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157Y1 -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157Y1
KR0119157Y1 KR2019940038439U KR19940038439U KR0119157Y1 KR 0119157 Y1 KR0119157 Y1 KR 0119157Y1 KR 2019940038439 U KR2019940038439 U KR 2019940038439U KR 19940038439 U KR19940038439 U KR 19940038439U KR 0119157 Y1 KR0119157 Y1 KR 0119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external module
timing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009U (ko
Inventor
김종득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40038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157Y1/ko
Publication of KR960026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같은 기능을 가진 두 모듈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못하고, 오직 시스템 제어부에서 처리함에 따라 데이타의 유실 및 시간상의 손실을 가져오며 한 모듈의 리셋과 같은 모듈의 오동작이 다른 모듈 및 시스템에 정보를 주지 못해 이중회로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들었으나, 본 고안은 데이타의 손실 및 운용자의 메뉴얼 스위치 방식에 의한 복구와 같은 불편을 본 발명으로 해소함으로써 자동적인 이중화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글 스위치2: 삽입신호 발생부
3: 프로세서4. 래치부
5: 버퍼부10: 리셋 신호 발생부
11: 타이밍 제어부12: PAL
13: 버퍼부
본 고안은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 모듈들을 자동으로 이중화 절체하도록 하는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동으로 작동하는 토글스위치(1)와, 토글 스위치(1)로부터의 신호와 프로세서(3)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모듈의 삽입여부를 나타내는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삽입신호 발생부(2)와, 외부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Active Signal)를 래치하였다가 프로세서(3)측에 출력하는 래치부(4)와, 내부의 데이타를 외부 모듈측에 전송하거나 막아주는 버퍼부(5)를 구비하여 완성된다.
내부 모듈의 프로세서(3)가 동작하여 삽입신호 발생부(2)측에 임의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토글 스위치(1)가 신호를 발생하여 삽입 신호 발생부(2)측에 출력하면, 삽입 신호 발생부(2)는 외부 모듈측으로 모듈의 삽입여부를 나타내는 삽입신호를 외부 모듈측에 출력한다. 이때, 버퍼부(5)를 통해 외부 모듈측으로 출력되는 데이타는 외부모듈로부터 래치부(4)측에 인가되는 신호의 의해 제어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는 이중화 되는 양 모듈간의 신호에 의해 각 모듈이 제어되지 않아 한 모듈의 다운(Down) 혹은 리셋신호가 다른 모듈을 동작시키지 못하고, 외부모듈(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버퍼부(5)가 제어되기 때문에 이중화되는 시간이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좌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데이타 손실 및 운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복구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함으로써 자동적인 이중화 기능을 실현 하도록 하는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환기의 이중화 모듈제어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신호 발생부(10), 타이밍 제어부(11), PAL(12) 및 버퍼부(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리셋신호 발생부(10)는 PAL(12)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셋신호를 발생하여 타이밍 제어부(11)측에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1)는 리셋신호 발생부(10)로 부터 인가되는 리셋신호와 PAL(12)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모듈에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외부 모듈의 리셋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PAL(12)측에 출력한다. PAL(12)은 외부 모듈인 시스템 제어부와 또다른 외부 모듈인 이중화 기능을 가진 외부 모듈에서 온 신호를 받아 리셋신호 발생부(10)와 타이밍 제어부(11)의 출력을 주고, 타이밍 제어부(11)로 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외부모듈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버퍼부(13) 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버퍼부(13)는 PAL(12)로 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시스템이 재가동되거나, 오동작으로 인해 리셋신호 발생부(10)가 리셋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리셋신호가 타이밍 제어부(11)에 입력되어 충분히 외부 모듈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타이밍신호를 만들어 PAL(12)에 입력하면 PAL(12)이 외부모듈 A인 똑같은 기능을 가진 외부 모듈로 부터의 신호와 외부 모듈 B인 시스템 제어부 신호의 조합으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버퍼부(13)측에 출력함으로써 버퍼부(13)는 내부 데이타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제어하게 한다. 또한, 그 제어신호는 외부모듈 A인 똑같은 기능을 가진 외부모듈에 입력되어 그 모듈을 동작가능하게 만들고, 외부모듈 B인 시스템 제어부에 입력되어 어느 모듈이 어떠한 상태로 존재하는지의 정보를 받아 각 모듈을 제어하게 된다.
위의 내용을 부가하여 설명하면, PAL(12)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부에서 인지하면 시스템 제어부는 같은 기능의 타 모듈로 데이타를 전송하며, 제어신호를 받은 모듈에게는 재가동 신호를 주어 정상상태로 동작하게 만든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서는 같은 기능을 가진 두 모듈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못하고, 오직 시스템 제어부에서 처리함에 따라 데이타의 유실 및 시간상의 손실을 가져오며, 한 모듈의 리셋과 같은 모듈의 오동작이 다른 모듈 및 시스템에 정보를 주지 못해 이중회로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들었으나, 본 고안은 데이타의 손실 및 운용자의 메뉴얼 스위치 방식에 의한 복구와 같은 불편을 본 발명으로 해소함으로써 자동적인 이중화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Claims (1)

  1.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에 있어서, 인가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리셋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셋신호 발생부(10)와, 인가받은 제어신호와 상기 리셋신호 발생부(10)로 부터 인가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외부 모듈에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외부 모듈의 리셋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11)와, 인가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버퍼부(13)와, 외부 모듈인 시스템 제어부와 또다른 외부 모듈인 이중화 기능을 가진 외부 모듈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상기 리셋신호 발생부(10)와 타이밍 제어부(11)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11)로 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외부모듈과 상기 버퍼부(13)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AL(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KR2019940038439U 1994-12-30 1994-12-30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KR0119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39U KR0119157Y1 (ko) 1994-12-30 1994-12-30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439U KR0119157Y1 (ko) 1994-12-30 1994-12-30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09U KR960026009U (ko) 1996-07-22
KR0119157Y1 true KR0119157Y1 (ko) 1998-07-01

Family

ID=1940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439U KR0119157Y1 (ko) 1994-12-30 1994-12-30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1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09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491A (en) Clock selection control device
KR0119157Y1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모듈 제어장치
JP2799104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二重化切替装置
JPH03219333A (ja) 待機二重系装置
JP2592676B2 (ja) 系切り替え方式
JP3158594B2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216354B1 (ko) 통신시스템의 셀프 이중화 구현방법 및 시스템
US6510134B1 (en) Non-break change-over device for redundancy system i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KR0138393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메세지 전송장치
JP3059002B2 (ja) ルート切替装置
KR0161133B1 (ko) 이중화제어회로
KR100311144B1 (ko) 휴대용 히트버스 모니터 장치
JPH0764602A (ja) 二重化制御装置
JP2508606B2 (ja) 二重化装置
KR100294407B1 (ko) 전원차단 감지 장치
JPH04174012A (ja) クロック供給装置
JPS61244149A (ja) デ−タ伝送システム
JP2935206B2 (ja) 伝送端局装置の切替回路
KR920010563A (ko) 리모콘을 이용한 영상기록재생 시스템의 잠금방법
JPS63144691A (ja) スイツチ駆動装置
JPS59158145A (ja) 半二重マルチドロツプ伝送路拡張方式
KR940017563A (ko) 전전자 교환기의 신호링크에 대한 유지보수 시스템의 이중화제어방법 및 시스템
JPS623463B2 (ko)
JPS6251013B2 (ko)
JPH01186592A (ja) 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