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795A -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 Google Patents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795A
KR20010044795A KR1020010015538A KR20010015538A KR20010044795A KR 20010044795 A KR20010044795 A KR 20010044795A KR 1020010015538 A KR1020010015538 A KR 1020010015538A KR 20010015538 A KR20010015538 A KR 20010015538A KR 20010044795 A KR20010044795 A KR 2001004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hromic
compound
natural plant
compound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김경원
주식회사 월패스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원, 주식회사 월패스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김경원
Priority to KR102001001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795A/ko
Publication of KR2001004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9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multicolour effec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변색성 화합물 0.0001∼10 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로 식물을 장신구 몸체에 고정시켜 제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장신구는 천연식물의 느낌을 유지함과 동시에 빛에 의해 색깔이 변하는 특성을 가지며, 목걸이, 귀걸이, 반지, 넥타이핀, 시계, 벽걸이, 머리핀, 액자, 명함케이스 등 많은 장신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Photochromic accessories with the incorporated decoration of plant}
본 발명은 천연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식물체를 장시간 변색 및 변형되지 않고 천연모습 그대로 보존될 수 있도록 한 광변색성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목걸이, 귀걸이, 반지, 넥타이핀, 시계, 벽걸이, 머리핀, 액자, 명함케이스, 열쇠고리, 팔찌, 라이터 등 다양한 장신구는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서, 품위가 있어야 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독특한 것이면 더욱 좋다.
장신구의 품위를 올리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꽃, 나무, 풀 등 천연식물을 도입하는 것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다.
통상 천연식물은 물, 빛, 열 등에 민감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변색 및 변형이 되기 쉬우므로 적절한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여 장시간 천연 그대로의 맛을 살린 고급 장신구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가령 건조된 네잎 클로버와 같은 천연식물에 투명한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장신구에 응용한 것(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0633호, 제20-210221호), 미건조된 식물 뒷면에 흡습성 종이를 두고, 앞면은 투명한 수지층을 두어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75호), 식물을 5∼30 kg/㎠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50∼90℃의 온도로 가열해 얻어진 건조식물에, 10∼1,000nm 입자크기를 가진 초미립 흡습성 무기물 5∼40중량%와 액상의 에폭시수지 60∼95중량%로 구성된 슬러리 혼합물을 코팅하여 장시간 변색 및 변형되지 않고 천연모습 그대로 보존되도록 한 식물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1439호)가 그 좋은 예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품위를 높이는 수단임은 분명하나, 장신구가 가져야 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독특한 소재로서는 부족하다. 특히 감각적이며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에게는 새로운 기능이 가미되어 흥미가 촉발될 수 있는 장신구의 출현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선 조사의 유무에 따라 가역적으로 색상변화를 반복하는 소위 '광변색성 현상'이라는 신규의 기능을 부여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한 천연식물을 이용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천연식물을 장신구 몸체에 고정시킴으로서 장시간 변색 및 변형되지 않고 천연모습 그대로 보존되며 '광변색성 현상'이라는 흥미가 유발되는 놀라운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식물을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열쇠고리에 부착하여 응용한 일실시예(빛이 조사되지 않았을 때)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식물을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열쇠고리에 부착하여 응용한 일실시예(빛이 조사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식물을 다른 조성의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열쇠고리에 부착하여 응용한 일실시예(빛이 조사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식물을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목걸이에 부착하여 응용한 일실시예(빛이 조사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식물을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팔찌에 부착하여 응용한 일실시예(빛이 조사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진이다.
즉, 본 발명은 천연식물을 합성수지로 몸체에 고정화시킨 장신구에 있어서, 그 합성수지로서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변색성 화합물 0.0001∼10 중량부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광변색성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변색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 2, 3-트리메칠인돌리노-6'-니트로-8'-메톡시-벤조스피로피란, 1', 3', 3'-트리메칠스피로(2H-1-벤조피란-2, 2'-인드린), 1', 3', 3'-트리메칠스피로-8-니트로(2H-1-벤조피란-2, 2'-인드린), 1', 3', 3'-트리메칠-6-히드록시스피로-(2H-1-벤조피란-2, 2'-인드린) 등의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스피로나프토옥사진, 스피로피리도벤조옥사진, 스피로벤조옥사진 등 스피로옥사진계 화합물, 아조벤젠계 화합물, 티오인디고계 화합물, 알기드계 화합물, 트리페닐계 화합물 등("기능성잉크의 개발과 응용", 일본 씨엠시 발행, 1997년, pp55-76)을 들 수 있으나, 이 중에서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스피로옥사진계 화합물, 알기드계 화합물 등이 특히 좋다. 이러한 광변색성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행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화합물로서 가령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수지에 열경화성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 3차 아민, 플루오르화붕소 등과 같은 촉매나 제 1아민, 제 2아민, 산무수물 등과 같은 경화제를 투입하는데, 상기의 광변색성 화합물을 잘 혼합한 뒤에 투입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로서 가령 투명성이 좋은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는 가격도 비싸고 가공도 어렵고, 아크릴수지는 가격이 싼 잇점은 있으나, 내약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적합하지 않으며, 내약품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성형성이 좋은 열경화성 에폭시수지가 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변색성 화합물 0.0001∼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고, 0.001∼1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광변색성 화합물의 광 변색 감응성능, 분자량 등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광변색성 화합물의 분자구조 특히 치환기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적용하고자 하는 장신구의 종류, 디자인, 색상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사용될 수 있는 식물은 천연식물로서 꽃, 나무, 풀 등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고, 가령 꽃도 원예식물, 야생화 어느 것도 포함되며, 잎, 줄기, 뿌리 등 식물체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미건조된 식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건조된 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식물을 얻는 방법으로는 가령 진공건조에 의한 방법(일본특허공고 소57-11881호), 동결건조에 의한 방법(일본특허공고 소52-2650호), 고주파건조에 의한 방법(일본특허공고 소61-30642호), 내열성 무기재료의 미소구체중에 식물을 삽입시켜 가열 건조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평4-257501호), 식물을 가압하에서 가열 건조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평2-178201호) 등이 있으나, 식물을 5∼30 kg/㎠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50∼90℃의 온도로 가열해 얻어진 건조식물에, 10∼1,000nm 입자크기를 가진 초미립 흡습성 무기물 5∼40중량%와 액상의 에폭시계 수지 60∼95중량%로 구성된 슬러리 혼합물을 코팅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1439호)이 장시간 변색 및 변형되지 않고 천연모습 그대로 보존되도록 하는데 적당하다.
또한 에폭시수지에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목적에 따라 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식물로서는 네잎 클로버를 사용하였고, 열풍가열조에 설치된 회전가열드럼으로 가압하면서 건조하는 연속건조장치를 사용하여 건조식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네잎 클로버의 잎을 적당히 채취하여 온도 70℃, 압력 12kg/㎠, 2분간의 건조 조건하에서 실시하여 건조된 네잎 클로버를 준비하였다. 한편 50nm의 제오라이트(미국 PQ사 상품명 Advera) 20중량%, 및 에폭시가가 0.50인 액상의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히드린으로 된 에폭시수지 80중량%을 혼합한 슬러리를 호모저나이저로 40분간 분산시켜 투명한 미립자/에폭시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 혼합물에 상온 경화제 디에틸렌트리아민을 8 중량부 투입하고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물 코팅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얻어진 건조된 네잎 클로버에 준비된 투명한 미립자/에폭시슬러리 혼합물 코팅액을 코팅하여 최종 건조식물시료를 제조하였다.
에폭시가 0.50인 액상의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히드린으로 된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색에서 청색으로 변하는 광변색성 화합물 1, 2, 3-트리메칠인돌리노-6'-니트로-8'-메톡시-벤조스피로피란 0.5 중량부 혼합한 광변색성 수지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얻어진 건조식물 시료를 열쇠고리에 부착하고 광변색성 수지조성물을 코팅해 네잎 클로버가 장식된 열쇠고리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얻어진 시료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 열쇠고리 시료에 빛을 조사하여 변색되는 것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변색성 화합물 1, 2, 3-트리메칠인돌리노-6'-니트로-8'-메톡시-벤조스피로피란 1.0 중량부 혼합한 광변색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열쇠고리 시료에 빛을 조사하여 변색되는 것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식물 및 광변색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목걸이, 팔찌에 응용하였다. 얻어진 시료에 빛을 조사하여 변색되는 것을 도 4,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2를 비교하면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내의 광변색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깔의 농도가 진해짐을 알 수 있다. 열쇠고리뿐 아니라 목걸이, 팔찌 등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신구는 광변색성 수지조성물로 천연식물을 장신구 몸체에 고정시킴으로서 장시간 변색 및 변형되지 않고 천연모습 그대로 보존되며 '광변색성 현상'이라는 흥미가 유발되는 놀라운 장신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Claims (4)

  1.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투명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장식재에 있어서,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변색성 화합물 0.00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합성수지로서 사용하여 천연 식물체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체를 함침시킨 광변색성 장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성 화합물로서, 1,2,3-트리메칠인돌리노-6'-니트로-8'-메톡시-벤조스피로피란, 1',3',3'-트리메칠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드린), 1',3',3'-트리메칠스피로-8-니트로(2H-1-벤조피란-2,2'-인드린), 1',3',3'-트리메칠-6-히드록시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드린)을 포함하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스피로나프토옥사진, 스피로피리도벤조옥사진, 스피로벤조옥사진을 포함하는 스피로옥사진계 화합물; 아조벤젠계 화합물; 티오인디고계 화합물; 알기드계 화합물; 및 트리페닐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변색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체를 함침시킨 광변색성 장식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성 화합물이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스피로옥사진계 화합물, 또는 알기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체를 함침시킨 광변색성 장식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연 식물체를 함침시킨 광변색성 장식재가 부착된 장신구.
KR1020010015538A 2001-03-26 2001-03-26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KR2001004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38A KR20010044795A (ko) 2001-03-26 2001-03-26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38A KR20010044795A (ko) 2001-03-26 2001-03-26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233U Division KR200236897Y1 (ko) 2001-03-26 2001-03-26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95A true KR20010044795A (ko) 2001-06-05

Family

ID=1970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538A KR20010044795A (ko) 2001-03-26 2001-03-26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795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128A (ja) * 1987-02-05 1988-08-10 Sanboole Kk プラスチツク眼鏡テンプルの二層化粧構造
JPH04213030A (ja) * 1990-11-22 1992-08-04 Tepitsuku:Kk 紫外線強度計
KR0127771B1 (ko) * 1993-09-18 1997-12-26 양시영 캡슐형 광변색제(光變色劑)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11332386A (ja) * 1998-05-29 1999-12-07 Pentel Kk テラリウム
KR20000009482U (ko) * 1998-11-05 2000-06-05 김철수 장신구
KR20010000475A (ko) * 2000-10-02 2001-01-05 전화석 클로버 식물잎의 가공방법과 그를 이용한 장신구
KR20010025604A (ko) * 2001-01-10 2001-04-06 이성우 광호변성 장신구 악세서리 코팅/인쇄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128A (ja) * 1987-02-05 1988-08-10 Sanboole Kk プラスチツク眼鏡テンプルの二層化粧構造
JPH04213030A (ja) * 1990-11-22 1992-08-04 Tepitsuku:Kk 紫外線強度計
KR0127771B1 (ko) * 1993-09-18 1997-12-26 양시영 캡슐형 광변색제(光變色劑)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11332386A (ja) * 1998-05-29 1999-12-07 Pentel Kk テラリウム
KR20000009482U (ko) * 1998-11-05 2000-06-05 김철수 장신구
KR20010000475A (ko) * 2000-10-02 2001-01-05 전화석 클로버 식물잎의 가공방법과 그를 이용한 장신구
KR20010025604A (ko) * 2001-01-10 2001-04-06 이성우 광호변성 장신구 악세서리 코팅/인쇄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1003A (en) Gem stone having an enhanced appear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83047B2 (ja) 天然青色系色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着色剤
KR200236897Y1 (ko)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CN106924076B (zh) 一种变色指甲油
KR100840690B1 (ko) 온도/광량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꽃을 제조하는 방법
Pina et al. The Triumph of the Blue in Nature and in Anthropocene
KR20010044795A (ko) 식물체를 이용한 광변색성 장신구
Brouillard et al. Loss of colour, a prerequisite to plant pigmentation by flavonoids
KR101758358B1 (ko) 압화장신구 제조방법
KR100602516B1 (ko) 기능성피혁 제조를 위한 염색방법
KR200236898Y1 (ko) 식물체를 이용한 열변색성 장신구
KR101028531B1 (ko)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KR20010044796A (ko) 식물체를 이용한 열변색성 장신구
KR20010044550A (ko) 색상 및 형상 보존성이 우수한 건조식물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응용한 장신구
KR101199867B1 (ko) 온도/광량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메세지가 나타나는 꽃을 제조하는 방법
KR20010025604A (ko) 광호변성 장신구 악세서리 코팅/인쇄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 방법
Marras Application of advanced methodologies to the identification of natural dyes and lakes in pictorial artworks
KR102170710B1 (ko)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JP2632180B2 (ja) 黒真珠及びその着色法
RU203541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поверхности стеклоизделия
KR900007093B1 (ko) 장식용 모조진주의 제조방법
JP2005146452A (ja) 装飾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4793A (ko)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식물 및 그 보존 처리방법
Kuehni Color and colorants in ancient Egypt
US151586A (en) Improvement in the methods of ornamenting mo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