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154A -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154A
KR20010051154A KR1020000061793A KR20000061793A KR20010051154A KR 20010051154 A KR20010051154 A KR 20010051154A KR 1020000061793 A KR1020000061793 A KR 1020000061793A KR 20000061793 A KR20000061793 A KR 20000061793A KR 20010051154 A KR20010051154 A KR 20010051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hin
frame
articles
thin 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758B1 (ko
Inventor
아라이토모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기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708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511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6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36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1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57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0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577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기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기겐
Publication of KR2001005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하는 프레임(8, 9) 사이에 인장 설치한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이 선조체(15, 51)인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이다. 선조체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튜브(52)를 피복하거나 또는 코팅한다.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 살이 다단 구성일 때, 각 단의 선조체는 길게 연속되는 선조체(15)를 좌우로 사행시킨 상태에서 차례로 회전시키거나, 단마다 독립한 복수개의 각각 독립된 짧은 선조체(51)가 인장 설치된다.

Description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Container for sheet type material}
본 발명은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극박막 유리, 일반적인 판유리, 플라스틱 보드 등의 박판형 물품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당해 물품의 이동, 수취, 수납 등을 위해 이용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는 좌우의 프레임 사이로 가로지른 박판형 물품을 탑재하기 위한 가로살, 비교적 굵은 금속봉, 금속 파이프, 경질 플라스틱 파이프 등에 의해서 만들어 졌다.
그 때문에, 컨테이너의 규모가 커지고, 제조도 대규모로 되고,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생겨, 컨테이너의 컴팩트화, 경량화, 제조의 간략화, 저비용화 등이 요망되어 왔다.
또한, 적재하는 박판형 물품 중에는 퍼스널 컴퓨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표 유리와 같이, 금속 와이어, 합금, 합성수지 섬유제인 가는 끈 등의 선조체(線條體) 위를 이동할 때는 물론이고 단지 적재할 때이라도 그 때에 일어날 수 있는 선조체에 의한 다소의 오물이 부착되거나 흠이 생기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와이어, 합금, 합성 섬유제인 가는 끈 등의 선조체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염화비닐제 튜브를 피복하였지만, 이것에는, (a)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표 유리의 표면에 슬립 흠이 나고, (b)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표 유리가 가로살 위에서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기 쉽고, (C) 염화비닐의 피복 튜브가 열이나 약품, 수증기에 약하고, 인성, 응력 변형특성, 내크리프성, 내피로특성, 물성안정성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최종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게 하는 등의 결함이 생겨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방체형인 프레임 세트의 대향하는 프레임 사이에 인장 설치한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 선조체를 인장 설치한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선조체는 금속 와이어, 합금 또는 합성수지 섬유제인 가는 끈의 선조체인 경우가 있다.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이 다단 구성이고, 각 단의 적재용 가로살이 연속된 길이가 긴 선조체를 좌우로 사행(蛇行)시킨 상태에서 차례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이 다단 구성되며, 각 단에 적재용 가로살이 단마다 독립한 복수개의 각각이 독립된 짧은 선조체를 인장 설치한 제 1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이다.
선조체에 인장도 조절용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조체가 스프링에 의해 인장 방향의 힘을 받는 활주 가능한 작은 바퀴체를 통해 인장상태로 인장 설치하여도 좋다.
선조체에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등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튜브를 피복하거나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판형 물품의 컨테이너는 바깥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하방향으로 긴 홈부를 가지며, 그 홈부의 바닥벽에 다수의 내외 방향의 관통구멍을 가로방향으로 배치 및 대향하는 쌍의 프레임 본체의 관통구멍과 같은 배열로 설치한, 가로살로서의 선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양단에 숫나사를 가지며, 그 숫나사가 당해 프레임 본체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당해 프레임 본체간에 인장 장착한 복수개의 가로살로서의 선조체, 숫나사에 외측으로부터 나사부착된 너트, 각각 프레임 본체의 홈부 내에 있어서 나사부의 주변에 끼워 장착되고, 홈부의 바닥벽과 너트와의 사이에 유지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고온하에서의 연속 사용에도 견딘다 ; 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 높은 강도, 응력 변형특성, 내크리프성, 내피로특성을 나타낸다 ; 광범위한 약품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나타낸다 ; 내연소성, 저발연성이 우수하다 ; 온수(熱水)나 수증기중에서도 안정한 물성을 나타낸다 ; 논 슬립성이 우수하다 ; 내후성이 우수하다 ; 대(對)식품 안전성이 있다 ; 방사선 안정성이 우수하다 ;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 등의 특성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구비하고, 또한 그들 특성의 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박판형 물품용의 컨테이너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수정이 가능하고, 그 밖에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수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그 들에도 미친다.
인장도 조절용 장치로서, 상기 체결나사나 썸휘일 장치 대신에 상기 제2 실시예와는 다른 스프링장치, 웨이트장치, 그 밖의 텐션을 가하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입방체 프레임을 전후면을 개방하고, 그 밖의 면은 폐쇄된 상자 프레임으로 한다.
풀리 대신에 롤러 폴로아핀, 축 지지된 윤전관, 활주 가능한 플라스틱축 등을 이용한다.
프레임에 캐스터 등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용 가로살이 비교적 굵은 금속봉, 파이프제로 구성된 종래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에 비해 컴팩트화, 경량화, 제조의 간략화, 저비용화 등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박판형 물품의 적재용 가로살이 한개의 길이가 긴 선조체를 사행시켜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모든 단의 가로살의 인장도 조절을 한번의 조작으로 일거에 행할 수 있으면서 인장 조절장치의 세트 수의 절약이 가능한 것으로서, 에너지 절약화, 부품의 감소화(少減化), 조립, 분해의 간이화 등이 유리한 것이다.
또한, 박판형 물품의 적재용 가로살이 단마다 별개로 한개의 짧은 선조체의 인장 설치에 의해 형성되는 데 있어서는 어느 단에 있어서의 단선(斷線)이 다른 단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로 한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선된 선조체의 교환을 아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선조체에 인장도 조절용 장치를 부설함에 있어서는 선조체 위에 적재한 박판형 물품의 중량, 온도 등 환경조건의 변화 등에 적합한 사용법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또한, 작은 활주 바퀴체를 스프링에 의해 부세하는 데 있어서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선조체에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등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튜브를 피복하는 데 있어서는, 박판형 물품에 슬립 흠이 생기지 않는다, (B) 박판형 물품이 프레임 위에서 미끄러져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C) 피복 튜브가 열, 약품, 수증기에 강하고, 인성, 응력변형특성, 내크리프성, 내피로특성, 물성안정성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박판형 물품에 제품 가치를 저하시키는 손상을 줄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일부 생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외주프레임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외주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썸휘일 부착부분의 정면도.
도 7은 풀리 부착부분의 일부 노치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일부 노치 확대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일부 노치 확대 측면도.
도 11은 도 8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일부 노치 확대 측면도.
도 12는 도 8의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의 좌측 측면 지주와 선조체의 접속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선조체의 접속부분의 일부 노치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취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 프레임 2 : 밑바닥 프레임
3, 4, 5, 6 : 외주 프레임 7 : 프레임 세트
10, 11, 12 : 홈 13, 14 : 풀리
15 : 와이너 16 : 체결나사
17 : 썸휘일 18 : 축
31, 32 : 지주 36 : 주변 프레임
39, 40 : 관통구멍 49, 50 : 금속 바
51 : 금속 와이어 53 : 코일 스프링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제 1 실시예는, 사변형상의 천정 프레임(1)과 동일하게 사변형상의 밑바닥 프레임(2) 사이에 사변형상의 제 1 로부터 제 4 까지의 외주 프레임(3, 4, 5, 6)을 전후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외주프레임(3, 4, 5, 6) 각각의 상변과 하변을 천정 프레임(1) 및 밑바닥 프레임(2)에 고정시킴으로써 입방체형의 프레임 세트(7)가 형성된다.
이 입방체 프레임 세트(7)에 있어서의 각 외주프레임(3, 4, 5, 6)의 좌우 양변(8, 9)의 안쪽으로 안쪽에 적합하도록 개구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홈(10, 11)을 형성한다.
그들의 홈(10, 11) 내부에 양측의 벽을 통해서, 홈(12)을 갖는 다수개의 풀리(13, 14)를 부착해 둔다. 좌우로 대향하는 홈(10, 11)에 끼워 삽입된 이들의 풀리(13, 14)는 그들의 홈(10, 11) 사이에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한 풀리에 연질 비닐을 피복한 한개의 연속한 와이어(15)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1단번째의 풀리⇒ 우측의 1단번째의 풀리⇒ 좌측의 2단번째의 풀리⇒ 우측의 2단번째의 풀리⇒ 좌측의 3단번째의 풀리, 이하의 순서와 같은 순으로 최종단 바로 앞단 우측의 풀리⇒ 최종단 좌측의 풀리⇒ 최종단 우측의 풀리까지 걸어 회전된다.
와이어(15)의 일단은 외주프레임(3, 4, 5, 6)의 좌측변(8)에 미리 장착된 인장 조절용 너트(21)를 갖는 체결나사(16)의 선단에 놓여 있고, 다른쪽의 단을 외주프레임(3, 4, 5, 6)의 좌측변(8)에 미리 장착한 썸휘일(17)의 축(18)에 권취하고, 되감기 가능하게 연결하여 긴장 상태로 당겨 설치된다.
박판형 물품은, 예를 들면 좌우의 풀리(13, 14) 사이에 인장 설치한 와이어(15) 위에 적재된다.
또한, 인장 설치한 와이어(15)는 왼쪽의 풀리(13)와 오른쪽 풀리(14) 사이에서 거의 수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15)를 썸휘일(17)의 축(18)에 권취하여, 되감기 가능하게 연결할 때는 당해 와이어를 다수회 반복하여 다시 사용할 정도의 길이로 하여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한 제 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선조체가 한개의 연속된 것이 아니라 단마다 독립된 것이 상기 실시예 1과 다르다.
이 실시예는, 측면 지주(31, 32)를 좌우로 배열 설치하고, 이들의 좌우 측면 지주(31, 32)의 상단 사이에 상 스테이(33)를 삽입(挾入)하고 당해 상 스테이의 좌우단을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상단부 내면에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하단 사이에 하 스테이(34)를 삽입하고 그 하 스테이(34)의 좌우단을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하단부 내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중간점 사이에 중 스테이(35)를 삽입하고 그 중 스테이(35)의 좌우단을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중간점 내면에 부착함으로써 다른 몇개의 주변 프레임(36)이 형성된다.
이들 주변 프레임(36)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의 외측면으로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홈(37, 38)을 설치하고, 그 좌우에 있는 홈(37, 38)의 바닥 벽에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39, 40)을 종렬 배열로 설치한다. 또한 이 관통구멍(39, 40)은 좌우 같은 위치에 대향하는 배열로 설치한다.
이들 주변 프레임(36)을 기립상태에서 전후로 배열시키고, 각 주변 프레임(36)의 좌측 위의 코너끼리, 우측 위의 코너끼리, 좌측 아래의 코너끼리 및 우측 아래의 코너끼리를 좌측 위의 스테이(41), 우측 위의 스테이(42), 좌측 아래의 스테이(43) 및 우측 아래의 스테이(4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입방체형 프레임(45)이 형성되고, 입방체형 프레임(45)의 정부면에 천정 커버(46)를 덮는다.
또한, 상기 입방체형 프레임(45)과는 별도로, 내단에 관형부(48)를 일체적으로 갖는 좌우의 나사를 갖는 금속 바(49, 50)와 소정 길이의 금속 와이어(51)를 다수 세트 이용하고, 각 세트의 금속 와이어(51)의 양단을 좌우의 나사를 갖는 금속바(49, 50)내에 있는 관형부(48)에 삽입하고, 삽입한 상태에서 그 관형부(18)를 압착하여 관형부(48)가 각 기둥형으로 눌려져서 금속 와이어(51)의 양단부에 나사를 갖는 금속 바를 고정한다.
각 금속 와이어(51)에는 좌우의 나사를 갖는 금속 바(49, 50)에 연결하기 전에 미리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가는 튜브(52)가 피복되어 있다.
이어서, 좌우의 측면 지주(31, 32)에 설치된 대응하는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좌우의 관통구멍(39, 40) 사이에 피복 금속 와이어(51)를 배치하고, 그 양단 좌측의 오른쪽 나사를 갖는 금속 바(49, 50)를 동일하게 좌우의 각 관통구멍(39, 40)에 삽입하여 그 좌우의 나사를 갖는 금속 바(49, 50)의 선단을 홈(37, 38) 속으로 관출(貫出)한 상태로 하는 동시에 좌측의 나사를 갖는 금속 바(49)의 관출부의 주변에 코일 스프링(53)을 삽입하고 나서 동 관출부에 2개의 너트(54, 55)를 나사부착하고, 또한 우측의 나사를 갖는 금속 봉(50)의 관출단에 코일 스프링 없이 2개의 너트(56, 57)를 나사부착함으로써 피복된 금속 와이어(51)를 인장 설치한다.

Claims (8)

  1. 입방체형 프레임 세트의 대향하는 프레임 사이에 인장 설치한 박판형 물품 적재용의 가로살 선조체를 인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선조체가 금속 와이어, 합금 또는 합성수지 섬유제의 가는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이 다단 구성이고, 각 단의 적재용 가로살이 연속한 길이가 긴 선조체를 좌우로 사행시킨 상태에서 차례로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박판형 물품 적재용 가로살이 다단 구성이고, 각 단의 적재용 가로살이 단마다 독립된 복수개의 개개의 길이가 짧은 선조체를 인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선조체에 인장도 조절용 장치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선조체가 스프링에 의해 인장 방향으로 힘을 받는 활주 가능한 작은 바퀴체를 통해서 긴장 상태로 인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조체에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등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튜브를 피복하거나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8. 바깥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하방향으로 긴 홈부를 가지며, 그 홈부의 바닥벽에 다수의 내외방향의 관통구멍을 종렬 배치 및 대향하는 쌍의 프레임 본체의 관통구멍과 같은 배치로 설치한 가로살로서의 선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와,
    양단에 숫나사를 가지며, 그 숫나사가 당해 프레임 본체가 대응하는 관통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당해 프레임 본체간에 인장 부착한 복수개의 가로살로서의 선조체와,
    숫나사에 외측으로부터 나사부착된 너트와,
    각각 프레임 본체의 홈부 내에 있어서 나사부의 주변에 끼워 장착되고, 홈부의 바닥벽과 너트와의 사이에 유지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진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KR10-2000-0061793A 1999-11-25 2000-10-20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KR100424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34005? 1999-11-25
JP33400599 1999-11-25
JP?2000-016113? 2000-01-25
JP2000016113A JP3453677B2 (ja) 1999-11-25 2000-01-25 薄板状品用コンテナ
JP2000131101A JP2001315772A (ja) 2000-04-28 2000-04-28 薄板状品のコンテナ
JP?2000-130868? 2000-04-28
JP?2000-131101? 2000-04-28
JP2000130868A JP2001315771A (ja) 2000-04-28 2000-04-28 薄板状品の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54A true KR20010051154A (ko) 2001-06-25
KR100424758B1 KR100424758B1 (ko) 2004-03-30

Family

ID=2767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793A KR100424758B1 (ko) 1999-11-25 2000-10-20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4758B1 (ko)
TW (1) TW50833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86B1 (ko) * 2010-11-29 2013-01-24 박윤 평판 적재용 와이어 랙
CN104118658A (zh) * 2013-04-25 2014-10-29 株式会社Gse 用于装载基片的具有线绳的盒体
CN108455069A (zh) * 2018-04-04 2018-08-28 安徽安缆模具有限公司 一种方便运行的冰箱隔层固定架
CN109809020A (zh) * 2019-01-02 2019-05-28 安徽雅格立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散装食品亚克力盒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77A (ja) * 1993-06-23 1995-01-13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搬送装置
JP3113198B2 (ja) * 1995-12-29 2000-11-27 株式会社秋田金属工業 板ガラス搬送用ラック
JPH09316838A (ja) * 1996-05-30 1997-12-09 Shin Nikkei Co Ltd ワイヤ張設型フェンス
JPH11171287A (ja) * 1997-12-08 1999-06-29 Starlite Co Ltd 大型基板用カセット
JPH11192953A (ja) * 1998-01-08 1999-07-21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等の板状物運搬保管用台車
JP3453677B2 (ja) * 1999-11-25 2003-10-06 株式会社岩崎製作所 薄板状品用コンテナ
JP2001315771A (ja) * 2000-04-28 2001-11-13 Shinwa Giken Co Ltd 薄板状品のコンテ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86B1 (ko) * 2010-11-29 2013-01-24 박윤 평판 적재용 와이어 랙
CN104118658A (zh) * 2013-04-25 2014-10-29 株式会社Gse 用于装载基片的具有线绳的盒体
CN108455069A (zh) * 2018-04-04 2018-08-28 安徽安缆模具有限公司 一种方便运行的冰箱隔层固定架
CN109809020A (zh) * 2019-01-02 2019-05-28 安徽雅格立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散装食品亚克力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758B1 (ko) 2004-03-30
TW508339B (en) 200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758B1 (ko) 박판형 물품용 컨테이너
US11034186B1 (en) Pumpkin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10976581B (zh) 一种用于型材热拉弯的保温工装
US7383959B1 (en) Bungee carousel
JP3453677B2 (ja) 薄板状品用コンテナ
JP3073047U (ja) 薄板状品のコンテナ
JP2001315771A (ja) 薄板状品のコンテナ
CN107499703A (zh) 一种灵芝运输用保护装置
CN210271688U (zh) 一种展会用门型展架
CN209720720U (zh) 一种自动堆积式螺旋输送网链
CN208251705U (zh) 集装箱商店
Bergshoeff et al. Open M5-branes
CN109733798A (zh) 一种自动堆积式螺旋输送网链
JP2001315772A (ja) 薄板状品のコンテナ
CN219708772U (zh) 一种可快速组合拆卸的绕线器
JP3069260U (ja) 薄板状品用コンテナ
CN201064328Y (zh) 便利展架
CN213664401U (zh) 一种拼接式多功能收纳柜
CN219661211U (zh) 一种置物架
CN212240987U (zh) 一种用于阀门组装的零件存储装置
CN220640615U (zh) 一种铝箔多卷包装用料架
CN210558508U (zh) 多功能超柔仿真丝纱线的存储支架
CN220548570U (zh) 一种包装袋环形冷却结构
CN209219729U (zh) 一种具有调节功能且可拆卸的不锈钢货架
CN211299275U (zh) 一种装修用产品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