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313A -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 Google Patents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313A
KR20010053313A KR1020007015044A KR20007015044A KR20010053313A KR 20010053313 A KR20010053313 A KR 20010053313A KR 1020007015044 A KR1020007015044 A KR 1020007015044A KR 20007015044 A KR20007015044 A KR 20007015044A KR 20010053313 A KR20010053313 A KR 2001005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layer
resin
plastic molded
laminated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따아끼호
스즈끼마사또
아베미노루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요시노 쇼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5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10T428/1359Three or more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Landscapes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수지층 A와 수지층 B가 교대로 적층된 3층 또는 5층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서, 수지층 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이고, 수지층 A 사이에 개재된 수지층 B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이다. 이 때문에, 수분에 대한 고도의 차단성을 가지고, 또한 투명성 및 산소 차단성이 뛰어나고, 식물계 혹은 동물계 오일류이나 그리스(grease)류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범용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LAYERED PLASTIC MOLDING}
경량으로 파손의 위험이 적고, 비용이 적게 드는 등의 이유로 각종 플라스틱 용기가 예를 들면, 식품, 음료, 화장품, 약제 등의 수용 용기로 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된 플라스틱 용기는 수분에 대한 차단성(barrier properties)을 가진 범용성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된 플라스틱 용기는 투명성과 산소 차단성이 뛰어나, 유리병과 유사한 미관을 가진 각종 식료품용 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분에 대한 차단성을 가진 투명 용기로서,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연신 블로우 성형용기가 제안되어 있다(JP-A-7-80919).
본 발명은 병모양의 플라스틱 용기나 튜브 용기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원통체 등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성형한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되는 용기의 개략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상술한 것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는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는 수분에 대한 차단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상기의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연신 블로우 성형 용기는 응력 특성이 결핍되어 있고, 식물계나 광물계 오일류 및 그리스류(greases)에 대한 내성이 없다. 특히 용기 자체에 잔류 응력이 있을 경우에는, 손가락의 오일 등의 부착으로 크레이징(crazing)이나 크래킹(cracking)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성형용 원료인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값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약 10배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수지는 비용의 관점에서 범용성 플라스틱 성형체로 제조할 수 없다.
그래서, 흡습에 의해 그 기능이 저하되는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식물계 혹은 광물계 오일류 또는 그리스류에 대한 내성을 포함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 예를 들어, 약제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인 투명 용기는,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해서는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수분 흡수에 의해 작용이 감소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제조용으로 적합하고, 수분에 대해 매우 고도의 차단성과 뛰어난 투명성과 산소 차단성을 가지며, 또한 식물계 혹은 광물계 오일류 또는 그리스류에 대한 내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는 범용성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는 아래 기재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지층 A 와 수지층 B를 교대로 적층한 3층 혹은 5층으로 된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수지층 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이고, 상기 수지층 A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층 B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이다.
또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수지층 A와 수지층 B가 교대로 적층된 3층 혹은 5층의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에서, 수지층 A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의 합계 중량이 55~95중량% 이고, 수지층 B를 구성하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합계중량이 5∼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에서는, 수지층 A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의 합계중량을 95~55중량%, 수지층 B를 구성하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합계중량을 5~45중량%로 함으로서, 성형 원료 수지의 가격 상승이 없고,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로 된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그 투명성이나 산소 차단성의 저하 정도가 작고, 또한 수분에 대해서 지극히 고도의 차단성을 가진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중공(hollow)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체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 또는 중공 블로우 성형체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튜브 용기의 몸통부를 이루는 원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의 안쪽과 바깥쪽 표층을 구성하는 수지층 A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의 80몰%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이상이 테레프탈산이고, 디알콜 성분의 80몰%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이상이 에틸렌글리콜 단위로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적합하다.
수지층 A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층 B의 형성에 사용되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예를 들어,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또는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화물(예를 들면, 닛뽄 제온(주) 제품: 제오넥스(등록상표), JSR 제품: 아톤(등록상표)) 등이다. 환상 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중합체로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5~60몰% 포함하는 중합체가 적합하다.
환상 올레핀의 예로는, 노르보르넨(비시클로[2.2.1]헵트-2-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트-2-엔), 6-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1-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6-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6-부틸비시클로[2.2.1]헵트-2-엔, 6-이소부틸비시클로 [2.2.1]헵트-2-엔, 7-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에틸테트라시클로[4.4.O.12,5.l7,10]-3-도데센, 8-프로필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헥실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스테아릴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9-디메틸테트라시클로[4.4 O.12,5.17,10]-3-도데센,
8-메틸-9-에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클로로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브로모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플루오로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9-디클로로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부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부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에틸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에틸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에틸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에틸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n-프로필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에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이소프로필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8-이소프로필리덴-9-부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5,10-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2,1O-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2,7,9-트리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9-에틸-2,7-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9-이소부틸-2,7-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9,11,12-트리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9-에틸-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9-이소부틸-11,12-디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5,8,9,1O-테트라메틸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헥사시클로[6.6.1.13,6.11O,13.O2,7.O9,14]-4-헵타데센,
12-메틸헥사시클로[6.6.1.13,6.11O,13.O2,7.O9,14]-4-헵타데센,
12-에틸헥사시클로[6.6.1.13,6.11O,13.O2,7.O9,14]-4-헵타데센,
12-이소부틸헥사시클로[6.6.1.13,6.11O,13.O2,7.O9,14]-4-헵타데센,
1,6,1O-트리메틸-12-이소부틸헥사시클로[6.6.1.13,6.11O,13.O2,7.O9,14]-4-헵타데센,
옥타시클로[8.8.O.12,9.14,7.111,18.113,16.O3,8.O12,17]-5-도코센,
15―메틸옥타시클로[8.8.O.12,9.14,7.111,18.113,16.O3,8.O12,17]-5-도코센,
15-에틸옥타시클로[8.8.O.12,9.14,7.111,18.113,16.O3,8.O12,17]-5-도코센, 펜타시클로[6.6.1.13,6.O2,7.O9,14]-4-헥사데센,
1,3-디메틸펜타시클로[6.6.1.13,6.O2,7.O9,14]-4-헥사데센,
1,6-디메틸펜타시클로[6.6.1.13,6.O2,7.O9,14]-4-헥사데센,
15,16-디메틸펜타시클로[6.6.1.13,6.O2,7.O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O2,7.O9,13]-4-펜타데센,
1,3-디메틸펜타시클로[6.5.1.13,6.O2,7.O9,13]-4-펜타데센,
1,6-디메틸펜타시클로[6.5.1.13,6.O2,7.O9,13]-4-펜타데센,
14,15-디메틸펜타시클로[6.5.1.13,6.O2,7.O9,13]-4-펜타데센, 헵타시클로[8.7.O.12,9.14,7.11,17.O3,8.O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8.O.12,9.14,7.11,18.O3,8.O12,17]-5-헨에이코센,
트리시클로[4.3.0.12,5]-3-데센, 2-메틸트리시클로[4.3.0.12,5]-3-데센,
5-메틸트리시클로[4.3.0.12,5]-3-데센, 트리시클로[4.4.0.12,5]-3-운데센,
l0-메틸트리시클로[4.4.0.12,5]-3-운데센, 펜타시클로[6.5.1.13,6.O2,7.O9,13]-4,1O-펜타데카디엔, 펜타시클로[4.7.0.12,5.O8,13.19,12]-3-펜타데센,
메틸치환 펜타시클로[4.7.0.12,5.O8,13.19,12]-3-펜타데센, 헵타시클로[7.8.0.13,5.O2,7.110,17.O11,16.112,15]-4-에이코센, 노나시클로[9.1O.1.14,7.O3,8.O2,10.012,21.O13,20.O14,19.115,18]-5-펜타코센, 트리메틸치환 노나시클로[9.1O.1.14,7.O3,8.O2,10.012,21.O13,20.O14,19.115,18]-5-펜타코센, 5-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5-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벤질-비시클로[2.2.1]헵트-2-엔, 5-톨릴-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틸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이소프로필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1,4-메타노-1,la,4,4a-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1,4-메타노-1,4,4a,5,10,10a-헥사하이드로안트라센, 시클로펜타디엔-아세나프틸렌 부가물,
5-(α-나프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아세토라세닐)-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을 포함하여,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l-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의 부가 중합체는 필수성분으로서 상기한 환상 올레핀 성분과 에틸렌계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이지만, 상기 성분에 부가적으로, 이들과 공중합할 수 있는 불포화 단량체 성분을 더 공중합한 것이라도 좋다. 이 때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불포화 단량체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환상 디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층과 다른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의 성형과 동일한 성형 방법, 즉 사출 성형 또는 공압출 성형 등에 의해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형 수단으로 성형한 1차 성형체를 이용한 2차 성형체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중공 용기로 되는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직접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이나 공압출 성형 등으로 미리 성형한 패리슨(parison)을, 블로우 성형 또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등의 2차 성형하여 성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을 얻기 위해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한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중공 용기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 용기 몸통부를 구성하는 원통체를 제조할 경우,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적층 플라스틱 시트를 원통형으로 구부려 튜브 용기 몸통체로 성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의 구체적인 구성을, 제조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또한, 상기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의 수분에 대한 차단성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수지층 A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닛뽄 유니페트(주)제: RT-543SR)를 사용하고, 수지층 B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테트라시클로 [4.4.O.12,5.17,10]-3-도데센 또는 그 유도체인 환상 올레핀 성분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미쓰이 가가쿠(주)제: APEL)를 사용하여, 길이 10cm(병 목부분 포함), 중량 32g(수지A 28.8g, 수지B 3.2g)인 수지층A(제1층)-수지층B(제2층)-수지층A(제3층)-수지층B(제4층)-수지층A(제5층)의 5층 구조로 되는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하였다.
또한, 수지A의 사출성형 온도를 285℃로 하고, 수지B의 사출성형 온도를 220∼240℃로 하여, 제1층, 제3층 및 제5층의 층 두께를 동일하게 하고 제2층과 제4층의 층 두께를 각각 동일하게 하였다.
그 다음, 상기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내에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개략 형상의 용량 500㎖, 높이 20cm, 라벨 접착용의 몸통부 중앙에서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직경이 6.7cm인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되는 용기를 얻었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닛뽄 유니페트(주)제: RT-543SR)로 되는 중량 32g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한 뒤, 상기 패리슨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비교용의 용량 5OO㎖의 플라스틱 용기를 얻었다.
<시험 1>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각 플라스틱 용기의 수분 투과량(g)은, 40℃, 75%RH의 분위기 하에서 각 용기내의 수분 함량 측정용 탄산 칼슘을 충전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방치 일수 1 7 14 28 45 84
실시예 1 0.032 0.19 0.368 0.668 1.06 1.96
비교예 1 0.05 0.37 0.702 1.348 2.154 4.03
실시예 2
수지층 A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닛뽄 유니페트(주)제: RT-543SR)를 사용하고, 수지층 B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테트라시클로 [4.4.O.12,5.17,10]-3-도데센 또는 그 유도체인 환상 올레핀 성분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미쓰이 가가쿠(주)제: APEL)를 사용하여, 수지층A(제1층)-수지층B(제2층)-수지층A(제3층)-수지층B(제4층)-수지층A(제5층)의 5층 구조로 되는 길이 60mm(병 목부분 포함), 중량 13.1g(수지A 11.53g, 수지B 1.57g)인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하였다.
또한, 수지A의 사출 성형 온도를 290℃로 하고, 수지B의 사출 성형 온도를 220∼240℃로 하여, 제1층, 제3층 및 제5층의 층 두께를 각각 동일하게 하고, 제2층 및 제4층의 층 두께를 각각 동일하게 하였다.
그 다음, 상기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 내에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용량 50㎖의 규격 5호병에 해당하는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되는 용기를 얻었다.
실시예 3
수지층 A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닛뽄 유니페트(주)제:RT-543SR)를 사용하고, 수지층 B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테트라시클로 [4.4.O.12,5.17,10]-3-도데센 또는 그 유도체인 환상 올레핀 성분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미쓰이 가가쿠(주)제: APEL)를 사용하여, 수지층A(제1층)-수지층B(제2층)-수지층A(제3층)의 3층 구조로 되는 길이 60mm(병 목부분 포함), 중량 12.9g(수지A 10.54g, 수지B 2.45g)인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하였다.
또한, 수지A의 사출 성형 온도를 290℃로 하고, 수지B의 사출 성형 온도를 220∼240℃로 하여, 제1층, 제3층 및 제5층의 층 두께를 각각 동일하게 하고, 제2층 및 제4층의 층 두께를 각각 동일하게 하였다.
그 다음, 상기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용 금형 내에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용량 50㎖의 규격 5호병에 해당하는 다층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 되는 용기를 얻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닛뽄 유니페트(주)제: RT-543SR)로 되는 중량 13.8g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한 뒤, 상기 패리슨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용량 50㎖의 규격 5호병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용기를 얻었다.
<실험 2>
상기의 실시예 2∼실시예 3,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각 플라스틱 용기의 수분 투과량(g)은 40℃, 75%RH의 분위기 하에서, 각 용기내에 수분 함량 측정용 탄산칼슘을 충전함으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
방치 일수 7 14 21 35 84
실시예 2 0.026 0.039 0.057 0.086 0.169
실시예 3 0.021 0.029 0.040 0.056 0.107
비교예 2 0.062 0.103 0.160 0.250 0.503
비교예 3
테트라시클로[4.4.O.12,5.17,10]-3-도데센 또는 그 유도체인 환상 올레핀 성분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미쓰이 화학(주): APEL)로 중량 8.9g의 바닥이 있는 패리슨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한 뒤, 그 패리슨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용량 50㎖의 규격 5호병에 해당하는 비교용의 플라스틱 용기를 얻었다.
<실험 3>
상기의 실시예 2∼실시예 3, 및 비교예 2∼비교예 3에서 얻어진 각 플라스틱 용기의 산소 투과량(cc/day·Bottle)은, 상기 플라스틱 용기 외부의 분위기를 23℃, 55%RH로 설정하고, 플라스틱 용기 내부의 분위기를 23℃, 100%RH로 각각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이 산소 투과양으로부터 계산한 산소투과 계수(cc·mm/m2·day·atm)와 함께 아래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의 두께(mm)는, 상기 플라스틱 용기의 병 목부분에서 접지부까지의 몸통부의 평균치이다.
(표 3)
No. 산소 투과량 산소투과계수 두께
실시예 2 0.004 3.2 1.18
실시예 2 0.005 4.2 1.25
비교예 2 0.003 2.5 1.22
비교예 3 0.029 18.8 0.958
비교예 4
폴리프로필렌 수지(그랜드 폴리머(주) 제: IBY009(투명 그레이드))로부터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량 50㎖의 규격 5호병에 해당하는 비교용의 플라스틱 용기를 얻었다.
<실험 4>
상기의 실시예 2∼실시예 3, 및 비교예 2∼비교예 4에서 얻어진 각 플라스틱 용기의 몸통부의 투명도(헤이즈도(Heize degree))는 닛뽄 덴슈쿠 코쿄(주)제의 SQ-300H NDH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각 플라스틱 용기의 측정부분의 두께와 함께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각 플라스틱 용기의 측정부분의 두께(mm)는, 헤이즈도 측정부분(광속부: 1 2 mm)의 부근 4개소의 평균값이다.
(표 4)
No. 헤이즈도 두께
실시예 2 4.94 1.31
실시예 3 2.99 1.08
비교예 2 2.29 1.11
비교예 3 1.04 1.02
비교예 4 14.9 1.15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층 A에 의해서 제공되는 뛰어난 투명성 및 산소 차단성과 수지층 B에 의해서 제공되는 고도의 수분투과 저항성을 가진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력 특성이 부족한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수지층 B)은, 수지층 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서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의 안쪽면과 겉면의 표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의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즉, 식물계나 광물계 오일류나 그리스류에 대한 내성의 문제, 특히 플라스틱 성형체 자체에 잔류 응력이 있는 경우에, 손가락 끝의 오일 등의 부착으로 크레이징이나 크래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2종류의 수지층의 적층 구조에 의해, 원료가격이 비싼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을 줄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여, 범용성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는, 특히 흡습에 의해서 그 작용이 저하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나 화장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로써, 지극히 뛰어난 보존 특성을 가진 투명 용기로 될 수 있다.

Claims (5)

  1. 수지층 A와 수지층 B를 교대로 적층한 3층 또는 5층의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로서, 수지층 A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으로 되고, 상기 수지층 A 사이에 개재하는 수지층 B가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으로 되는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A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층의 합계 중량이 95∼55중량% 이고, 상기 수지층 B를 구성하는 환상 올레핀 성분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합계 중량이 5∼45중량%인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가 중공(hollow)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체로 되는 플라스틱스틱 용기인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가 중공 블로우 성형체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인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가 튜브용기 몸통부를 구성하는 원통체인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KR1020007015044A 1999-05-12 2000-05-12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KR20010053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12399 1999-05-12
JP99-131123 1999-05-12
PCT/JP2000/003059 WO2000069627A1 (fr) 1999-05-12 2000-05-12 Moulage plastique en couc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313A true KR20010053313A (ko) 2001-06-25

Family

ID=1505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5044A KR20010053313A (ko) 1999-05-12 2000-05-12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11846B1 (ko)
EP (1) EP1097808B1 (ko)
JP (1) JP4369064B2 (ko)
KR (1) KR20010053313A (ko)
CN (1) CN1311966C (ko)
AU (1) AU760264B2 (ko)
CA (1) CA2337080C (ko)
DE (1) DE60015275T2 (ko)
WO (1) WO2000069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006A1 (en) * 2004-08-31 2006-03-02 Bastion Bradley J Multilayer polymeric barrier film, flexible packaging made therewith, and methods
US8926840B2 (en) * 2008-03-18 2015-01-06 Rubbermaid Incorporated Drinking container and filter assembly
PL2329949T3 (pl) 2009-12-07 2014-03-31 Flextrus Group Ab Folia wielowarstwowa
CN103458999B (zh) * 2011-02-11 2016-03-09 日清食品控股株式会社 醇浓缩方法
JP5809035B2 (ja) * 2011-12-01 2015-11-10 紀伊産業株式会社 多層ブロー成形容器
EP2735426B1 (en) 2012-11-27 2015-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ed and blown product
EP2949441B1 (en) * 2014-05-27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865B2 (ko) * 1972-05-09 1981-02-02
US4496408A (en) * 1981-09-04 1985-01-29 Cosden Technology, Inc. Method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hollow articles
US4778842A (en) * 1985-02-15 1988-10-18 Kuraray Co., Lt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JPH0564865A (ja) * 1991-09-10 1993-03-19 Toray Ind Inc 位相差板用非晶ポリオレフイン積層シートおよび位相差板
JP2571511B2 (ja) 1993-03-30 1997-01-16 ヤマトエスロン株式会社 積層合成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2554B2 (ja) 1993-09-17 2002-02-04 凸版印刷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製延伸ブロー成形品の処理方法
JP3119069B2 (ja) 1994-03-31 2000-12-18 凸版印刷株式会社 防湿性多層構造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湿性多層容器
JPH0926498A (ja) * 1995-07-11 1997-01-28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透明中性子遮蔽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9064B2 (ja) 2009-11-18
EP1097808A1 (en) 2001-05-09
CA2337080C (en) 2003-12-16
CN1311966C (zh) 2007-04-25
DE60015275T2 (de) 2006-02-02
WO2000069627A1 (fr) 2000-11-23
EP1097808A4 (en) 2002-03-20
US6811846B1 (en) 2004-11-02
AU4432300A (en) 2000-12-05
CA2337080A1 (en) 2000-11-23
DE60015275D1 (de) 2004-12-02
EP1097808B1 (en) 2004-10-27
CN1304358A (zh) 2001-07-18
AU760264B2 (en)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898B1 (ko) 다층적층체및그의용도
KR100302552B1 (ko) 폴리올레핀계다층적층체및용도
JP5225552B2 (ja) 水中油型又は油中水型乳化物を収容した製品及び多層構造容器
US5320889A (en) Plastic bottle for food
JP3075144B2 (ja) 保香性包装体
US4713296A (en) Laminate having good gas barrier properties with barrier layer of modifie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KR20010053313A (ko)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JP3951376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を含む積層体
KR100472819B1 (ko) 적층 플라스틱 성형체
KR100225005B1 (ko) 후레바-보유 플라스틱 다층 용기
JP3963034B2 (ja) 耐熱性及び耐衝撃性の改善された透明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3721646B2 (ja) プラスチック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法
JP4337335B2 (ja) 防湿性と透明性の改良された多層ポリエステル延伸ボトル
JP3853391B2 (ja) プレススル−パック
KR100742632B1 (ko) 블로우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그의 성형체
JP4024885B2 (ja) 保香性プラスチック多層容器
CA2194395C (en) Multi-layer laminates containing cycloolefin resin layer and uses thereof
JP2002284173A (ja) ラベル付き食用油用ポリエステル製容器
JP3876482B2 (ja) ヒートシール性包装容器
JPH10129642A (ja) 耐傷性に優れた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容器
JPH0242350B2 (ko)
WO2011070007A1 (en) Multilayer film
JPH021670B2 (ko)
JPH0310499B2 (ko)
JPH03530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21

Effective date: 200507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