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236A - 식물의 개화 촉진제 - Google Patents

식물의 개화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236A
KR20010051236A KR1020000062860A KR20000062860A KR20010051236A KR 20010051236 A KR20010051236 A KR 20010051236A KR 1020000062860 A KR1020000062860 A KR 1020000062860A KR 20000062860 A KR20000062860 A KR 20000062860A KR 20010051236 A KR20010051236 A KR 20010051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ing
plant
inosine
fruit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라야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가시라 구니오
Publication of KR2001005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노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제 및 이것을 사용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의 개화 촉진제{Blooming accelerators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의 개화 촉진제, 보다 상세하게는 이노신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제, 및 이노신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핵산 관련 물질을 식물에 사용한 예는, 몇 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a)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39-22919호는 β-인돌아세트산 등과 핵산의 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푸린 염기, 피리미딘 염기, 누클레오시드 및 누클레오티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식물 생장 조정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식물 생장 조정제에서는, 핵산 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분해 정도가 다른 핵산 염기, 누클레오시드 및 누클레오티드는, 모두, 이들 사이의 구별이 없는 동일 효과물로서 취급되고 있고, 더구나, 이들의 핵산 분해 생성물은, 푸린 염기에 속하는 어느 종류의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식물 생장 조정 작용을 갖지 않는다고 기재되어 있는 점에서 분명한 것같이, β-인돌아세트산 등과 핵산 분해물과의 병용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조성물(식물 생장 조정제)이다.
(b)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49-16310호는, 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등의 식물 호르몬제와 미분해의 핵산 또는 이의 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피리미딘 염기, 푸린 염기, 누클레오시드 및 누클레오티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과채류용 생장 조정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과채류용 생장 조정제에 있어서는, 미분해의 핵산 그 자체와 분해 정도가 다른 각종 분해 생성물이 동등하게 취급되고 있고, 더구나, 이들의 핵산 관련 물질은, 상기 식물 호르몬제의 시용(施用)에 의한 작물의 각종 생리적 장해의 발생을 경감함과 동시에 식물 호르몬제 시용의 소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취지의 기재에서 분명한 것같이, 식물 호르몬제와 핵산 관련 물질과의 병용은 필수 요건으로 되어 있다.
(c)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4-17670호는, 누클레오티드류 및 (이노신을 예시하는) 누클레오시드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성숙한 관엽식물의 잎, 또는 잎의 줄기, 또는 잎자루의 잘린 곳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엽식물의 잎이 오래가는 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관엽식물의 잎이 오래가는 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각종의 누클레오티드류 및 누클레오시드류가 동등하게 취급되고, 더구나, 관엽식물의 잎이 오래가는 정도의 향상은, 개화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과는 분명히 다르다.
(d)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48-26517호는, 누클레오티드류, (이노신을 예시하는) 누클레오시드류 및 핵산 염기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액을 꽃봉오리 시기의 과수화 숲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화분(果樹花粉)의 발아를 촉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과수화분의 발아 촉진 방법에서도, 각종의 누클레오티드류 및 누클레오시드류가 동등하게 취급되고 있고, 더구나, 과수화분의 발아 촉진이라는 목적은, 본 발명의 그것과는 분명히 다르다.
(e)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0-68848호는 이노신과 염화칼슘의 혼합 용액을 (생화 점두(店頭)에서의 생화용의 물 또는 수반 또는 화병의 물 등으로서) 생화에 사용하는 자른 꽃가지를 오래 지속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자른 꽃가지의 장기 지속 방법은, 이노신에 대한 염화칼슘의 병용을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고, 더구나, 이미 개화하여 있는 자른 꽃가지의 장기 지속은, 개화 촉진에 관한 본 발명과는 분명히 다르다.
이상과 같이, 핵산 관련 물질을 식물에 사용한 예는, 종래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이들의 물질과 다른 물질과의 병용이 필수 요건으로 되어 있거나, 핵산 관련 물질이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어도, 여러가지의 핵산 관련 물질은 하등 구별되는 일없이 동일 효과물로서 취급되고 있거나 하는 것이고, 추가하여 유효물질의 시용 목적이 본 발명의 그것과는 분명히 전혀 다른 것이다.
또한, 꽃눈 형성에 관해서는, 교토대학원 조교수 고바야시 다쓰지(小林達治)의 우라실·프롤린설은 유명하다. 내용은, 벼를 재료로서 조사한 결과, 꽃눈 형성시에 피리미딘계의 핵산 염기인 우라실과 특수한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집중하여 축적된다는 설이다. 프롤린은 별도로 하고서라도 꽃눈 형성시에 핵산 성분이 관여하는 것에는 아무도 이론이 없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무슨 이유로 우라실이냐는 의문도 남는다. 핵산 염기라도 푸린계의 아데닌이나 구아닌은 아니고 우라실에 주목된 점이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 후 농업에서 우라실이 농업자재로서 보급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간신히 김 재배로 일부의 김 농가에서 남모르게 사용되어 왔지만 성과는 불규칙하며, 구입단가가 높기 때문에 비용도 높으므로, 그 만큼 보급되지 않았다.
고바야시 모토(小林元) 조교수의 기술이나 데이타에 의하면, (a) 수도(水稻) 체내 대사에서는 꽃눈 형성 및 착립(着粒) 시기에 프롤린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하여 많이 축적한다, (b) 프롤린은 생식 성장기에 영양 성장기에 비하여 현저히 고분자 단백질로 도입된다, (c) 핵산대사에서는 생식 성장기에 우라실 및 시토신이 아데닌 및 구아닌에 비하여 고분자 핵산에의 도입이 높다, (d) 벼의 출수 3주전부터 5일 마다 나누어 우라실 및 프롤린 용액을 추비(追肥)한 결과, 무기 비료만인 것과 비교하면 증립(增粒) 효과는 대조구의 2배에 달한다고 한다.
고바야시모토 교수의 기술이나 데이타에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것은, 핵산 염기밖에 검토되어 있지 않고, 이노신 등의 누클레오시드는 시험의 대상으로도 분석의 대상으로도 되고 있지 않은 점이다.
과수가 건실하고 충실한 상태로 개화하는 것은, 그 꽃이 수정하여 결실한 과실의 비대화에 관계하고, 나아가서는 대형 양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화의 경우, 개화가 촉진되고 더구나 대형의 품질이 좋은 꽃을 피게 하는 생화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면, 생화의 재배나 출하업자에 있어서 유익한 바 극히 크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식물의 개화 촉진제 또는 개화 촉진 방법의 개발이 기대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식물의 개화 촉진제 및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의 결과, 핵산 염기, 누클레오시드, 누클레오티드 등의 여러가지의 핵산 관련 물질 중, 특히 이노신에 이와 같은 개화 촉진 작용이 있는 것을 찾아내어,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노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제, 및 이러한 개화 촉진제를 개화전의, 대상 식물에 의해서 정해지는 적당한 시기에 당해 식물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를 시용해야 할 식물은, 개화하여 결실하는 감 기타의 과수, 딸기, 가지, 토마토 등의 과실을 수확하는 과채, 생화 등의 관상용의 각종의 목본이나 초본의 꽃 등이 널리 포함된다.
이노신은 반드시 정제품일 필요는 없고, 염류 장해 등의 부작용이 없는 한, 이노신 발효액 그 자체, 이의 농축액, 농축 건조물, 이노신 발효액으로부터 분리한 이노신의 조제품, 또는, 핵산을 분해하여 핵산 관련 물질(누클레오티드, 누클레오시드, 핵산 염기 등)을 취득할 때의 중간 처리 분획분으로서 이노신을 함유하는 것, 이노신산 발효액의 처리액으로 이노신을 함유하는 분획분 등의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유효 성분의 이노신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식물의 개화 촉진제는, 시용할 때, 적절하게, 물 등의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액제의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방부 효과가 있는 알칼리를 첨가하여 pH 8 내지 12 정도로 하여도 좋다. 게다가 또한, 적절한 희석제, 증량제, 결합제 등을 사용하여 분말제의 제형으로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딸기에서 사용하는 경우, 꽃봉오리가 발생하고 있는 새싹에 직접 살포할 필요가 있고, 그 때 별도의 분말 희석제가 언제까지나 성장점이 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과수에서도 같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희석제의 사용을 멈추거나 희석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개화 촉진법 방법은, 개화 시기에 수꽃 및 암꽃의 꽃이 보다 건실하고 충실한 상태로 개화하는 것을 원조할 목적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식물의 개화 촉진제의 시용 시기는, 대상 식물에 따라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감과 같은 과수에서는 예상 개화 시기의 1개월 정도 전이다. 딸기를 예로 들면 더 가깝게 된다. 딸기는 모종을 만드는 시기에 현미경으로 보면 속에 꽃눈을 관찰할 수 있지만, 모종을 정식(定植)하고 있는 기간이 지나가면 이것이 생장하여 개화하기에 이른다. 그렇지만, 그 기간은 겨우 1개월이다. 이런 이유로, 딸기에서는 상기의 목적으로 투여하는 경우는 개화 예상 시기의 보름 정도전이다. 생화용의 벚나무(히간사쿠라(벚나무의 일종(일본명))나 개나리에 꽃을 붙이는 작업에서는, 습도가 높은 방(온실)에 1주간 정도 두어 꽃의 싹을 내게하고 나서 실외로 내놓지만,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에 의한 때에는 실외로 내놓는 첫날에 간신히 꽃의 싹이 솟아나온 가지에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를 분무하는 것으로 꽃을 붙일 수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쌀알 정도의 크기로 생장한 꽃의 싹은, 지금까지 통상은 2주간 정도 걸려 개화하기에 이르지만,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를 투여하면, 반인 1주간 정도로 더욱 훌륭하고, 색이 선명한 큰 꽃이 피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개화가 빨라짐과 동시에 빛깔이 선명하고 대형인 꽃이 핀다. 벚나무에서는, 나오기 시작한 꽃의 싹에 시용하지 않고서 자른 가지의 근원에만 용액으로서 투여한 예에서는, 개화시기의 촉진은 동일하게 볼 수 있지만 꽃의 색깔이 분홍색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개나리의 경우, 방에서 내놓아 간신히 꽃의 싹이 나기 시작한 가지에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를 분무한 바, 개화가 촉진되며, 더구나 꽃의 모습이 크고, 볼륨감이 있는 것이었다.
시용 시기는, 이와 같이 대상 식물에 따라서 다르지만, 당업자이면, 소정의 경우에, 예상 개화 시기의 어느 정도 전에 시용하는 것이 적당한지를, 후에 게시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를 참고로 하여, 또한 예비 시험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시용 방법은, 요컨데, 식물의 꽃의 싹에 유효 성분인 이노신을 부착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써, 예를 들면, 분무, 침지, 도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생화의 경우는, 생화용의 물에 추가하고 있어서, 그 근원의 잘린 곳으로부터 흡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시용량은, 시용 대상 식물의 종류나 과수 등은 그 재배밀도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요컨데, 본 발명의 식물의 개화 촉진제를 시용한 식물의 개화 촉진의 정도가, 본 발명의 식물의 개화 촉진제를 시용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동일한 조건하에 놓여진 식물의 개화 정도에 비해 우수한 양이고, 이 양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예비 비교 실험에서 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동력 분무기로 목적의 부위가 젖는 정도로부터 물방울이 생겨 떨어지는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형이 액제인 경우, 시용시의 이노신 농도는, 예를 들면, 20 내지 100ppm,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ppm으로 할 수 있다. 후에 게시한 실시예 2에 나타내는 벚나무의 예를 들면, 농도 약 60ppm의 이노신 수용액을 동력분무기로 하루에 3회 분무하지만, 이 때에 가지를 묶어 양동이의 물속에 넣고 있어, 가지에 전해지고 남은 이노신액이 양동이에 모인다. 이렇게 하여, 쌀알 모양의 꽃의 싹에 살포되는 이외에, 뿌리로부터도 이노신이 흡수되게 된다.
최후에, 본 발명에 의한 "개화 촉진"의 의미에 관해서 부언한다. 개화 촉진이라고 하면, 꽃이 피는 것을 재촉한다고 하는 의미만으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이것보다도 건전한 큰 수술 및 암술을 갖는 꽃의 육성에 공헌하는 의미가 시장에서는 큰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꽃꽂이용 벚나무의 꽃에서는 개화 시기가 종래보다도 아주 빠른 것이 하나의 이점이 되지만, 동시에 훌륭한 꽃이 피는 것도 시장 가치를 올리는 요소로 되어 있다. 또한, 딸기 등에서는 일찍 피는 의미는 그 다지 중요하지 않고, 건강한 큰 꽃을 피우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에 의하면, 개화시기를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및/또는 훌륭한 꽃을 피우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개화 촉진"은 이들 양자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화 촉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부유감(단감의 대표적 품종)(과수)
감에서는 개화시기에 비가 내리거나 하면 꽃자루는 붙어있는 채로 된다. 이것이 떨어지지 않으면 회색 곰팡이(포토리누스) 또는 잎담배벌레가 여기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좋은 과실이 되지 않는다. 반대로 일찌기 떨어지는 것은 세포분열이 왕성해 비대가 진행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임의의 해의, 개화 1개월전과 상정(想定)된 4월 25일에 부유감의 성목(成木: 높이 2.5m, 그리고 수령 25년)의 한정된 부위(시용구)에만 본 발명의 개화 촉진제(이노신 농도 약 60ppm의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스프레이로 개화전의 꽃송이에 살포하고, 기타는 대조구로서 남겨 놓았다. 5월 20일경 개화하여 착과(着果)가 확인되었다. 6월 1일에 시용구가 착과한 과실의 선단에 통상은 붙어 있는 꽃자루가 적은 데 주의했다. 꽃자루의 낙하가 빠르다는 것은, 감에 한하지 않고 가지, 오이에서도 말할 수 있지만, 착과가 건전하고 육성이 왕성한 경우에 일찌기 떨어지는 현상이 보이므로, 생장이 빠른 증거이다. 꽃자루가 언제까지나 부착하면, 여기에 병원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낙과하는 요인이 된다. 그 해의 가을, 9월 30일의 관찰에서는, 감의 총수는 10개, 그 중 시용구(시험구)에서는 4개가 남아 있었다. 나머지의 대조구의 6개는, 분산하여 이루어져 붙어 있었다. 또한, 시험구는 북측에 면하여 있지만 과실의 비대는 좋았다. 이와 관련하여, 9월 24일에 태풍이 습격하였지만 시험구의 감은 낙하하지 않았다.
실시예 2: 벚나무(감상(꽃꽂이)용 생화)
간신히 꽃의 싹이 나기 시작한 벚나무의 가지를 여러개, 방에서 꺼내어, 근원(根元)이 잠기는 정도로 물을 넣은 양동이에 넣고, 이것에 실시예 1에 있어서와 동일한 본 발명의 식물의 개화 촉진제(이노신의 농도 약 60ppm의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방에서 꺼낸 첫날에 1일 3회 분무하였다.
그 결과, 통상, 하우스내의 밝은 방에서 2주간으로 개화하는(따라서, 출하하는) 것이, 불과 1주간에 개화하기에 이르렀다. 더구나, 단지 일찌기 꽃이 필 뿐만이 아니라, 꽃의 아래의 녹색의 꽃받침이 생기지 않은 중에 출하할 수 있기 때문에 연분홍색 일색으로 물든 벚꽃이 되었다.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의 벚나무는, 모습도 빛깔도 별도의 품종으로 착각할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표현하자면, 선명함이 결여된 초라한 벚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차이가 인정되어 시장에서의 가격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꽃꽂이용 벚나무의 개화를 재촉하고, 또한 훌륭한 꽃을 단기간에 피울 수 있고, 나아가서는 누구보다도 이른 시기에 출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개화 촉진 처리를 한 것과 처리를 하지 않은 통상의 개화시기의 것의 양자를 출하할 수 있으므로 출하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한(즉, 보다 장기간 출하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도 얻어진다. 조기 출하나 출하 기간의 연장은, 출하업자에 있어서 큰 희소식이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개나리는, 벚나무보다도 수요의 시기가 길고, 훌륭한 노란색의 꽃은 12월부터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이점은 벚나무에 뒤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과수는 과잉의 개화나 착과를 하여 생리 낙과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개화에 앞서는 꽃의 싹의 형성시에 충분량의 이노신이 존재하여, 이것이 곧 대사되어 각종 누클레오티드나 RNA로 전환되어 꽃을 형성할 때에 필요한 핵산류로 변환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과수로서는, 통상, 과잉의 꽃을 붙이고 나서 생리낙과하거나 인간이 적과(摘果)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자손을 남기는 준비는 하지만 체력에 따라서 필요 이상의 과실은 도태한다. 당연하지만, 과수 전체가 빈약하면 최종적으로는 꽃의 싹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통상, 수세(樹勢)에 따라서 이것에 견딜 수 있는 수만큼의 과실을 지킨다. 적과하는 경우도 많고, 보다 건전한 꽃의 싹에 수분(受粉)한 과실을 남기는 것이 보통이다.
과실에 한하지 않고, 벼 등의 곡류라도 건실한 꽃의 싹을 형성시키는 의미가 물론 있다. 또한, 메론이나 토마토에서는 호르몬제를 사용하여 착과시키고 있지만, 더 거슬러 올라가 보다 건전한 꽃의 싹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는, 보다 충실한 꽃을 피우는 것으로 보다 훌륭한 과실로 키우는 수단을 구하고 있다. 과실의 크기는 거의 꽃의 크기로 결정된다. 예를 들면, 딸기에서는 꽃잎의 매수로 그 과실의 크기가 결정된다. 통상은 꽃잎은 5장이지만, 건실한 뿌리가 갖춰져 수세(樹勢)가 강한 경우는 6장이 된다. 그리고, 6장이 되면 확실히 큰 과실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전한 꽃의 싹을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양질의 과실이나 관상용의 꽃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이노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제.
  2. 제1항의 개화 촉진제를 개화 전의 대상 식물에 의해서 정해지는 적당한 시기에 당해 식물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개화 촉진 방법.
KR1020000062860A 1999-11-02 2000-10-25 식물의 개화 촉진제 KR20010051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07499A JP2001128557A (ja) 1999-11-02 1999-11-02 植物の開花促進剤
JP99-312074 1999-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236A true KR20010051236A (ko) 2001-06-25

Family

ID=1802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860A KR20010051236A (ko) 1999-11-02 2000-10-25 식물의 개화 촉진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75956B1 (ko)
EP (1) EP1097639B1 (ko)
JP (1) JP2001128557A (ko)
KR (1) KR20010051236A (ko)
CN (1) CN1136772C (ko)
CA (1) CA2324769C (ko)
DE (1) DE600080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6090A (ja) * 2001-09-27 2003-04-03 Ajinomoto Co Inc イノシン・l−アルギニン塩およ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9536A (en) * 1956-06-27 1962-08-14 Waldhof Zellstoff Fab Method for producing inosine
JPS4826517A (ko) 1971-07-30 1973-04-07
JPS5122504B2 (ko) 1971-11-20 1976-07-10
JPH01207209A (ja) * 1988-02-10 1989-08-21 Ihara Chem Ind Co Ltd きのこ類の生育促進剤
US5211738A (en) 1991-04-12 1993-05-18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Aden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 plant growth regulator
JP2927269B2 (ja) 1996-11-11 1999-07-28 味の素株式会社 植物根の生育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72C (zh) 2004-02-04
CN1302543A (zh) 2001-07-11
DE60008061D1 (de) 2004-03-11
CA2324769A1 (en) 2001-05-02
JP2001128557A (ja) 2001-05-15
DE60008061T2 (de) 2004-09-16
CA2324769C (en) 2004-08-10
EP1097639A1 (en) 2001-05-09
EP1097639B1 (en) 2004-02-04
US6475956B1 (en)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655A (en) Plant growth enhancing compositions using gibberellins, indoleacetic acid and kinetin
CN106982661B (zh) 一种柑橘的疏花疏果方法
CN105961435B (zh) 一种果实诱导着色剂组合物
KR101590548B1 (ko) 과실 품질 향상 및 적과용 비료 조성물
KR20010051171A (ko) 벼과 식물의 고사 방지 및 속효적 영양 보급제
TR201815600T4 (tr) Bitkilerin özelliklerini geliştirmek için melanoidinlerin kullanılması.
KR101120973B1 (ko) 식물 성장 호르몬 수준, 비율 및/또는 공동-인자를조정하여 식물의 성장 및 작물 생산성을 개선하는 방법
JPH04164886A (ja) 茶樹用処理剤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US6143695A (en) Plant-root growth promoting agent
JPWO2015125953A1 (ja) 植物生長調節剤及び植物生長調節方法
JP2002159222A (ja) 植物用分けつ促進剤および植物の分けつ促進方法
US5116406A (en)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KR100325991B1 (ko) 노목의 재생방법
CN113845388A (zh) 一种有机红薯专用水溶肥料及其制备方法
KR20010051236A (ko) 식물의 개화 촉진제
JP2003048803A (ja) 花芽形成促進剤
WO2023171749A1 (ja) 植物種子被覆用組成物
CN114793735B (zh) 一种缩短妃子笑荔枝果实成熟期的方法
CN112790060B (zh) 一种山黄皮老树更新方法
CN108669089B (zh) 一种用于枇杷控梢促花的制剂
Litwińczuk The impact of foliar dikegulac and Asahi SL sprays on the shoot production of highbush blueberry nursery plants
DE1104254B (de) Mittel zur Beeinflussung des Pflanzenwachstums
Ashraf et al. Chapter-2 Defoliants Harvest-Aid Chemicals: Cost Effective Technology to Facilitate Synchronized Maturity for Mechanical Harvesting in Cotton
AU643577B2 (en) Plant growth enhanc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