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062A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062A
KR20010049062A KR1019990053986A KR19990053986A KR20010049062A KR 20010049062 A KR20010049062 A KR 20010049062A KR 1019990053986 A KR1019990053986 A KR 1019990053986A KR 19990053986 A KR19990053986 A KR 19990053986A KR 20010049062 A KR20010049062 A KR 20010049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planetary gear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125B1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1999005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1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Handcart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수단의 구동 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면 스텝구동방식으로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그 구동장치는 동력발생장치(12)의 주축(14)에 장착된 구동기어(16); 구동기어(16)에 치합되는 링기어(22)와, 각각 링기어(22)에 치합하며 지지축(24;2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및 제 2유성기어(26;30)와, 각각의 지지축(24,28)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32)와, 각각의 유성기어(26,30)사이에 치합되고 제 1휠(34)이 장착된 종축(36)에 고정되는 선기어(38)를 구비한 제 1동력전달장치(18); 구동기어(16)에 치합되는 링기어(42)와, 링기어(42)에 치합하며 각각 지지축(44;4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및 제 2유성기어(46;50)와, 각각의 지지축(44,48)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52)와, 각각의 유성기어(46,50)사이에 치합되고 제 2휠(54)이 장착된 종축(56)에 고정되는 선기어(58)를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20);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8,20)가 상호 스텝작동할 때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고 지지축(24), 지지축(48) 및 주축(14)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캐리어(60);및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8;20)의 회전축 역할을 하기 위한 기축프레임(64)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동장치{DRIVING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이동수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휠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면 스텝구동방식으로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승용차 또는 상용차와 같은 형태의 차량, 장애자 또는 환자가 이동을 위해 탑승하는 휠체어, 화물 또는 짐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 장갑차 또는 특장차와 같은 특수차량 등 다양한 이동수 단이 널리 개발되어 있어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특수한 목적에 긴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들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차체(1)를 포함한다. 이 차체(1)의 소정의 위치에는 물론 엔진(2)이 탑재되어 있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차체(1)에는 엔진(2)에 연계되어 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휠(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을 작동시키면, 구동장치에 연결된 휠이 회전됨으로써 해당차량 또는 이동수단이 구동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수단들은 대부분 휠이 액슬축 또는 구동축에 대해 회전구동만을 행함으로써 평지 또는 한정된 높이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무난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중 모래밭, 진흙밭 또는 높은 장애물을 만나거나 특히, 계단에 이르게 되면 휠이 헛돌거나 또는 그 장애물들을 타고넘지 못해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휠체어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센서, 동력발생수단 및 동력발생수단을 설치하여 전방의 장애물을 넘어가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그 구성이 복잡하며 고장의 발생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수단의 이동중 장애물에 의해 제지되는 경우 그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에 일정크기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휠이 스텝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며 외관이 콤팩트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절반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의 제 1동력전달장치 및 제 2동력전달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절반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도 5의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장치들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로서, 도 3의 타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와 유사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체 12, 102: 동력발생장치
14, 104: 주축 16,106: 구동기어
18, 107: 제 1동력전달장치 20, 109: 제 2동력전달장치
32,52,124,144: 유성기어캐리어 60, 150: 가변캐리어
64, 156: 기축프레임
이 같은 목적들은 장애물을 넘을 수 있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의 주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와, 상기 각각의 지지축을 상호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와, 제 1유성기어와 제 2유성기어사이에 치합되고 일단부에 제 1휠이 장착된 종축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와 동일방향으로 구동하는 선기어를 구비한 제 1동력전달장치;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와, 상기 각각의 지지축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와, 제 1유성기어와 제 2유성기어사이에 치합되고 일단부에 제 2휠이 장착된 종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선기어를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와 제 2동력전달장치를 상호 넘어가는 방식으로 위치이동할 때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고 제 1동력전달장치의 회전축, 제 2동력전달장치의 회전축 및 주축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축이 삽입고정 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변캐리어; 및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장치가 상호 위치변경할 때 각각의 동력전달장치의 공전축 역할을 하도록, 중앙에는 주축이, 양 측단에는 각각의 동력전달장치의 종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축프레임;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상술된 목적들은 또한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의 주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종축에 고정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와, 각각의 유성기어가 내측에서 치합되며 외측에 제 1타이어가 장착되는 링기어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연결하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유성기어캐리어를 구비한 제 1동력전달장치;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종축에 고정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가 내측에서 치합되며 제 2타이어가 장착되는 링기어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유성기어캐리어를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와 제 2동력전달장치가 상호 넘어가는 방식으로 회전될 때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고 제 1동력전달장치의 하나의 회전축, 제 2동력전달장치의 하나의 회전축 및 상기 주축에 연장된 중심축을 적정각도로 유지 및 안내하도록 상기 각각의 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변캐리어; 및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와 제 2동력전달장치가 스텝방식으로 위치가 변환되는 경우 중심축 역할을 하도록, 양단에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장치의 종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사이에 상기 주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축프레임을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인 바, 명확성을 위해 구동장치의 절반부만을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에 표시된 방향성 용어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첨부도면을 정면에서 투시할 때 설정된 용어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와 같은 방향성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승용차, 상용차, 운반수단, 휠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차체를 포함할 수 있는 차체(10)에 설치된다. 물론 그 차체(10)에는 일반적인 연소엔진 또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12)가 탑재되어 있으며, 그 동력발생장치에는 예컨대 액슬축과 같은 주축(14)을 포함한다. 주축(14)에는 동력발생장치(12)에서 발생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16)가 설치된다.
구동기어(16)에는 제 1동력전달장치(18) 및 제 2동력전달장치(20)가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상호 대향하게 조립된다. 제 1동력전달장치(18)는 외주면이 구동기어(16)와 치합되는 링기어(22)와, 그 링기어(22)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26)와, 역시 링기어(22)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26)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30)와, 지지축(24)과 지지축(28)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32)와, 제 1유성기어(26)와 제 2유성기어(30)사이에 각각의 유성기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일단부는 유성기어캐리어(3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 1휠(34)이 장착되는 종축(36)에 고정되는 선기어(38)를 구비한다.
또한, 제 2동력전달장치(20)도 외주면이 구동기어(16)와 치합되는 링기어(42)와, 그 링기어(42)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46)와, 역시 링기어(42)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46)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50)와, 지지축(44)과 지지축(48)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52)와, 제 1유성기어(46)와 제 2유성기어(50)사이에 각각의 유성기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일단부는 유성캐리어(5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 2휠(54)이 장착되는 종축(56)에 고정되는 선기어(58)를 구비한다.
한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 장애물에 의해 저지되거나 계단을 오르는 경우 제 1동력전달장치(18)와 제 2동력전달장치(20)를 스텝방식으로 위치를 상호 변경시킬 수 있도록 가변캐리어(60)가 설치된다. 가변캐리어(6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62)이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제 1동력전달장치(18)의 제 1유성기어(26)의 회전축(24) 및 제 2동력전달장치(20)의 제 2유성기어(50)의 회전축(48)이 일정범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물론, 가변캐리어(60)의 가이드홈(62)에 수용된 각각의 회전축(24,48)사이에는 주축(14)이 방해없이 삽입된다.
또한, 제 1휠(34)과 제 2휠(54)이 스텝방식으로 위치가 변환되는 경우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축프레임(64)을 포함한다. 기축프레임(64)의 중앙에는 주축(14)이, 양 측단에는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8;20)의 종축(36;56)이 예컨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있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에 의해 대부분의 구성부품들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기본적으로 동력발생장치(102),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된 주축(104) 및 주축(104)에 연결된 구동기어(106)를 구비한다. 또한, 그 구동기어(106)에는 제 1동력전달장치(107) 와 제 2동력전달장치(109)가 연계되어 작동된다.
제 1동력전달장치(107)는 구동기어(106)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08), 종동기어(108)에 형성된 종축(110)에 고정된 선기어(112)와, 각각 선기어(112)에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114;116)와, 각각의 유성기어(114;116)가 내측에서 치합되는 링기어(118)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유성기어(114;116)는 회전축(120;1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120;12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애물을 만나거나 계단을 오를 때, 즉 구동장치가 스텝방식으로 작동될 때 각각의 유성기어가 고정되도록 유성캐리어(124)와 가변캐리어(1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물론, 링기어(118)의 일측에는 타이어휠(126)이 종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타이어휠(126)에는 제 1타이어(128)가 장착되어 지면에 접촉된다.
제 1동력전달장치(107)에 대응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109)는 구동기어(106)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29), 종동기어(129)에 형성된 종축(130)에 고정된 선기어(132)와, 각각 선기어(132)에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134;136)와, 각각의 유성기어(134;136)가 내측에서 치합되는 링기어(138)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유성기어(134;136)는 회전축(140;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140;14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애물을 만나거나 계단을 오를 때, 즉 구동장치가 스텝방식으로 작동될 때 각각의 유성기어가 고정하도록 유성캐리어(144)와 가변캐리어(1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물론, 링기어(138)의 일측에는 타이어휠(146)이 종축(1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타이어휠(146)에는 제 2타이어(148)가 장착되어 지면에 접촉된다.
한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 장애물에 의해 저지되거나 계단을 오르는 경우 제 1동력전달장치(107)와 제 2동력전달장치(109)를 스텝방식으로 안내하기위해 가변캐리어(150)가 설치된다. 가변캐리어(15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52)이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제 1동력전달장치(107)의 하나의 회전축(122)및 제 2동력전달장치(109)의 하나의 회전축(140)이 일정범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물론, 가변캐리어(150)의 가이드홈(152)에 수용된 각각의 회전축(122,140)사이에는 주축(104)으로부터 중심축(154)이 방해없이 삽입된다.
또한, 제 1동력전달장치(107)와 제 2동력전달장치(109)가 스텝방식으로 위치가 변환되는 경우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축프레임(156)이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07;109)의 종동기어(108;129)와 타이어휠(126;146)사이에 설치된다. 기축프레임(156)의 중앙에는 주축(104)이, 양 측단에는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07;109)의 종축(110;130)이 예컨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평지 또는 낮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예컨대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12)가 작동하면 주축(14)에 장착된 구동기어(16)가 정회전 하고, 그 구동기어(16)에 치합된 제 1동력장치(18)의 링기어(22) 및 제 2동력장치(20)의 링기어(42)가 역회전하며, 각각의 링기어(22;42)의 내측에 치합된 각각의 제 1유성기어(26,30;46,50)의 자전에 의해 각각의 동력장치(18;20)의 선기어(38;58)가 정회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선기어(38;58)의 종축(36;56)에 장착된 각각의 휠(34;54)이 정회전됨으로써 차량이 예컨대, 전방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중에 예컨대 비교적 높이가 높은 장애물에 걸리거나 계단을 만나 제 1휠(34)이 걸려 정지하면, 제 1휠(34)에 연게된 선기어(38), 각각의 유성기어(26,30) 및 링기어(22)가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동력발생장치(12)에 연결된 구동기어(16)는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구동기어(16)가 정지된 링기어(22)의 외주변에 치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간다. 이때, 제 2동력전달장치(20)는 기축프레임(64)이 종축(3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에 따라 주축(14)과 함께 제 1동력전달장치(18)를 넘어가게 되어 스텝작동이 행해지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스텝작동중에 제 1동력전달장치(18)의 유성기어(26)의 지지축(24)과 제 2동력전달장치(20)의 유성기어(50)의 지지축(48)이 회전가능하게 교차연결되는 슬라이드식 가변캐리어(60)에 의해 각각의 유성기어(26,30;46,50)의 공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 1동력발생장치(18)에 대해 제 2동력발생장치(20)가 공전하는 방식으로 전방으로 넘어가는 동안 각각의 유성기어캐리어(32,52) 와 주축(14)이 가변캐리어(60)의 가이드홈(62)에서 제한된 범위내에서 활주된다. 이에 따라, 이들이 상호 적절한 각도 및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스텝작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동력전달장치(18)에 대해 제 2동력전달장치(20)가 스텝작동함에 따라 제 2휠(54)이 제 1휠(34)을 넘어가게 됨으로써 장애물을 넘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텝작동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작동에 의하면, 차량이 평지 또는 낮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예컨대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102)가 작동하면 주축(104)에 장착된 구동기어(106)가 정회전하고, 그 구동기어(106)에 치합된 제 1동력장치(107)의 종동기어(108) 및 제 2동력장치(109)의 종동기어(129)가 역회전하며, 각각의 종동기어(108;129)에 연결된 각각의 선기어(112;132) 또한 역회전하며, 그 선기어(112;132)에 치합된 각각의 유성기어(114.116;134,136)의 자전에 의해 그 각각의 유성기어들에 치합된 링기어(118;138)가 정회전함으로써, 각각의 타이어(128;148)가 회전되어 차량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중에 장애물을 만나거나 계단을 만나 제 1타이어(128)가 걸려 정지하면, 제 1타이어(128)에 연계된 링기어(118), 유성기어(114,116), 선기어(112)가 정지됨과 동시에 종동기어(108)가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동력발생장치(102)는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구동기어(106)가 계속 회전구동 되므로, 그 구동기어(106)가 종동기어(108)의 외주변에 치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간다. 이때, 제 2동력전달장치(109)는 기축프레임(156)이 종축(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에 따라 주축(104)과 함께 제 1동력전달장치(107)를 넘어가게 되어 스텝작동이 행해지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스텝작동중에 제 1동력전달장치(107)의 유성기어(116)의 지지축(122)과 제 2동력전달장치(109)의 유성기어(134)의 지지축(140)이 회전가능하게 교차연결되는 슬라이드식 가변캐리어(150)에 의해 각각의 유성기어(114,116;134,136)의 공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 1동력발생장치(107)에 대해 제 2동력발생장치(109)가 공전하는 방식으로 전방으로 넘어가는 동안 각각의 유성기어캐리어(124;144) 와 중심축(154)이 가변캐리어(150)의 가이드홈(152)에서 제한된 범위내에서 활주된다. 이에 따라, 이들이 상호 적절한 각도 및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스텝작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동력전달장치(107)에 대해 제 2동력전달장치(109)가 스텝작동함에 따라 제 2타이어(148)가 제 1타이어(128)를 넘어가게 됨으로써 장애물을 넘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텝작동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동력발생장치를 역회전시키면 상술된 바와 같은 작동이 역전되어 차량이 후진됨은 물론 후방으로의 스텝작동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차량, 휠체어, 운반차량 등과 같은 이동차량에 설치하면, 차량의 이동중 장애물에 걸리면 회전구동이 스텝구동으로 변환되어 장애물을 넘을 수 있으며, 계단에 이르면 연속적으로 스텝구동을 행하여 계단을 오를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며, 가변캐리어에 의해 스텝구동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한, 구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외관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5)

  1. 장애물을 넘을 수 있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12)의 주축(14)에 장착된 구동기어(16);
    상기 구동기어(16)에 치합되는 링기어(22)와, 상기 링기어(22)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26)와, 상기 링기어(22)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26)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30)와, 상기 각각의 지지축(24,28)을 상호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32)와, 제 1유성기어(26)와 제 2유성기어(30)사이에 치합되고 일단부에 제 1휠(34)이 장착된 종축(36)에 고정되며 구동기어(16)와 동일방햐으로 구동하는 선기어(38)를 구비한 제 1동력전달장치(18);
    상기 구동기어(16)와 치합되는 링기어(42)와, 상기 링기어(42)의 내주면과 치합하며 지지축(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유성기어(46)와, 상기 링기어(42)의 내주면에 제 1유성기어(46)와 대향하도록 치합되며 지지축(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유성기어(50)와, 상기 각각의 지지축(44,48)을 연결하는 유성기어 캐리어(52)와, 제 1유성기어(46)와 제 2유성기어(50)사이에 치합되고 일단부에 제 2휠(54)이 장착된 종축(56)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16)와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선기어(58)를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20);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8)와 제 2동력전달장치(20)를 상호 넘어가는 방식으로 위치이동할 때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고 제 1동력전달장치(18)의 회전축(24), 제 2동력전달장치(20)의 회전축(48) 및 주축(14)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축(24,14,48)이 삽입고정 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된 가변캐리어(60); 및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8;20)가 상호 위치변경할 때 각각의 동력전달장치의 공전축 역할을 하도록, 중앙에는 주축(14)이, 양 측단에는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8;20)의 종축(36;36)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축프레임(64);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캐리어(60)의 가이드 홈(6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축(24,14,48)이 일정범위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8)의 회전축(24)과 제 2동력전달장치(20)의 회전축(48)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102)의 주축(104)에 장착된 구동기어(106);
    상기 구동기어(106)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08)와, 상기 종동기어(108)의 종축(110)에 고정된 선기어(112)와, 상기 선기어(112)에 각각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114;116)와, 각각의 유성기어(114;116)가 내측에서 치합되며 외측에 제 1타이어(128)가 장착되는 링기어(118)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114;11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20;122)과,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연결하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유성기어캐리어(124)를 구비한 제 1동력전달장치(107);
    상기 구동기어(106)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29)와, 상기 종동기어(129)의 종축(130)에 고정된 선기어(132)와, 상기 선기어(132)에 각각 치합되는 2개의 유성기어(134;136)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134;136)가 내측에서 치합되며 제 2타이어(148)가 장착되는 링기어(138)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134;13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40;142)과,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회전축(140;142)을 연결하는 유성기어캐리어(144)를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07)와 제 2동력전달장치(109)가 상호 넘어가는 방식으로 회전될 때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을 방지하고 제 1동력전달장치(107)의 하나의 회전축(122), 제 2동력전달장치(109)의 하나의 회전축(140) 및 상기 주축(104)에 연장된 중심축(154)을 적정각도로 유지 및 안내하도록 상기 각각의 축(122,140,104)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52)이 형성된 가변캐리어(150); 및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07)와 제 2동력전달장치(109)가 스텝방식으로 위치가 변환되는 경우 중심축 역할을 하도록, 양단에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07;109)의 종축(110;1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사이에 상기 주축(104)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축프레임(156)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캐리어(150)의 가이드홈(15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일홈을 이루며, 상기 각각의 축(122,140,154)이 일정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축프레임(156)은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장치(107;109)의 종동기어(108;129)와 타이어휠(126;146)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축(104,110,130)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19990053986A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KR10032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86A KR100320125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86A KR100320125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62A true KR20010049062A (ko) 2001-06-15
KR100320125B1 KR100320125B1 (ko) 2002-01-10

Family

ID=1962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986A KR100320125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10B1 (ko) * 2001-05-11 2003-12-03 박성기 구동휠 구조
WO2008002050A1 (en) * 2006-06-27 2008-01-03 Ki-Soo Kim Driv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10B1 (ko) * 2001-05-11 2003-12-03 박성기 구동휠 구조
WO2008002050A1 (en) * 2006-06-27 2008-01-03 Ki-Soo Kim Driving system
US8393420B2 (en) 2006-06-27 2013-03-12 Ki-Soo Kim Driving system for stair-climb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125B1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1B1 (ko) 구동장치
KR100316575B1 (ko) 전기모터 구동휠 장착 차량
JP2005067334A (ja) 全方向移動用車輪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フレキシブルタイヤ
JPH0453730B2 (ko)
JP2004001682A (ja) 電気自動車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
JP5467423B2 (ja) 段差乗越車輪及び車輪型ロボット
JP4147581B2 (ja) 全方向移動車
CN210592208U (zh) 一种应用复杂地形的小型车辆底盘结构
KR100425508B1 (ko) 휠체어
KR20110017249A (ko) 구동장치
KR100320125B1 (ko) 구동장치
US5941790A (en) Drive axle assembly
KR100320124B1 (ko) 구동장치
CN109693757B (zh) 自行车无段自动变速装置
JPH0692272A (ja) 走行車
CN216101515U (zh) 一种运输车的驱动模块及运输车
JPH0764206B2 (ja) 全方向移動車のステアリング機構
KR20180000920U (ko) 구동장치
JP2002085474A (ja) 車椅子の電気駆動車輪
JP4138374B2 (ja) 車輪の駆動装置及びゴルフカー
JP5063962B2 (ja) 脚と車輪を有する移動体
KR0148706B1 (ko) 전방향 유성차륜 장치
JP3524639B2 (ja) 車いす
JP3301878B2 (ja) 宇宙探査用走行車
CN219487069U (zh) 可变形轮胎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