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496A -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496A
KR20010049496A KR1020000031023A KR20000031023A KR20010049496A KR 20010049496 A KR20010049496 A KR 20010049496A KR 1020000031023 A KR1020000031023 A KR 1020000031023A KR 20000031023 A KR20000031023 A KR 20000031023A KR 20010049496 A KR20010049496 A KR 2001004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gear
sector gear
backlash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572B1 (ko
Inventor
사카모토유타카
혼다히로키
Original Assignee
후지타 히토시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히토시,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filed Critical 후지타 히토시
Publication of KR2001004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간소한 구성으로 백래시를 저감하므로서 안정성 및 착석감의 향상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트쿠션에 웜기어(10)를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함과 동시에, 시트백에 섹터기어(12)를 고정하여, 웜기어(10)와 섹터기어(12)를 서로 맞물린다. 또, 가압부재(42)에 의하여 섹터기어(12)를 웜기어(10)에 가압하여 잇빨면 사이의 백래시를 저감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BACKLASH REDUCING STRUCTURE FOR RECLINER ADJUSTER}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시트에 부착되는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seat back)의 경사각을 적의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reclining adjust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back lash) 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공소 42-79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섹터기어가 시트백에 고정되는 한쪽에 섹터기어와 끼워맞추기에 자유로운 웜기어를 시트쿠션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웜기어는 작동축에 연결되어있으며, 이 작동축을 축방향으로 인장하여, 또 들어올리므로서, 웜기어의 섹터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에 부하를 가하여도, 시트백은 경도(傾倒)하여 그 경사각을 신속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동축에서 손을 떼면, 웜기어는 섹터기어와 다시 맞물리고, 시트백은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 시트백의 경사각의 약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작동축을 회전시켜서 웜기어를 회전시키면, 웜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가 서서히 회전하여 시트백을 임이의 경사각을 무단계로 변경할 수가 있다.
최근에는 일본국 특개평 10-2178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찰각 이상의 리드각을 가진 섹터기어와 웜기어를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각각 부착하여, 시트백을 경도하므로서 섹터기어를 개재하여 웜기어를 회전시켜서 시트백의 경사각을 적의 변경하도록 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도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서로 맞물리는 섹터기어와 웜기어를 가진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경우, 섹터기어와 웜기어와의 잇빨면 사이에서 놀고 있는 백시트에 의하여 다른 음(異音)이 발생하기도 하고, 시트백의 안정성 또는 착석감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지닌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간소한 구성으로 백래시를 저감하므로서, 착석감이 향상하기도 하고,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시트쿠션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웜기어와, 시트백에 고정된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를 지니며, 가압부재에 의하여, 해당 섹터기어를 상기 웜기어에 가압하여 잇빨면 사이의 백래시를 저감하도록 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이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섹터기어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롤러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에 부착된 브래킷에 데이퍼홈을 형성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데이터 홈에 헐겁게 끼워서 상기 데이퍼홈의 가장자리부에 따라 힘이 가해지므로서, 상기 섹터기어를 상기 웜기어에 가압하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백래시 저감구조를 리클라이닝 어저스터(reclining adjuster)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다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에 설치된 긴급 록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백래시 저감구조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 제1브래킷 6, 8 : 제2브래킷
10 : 윔기어 12 : 섹터기어
14 : 앞쪽 베어링 16 : 뒤쪽 베어링
18, 20 : 스러스트 베어링 24 : 캠
26 : 브레이킹 28 : 롤러
30 : 브레이크슈 32 : 원호형 스프링
34 : 브레이크 드럼 36 : 중심축
38 : 평형 스프링 42 : 롤러
44 : 롤러 홀더 45 : 코일스프링
46 : 조작레버 56 : 록 부재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백래시 저감구조를 구비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를 표시하고 있으며, 시트쿠션(도시 없음)에 부착되는 한쌍의 제1브래킷(2, 4), 시트백(도시 없음)에 부착되는 한쌍의 제2브래킷(6, 8)을 구비하고 있다.
제1브래킷(2, 4)에는 웜기어(10)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한쪽에 제2브래킷(6, 8)에는 섹터기어(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웜기어(10)와 섹터기어(12)는 마찰각보다도 큰 리드각을 지니고, 서로 맞물리어 있다.
웜기어의 전단은 앞쪽 베어링(14)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웜기어(10)의 후단은 뒤쪽 베어링(16)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베어링(16)의 전후에 설치된 2개의 스러스트 베어링(18, 20)은 웜기어(10)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웜기어(10)의 전단에 설치된 긴급 록 기구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웜기어(10)의 전단에는, 와셔(22), 캠(24), 브레이킹(26)의 순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캠(24)의 주위에는 2개의 롤러(28, 28)를 개재하여, 2개의 비율로 브레이크슈(30)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슈(30)의 외주면의 축방향 중심에는 둘레 방향으로 뻗은 홈(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0a)에 끼워진 원호형 스프링(32)에 의하여 2개의 비율의 브레이크슈(30)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세되어 있다. 브레이킹(26) 및 브레이크슈(30)는 제1브래킷(2, 4)에 유지된 앞쪽 베어링(14)및 브레이크 드럼(34)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를 다시 설명한다.
섹터(12)의 중심에는 원형 구멍(12a)이 뚫어져 있는 동시에, 원형구멍(12a)에 헐겁게 끼워진 중심축(36)은 제1브래킷(2, 4)에 부착되어 있으며, 섹터기어(12)는 중심축(36) 둘레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중심축(36)의 한쪽에는 슬릿(3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릿(36a)에 일단이 물린 밸런스 스프링(38)의 타단이 제2브래킷(6, 8)에 부착된 맞물림축(40)에 물리어 있는 것으로서, 평형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트백은 항상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섹터기어(12)의 원형구멍(12a)과 이빨부(12b)와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가이드홈(1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12c)에는 롤러(42)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롤러(42)는, 또한 제1브래킷(2, 4)에 뚫어진 테이퍼 홈(2a, 4a)에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그 양단은, 중심축(36)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롤러 홀더(44)에 유지되어 있다. 롤러 홀더(44)는, 그 선단(44a)과 제2브래킷(2)에 양단이 물린 코일스프링(45)(도 5 참조)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화살표 P 방향으로 힘이 미친다.
제1브래킷(2)의 외측에는, 조작레버(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작레버(46)의 전단(46a)에는 착석자가 잡는 조작노브(도시 없음)가 부착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46)에는 제1링(48)을 개재하여, 제2링(50)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2링(50)의 전단부에는 2개의 축(52, 54)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축(52, 54)은 제1브래킷(2, 4)에 뚫어진 작은 직경구멍(2b, 4b) 및 큰 직경구멍(2c, 4c)에 헐겁게 끼워짐과 동시에, 록 부재(56)가 축(52, 54)에 부착되어 있다. 록 부재(56)의 선단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철은 앞쪽 베어링(14)의 상부 개구부(14a)를 개재하여 브레이킹(26)의 주위에 형성된 세렉션과 대향하고 있다.
또, 조작레버(46)는, 그 후단(46b)과 제1브래킷(2)에 설치된 핀(58)에 맞물린 코일스프링(도시 없음)에 의하여 화살표 Q 방향으로 힘이 미치고 있으므로, 록 부재(56)는, 축(5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선단이 브레이킹(26)의 세렉션과 당접하는 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조작레버(46)를 조작하지 아니한 통상의 상태에서는, 조작레버(46)에 후단(46b)의 물리어 있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조작레버(46)는 회살표 Q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큰 직경 구멍(2c, 4c)에 헐겁게 끼워진 축(54)과 작은 직경구멍(2b, 4b)에 헐겁게 끼워진 축(52)에 연결된 록부재(56)는 화살표 R 방향으로 가압력을 항상 받고 있다. 따라서, 록부재(56)의 선단은, 앞쪽 베어링(14)의 상부 개구부(14a)를 개재하여 브래이킹(26)과 맞물림(당접)하여 브레이킹(26)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다. 브레이킹(26)은 웜기어(10)의 전단부에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웜기어(10)의 회전도 저지되어 있으므로, 시트백의 시트쿠션에 대한 경사각은 유진된다.
시트백의 경사각을 변경한 경우, 조작레버(46)를 조작한 록부재(56)를 화살표 R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부재(56)와 브레이킹(26)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웜기어(10)는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서로 맞물리는 웜기어(10)와 섹터기어(12)와 섹터기어(12)의 리드각은 마찰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섹터기어(12)에 중심축(36) 둘레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웜기어(10)가 회전하므로, 시트백은 평형스프링(3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착석자가 시트백에 뒷쪽으로 하중을 가하므로서 뒤로 기운다. 소망의 위치에서 조작레버(46)에서 손을 떼면, 록부재(56)의 선단이 브레이킹(26)의 외주면과 다시 맞물리어 웜기어(10)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시트백의 경사각은 현대의 각도를 유지한다.
또, 조작레버(46)를 조작하여 록부재(56)와 브레이킹(26)의 맞물림을 해제한 록 오프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하여 차체에 큰 가감속도가 가해져도 긴급 록 기구에 의하여 시트백의 급격한 앞기울기 또는 뒷기울기는 방지된다.
즉, 록 오프상태에서, 웜기어(10)가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 또는 속도로 회전하면, 캠(24) 및 브레이크슈(30)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브레이크슈(30)는 원호형 스프링(32)의 탄력에 대항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넓혀져서 브레이크 드럼(34)의 내부면과 당접하여, 그 회전이 정지한다. 그 결과, 롤러(28, 28) 및 캠(24)을 개재하여 웜기어(10)의 회전도 정지하므로, 시트백의 급격한 앞기울기 또는 뒷기울기가 저지되어, 시트백은 그 위치에 유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값 이상의 회전가속도로 웜기어(10)가 회전하면, 브레이크슈(30)에는 그 관성질량에 의하여 회전에 대한 항력(抗力)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캠(24)과 브레이크슈(30)와의 상대위치가 변화하여, 캠(24) 및 브레이크슈(30)의 쌍방에 설치한 요부(凹部)(24a, 30b)의 경사면에 따라서, 롤러(28, 28)가 약간 회전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슈(30)가 넓혀져서, 그 외주면이 브레이크 드럼(34)의 내주면과 당접하여 웜기어(10)가 록된다.
또,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로 웜기어(10)가 회전하면, 브레이크슈(30)는 원심력에 의하여 넓혀져서, 그 외주면이 브레이크 드럼(34)의 내주면과 당접하여 웜기어(10)가 록한다.
웜기어(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속도의 설정은, 브레이크슈(30)가 안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원호형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백래시 저감기구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롤러 홀더(44)는 그 선단(44a)에 물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 P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롤러 홀더(44)에 유지된 롤러(42)는 화살표 S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진다. 제1브래킷(2, 4)에 형성된 테이퍼홈(2a, 4a)과 섹터기어(12)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c)은 소정의 각도로 교차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러(42)는 테이퍼홈(2a, 4a)의 위 가장자리와 당접하면서 쐐기형상으로 들어가서, 섹터기어(12)가 웜기어(10)를 향하여 하방으로 힘이 치우친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정밀도가 다소 나쁘더라도, 섹터기어(12)의 잇빨부(12b)가 웜기어(10)의 홈부에 가압되어서, 섹터기어(12)와 웜기어(10)와의 잇빨면 사이에서 놀고 있으므로, 백래시를 저감할 수가 있다.
상기 백래시 저감구조에 있어서는, 롤로(42)가 섹터기어(12)의 가압부재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에 의하여 섹터기어가 웜기어에 가압되어 잇빨면 사이의 백래시를 저감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안정성 및 착석감이 향상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를 섹터기어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롤러로 구성함과 동시에 시트쿠션에 부착된 브래킷에 테이퍼 홈을 형성하여, 롤러를 테이퍼 홈에 헐겁게 끼워서 테이펴 홈의 가장자리부에 따라서, 힘이 가해지므로 섹터기어를 웜기어에 가압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백래시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시트쿠션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웜기어와, 시트백에 고정된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를 지니며, 가압부재에 의하여 해당 섹터기어를 상기 웜기어에 가압하여 잇빨면 사이의 백래시를 저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섹터기어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롤러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에 부착한 브래킷에 테이퍼홈을 형성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테이퍼홈에 헐겁게 끼워서 상기 데이퍼홈의 가장자리부에 따라서 힘이 미치게 하므로서, 상기 섹터기어를 상기 웜기어에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KR10-2000-0031023A 1999-06-08 2000-06-07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KR100380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0886 1999-06-08
JP16088699A JP4311818B2 (ja) 1999-06-08 1999-06-08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のバックラッシ低減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96A true KR20010049496A (ko) 2001-06-15
KR100380572B1 KR100380572B1 (ko) 2003-04-18

Family

ID=1572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023A KR100380572B1 (ko) 1999-06-08 2000-06-07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8104B1 (ko)
EP (1) EP1059193B1 (ko)
JP (1) JP4311818B2 (ko)
KR (1) KR100380572B1 (ko)
DE (1) DE600237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6543B2 (en) * 2001-01-05 2006-06-2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Powered fold-flat seat hinge assembly
AU2003219735A1 (en) * 2002-02-12 2003-09-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EP1483134B1 (en) * 2002-02-12 2006-06-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otive seat with active back
US6764136B2 (en) * 2002-02-26 2004-07-20 Delta Tooling Co., Ltd. Reclining adjuster
JP4184775B2 (ja) 2002-12-12 2008-11-19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4512423B2 (ja) * 2004-06-04 2010-07-28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4528041B2 (ja) 2004-07-07 2010-08-18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4998867B2 (ja) 2005-01-27 2012-08-15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US7246858B2 (en) * 2005-07-19 2007-07-24 Long-Chuan Hsu Structure to adjust a seat back
DE602006019181D1 (de) * 2005-09-20 2011-02-10 Mazda Motor 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WO2007043233A1 (ja) * 2005-10-12 2007-04-19 Delta Tooling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US7735927B2 (en) * 2006-07-28 2010-06-15 Honda Motor Co., Ltd. Anti-backlash resistant gearing for a seat mechanism
US20090021066A1 (en) * 2007-07-17 2009-01-22 Lear Corporation Smartfold power drive
US7775594B2 (en) * 2008-08-01 2010-08-17 Bae Industries, Inc. Power seat assembly with motor actuated spring release and rewind of a seatback sector and with the motor removed from an inertial load path such as during an impact event
TWI477844B (zh) * 2009-03-24 2015-03-21 Asustek Comp Inc 具有可調整角度功能的電子裝置
JP5278268B2 (ja) * 2009-09-25 2013-09-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JP4985744B2 (ja) * 2009-10-28 2012-07-25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DE102010049479A1 (de) * 2010-10-27 2012-05-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zu verstellende Fahrzeugbaugruppe
US8550559B2 (en) * 2010-11-24 2013-10-08 Everett Sollars Power disc style seat recliner
US9145072B2 (en) 2010-11-24 2015-09-29 Everett Sollars Power disc style seat recliner
JP6275716B2 (ja) * 2013-07-04 2018-02-07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回転動作制御機構及びシート
DE102014208076A1 (de) * 2013-10-23 2015-05-07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Elektrisch betriebener Lehnenversteller und 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Lehnenverstell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7950Y1 (ko) 1964-05-11 1967-04-20
DE1625013A1 (de) * 1967-05-05 1970-06-11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er
GB2117484B (en) * 1982-03-09 1986-03-12 Richardsons Westgarth And Co L Valve actuating gearing
US4528862A (en) * 1983-12-20 1985-07-16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recision gear mount
US4685735A (en) * 1985-03-18 1987-08-11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Tilt worm recliner
JPS643367A (en) * 1987-06-25 1989-01-09 Asmo Co Ltd Adjusting structure for backlash of gear
US5295730A (en) * 1991-12-18 1994-03-22 Itt Corporation Double enveloping worm and gear seat recliner
US5590562A (en) * 1993-11-12 1997-01-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Manual passive quick adjustment device
JP3881075B2 (ja) 1997-02-12 2007-02-14 デルタ工業株式会社 緊急ロック機構を備えた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10258654A (ja) * 1997-03-18 1998-09-29 Delta Tsuuring:Kk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H11160886A (ja) 1997-11-21 1999-06-18 Nec Toyama Ltd 露光プリンター用焼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3791D1 (de) 2005-12-15
US6428104B1 (en) 2002-08-06
DE60023791T2 (de) 2006-06-01
EP1059193A3 (en) 2002-02-06
KR100380572B1 (ko) 2003-04-18
JP4311818B2 (ja) 2009-08-12
JP2000342371A (ja) 2000-12-12
EP1059193B1 (en) 2005-11-09
EP1059193A2 (en) 200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9496A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EP1340648B1 (en) Reclining adjuster
KR100589834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US5336137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JP2008543456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4184775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US5553922A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S60193411A (ja) 座席の角度調整装置
WO2007043628A1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GB2248481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JP4245366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269134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577950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0135338A (ja)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430919Y2 (ko)
JP4512423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2000225032A (ja) 座席の調節装置
JP2004314749A (ja) 電動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2581044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8131291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078775B1 (ko) 차량용 접이식 시트
JPH1175991A (ja) 車両用シートの無段階アジャスタ
JPH0357761B2 (ko)
JPH0531963Y2 (ko)
JP2000102439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