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710B1 -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710B1
KR102170710B1 KR1020190065584A KR20190065584A KR102170710B1 KR 102170710 B1 KR102170710 B1 KR 102170710B1 KR 1020190065584 A KR1020190065584 A KR 1020190065584A KR 20190065584 A KR20190065584 A KR 20190065584A KR 102170710 B1 KR102170710 B1 KR 10217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per
jade
jewelry
ear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희
Original Assignee
임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희 filed Critical 임성희
Priority to KR102019006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특히 종이 보석 귀걸이를 만들 때 발생되는 염색, 열처리, 코팅, 테두리 세공 등 복잡한 공정에 따른 어려움과 한계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막고, 무엇보다도 광택도, 선명도를 높이면서 내스크래치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jewelery earrings}
본 발명은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특히 종이 보석 귀걸이를 만들 때 발생되는 염색, 열처리, 코팅, 테두리 세공 등 복잡한 공정에 따른 어려움과 한계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막고, 무엇보다도 광택도, 선명도를 높이면서 내스크래치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은 몸에 착용하여 미적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기본적인 의복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보석을 이용하여 멋과 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보석은 머리핀·귀걸이·팔찌·반지·목걸이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이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합성수지나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보석들은 소재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착용하면 느낌이 무겁고, 착용된 부위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좀더 고급스러운 것은 가격이 고가인 경우가 많다.
또한, 보석은 대부분 의복과 신발, 가방등과 색상을 맞추어 필요에 따라 착용하는데, 다양한 색상과 형상의 보석을 구비하고자 할 때는 보석이 고가인 경우 소비자 부담이 매우 크다.
아울러, 보석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무늬를 새기거나 무늬장식물을 부착해야 하므로, 무늬세공작업이나 부착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힘들고 생산단가의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양장과 조화하여 사용되도록 성형제조된 것이 많고, 한복의 전통적인 미와 잘 조화되는 보석은 많지 않다.
이에, 최근에는 한지를 이용한 보석 공예가 시도되고 있다.
한지 보석은 닥섬유로 제조된 한지 조형물 위에 전지된 문양을 따라 다양한 색상의 한지를 배접한 후 염색, 열처리, 코팅하고, 테두리를 세공하여 만들고 있다.
그리하여, 가벼우면서도 견고하고, 고급스러우면서도 은은한 효과를 주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킴으로써 추세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은 한지를 다수겹 붙인 후 염색, 열처리, 코팅, 테두리 세공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공수가 너무 많고 복잡하며 매우 세밀하고 어렵다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즉,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광택도, 선명도가 떨어지고, 스크래치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국내 공개실용 제20-2009-0010344호(2009-10-12), 한지보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특히 종이 보석 귀걸이를 만들 때 발생되는 염색, 열처리, 코팅, 테두리 세공 등 복잡한 공정에 따른 어려움과 한계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막고, 무엇보다도 광택도, 선명도를 높이면서 내스크래치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화지를 귀걸이에 맞게 커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준비된 화지를 귀걸이용 틀에 본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화지의 표면에 유광 옻칠액을 이용하여 1차 유광칠을 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1차 유광칠된 표면에 옥분말이 함유된 옥 도료액으로 2차 옥칠 후 건조하여 마무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보석용 종이인 화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귀걸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전에 전처리단계를 더 수행하되, 상기 전처리단계는 원지를 풀림침착액에 담궜다가 건조시킨 후 화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풀림침착액은 오산화인 20중량%, 루틴 10중량%, 중탄산소다 30중량% 및 나머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실리콘수지 40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광 옻칠액은 옻나무 진액 70-80중량%와, 테라핀유 20-30중량%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제4단계에서 사용되는 옥 도료액은 옥분말 10-15중량%와, 바니쉬 85-90중량%가 혼합된 후 상기 옥 도료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황산칼슘 5중량부, 베헤닌산 1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부가 더 첨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특히 종이 보석 귀걸이를 만들 때 발생되는 염색, 열처리, 코팅, 테두리 세공 등 복잡한 공정에 따른 어려움과 한계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막고, 무엇보다도 광택도, 선명도를 높이면서 내스크래치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종이 보석 귀걸이의 예시적인 실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종이 보석 귀걸이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보석 귀걸이는 귀걸이 형태의 틀 속에 보석이 들어갈 자리를 종이로 만들어진 종이 보석이 채워짐으로써 경량화는 물론 고급화, 화려함, 내구성을 가지면서 은은함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악세사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귀걸이 형태의 틀은 이미 만들어진 기성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종이 보석 귀걸이의 특성에 맞게 새롭게 가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지를 귀걸이에 맞게 커팅하는 제1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화지란 그림이나 글씨, 문양 등이 인쇄되어 있는 종이 보석용 종이를 말한다.
이어, 상기 제1단계 후 본드나 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준비된 화지를 귀걸이용 틀에 본딩하는 제2단계가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고강도 부착력과 계면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수밀성이 높아야 하므로 실리콘수지 40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실리콘수지는 대표적인 발수성 수지이면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방수성 유기물로서 발수성을 증대시켜 접착력 저하를 막으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수밀성 접착용 수지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제2단계 후 1차 유광칠을 하는 제3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1차 유광칠은 화지의 표면이 윤이나게 하면서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여 오랜시간이 지나도 썩거나 부패, 부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광칠은 유광 옻칠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내구성과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옻나무 진액 70-80중량%와 테라핀유 20-3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함이 좋다.
이 경우, 테라핀유는 광택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탄력성도 보이게 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첨가 혼합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후, 1차 유광칠된 표면에 2차 옥칠 후 건조하여 마무리하는 제4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옥칠은 옥분말이 함유된 도료로 칠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옥분말 10-15중량%와 바니쉬(Varnish) 85-90중량%가 혼합된 옥 도료액으로 2차 칠하여 표면 보호 및 투명성을 유지하여 문양, 그림, 글씨 등 화지의 무늬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건조가 완료되면, 도 1 내지 도 5에서 샘플로 예시한 일정 이상의 광택도를 갖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종이 보석 귀걸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이 보석 귀걸이를 착용할 때 화지 부분이 인체와 접촉되면서 인체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광택도와 내스크래치성을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상기 제1단계 수행전에 전처리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화지의 원료가 되는 원지를 풀림침착시키는 단계로서, 원지를 풀림침착액에 담궜다가 충분히 건조시킨 후 화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풀림침착액은 오산화인 20중량%, 루틴 10중량%, 중탄산소다 30중량% 및 나머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산화인은 인이 연소될 때 생기는 백색 가루로서 마이크로 입경을 갖도록 분쇄된 상태로 첨가되며, 종이의 경질화를 억제하여 내스크래치성을 높이면서 광택도와 선명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루틴(Rutin)은 피부 접촉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중탄산소다는 원지와의 스티키성을 완화시켜 원지의 풀림과 침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는 액의 침착성을 높여 원지의 굴곡탄성율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내스크래치성과 광택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하면, 원지의 조직간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풀림침착액의 침착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풀림침착이 완료되면 충분히 건조시켜 화지로 사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옥 도료액에 기능성물질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물질은 광택도와 내스크래치성을 충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마지막 첨가물로서, 옥 도료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황산칼슘 5중량부, 베헤닌산 1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부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아황산칼슘은 고해성과 광택성을 향상시켜 표면 광택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베헤닌산은 화지의 연성을 높이고 윤활성, 유연성을 유지시켜 조직치밀화에 따른 스크래치 발생 억제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아크릴로니트릴은 굴곡탄성율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도된 종이 보석 귀걸이의 화지 특성(광택도, 내스크래치성)을 확인하기 위해 광택도측정기(Gloss Meter Reading)를 이용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 1은 본 발명의 기본 제조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고, 시료 2는 전처리단계를 거친 것을, 시료 3은 기능성물질이 더 첨가된 것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광택도의 기준은 항상 유리(거울)이며 기준은 100이다.
이 100을 기준으로 광택도가 60 이상으로 판명되면 보석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광택도(고급스러움, 은은함 연출)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측정 결과, 시료 1은 광택도가 71로 나타났고, 시료 2는 75, 시료 3은 82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료 1,2,3 모두 충분하고도 남는 광택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내스크래치성 테스트를 위해 시료 1,2,3의 화지 표면을 손톱으로 문질렀다. 그 결과, 시료 1,2,3 모두 손톱 자국이 남지 않았다.
이를 통해, 내스크래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화지를 귀걸이에 맞게 커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준비된 화지를 귀걸이용 틀에 본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화지의 표면에 유광 옻칠액을 이용하여 1차 유광칠을 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1차 유광칠된 표면에 옥분말이 함유된 옥 도료액으로 2차 옥칠 후 건조하여 마무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보석용 종이인 화지를 이용하여 종이 보석 귀걸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전에 전처리단계를 더 수행하되, 상기 전처리단계는 원지를 풀림침착액에 담궜다가 건조시킨 후 화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풀림침착액은 오산화인 20중량%, 루틴 10중량%, 중탄산소다 30중량% 및 나머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실리콘수지 40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광 옻칠액은 옻나무 진액 70-80중량%와, 테라핀유 20-30중량%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제4단계에서 사용되는 옥 도료액은 옥분말 10-15중량%와, 바니쉬 85-90중량%가 혼합된 후 상기 옥 도료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황산칼슘 5중량부, 베헤닌산 1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부가 더 첨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5584A 2019-06-03 2019-06-03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KR10217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84A KR102170710B1 (ko) 2019-06-03 2019-06-03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84A KR102170710B1 (ko) 2019-06-03 2019-06-03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710B1 true KR102170710B1 (ko) 2020-10-27

Family

ID=7313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84A KR102170710B1 (ko) 2019-06-03 2019-06-03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56A (ko) * 2004-08-06 2004-09-14 이영순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KR20090010344U (ko) 2008-04-07 2009-10-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지보석
KR20100138320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훈 도장용 도료조성물
KR20180083335A (ko) * 2015-11-20 2018-07-20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점토와 수지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제, 그것을 사용한 보호막, 및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56A (ko) * 2004-08-06 2004-09-14 이영순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KR20090010344U (ko) 2008-04-07 2009-10-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지보석
KR20100138320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훈 도장용 도료조성물
KR20180083335A (ko) * 2015-11-20 2018-07-20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점토와 수지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제, 그것을 사용한 보호막, 및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710B1 (ko)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CN110477522B (zh) 贝壳材料及其制备方法和贝壳纽扣
KR102462976B1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101204379B1 (ko)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KR101866631B1 (ko)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JP2005319717A (ja) 金属製漆塗り装飾具、および金属製漆塗り装飾具の製造方法
KR100479193B1 (ko)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Turner Surface Effect and Substance: Precious Metals in Illuminated Manuscripts
CN101941349B (zh) 黄金、宝石首饰的合成工艺方法
JP2020103749A (ja) 人造真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48792A (zh) 一种具有微风效应的獭兔皮的染色方法
KR0128988B1 (ko) 무늬가 형성된 합성수지층이 부여된 귀금속 장식품 및 제조방법
JP2006306761A (ja) 装飾品
US1254791A (en) Imitation pearl.
Havell THE INDUSTRIES OF MADRAS.
CN202319687U (zh) 一种保鲜电镀玫瑰
CN102689567A (zh) 一种天然翡翠画工艺品及其制作方法
CN202923273U (zh) 一种保鲜电镀镶钻玫瑰
KR101200529B1 (ko) 장신구에 그라데이션을 표현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장신구
KR20230154123A (ko) 보존화를 이용한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US20090311488A1 (en) Decorative ornaments and methods for making decorative ornaments
KR200317922Y1 (ko) 칠보장식을 구비한 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