠금구(9)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는 위 설명에서 플런저 본체(3)와 1단 접촉구(5)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플런저 본체(3)와 1단 접촉구(5)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런저 본체(3)를 조금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고 그 상단부에 밀착판(5A)을 일체로 형성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수단(11)에는 실린더(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구(12A)와 이 고정구(12A)에 결합되는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알 게이지(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알 게이지(13)에는 상기 인상 대상물(O)의 하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봉(13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이알 게이지(13)는 상기 접촉봉(13A)이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개재하여 상측으로 탄지되도록 결합되고, 접촉봉(13A)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전면부에 구비된 지시침(도시되지 않음)이 회동하여 눈금을 가르키도록 구성된 통상의 것이다. 상기 지지대(12)에는 다이알 게이지(13)를 전후, 좌우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통상의 것이 이용된다.
상기 플런저(2)의 1단 접촉구(5)에는 2단 접촉구(14)가 높이조절수단(15)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5)은 상기 1단 접촉구(5)의 밀착판(5A)의 상면에 형성한 나사부(5B)와 상기 2단 접촉구(14)의 밀착판(14A)의 하면에 형성한 나사부(14B)의 외측으로 소켓(16)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소켓(16)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단 접촉구(14)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단 접촉구(14)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2단 접촉구(14)의 높이가 위,아래로 조절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켓(16)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16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P는 유압잭(4)에 압유를 공급함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플런저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즉, 실린더(1)에 삽입된 플런저 본체(3), 이 플런저 본체(3)에 결합된 1단 접촉구(5), 이 1단 접촉구(5)에 높이조절수단(15)으로 결합된 2단 접촉구(14)의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적용되는 나사 결합부의 나사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제작하여 대형구조물의 인상 및 잠금으로 인한 마모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나사의 단면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유압 인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2a에는 인상 대상물과 지지요소 사이에 유압 인상장치를 삽입한 형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b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여 2단 접촉구를 인상 대상물의 하면에 밀착시킨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2c에는 유압잭에 압유를 공급하여 높이가변 플런저 조립체를 인상시키는 단계를 보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d에는 높이가변 플런저 조립체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잠금구로 로킹한 단계를 보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크로스 빔, PC빔과 같은 인상 대상물(O)을 인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a와 같이 인상 대상물(O)의 양단부와 교각과 같은 지지요소(S) 사이에 본 발명의 유압 인상장치를 복수대 설치한다.
이어서, 도 2b 및 3a와 같이 높이조절수단(15)의 소켓(16)을 회전시켜 2단 접촉구(14)의 밀착판(14A)을 인상 대상물(O)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이후, 도 2c와 같이 인상 대상물(O)의 양단부와 지지요소(S) 사이에 설치된 복수대의 유압 인상장치를 유압펌프에 연결하여 유압펌프에 의해 펌핑된 압유를 호스(6A)를 통하여 각 유압 인상장치의 실린더(1)의 유압포트(1A)에 동시에 주입하면 실린더(1)의 유압실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플런저 본체(3) 및 2단 접촉구(14)를 포함한 플런저 조립체(P)가 상승되고, 인상 대상물(O)이 인상된다.
이때 복수대의 유압 인상장치를 유압펌프에 연결하여 펌핑하는 작업은 인상 대상물(O)의 양단부에 각각 복수대의 유압 인상장치와 각각 한 대씩의 유압펌프를 연결 설치하여 양단부의 복수대 유압 인상장치를 각각 한대의 유압펌프로 동시에 인상되도록 행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상 대상물(O)을 동시에 들어 올릴 수 있게된다.
위와 같이 하여 인상 대상물(O)이 인상되면 다이알 게이지(13)의 접촉봉(13A)이 스프링 탄력에 의해 위로 신장되고 다이알 게이지(13)의 전면에 구비된 지시침이 회전하여 눈금을 지시함에 따라 인상 대상물(O)의 인상된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상 대상물(O)이 인상되는 높이를 측정하면서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인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인상 대상물(O)을 인상시킨 후에는 도 2d와 같이, 로킹수단(10)의 잠금구(9)를 회전시켜 그의 상단부를 1단 접촉구(5)의 밀착판(5A) 하면에 밀착시켜 1단 접촉구(5)의 하향 이동을 저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잠금구(9)로 1단 접촉구(5)의 이동을 로킹시키면 플런저 조립체(P)의 하향 이동이 방지되어 인상 대상물(O)의 인상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인상 대상물(O)을 일정한 높이로 인상시키고 잠금구(9)로 로킹시킨 후에는 목표로 하는 교좌장치 교체 및 기타 보수 보강 작업을 시행한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에는 로킹수단(10)의 잠금구(9)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래 위치로 낮추고, 유압잭(4)의 유압을 제거하여 플런저 조립체(P)를 하강시키며, 높이조절수단(15)의 소켓(1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2단 접촉구(14)를 하강시킨다.
이후, 유압 인상장치를 해체하여 철거하고 정리 정돈 후 작업을 종료한다.
도 3b는 크로스 빔의 인상작업을 인상고가 높고,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의 작업예를 예시한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인상장치의 2단 접촉구(14)의 밀착판(14A) 위에 합성교좌장치(20)를 결합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그외 다른 구성 및 작업방법은 위 도 2a 내지 도 2d, 그리고 도 3a에 의해 설명한 작업예와 같다.
상기 합성교좌장치(20)에는 본 출원인이 창안하여 선등록(특허 제141,550호)된 교좌용 윤활성 패드가 구비된 교좌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교량의 형태, 지역, 조건에 따라 피봇 베어링, 고력 황동 베어링, 포트 베어링, 핀 베어링 교좌, 롤러 교좌, 핀 롤러교좌, 피봇 교좌, 러버 패드 교좌, 네오프렌 베어링 패드 교좌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교좌장치들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4a, 4b는 크로스 빔의 인상작업을 인상고가 낮은 경우를 예시하여 보인 설명도로서, 도 4a에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가 도시되고, 도 4b에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 5b는 PC빔의 인상작업 예를 보인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상 대상물(O)과 지지요소(S) 사이의 거리가 낮은 경우에는 도 1 및 도 2b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1단 접촉구(5)의 밀착판(5A) 상측부의 구성을 생략하고 제작한 형태의 유압 인상장치, 즉 밀착판(14A)의 나사부(5B), 소켓(16) 및 2단 접촉구(14)를 제거하고 형성한 유압 인상장치를 인상 대상물(O)과 지지요소(S) 사이에 설치하고, 1단 접촉구(5)를 회전시켜 밀착판(5A)을 인상 대상물(O)의 하면에 밀착시킨 후, 인상 대상물(O)의 인상작업을 시행하게 되며, 그외 작업방법은 위 도 2a 내지 도 2d, 그리고 도 3a에 의해 설명한 작업예와 같다.
도 5a, 5b는 PC빔의 인상작업 예를 보인 설명도로서, 도 5a에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가 도시되고, 도 5b에는 합성교좌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인상 대상물(O)과 지지요소(S)의 사이에 도 4a, 4b에서 설명한 유압 인상장치를 설치하고, 인상 대상물(O)을 인상하게 되며, 그외 작업방법은 도 4a, 4b에 설명한 내용과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잭의 플런저 상부에 2단 접촉구를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상 대상물과 지지요소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보수, 보강공사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플런저 조립체를 인상시킨 후, 로킹수단의 잠금구로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킹함으로써 인상된 인상 대상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인상 후 행하는 보수, 보강공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상잭의 상단부에 합성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보수, 보강공사를 위한 인상작업시 교좌장치의 공백으로 인한 교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유압잭의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승되어진 플런저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로크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플런저에 의해 인상된 인상 대상물의 인상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런저 본체와, 이 플런저 본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1단 접촉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1단 접촉구의 상단부에는 밀착판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 2단 접촉구를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플런저의 밀착판을 걸어 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잠금구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알 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알 게이지에는 상기 인상 대상물의 하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봉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1단 접촉구의 밀착판의 상면에 형성한 나사부와 상기 2단 접촉구의 밀착판의 하면에 형성한 나사부의 외측으로 소켓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소켓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2단 접촉구가 신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19990055785A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035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71U KR200186827Y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19990055785A KR100354853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85A KR100354853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71U Division KR200186827Y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11A true KR20010054811A (ko) 2001-07-02
KR100354853B1 KR100354853B1 (ko) 2002-10-12

Family

ID=196242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71U KR200186827Y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19990055785A KR100354853B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71U KR200186827Y1 (ko) 1999-12-08 1999-12-08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6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38B1 (ko) * 2007-03-09 2008-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및 터빈 설치용 3차원 이송장치
KR101677976B1 (ko) * 2016-05-30 2016-11-21 주식회사 특수건설 플랫잭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자동 리프팅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55B1 (ko) * 2010-11-02 2012-11-26 주식회사 티엠티엔지니어링 컨테이너용 로드셀 유니트
KR101704245B1 (ko) 2015-08-20 2017-02-08 유창호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KR101960035B1 (ko) * 2017-07-24 2019-03-20 김영승 높이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교량 받침 교체 방법
KR102200514B1 (ko) * 2020-07-13 2021-01-07 차현남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종방향 c.p.m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38B1 (ko) * 2007-03-09 2008-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및 터빈 설치용 3차원 이송장치
KR101677976B1 (ko) * 2016-05-30 2016-11-21 주식회사 특수건설 플랫잭을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자동 리프팅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827Y1 (ko) 2000-06-15
KR100354853B1 (ko) 200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25B1 (ko)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양방향 c.p.s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2026083B1 (ko)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일방향 c.p.s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056666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보수용 가시설
KR102280308B1 (ko) 교량 인상용 받침판
US4890671A (en) Polished rod liner puller assembly
KR2001868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1704550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704552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KR101897099B1 (ko) 무인상 교량받침 시공방법
KR20210131702A (ko) 교량 받침 보수용 유압잭
KR101800790B1 (ko) 무진동 무폐기물 무소음 무변형 친환경 교량받침 교체공법
KR100518773B1 (ko) 유압을 이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JPH0347305A (ja)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復方法
JP4285685B2 (ja) 既設支承装置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KR102305876B1 (ko) 숭상 전용 오토 락킹 실린더
CN113005924B (zh) 一种墩柱重做加固施工方法
KR100379807B1 (ko) 교량 보수장치
KR100455107B1 (ko) 교량 상부 구조물의 인상방법 및 구조
KR102629801B1 (ko) 자동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압잭을 포함하는 컴퓨터 제어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KR200315315Y1 (ko) 유압을 이용한 교좌장치
KR20190143101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시스템 및 컴퓨터 제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0981875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KR10033775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슬립폼의 유압잭 검사 장치
CN217102904U (zh) 导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14

Effective date: 201112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