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499A -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 Google Patents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499A
KR20010048499A KR1019990053198A KR19990053198A KR20010048499A KR 20010048499 A KR20010048499 A KR 20010048499A KR 1019990053198 A KR1019990053198 A KR 1019990053198A KR 19990053198 A KR19990053198 A KR 19990053198A KR 20010048499 A KR20010048499 A KR 2001004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arking
circular
dimensional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하루 이와미
Original Assignee
이와미 겡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미 겡이찌 filed Critical 이와미 겡이찌
Priority to KR101999005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8499A/ko
Publication of KR2001004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과제)
좁은 토지이더라도 용이하게 원형의 주차장의 구축이 가능하며,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한다.
(해결수단)
시계의 시각위치에 맞추어 주차존(5)에 승용차(3)을 방사상으로 주차시킨다. 승용차(3)의 주차위치는,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끼리의 거리를 20cm∼60cm, 바람직하게는 약 40cm로 한다. 주차존(5)의 중앙부에는 회전승강장치(4)를 배설한다. 승용차(3)을 회전승강장치(4)에 전진하여 들어가며, 외측의 틀구조체가 회전하고, 틀구조체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케이지가 승강한다.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주차존(5)에 승용차(3)을 주차시킨다. 입체주차장을 원형으로 구축하고 있으므로, 토지의 형상과 도로와의 위치관계에 관계없이 승용차(3)의 출입구(2)를 설치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 입체주차장{THREE-DIMENSIONAL PARKING LOT WITH A PARKING LOT-IN THE ROUND AND CIRCLING CUBIC PARKING LOT TOGETHER WITH CIRCLING LIFT EQUIPMENT}
본발명은 좁은 토지에 효율좋게 승용차를 주차시키도록 한 자주식(自走式)의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 입체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을 구축할 경우, 널찍널찍 한 토지가 있으면 별로 생각하는 일 없이, 적당히 흰줄을 그어 주차 스페이스를 확보하도록 하면 좋다. 그렇지만, 부지면적이 좁은 토지밖에 없을 경우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어떻게 많은 승용차를 주차시킬까 생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정한 면적의 토지가 있더라도, 그 토지의 형상(정사각형, 직사각형등), 및 토지의 어느측으로 도로와 접하고 있는 가에 의해 주차장구축의 가부가 결정되든지, 또는, 도로와 주차장의 출입구와의 관계에 의해 역시 주차장구축의 가부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부터 구축되어 온 주차장은, 입체가 아닌 평면의 주차장이나, 입체주차장이며, 이것들의 주차장은 평면도는 정방형, 직사각형이라는 직사각형상의 것이다. 도33은 종래의 평면 또는 입체주차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들면, 1층에서 12대의 승용차가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이다.
즉, 도33에있어서 주차장(70)을 평면으로 한 경우에는, 중앙의 통로(72)의 양측에 승용차를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스페이스(71)을 연속하여 설치하여 나가며, 도로에 대응시키고서 도33(a)에서는 상측 또는 하측을 출입구로 하며, 도33(b)에서는 좌측 또는 우측을 출입구로 하고있다.
그리고, 주차장(70)의 안길이가 없는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서 주차스페이스(71)을 적게하여 주차장(70)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평면주차장에서가 아니라 2층이상의 입체주차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식의 승강장치(73)을 주차스페이스(71)의 중앙에 설치하여, 이 승강장치(73)을 도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듯이 이동 자재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1층의 2개의 주차스페이스(71)을 승용차의 통로로 하며, 도33(a)에서는 좌우의 어느쪽인가가 출입구가 되고, 또한, 도33(b)에서는 상하의 어느쪽인가를 출입구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33의 경우에서 입체주차장으로 한 경우에서는, 1층은 주차스페이스(71)이 10대분이 되며, 2층 이상은 12대분의 주차스페이스(71)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승강장치(73)에 의해 전진입고, 후진출고로써 하고 있다.
종래의 평면이 직사각형상인 주차장에서는, 승용차의 통로가 되는 부분이나, 승강장치(73)을 이동시키는 스페이스 부분이 주차장 전체의 약1/3이나 소비되게 되어, 토지의 유효스페이스의 활용성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 네 귀퉁이까지 토지를 가능한 한 다 사용하게 되어, 나무들을 심는다는 일도 불가능하며, 녹화라는 관점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직사각형상의 입체주차장에 대하여 원형의 입체주차장은 이미 존재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본발명의 원형주차장이나 원형의 입체주차장보다 직경이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즉, 직사각형상 또는 원형의 주차장을 구축할 경우에 먼저 생각하는 것은, 주차 스페이스의 확보이며, 주차가능하다고 가정하는 승용차는 일반적으로는 국산의 보통승용차이다. 이 경우, 승용차의 길이와 가로폭에서 원형주차장의 직경이 결정되고 있다.
요컨대 지금까지의 주차장 설계자는, 승용차 가로폭의 치수는, 주로 운전석 부근의 최대 가로폭 치수라고 생각되는 최대의 길이의 치수로, 직사각형상의 승용차의 모델을 평면적으로 만들어, 이 직사각형상의 승용차의 모델을 써서 원형의 주차장의 직경을 생각하였다.
도34는 이 경우의 모델의 도를 나타내며, 원주상의 승강장치가 배설되는 원형의 승강 스페이스(75)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승용차의 모델(74)를 배치하여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승용차의 모델(74)는, 가로폭을 승용차의 최대 가로폭 치수에 대응시키고 있다.
각 모델(74)를 중심을 향해 가까이 하여 가면 인접하는 모델(74)의 가장자리부분이 접촉하기때문에, 가장자리부분끼리가 접촉하지않도록 모델(74)를 지름방향의 외측으로 겹치지않도록 비켜간다. 그리고, 서로 이웃이 되는 모델(74)의 가장자리부끼리의 치수(도중의 가)를 사람이 지날 수 있는 치수까지 모델(74)를 외측으로 겹치지않도록 비켜간다.
살찐 사람도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역시 80∼1OOcm(도중의 가의 치수)정도를 확보해 놓아, 그것에 의하여 원형의 주차장의 직경을 결정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의 승용차의 후부의 가로폭은, 운전석부근의 최대 가로폭보다도 꽤 좁게 되어 있고, 더구나, 승용차의 후부는 트렁크때문에 키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34에 나타나는바와 같은 평면적이고 직사각형상의 승용차의 모델(74)에서 결정한 치수 가와, 실제로 승용차를 주차시킨 경우의 치수 가는 크게 달라져 있음을 본발명자는 깨달았던 것이다.
그 때문에, 종래의 원형주차장의 직경이 대단히 커져 있고, 좁은 토지에는 원형의 주차장을 구축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았다.
본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제공한 것이어서, 좁은 토지이더라도 용이하게 원형의 주차장의 구축이 가능하고,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 입체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1]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파단평면도이다.
[도2]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도1의 A-A단면도이다.
[도3]
(a)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b)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4]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5]
(a)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b)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6]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케이지와 팔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기둥의 배치방법의 설명도이다.
[도8]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기둥의 다른 배치방법의 설명도이다.
[도9]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와 승용차와의 배치의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가 주차존에 이동할 때에 이동하중 등을 받을 경우의 대책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1]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가 주차존에 이동할 때에 이동하중 등을 받을 경우의 다른 대책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2]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가 주차존에 이동할 때에 이동하중 등을 받을 경우의 더욱 더 다른 대책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3]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가 주차존에 이동할 때에 이동하중 등을 받을 경우의 별도의 대책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4]
본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승용차가 주차존에 이동할 때에 이동하중 등을 받을 경우의 더욱 별도의 대책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5]
본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파단평면도이다.
[도16]
본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도15의 A-A단면도이다.
[도17]
본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과 종래의 주차장과의 상이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
본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파단평면도이다.
[도19]
본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도18의 A-A단면도이다.
[도20]
본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과 종래의 주차장과의 상이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
본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22]
본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정면도이다.
[도23]
본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의 단면도이다.
[도24]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틀구조체 내지 케이지의 설명도이다.
[도25]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을 지상식으로 한 경우의 도이다.
[도26]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을 반지하식으로 한 경우의 도이다.
[도27]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을 지하식으로 한 경우의 도이다.
[도28]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을 빌딩내의 지하식으로 한 경우의 도이다.
[도29]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이 다른 토지에 회전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30]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이 다른 토지에 회전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31]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이 다른 토지에 회전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32]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이 다른 토지에 회전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33]
(a), (b)는 각각 종래의 주차장의 설명도이다.
[도34]
종래의 원형주차장을 구축할 경우에 있어서 승용차의 배치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원형입체주차장
2 출입구
3 승용차
3a 경자동차
4 회전승강장치
5 주차존
6 도어
12 외측기둥(제1의 기둥)
13 내측기둥(제2의 기둥)
15 들보
16 경사면
23 틀구조체
30 케이지(승강수단)
32 회전틈
34 돌기
35 간극
48 마루면
51 제1의 기둥
52 제2의 기둥
53 제3의 기둥
55 프레스
그래서, 본발명의 청구항 1기재의 원형주차장에서는, 중앙부에 회전자재하게 배치되며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가능한 회전장치와, 이 회전장치의 주위에 배치되어, 그 회전장치를 중심으로하여 방사상으로 자동차(3)을 전진 주차시키는 원형의 주차존(5)와, 이 주차존(5)의 일부를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한 원형주차장에 있어서, 전기 주차존(5)에 주차시킨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거리 가를 20cm∼60cm잡아서 자동차(3)을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원형주차장의 지름방향의 거리를 가능한 짧게 할 수가 있고, 원형주차장의 전체의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토지의 유효이용이 가능하다. 또, 주차하고 있는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거리 가는 20cm∼60cm이므로, 사람이 편안히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가 있다. 그 위에, 종래의 직사각형상의 주차장과 비교하여 네 귀퉁이에 공간(42)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42)에 나무(43)을 심는것으로 녹화를 촉진할 수가 있다. 또한, 원형주차장이므로, 출입구(2)는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로(45)의 방향에 좌우되는 일없이 주차장을 구축할 수가 있다.
청구항2기재의 원형주차장에서는,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 주차존(5)의 일부를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개소에는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컷한 개소만 경자동차(3a)를 주차시켜, 남은 주차존(5)의 개소에는 보통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다. 종래의 직사각형상의 주차장에서는, 좁은 토지의 경우, 한쪽 편 모두가 경자동차(3a)의 주차장이 되며, 다른 한쪽편밖에 보통자동차(3)을 주차할 수 없는 것이, 본발명에 의해 경자동차(3a)의 주차는 일부만이 되어,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기재의 원형주차장에서는,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양측을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양측에는 경자동차(3a)를 각각 주차시키도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토지의 가로폭이나 안길이가 짧은 경우등 토지가 좁은 경우라도 컷한 개소만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고, 다른 주차존(5)의 개소에는 보통 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으며, 토지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청구항4기재의 원형주차장에서는, 주차존(5)에 있어서의 자동차(3)의 주차위치는 시계의 시각위치에 대응시켜, 출입구(2)의 부분을 제외하고 11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좁은 토지이더라도 적어도 11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고, 또한, 주차위치는 시계의 시각위치에 대응시키고 있는 일에서, 이용자에게 있어서도 주차위치의 인식이 용이하여 진다.
청구항5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중앙부에 회전 자재하게 배치되어,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층으로 승강시킴과 함께, 자동차(3)을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가능한 회전승강장치(4)와, 이 회전승강장치(4)의 주위에 배치되고, 그 회전승강장치(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자동차(3)을 전진 주차시키는 복수층의 원형의 주차존(5)와, 이 1층의 주차존(5)의 일부를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한 원형입체주차장에 있어서, 전기 주차존(5)에 주차시킨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거리 가를 20cm∼60cm잡아서 자동차(3)을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원형입체주차장의 지름방향의 거리를 가능한 짧게 할 수 있으며, 원형입체주차장의 전체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차하는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거리 가는 20cm∼60cm이므로, 사람이 편안히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 위에, 종래의 직사각형상의 주차장과 비교하여 네 귀퉁이에 공간(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공간(42)에 나무(43)을 심는 것으로 녹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원형입체주차장이므로, 출입구(2)는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로(45)의 방향에, 좌우되는 일 없이 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주차존(5)를 복수층으로 하고 있으므로, 좁은 토지이더라도 많은 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다.
청구항6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주차존(5)의 주위방향에 따라서 약90도 간격으로 제1의 기둥(12)을 배치하고, 이 제1의 기둥(12)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서로 이웃이 되어 주차시키는 자동차(3)의 각 측면보다 약40cm의 거리 나를 각각 갖게 한 위치에 제2의 기둥(13)을 주차존(5)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사이에 제2의 기둥(12)를 배치하여도, 이용자는 자동차(3)과 제2의 기둥(12)의 사이를 편안히 통과할 수가 있다.
청구항7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제2의 기둥(13)의 직경은 제1의 기둥(12)의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의 기둥(13)의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고, 원형입체주차장의 전체의 저코스트화에도 공헌하는 것이다.
청구항8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서로 이웃이 되는 제1, 제2의 기둥(12), (13)사이의 중앙부분을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출입구(2)의 양측에는 실질적으로 기둥(12), (13)은 없는 것과 같으며, 자동차(3)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9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주차존(5)의 주위방향에 따라서 약45도 간격으로 제1의 기둥(51)을 그 주차존(5)의 외주가장자리에 배치하고, 이 제1의 기둥(51)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자동차(3)의 운전석에서 외측에 제2의 기둥(52)를 배치하고, 이 제2의 기둥(52)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자동차(3)의 운전석도어(6)에서 내측에 제3의 기둥(53)을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수의 기둥(51)∼(53)에서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하는 일에서, 기둥(51)∼(53)자체의 직경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자동차(3)을 탄채로 들어가는 것이나, 이용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10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제3의 기둥(53)의 기부측에서 주차존(5)의 내측의 천정면측에 그 주차존(5)의 강성을 유지하기위한 프레스(55)를 각각 가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승강장치(4)로 부터 주차존(5)에로의 자동차(3)의 이동이나 지진등에 대해서도 휘어짐이나 찌그러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1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주차존(5)의 밑면에는 거의 방사상으로 들보(15)가 설치되고, 이 들보(15)의 하면에 내측에 이를수록 천정면적이 높아지도록 한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면(16)에 의해 키가 큰 사람이라도 들보(15)에 머리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2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회전승강장치(4)는 내부에 승강수단(30)을 갖추고, 외측자체가 회전하는 틀구조체(23)으로 이루어지며, 이 틀구조체(23)의 선단부에 회동 자재한 틈(32)를 설치하고, 이 틈(32)를 주차존(5)의 하면에 접촉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틈(32)에 의해 회전승강장치(4)를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저항없이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회전승강장치(4)로부터 주차존(5)로 갈아 탈 경우에 생기는 주차존(5)의 휘어짐을 틈(32)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주차존(5)와 회전승강장치(4)와의 원형입체주차장 전체에서 힘을 받으므로, 찌그러짐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3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회전승강장치(4)는 내부에 승강수단(30)을 갖추고, 외측자체가 회전하는 틀구조체(23)으로 이루어지며, 이 틀구조체(23)의 선단부에 돌기(34)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돌기(34)의 상면과 주차존(5)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35)를 개재시켜 대면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간극(35)의 존재에 의해 회전승강장치(4)를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저항없이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회전승강장치(4)로 부터 주차존(5)로 갈아 탈 경우에 생기는 주차존(5)의 휘어짐을 돌기(3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진이 발생하여도, 주차존(5)와 회전승강장치(4)와의 원형입체주차장 전체에서 힘을 받으므로, 찌그러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4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 주차존(5)의 일부를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개소에는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컷한 개소만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고, 남은 주차존(5)의 개소에는 보통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다. 종래의 직사각형상의 주차장에서는, 좁은 토지의 경우, 한쪽 편 모두가 경자동차(3a)의 주차장이 되며, 다른 한쪽 편밖에 보통자동차(3)을 주차할 수 없는 것이, 본발명에 의해 경자동차(3a)의 주차는 일부만이 되어,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15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양측을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양측에는 경자동차(3a)를 각각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에서, 토지의 가로폭이나 안길이가 짧은 경우등 토지가 좁은 경우라도 컷한 개소만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고, 다른 주차존(5)의 개소에는 보통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어, 토지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청구항16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입체주차장(1)을 지상에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입체주차장(1)을 지상에 구축할 경우에는, 공사기일을 단축할 수 있고, 로우 코스트화할 수 있으며, 또, 가설주차장의 경우에는 이설(移設)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17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입체주차장(1)을 반지하 또는 지하에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경관을 고려하여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고, 또, 일조권을 일으키는 지구에서는, 일조권을 번거롭히는 일 없이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다.
청구항18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주차존(5)에 있어서의 자동차(3)의 주차위치는 시계의 시각위치에 대응시키며, 출입구(2)의 부분을 제외하고 11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키며, 다른 층의 주차존(5)에는 12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12대× 층수의 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어, 좁은 토지이더라도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하는 일로, 대단히 많은 자동차(3)을 주차할 수 있고, 토지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19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입체주차장(1)의 임의의 방향에서 자동차(3)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임의의 방향에서 자동차(3)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토지와 도로의 위치관계에 좌우되는 일 없이 입체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다.
청구항20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회전승강장치(4)를 구성하는 틀구조체(23)의 가로폭을 트럭에 적재가능한 치수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종래 대형의 특수 트레일러로 운반하던 것을 보통의 트레일러로써 운반할 수 있게 되며, 그 때문에, 수송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고, 주차장 전체의 코스트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21기재의 원형입체주차장에서는, 회전승강장치(4)의 자동차(3)의 도어(6)부근에 대응한 개소의 마루면(48)의 가로폭을 넓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승강장치(4)내에서의 자동차(3)의 타고 내림을 편안히 할 수 있고, 또, 회전, 승강의 조작판의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청구항22기재의 회전승강장치를 갖춘 입체주차장에서는, 중앙부에 회전 자재하게 배치되어,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층에 승강시킴과 동시에, 자동차(3)을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 가능한 회전승강장치(4)를, 임의의 형상의 토지의 요부(要部)에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어떠한 형상의 토지나, 어떠한 광협의 토지이더라도, 다수의 자동차(3)을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장을 구축할 수 가 있다. 특히, 종래, 주차장이 될 수 없을 것 같은 넓이, 형상의 토지이더라도 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발명의 1층부분의 출입구(2)를 파단한 원형입체주차장(1)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2는 도1의 A-A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발명의 원형입체주차장(1)은 4층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1층부분에서 12대의 승용차(3)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1층은 1대분의 주차 스페이스를 출입구(2)로 하고 있기 때문에, 1층은 11대의 승용차(3)이 주차가능해진다.
원형입체주차장(1)의 2층이상은 원칙적으로 세단 타입의 승용차(3)을 주차하도록 하여, 1층은 키가 큰 왜건 타입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도록 1층의 천장까지의 치수를 높게 잡고 있다.
원형입체주차장(1)의 중앙부분의 원형의 스페이스에는 거의 원주상의 회전승강장치(4)가 배설되어 있고, 이 회전승강장치(4)는 외측이 회동 자재하게 되어 있고, 내부는 엘리베이터식으로 상하동 자재하게 되어 있다.
세단 타입의 승용차(3)은, 도1에 나타나듯이, 후부의 가로폭은, 운전석 부근의 최대 가로폭 치수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것은, 모난 귀퉁이를 돌 때에 승용차(3)의 후부는 벽면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실제의 승용차(3)의 후부의 가로폭은 운전석 부근의 가로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형의 주차장(입체주차장)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종래에 서술했듯이 모델(74)(도34참조)에서는 후부의 가로폭도 운전석부근의 가로폭도 같은 치수폭으로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세단 타입의 승용차(3)의 후부는 트렁크로 되어 있고, 지붕의 부분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발명자는, 이 일을 깨닫고, 시계의 시각에 대응시켜 원형의 주차존(5)에 12대의 승용차(3)을 자주식으로 주차시키도록 함과 함께, 이 원형의 주차존(5)의 지름방향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으로, 원형입체주차장(1) 전체의 면적을 좁게하여, 토지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도1 및 도9에 나타나듯이, 일반적인 승용차(3)의 길이에 대응시키며 주차존(5)의 지름방향의 치수는 어느정도는 요구된다. 그리고, 주차존(5)의 지름방향의 치수를 결정함에 즈음하여 본발명자가 생각한 것은 이하의 것이다.
우선, 주차존(5)의 승용차(3)을 방사상으로 주차시킬때에, 본발명의 원형입체주차장(1)은 운전자가 스스로 운전하여 소정의 위치에 주차시키는 구조이므로, 주차시킨 후에 이웃에 승용차(3)이 주차하고 있어도 편안히 타고 내릴 수 있고, 또한 중앙의 회전승강장치(4)까지 편안히 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도9에 나타나듯이,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가장자리부끼리의 치수 가를 약40cm를 채택한 위치에서, 승용차(3)의 정지위치(예를 들면, 전륜의 타이어멈춤등)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승용차(3)이 상기 정지위치에서 정지시켜 주차시킨 경우에는,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가장자리부사이의 치수 가는 약40cm는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40cm라는 값은 통상의 사람이라면 편안히 지날 수 있는 치수이며, 더구나, 이 40cm라는 치수의 위치는 승용차(3)의 트렁크의 끝이기 때문에, 승용차(3)의 지붕보다는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령 좁다고 느낀 경우라도 손을 조금 들기만하면 용이하게 지날 수 있다.
또,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가장자리부사이의 치수 가는, 20cm∼60cm정도의 범위내이면 좋다. 치수 가를 20cm로 한 경우라도, 사람이 옆으로 하면 충분히 지날 수 있는 치수이고, 또한, 입체주차장의 부지면적도 보다 작게 구축할 수 있다. 치수 가를 60cm로 잡은 경우라도, 종래의 원형의 입체주차장의 면적보다는 작게 구축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승용차(3)은 주차존(5)에 방사상으로 주차하고 있으므로, 승용차(3)의 전부(前部)로 갈수록 승용차(3) 사이의 거리는 확대하여 가며, 승용차(3)의 도어(6)을 여는 경우에도, 이웃한 승용차(3)에 염려하지 않고 크게 도어(6)을 열 수 있다.
종래의 도33에 나타나는 승용차(3)을 평행하게 주차시키는 주차장에서는, 승용차(3)의 사이의 치수는 작고, 대부분의 주차장에 있어서는 이웃한 승용차(3)에 도어가 닿지않게 열며, 더구나 도어는 조금밖에 열 수 가 없고, 타고 내림이 대단히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발명의 원형입체주차장(1)에서는, 운전석측의 도어(6)을 다 열 수 가 있으므로, 운전자는 이웃한 승용차(3)에 대하여 스스럼없이 타고 내릴 수 있다.
또, 도9의 예에서 조수석측의 도어(6)을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종류의 자주식의 입체주차장에서는, 운전자만이 타고 운전하고 있으므로, 통상은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도어(6)이 동시에 열리는 일은 없다. 또,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의 도어(6)을 동시에 열 수 있는 것을 상정하여, 도9에 나타나듯이, 운전자가 타고 내리는 데에 충분한 큰 각도로 도어(6)을 열 수 있다.
그래서, 2층이상의 원형입체주차장(1)에서는, 주차존(5)를 지탱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둥이 필요하지만, 이어서, 이 기둥의 개수 및 위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입체주차장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복잡함, 자동차가 출입하는 일, 코스트의 점에서 기둥의 수는 적은 쪽이 좋다. 그래서 본발명자가 최초로 생각한 것이, 도7에 나타나듯이 4개의 기둥(7)로 복수층(이 예에서는 4층)의 주차존(5)를 지지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렇지만, 원형의 입체주차장의 중심에서 90도 간격으로 4개의 기둥(7)을 배치한 경우의 입체주차장의 구조계산에서는, 직경이1m정도의 기둥(7)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와같은 직경이 1m정도의 기둥(7)에서는, 기둥(7)의 이웃에 주차한 승용차(3)의 도어(6)을 열 수 없거나, 또는 도어(6)을 열 수 있더라도, 열린 각도가 작아 운전자가 타고 내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같은 직경이 1m정도의 기둥(7)을 쓴 경우에는, 코스트도 대폭 업하여 채산에 맞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기둥의 수를 증가시켜 기둥의 직경을 작게 하여 승용차(3)의 타고 내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 도8의 경우이다. 이 경우는 60도마다 기둥(10)을 배치하고, 합계 6개의 기둥(10)을 배치하는 일로, 기둥(10)의 직경을 작게 하여, 승용차(3)에서의 타고 내림을 가능해지도록한 것이다.
그러나, 60도마다 기둥(10)을 배치하면, 도8에 나타나듯이, 아무리하여도 출입구(2)의 부분에 1개의 기둥(10)이 위치하는 것이 된다. 도8의 경우에서는 출입구(2)를 통과하는 승용차(3)의 우측에 위치하지만, 기둥(10)을 30도씩 비키어 놓는 경우에는 승용차(3)의 좌측에 기둥(10)이 위치하게 된다. 출입구(2)에 기둥(10)이 위치하면, 승용차(3)의 출입시에 기둥(10)이 방해가 되어, 기둥(10)에 접촉하여 승용차(3)을 파손시키게 된다. 또, 기둥(10)에 접촉하지않도록 승용차(3)을 출입시키는 경우에는, 그 출입이 불편해지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래서, 본발명자가 고려한 것이지만, 도1에 나타나듯이, 90도마다 기둥을 배치함과 함께, 그 기둥과 같은 지름방향의 위치에 더욱 기둥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1 및 도9에 나타나듯이, 출입구(2)가 기둥과 기둥 사이가 되도록 하여 주차존(5)의 외측에 외측기둥(12)를 90도마다 배치하고, 외측기둥(12)와 같은 지름방향의 내측의 위치에 내측기둥(13)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 기둥의 개수는 전부 8개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측기둥(12) 및 내측기둥(13)의 직경은 도7 및 도8에 나타나는 기둥의 직경보다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내측기둥(13)의 직경은, 주차존(5)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외측기둥(12)의 직경보다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외측기둥(12)의 배치위치는, 승용차(3)의 도어(6)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어, 그 때문에, 외측기둥(12)의 직경을 조금 굵게 하더라도 승용차(3)의 주차나 승용차(3)의 타고 내리는 경우라도 조금도 영향은 없다.
이어서, 내측기둥(13)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발명에서는 도9에 나타나듯이, 서로 이웃이 되는 승용차(3)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치수 가는 약40cm는 잡아서 사람의 왕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때문에, 승용차(3)을 정상인 주차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승용차(3)의 측면과 내측기둥(13)과의 사이에 치수 나를 도9에 나타내듯이 적어도 40cm(약40cm)가 되도록 내측기둥(13)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내측기둥(13)의 배치위치는, 통상은 승용차(3)의 후부의 도어부근에 위치하게 되기때문에, 승용차(3)의 운전석에 타고 내릴때에 내측기둥(13)이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내측기둥(13)을 승용차(3)의 측면과는 적어도 40cm를 갖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승용차(3)으로부터 회전승강장치(4)에 이동할때에 내측기둥(13)이 조금도 지장이 되는 일은 없고, 운전자는 용이하게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가 있다.
본발명의 원형입체주차장(1)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듯이, 1층의 높이와 2층 이상의 높이를 다르게 하고 있고, 1층은 왜곤차등의 키가 큰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2층이상의 주차존(5)에서는, 통상의 세단 타입의 승용차(3)의 주차를 목적으로 하여, 1층보다는 천정을 낮게 하고 있다.
주차존(5)의 하면에는 예를들면,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들보(15)가 소정의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들보(15)의 위에 철판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마루바닦판으로써 주차존(5)가 형성되어 있다.
2층 이상의 주차존(5)의 천정은 낮기때문에, 키가 큰 사람은 머리가 상기 들보(15)에 닿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발명에서는, 들보(15)의 내측의 하면을 원형입체주차장(1)의 중심에 향할수록 천장이 높아지도록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들보(15)의 하면에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키가 큰 사람이 통과하여도 들보(15)에 머리를 부딪칠 가능성이 아주 낮아진다.
이어서, 원형입체주차장(1)의 중앙부에 배설되는 회전승강장치(4)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a), (b) 및 도4에 나타나듯이, 원형입체주차장(1)이 구축하는 지면에는 원형의 요부(凹部)(19)가 요설(凹設)되어 있고, 이 요부(19)의 내측주위에 원형의 레일(20)이 배설되어 있다.
회전승강장치(4)의 외측은 도5에 나타나듯이, H형강등을 쓴 틀구조체(23)으로 되어 있고, 이 틀구조체(23)의 하부는 세로가교(21)과 가로가교(22)와로 '井'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井'자형 구조의 네 귀퉁이에는 차륜(2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차륜(29)가 상기 레일(20)의 위를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륜(29)는 모터(39)(도5(b)참조)로써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차륜(29)가 회전하는 것으로 레일(20)위를 차륜(29)가 전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틀구조체(23)이 원형입체주차장(1)의 중앙에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틀구조체(23)의 내측에는, 도3 및 도6에 나타나듯이, 거의 평판상의 팔레트(24)가 상하동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틀구조체(23)의 내측에는 모터(25)로써 구동되는 체인(26) 또는 와이어가 상하 방향으로 현가(懸架)되어 있고, 이 체인(26)에 스프로켓 포일(27)을 개재시켜 상기 팔레트(24)가 연결되어 있다.
또, 팔레트(24)의 상면에는 도6에 나타나듯이, 상자형의 케이지(30)이 배설되도록 되어 있고, 이 케이지(30)의 속에 승용차(3)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조작판(도시하지 않음)으로써 임의의 층과 주차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틀구조체(23)이 회전함과 함께, 틀구조체(23)의 내측의 케이지(30)이 상하동하여, 임의의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발명의 원형입체주차장(1)은, 외측의 주차존(5)를 형성하고 있는 들보(15)나 H형강이나 파이프만으로 승용차(3)의 이동시나 지진등에 대하여 강성을 유지하며, 또는, 중앙의 회전승강장치(4)와 일체가 되어 원형입체주차장(1)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나듯이, 틀구조체(23)을 구성하고 있는 H형강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재(31)의 단부에는 회전틈(32)가 회동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차존(5)의 내측의 하면에는 그 주차존(5)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된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33)이 거의 원형으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도10에 나타나듯이, 회전틈(32)의 상면이 주차존(5)측의 지지부재(33)의 천정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틀구조체(23)이 회전하면 그것에 따라 지지재(31)이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틈(32)가 지지부재(33)의 천정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10에 있어서는, 승용차(3)의 타이어(9)가 회전승강장치(4)측으로부터 주차존(5)에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승용차(3)의 타이어(9)가 주차존(5)에 이동한 때에는 승용차(3)의 하중에 의해 주차존(5)가 하측으로 휘어져 버린다.
특히, 상술했듯이 들보(15)의 하면은 사람의 머리가 닿지않도록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들보(15)가 얇게 되어 있고, 승용차(3)의 이동하중에 의해, 보다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그래서, 승용차(3)의 타이어(9)가 주차존(5)에 이동한 때에도 이동하중을 회전틈(32)에서 받아, 회전틈(32)와 일체가 되어 있는 틀구조체(23) 전체에서 이동하중을 받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승용차(3)이 주차존(5)에 이동하여도 주차존(5)가 휘는 일은 없다.
또한, 지진등이 발생하여도, 주차존(5)의 지지부재(33)과 틀구조체(23)의 지지재(31)와가 당접하도록 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하중을 주차존(5), 회전승강장치(4), 다른쪽의 주차존(5)에로 놓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형입체주차장(1)은 찌부러짐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지진등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또, 도4에 나타나듯이, 틀구조체(23)의 각 구성부재 사이에는 방장(方杖)(40)으로써 긴체(緊締)하고 있다.
도11은 회전틈(32)의 대신에 지지재(31)의 단부에 돌기(34)를 일체적으로 고착한 것이며, 이 돌기(34)의 선단의 상면과 지지부재(33)의 하면과는 예를들면, 1cm의 간극(35)가 설치되어 있다. 틀구조체(23)이 회전하고 있을 때는, 이 간극(35)의 존재에 의해 지지부재(33)과의 지지재(31)의 돌기(34)와는 접촉하는일 없이 스므스하게 틀구조체(23)을 회전할 수가 있다.
틀구조체(23)의 회전후에, 승용차(3)이 주차존(5)에 이동할 경우에는, 지지부재(33)측이 아래쪽으로 휘지만, 1cm가 휘어서 바로 지지부재(33)이 지지재(31)의 돌기(34)로써 받아지는 것으로, 주차존(5)가 그 이상 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11에 나타나듯이, 돌기(34)의 상면에 나일론 플레이트(46)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12은 지지재(31)의 단부에 베어링(36)을 배설하여, 이 베어링(36)으로써 지지부재(33)의 하면에 접촉시켜 이동하중등을 받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36)과 유압기구를 맞추어서, 유압기구에 의해 이동하중등을 받게 해도 좋다.
또한, 도13은 지지재(31)의 단면에 코터라 불리우는 부재(47)을 돌출 자재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부재(47)은 회전승강장치(4)의 회전시는 도에 나타나는 위치까지 복귀하여 지지부재(33)에서 떨어져 있으며, 정지위치에서는 부재(47)이 지지부재(33)의 측면내에 당접하는 것이다. 또, 이 부재(47)은 전기로써 횡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 도14는 지지재(31)과 지지부재(33)과의 하부를 유감(遊嵌)한 상태로서, 지지부재(33)의 하부에 일체로 돌설한 돌기(37)로써 이동하중등을 받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1에 나타나듯이, 원형입체주차장(1)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유지하기위하여 회전승강장치(4)의 측부에 거의 삼각형상으로 틀구성한 부재(41)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부재(41)의 선단에는 도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틈(32)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1에 나타나듯이, 본발명의 입체주차장(1)은, 회전승강장치(4)의 틀구조체(23)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도로의 위치에 관계없이 출입구(2)를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의 경우는 출입구(2)를 도중(圖中의) 하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어떤 승용차(3)이 원형입체주차장(1)에 주차하도록 할 경우, 운전자만이 승용차(3)에 타고 전진하여 출입구(2)로부터 들어오며, 케이지(30)내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케이지(30)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판(도시하지 않음)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지시한 소정의 층과 소정의 주차존(5)의 시계의 시각위치에 케이지(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틀구조체(23)의 회전과 함께, 케이지(30)이 상승하여 지정한 소정의 위치에 케이지(30)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는 그대로 승용차(3)을 소정의 정지위치까지 전진시켜, 그 정지위치에서 승용차(3)을 주차시킨다.
승용차(3)을 주차시킨 후는, 운전자는 도어(6)을 열고 내려, 케이지(30)내에 갈아타, 회전승강장치(4)를 구동하여, 출입구(2)에서 나온다.
승용차(3)을 원형입체주차장(1)로부터 꺼내는 경우에는, 회전승강장치(4)에 타고 승용차(3)이 주차하고 있는 곳까지 가서, 승용차(3)을 가이드에 따라서 백시켜 케이지(30)내에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판을 조작하는 것에서, 케이지(30)이 하강하고, 동시에 틀구조체(23)이 회전하여, 승용차(3)이 전진하여 출입구(2)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제어된다.
출입구(2)에서는, 외측기둥(12) 및 내측기둥(13)은 존재하지않기 때문에, 또한, 출입구(2)의 양측에 주차하고 있는 승용차(3)은 방사상으로 주차하고 있으므로, 양측의 승용차(3)의 주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나갈 수 있다.
또, 입체주차장을 원형으로 하고 있는 것에서, 직사각형상의 토지의 네 귀퉁이에는 공간(42)가 생기고, 이 공간(42)에 나무(43)을 심을 수 도 있다. 그 때문에, 입체주차장을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녹화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도1 나타나는 원형입체주차장(1)이 구축되어 있는 토지는 정사각형의 경우이지만, 토지는 정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사각형이외의 직사각형의 토지의 경우도, 토지의 크기의 점으로 부터 도11에 나타나는 원형입체주차장(1)을 그대로 구축할 수 없을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제2의 실시의 형태를 도15∼도17에 나타낸다.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도15의 하측이 도로(45)에 면하고 있고, 토지의 안길이는 있지만, 토지의 가로폭이 도1의 경우보다도 좁은 경우이다.
그래서, 토지의 가로폭이 좁은 부분만 원형입체주차장(1)의 부분을 컷한 것이며, 시계의 시각위치로 말하면 3시와 9시의 위치에 대응한 개소에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주차존(5)의 개소에는 보통승용차(3)을 앞서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경자동차(3a)는 보통승용차(3)과 비교하여도 수량적으로 같은 정도가 시중에 달리고 있기 때문에, 1층의 주차존(5)의 2개소에 경자동차(3a)만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다른 주차개소에 승용차(3)보다 소형의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16은 도15의 A-A단면이고, 도17은 도33(a)와 비교한 경우의 도이다. 출입구를 제외한 1층부분에 12대의 자동차를 주차시키도록 할 경우, 종래보다 가로폭이 좁은 경우라도 원형입체주차장(1)에서는 2대의 경자동차(3a)를 포함시켜 12대의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다.
원형입체주차장(1)의 가로폭과 같은 토지에서 종래의 방식에서는, 경자동차(3a)밖에 주차시킬 수 없다. 또, 네 귀퉁이에는 나무를 심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곤란하다.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도15에 나타나듯이, 1층에 10대의 보통승용차(3)과, 2대의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킬 수 있고, 더구나, 원형입체주차장(1)의 네 귀통이에는 앞서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나무(43)등을 심을 수 있는 공간(42)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 및 효과등은 앞서의 실시형태와 같다.
(제3의 실시의 형태)
이어서, 제3의 실시형태의 원형입체주차장(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도18에 나타나듯이, 도로(45)에 면하고 있는 토지의 가로폭은 있지만, 안길이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8의 경우에서는, 시계의 시각위치에 대응한 12시와 6시의 주차존(5)의 개소에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19는 도18의 A-A단면도이고, 도20은 도33(b)와 비교한 경우의 도이다. 본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앞서의 실시 컷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도15 및 도18에 있어서, 가로폭이나 안길이가 좀 더 있는 토지의 경우, 1대만 경자동차(3a)를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11대는 보통자동차(3)을 주차시키는 구성의 원형입체주차장(1)을 구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이, 원형입체주차장(1)의 컷하는 개소는 임의이며, 어느 부근을 컷해도 좋다. 요컨대,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하는 토지의 형상, 면적에 응하여 컷하면 좋으며, 예를들면 (4)부근 다같이 컷하여, 보통승용차(3)보다 경자동차(3a)의 쪽을 많게 주차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4의 실시의 형태)
제4의 실시형태를 도21∼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3개의 기둥(51), (52), (53)을 지름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둘레방향에는 거의 45도의 간격마다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주차존(5)의 둘레방향에 8개소이며, 지름방향에 3개소이기때문에, 합계 24개의 기둥을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1개의 기둥(51), (52), (53)의 직경을 작게 할 수 가 있다.
우선, 출입구(2)의 양측에 기둥(51), (52), (53)을 배치하고, 이들로 부터 45도 간격마다 기둥(51), (52), (53)을 배치하고 있다. 도22는 원형입체주차장(1)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23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23에 나타나듯이, 각 층에 있어서 기둥(52), (53)의 기부와 천정측의 들보(15)의 단부와는 프레스(55)를 가교하여 원형입체주차장(1)의 강성을 유지함과 함께, 앞서 실시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승용차(3)의 이동하중에 대한 주차존(5)의 하측으로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그 위에, 지진등에 대한 좌굴을 방지하고 있다.
또, 다른 구성은 도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도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24는 승용차(3)을 케이지(30)내에 정지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케이지(30)의 마루면(48)의 양측의 중앙부에는 팽출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지(30)의 마루면(48)의 형상과 팔레트(24)와의 형상은 대응하고 있다(도6참조).
케이지(30)을 내부에 승강 자재하게 배설하고 있는 틀구조체(23)은, 평면에서 보면 '井'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고, 그 긴쪽 방향의 틀구조체(23)의 양측의 부재는, 현지에서 달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도24에 나타나는 틀구조체(23)의 폭을 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치수로서, 통상의 크기의 트레일러로써 설치전의 틀구조체(23)의 운반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24에 나타나는 양측의 사선부분의 상하에 틀구조체(23)을 구성하는 기둥등이 위치하는 것이며, 그 입설하고 있는 기둥의 사이의 부분에는 아무것도 부재는 배치되지 않는다.
그래서, 틀구조체(23)의 가로폭를 가능한 한 좁게 하여, 보통의 트레일러의 운반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기둥이 배치되지 않은 개소에 팽출부(49)를 형성한 것이다. 이 팽출부(49)에 대응한 케이지(30)의 내벽면에 회전승강장치(4)를 조작하는 조작판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지(30)에 승용차(3)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팽출부(49)에 의해 도어(6)을 크게 열 수 있음과 함께, 팽출부(49)에서 타고 내림을 용이하게 할수 있고, 더구나, 운전자가 승용차(3)에서 내려 조작판의 조작도 쉽게 되어 있다.
틀구조체(23)전체를 운반할 경우에는, 가로폭이 너무 커서 보통의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은 불가능하며, 특수 대형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밖에 할수 없었다. 이 경우에는, 수송 코스트가 보통의 트레일러에 비하여 대단히 많이 들고 있다.
그렇지만, 도24에 나타나듯이, 틀구조체(23)의 양측의 부재를 현지에서의 시공으로 하며, 양측의 부재가 없는 상태의 틀구조체(23)은 가로폭이 보통의 트레일러에 적재가능하게 되어, 수송 코스트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원형입체주차장(1)자체의 코스트 삭감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그래서, 도25는 원형입체주차장(1)의 1층을 지면과 면일(面一)하게 한 지상식의 원형입체주차장으로 한 경우이며, 승용차(3)을 탄채로 들어가는 것은 맨 아래층으로 부터 하는 것이다.
이 도25의 구성의 경우에는, 공기단축, 로우 코스트, 이설이 간단(가설주차장의 경우에도 호적)하다는 메리트가 있다.
도26은 원형입체주차장(1)을 반지하식으로 한 경우이며, 중간부에서 승용차(3)의 타고 내림을 한다. 이러한 경유, 도시경관, 일조권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호적예이다.
도27은 원형입체주차장(1)을 지하식으로 한 경우이며, 승용차(3)을 탄채로 들어가는 것은 최상의 층에서 한다. 이 지하식의 원형입체주차장(1)에서는, 원형입체주차장 자체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하여 주위의 경관을 지키고, 일조권의 문제가 특히 엄한 지구에는 호적예이다.
더욱, 도28은 원형입체주차장(1)을 빌딩등의 건물(57)의 지하에 구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원형입체주차장(1)에로는 건물(57)내의 지하의 슬로프(58)을 개재시켜 출입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토지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도시 경관을 손상하는 일은 전혀 없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원형입체주차장(1)을 4층의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2층, 3층의 경우나, 5층이상의 원형입체주차장의 경우라도 본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주차장을 1층만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소위 턴 테이블식의 회전장치를 원형의 주차장의 중앙부에 배치하여, 토지의 가로폭이나 안길이에 맞추어서 도1, 도15, 도18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29는 종래와 마찬가지인 직사각형의 토지에 본발명의 회전승강장치(4)를 설치하여 주차장(60)을 구축한 경우이다. 도(30)은 토지의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이고, 단부가 거의 반원상으로써 그 개소에 회전승강장치(4)를 설치하고 구축한 주차장(60)을 나타내고 있다.
도31은, 가로폭만이 있는 토지이며, 그 중앙의 회전승강장치(4)를 설치하여 구축한 주차장(60)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32는 토지의 단부에 회전승강장치(4)를 설치하고 주차장(60)을 구축한 경우이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주차장의 구축이 곤란한 토지였더라도, 회전승강장치(4)를 적의한 개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고, 토지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29∼도32의 경우는, 입체주차장으로서 설명하였지만, 1층의 평면주차장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발명에 의하면, 원형의 주차장에 있어서 그 지름방향의 중심축에 가능한 한 오도록 승용차를 주차시키고 있으므로, 원형입체주차장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토지가 좁은 경우라도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토지의 유효이용은 도모할 수 있다. 또, 승용차는 방사상으로 주차되므로, 운전석 도어의 개폐도 기둥이 있더라도 큰 각도로 열 수 가 있고, 타고 내림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또, 사람이 다니는 경우라도, 승용차나 기둥도 거의 방해가 되지 않고, 용이하게 다닐 수 있다. 더욱 더, 주차존의 일부, 또는 양측을 컷하는 일로, 가로폭이나 안길이가 없는 토지라도 원형입체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고, 또, 컷한 주차존의 개소에는 경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고, 주차스페이스릍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주차장의 구축이 곤란한 토지이더라도, 회전승강장치를 적당한 개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주차장을 구축할 수 있고, 토지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2)

  1. 중앙부에 회전 자재하게 배치되고,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가능하게 한 회전장치와, 이 회전장치의 주위에 배치되고, 그 회전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자동차(3)을 전진 주차시키는 원형의 주차존(5)와, 이 주차존(5)의 일부를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한 원형주차장에 있어서, 전기 주차존(5)에 주차시킨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사이의 거리(가)를 20cm∼60cm잡아서 자등차(3)을 주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주차장
  2. 제1항에 있어서,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일부를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개소에는 경자동차(3a)를 주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주차장.
  3. 제1항에 있어서,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양측을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양측에는 경자동차(3a)를 각각 주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주차장.
  4. 제1항∼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차존(5)에 있어서의 자동차(3)의 주차위치는 시계의 시각 위치에 대응시켜, 출입구(2)의 부분을 제외하고 11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주차장.
  5. 중앙부에 회전 자재하게 배치되고,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층에 승강시킴과 함께, 자동차(3)을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 가능하게 한 회전승강장치(4)와, 이 회전승강장치(4)의 주위에 배치되어, 그 회전승강장치(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자동차(3)을 전진 주차시키는 복수층의 원형의 주차존(5)와, 이 1층의 주차존(5)의 일부를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한 원형입체주차장에 있어서, 전기 주차존(5)에 주차시킨 서로 이웃이 되는 자동차(3)의 후부의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거리(가)를 20cm∼60cm잡아서 자동차(3)을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6. 청구항5에 있어서, 주차존(5)의 둘레방향에 따라서 약90도 간격으로 제1의 기둥(12)를 배치하여, 이 제1의 기둥(12)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서로 이웃이 되어 주차시키는 자동차(3)의 각 측면에서 약40cm의 거리(나)를 각각 갖게 한 위치에 제2의 기둥(13)을 주차존(5)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7. 청구항6에 있어서, 제2의 기둥(13)의 직경은 제1의 기둥(12)의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8. 제5항∼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이 되는 제1, 제2의 기둥(12), (13)사이의 중앙부분을 자동차(3)의 출입구(2)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9. 청구항5에 있어서, 주차존(5)의 둘레방향에 따라 약45도 간격으로 제1의 기둥(51)을 그 주차존(5)의 외주연(外周緣)에 배치하여, 이 제1의 기둥(51)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주차장(3)의 운전석에서 외측에 제2의 기둥(52)를 배치하고, 이 제2의 기둥(52)에서 지름방향의 내측이며 자동차(3)의 운전석의 도어(6)에서 내측에 제3의 기둥(53)을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0. 청구항9에 있어서, 제3의 기둥(53)의 기부측으로 부터 주차존(5)의 내측의 천정면측에 그 주차존(5)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스(55)를 각각 가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1. 제5항∼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차존(5)의 하면에는 거의 방사상으로 들보(15)가 설치되고, 이 들보(15)의 하면에 내측에 달할수록 천장면이 높게 되도록 한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2. 제5항∼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승강장치(4)는 내부에 승강수단(30)을 갖추고, 외측 자체가 회전하는 틀구조체(23)으로 이루어지며, 이 틀구조체(23)의 선단부에 회동 자재한 틈(32)를 설치하여, 이 틈(32)를 주차존(5)의 하면에 접촉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3. 제5항∼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승강장치(4)는 내부에 승강수단(30)을 갖추고, 외측 자체가 회전하는 틀구조체(23)으로 이루어지며, 이 틀구조체(23)의 선단부에 돌기(34)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돌기(34)의 상면과 주차존(5)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35)를 개재시켜 대면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4. 제5항∼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일부를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개소에는 경자동차(3a)을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5. 제5항∼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지의 형상에 맞추어서 주차존(5)의 양측을 컷하고, 그 컷된 주차존(5)의 양측에는 경자동차(3a)을 각각 주차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6. 제5항∼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체주차장(1)을 지상에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7. 제5항∼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체주차장(1)을 반지하 또는 지하에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8. 제5항∼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차존(5)에 있어서의 자동차(3)의 주차위치는 시계의 시각 위치에 대응시키고, 출입구(2)의 부분을 제외하고 11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켜, 다른 층의 주차존(5)에는 12대의 자동차(3)을 주차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19. 제5항∼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체주차장(1)의 임의의 방향에서 자동차(3)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20. 제5항∼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승강장치(4)를 구성하는 틀구조체(23)의 가로폭을 트럭에 적재가능한 치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21. 제20항에 있어서, 회전승강장치(4)의 자동차(3)의 도어(6)부근에 대응한 개소의 마루면(48)의 가로폭을 넓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입체주차장.
  22. 중앙부에 회전 자재하게 배치되어, 자동차(3)을 재치하여 임의의 층에 승강시킴과 함께, 자동차(3)을 임의의 회전각도로 정지가능하게 한 회전승강장치(4)를, 임의의 형상의 토지 요부에 설치하여 주차장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승강장치를 갖춘 입체주차장.
KR1019990053198A 1999-11-26 1999-11-26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KR20010048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198A KR20010048499A (ko) 1999-11-26 1999-11-26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198A KR20010048499A (ko) 1999-11-26 1999-11-26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499A true KR20010048499A (ko) 2001-06-15

Family

ID=3752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198A KR20010048499A (ko) 1999-11-26 1999-11-26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84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077Y1 (ko) * 2004-05-21 2004-08-16 이태욱 방사형으로 주차 가능한 로터리 턴테이블형 주차 장치
CN110409893A (zh) * 2019-08-20 2019-11-05 北京中岩智泊科技有限公司 一种位于建筑物顶部的机械车库
KR102068442B1 (ko) 2019-07-17 2020-01-20 박상원 입체주차장용 세그먼트 연결부재와 이를 갖는 입체주차장 및 입체주차장 시공방법
CN111764719A (zh) * 2020-08-12 2020-10-13 陈静 停车模块及采用该停车模块组合构成的停车场
KR102283827B1 (ko) 2021-03-15 2021-07-29 박진감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및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077Y1 (ko) * 2004-05-21 2004-08-16 이태욱 방사형으로 주차 가능한 로터리 턴테이블형 주차 장치
KR102068442B1 (ko) 2019-07-17 2020-01-20 박상원 입체주차장용 세그먼트 연결부재와 이를 갖는 입체주차장 및 입체주차장 시공방법
CN110409893A (zh) * 2019-08-20 2019-11-05 北京中岩智泊科技有限公司 一种位于建筑物顶部的机械车库
CN111764719A (zh) * 2020-08-12 2020-10-13 陈静 停车模块及采用该停车模块组合构成的停车场
CN111764719B (zh) * 2020-08-12 2024-05-14 陈静 停车模块及采用该停车模块组合构成的停车场
KR102283827B1 (ko) 2021-03-15 2021-07-29 박진감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및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764B1 (ko) 주차시설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KR20010048499A (ko) 원형주차장 및 원형입체주차장, 및 회전승강장치를 갖춘입체주차장
US4664580A (en) Multistory parking garage
JP3328192B2 (ja) 円形立体駐車場
EP0276525A1 (en) Multistory parking garage
JP2877017B2 (ja) 建物の構造体
JPH03187474A (ja) 駐車交通設備
JP2003288677A (ja) 車両検出装置および駐車設備
JPH0420926Y2 (ko)
KR200356552Y1 (ko) 차량 진출입 통로 열림형 다중 주차열 주차 시스템
JPH10331466A (ja) 駐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駐車方法
JPH0579216A (ja) ターン・テーブル式立体駐車装置
JP2006052568A (ja) ピット型駐車装置
KR101147932B1 (ko)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JPS6341479Y2 (ko)
JPH04161573A (ja) 立体駐車場
RU2089712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гаражный комплекс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JPH05239934A (ja) 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駐車システム
JPH0220769A (ja) 旋回装置付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H0745717Y2 (ja) 駐車場つき開閉式屋根を有する大空間構造物
JP3166052B2 (ja) 地下立体駐車場
JPH04143373A (ja) 筒型駐車場
JP2977401B2 (ja) 立体駐車設備
JPH03129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