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939A -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939A
KR20010053939A KR1019990054511A KR19990054511A KR20010053939A KR 20010053939 A KR20010053939 A KR 20010053939A KR 1019990054511 A KR1019990054511 A KR 1019990054511A KR 19990054511 A KR19990054511 A KR 19990054511A KR 20010053939 A KR20010053939 A KR 2001005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mote control
timer
selection switch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652B1 (ko
Inventor
이광기
Original Assignee
이광기
(주)대양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기, (주)대양하이테크 filed Critical 이광기
Priority to KR101999005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6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7Resuming operation, e.g. after power outages; Emergency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상의 집중국 등에 설치된 냉난방기에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원격지에서 손쉽게 리세트 처리할 수 있도록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트 제어모드와 로컬 제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의 절환에 따라 원격 제어장치가 리모트 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로컬 제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1타이머(T1)와;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에 의해 리모트 제어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를 위해 리세트 펄스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T2)와; 냉난방기의 리모트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장치(1)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POWER RECOVERY PROCESSING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상의 집중국 등에 설치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중국 내의 실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냉난방기에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원격지에서 손쉽게 리세트 처리할 수 있도록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 상의 집중국 등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장비나 전자장비들의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 진동 등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온도에 대한 대응책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각종 통신장비나 전자장비들은 대체적으로 온도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실내의 온도가 일정치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 잦은 오동작이나 에러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게 상승되는 계절에는 냉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가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일정치 이하로 하강되는 계절에는 난방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가 일정치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집중국 등의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중앙집중 제어방식으로 관리 및 통제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원격지에서 냉난방기를 신속,정확하게 복전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원격지에서 냉난방기를 신속, 정확하게 복전처리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집중국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 간단한 키이 조작으로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기를 자동 복전 처리하는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타이머 회로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격 제어장치 T1,T2 : 타이머
SW1 : 모드선택 스위치
도 1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제어모드와 로컬 제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의 절환에 따라 원격 제어장치가 리모트 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로컬 제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1타이머(T1)와;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에 의해 리모트 제어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초기 상태에서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를 위해 리세트 펄스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T2)와; 냉난방기의 리모트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장치(1)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중국에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드선택 스위치(SW1)가 리모트접점(REMOTE)측에 단락되어 있으면, 입력전원이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를 통한 후 제1타이머(T1)의 코일(Tl1)을 통해 전원단자(S)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타이머(T1)의 접점(T11),(T12)이 단락되므로 상기 입력전원이 그 접점(T11)을 통한 후 제2타이머(T2)의 코일(TL2)을 통해 전원단자(S)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그 제2타이머(T2)의 접점(T21),(T22)이 모두 단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장치(1)에 설치된 조작키이를 이용하여 냉난방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가 로컬단자(LOCAL)에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타이머(T1)의 코일(TL1)과 제2타이머(T2)의 코일(TL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그들의 접점(T11,T12), (T21,T22)들이 모두 개방상태로 절환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원격 제어장치(1)를 이용하여 냉난방기를 제어할 수 없고 로컬 제어만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난방기에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가 리모트접점(REMOTE)측에 단락되어 있으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제1타이머(T1)의 코일(TL1)과 제2타이머(T2)의 코일(TL2)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과정에서 그 제1타이머(T1)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오프시간을 갖은 후 다시 온된다. 이에 의해 그 제2타이머(T2)의 접점(T11)이 그 시간만큼 개방되었다가 다시 단락되므로 결국, 원격 제어장치(1)를 통해 집중국에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기측으로 원 쇼트 펄스와 같은 리세트 펄스가 전송되고, 이에 의해 그 냉난방기가 리세트된다. 즉, 자동적으로 복전 처리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간단한 키이 조작으로 집중국 등의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기를 자동으로 복전 처리함으로써, 집중국의 온도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모트 제어모드와 로컬 제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의 절환에 따라 원격 제어장치가 리모트 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로컬 제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1타이머(T1)와; 정전이 발생되었다가 복전될 때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W1)에 의해 리모트 제어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를 위해 리세트 펄스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T2)와; 냉난방기의 리모트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장치(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KR1019990054511A 1999-12-02 1999-12-02 냉난방기의 자동 복전 처리장치 KR10035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11A KR100354652B1 (ko) 1999-12-02 1999-12-02 냉난방기의 자동 복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11A KR100354652B1 (ko) 1999-12-02 1999-12-02 냉난방기의 자동 복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939A true KR20010053939A (ko) 2001-07-02
KR100354652B1 KR100354652B1 (ko) 2002-10-04

Family

ID=1962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511A KR100354652B1 (ko) 1999-12-02 1999-12-02 냉난방기의 자동 복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6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652B1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983C (en) Reconfigurable programmable thermostat
US6374101B1 (en) Pager-based controller
JPH074795A (ja) 可変速度圧縮機を有するガスヒートポンプ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US5386461A (en) Telephone operated heating, ventilating and/or air conditioning
RU21548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мониторинга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наруж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KR200209669Y1 (ko)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KR20010053939A (ko) 냉난방기의 복전 처리장치
US3326275A (en) Two-wire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thermostat system
JP3822558B2 (ja) マルチ空気調和機のゾーン番号設定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
CN1891016B (zh) 向高强度放电灯供电的系统和方法
CN114061048B (zh) 用于空调控制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3331664B2 (ja) 端末機器判別方法、端末機器制御方法、端末機器の制御装置
JPH06323611A (ja)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3069019B2 (ja) 機器の運転モード切換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0264391Y1 (ko) 냉난방기 자동 재가동 장치
JPH06236225A (ja) 電子機器
JPS61147035A (ja) 空気調和機の制御回路
JPH02122151A (ja) 温風暖房機
JPH0512671Y2 (ko)
JP3596287B2 (ja) ファンコイルシステム
KR0119157Y1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JPH06243368A (ja) 防災監視装置
JPH05134702A (ja) 設備制御装置
KR950001237A (ko) 공조기기의 제어장치
KR2000001993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도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