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356A -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356A
KR20040079356A KR1020040063007A KR20040063007A KR20040079356A KR 20040079356 A KR20040079356 A KR 20040079356A KR 1020040063007 A KR1020040063007 A KR 1020040063007A KR 20040063007 A KR20040063007 A KR 20040063007A KR 20040079356 A KR20040079356 A KR 2004007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ornaments
decorative member
adhesive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이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순 filed Critical 이영순
Priority to KR102004006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356A/ko
Publication of KR2004007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3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가 그 위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부재는 종이부와 상기 종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그 제조방법은 몸체 및 지지부재의 제조성형단계, 염색단계 또는 인쇄단계, 재단단계, 주름형성단계, 몸체부착단계, 건조단계, 코팅단계 등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연스러운 효과를 줄 수 있고, 전통적인 미를 살릴 수 있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몸에 착용하여 미적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기본적인 의복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장신구를 이용하여 멋과 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장신구는 머리핀·귀걸이·팔찌·반지·목걸이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금이나 은과 같은 금속재를 비롯하여 합성수지나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종래의 장신구들은 이러한 소재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착용하면 느낌이 무겁고, 착용된 부위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좀더 고급스러운 것은 가격이 고가인 경우가 많다.
장신구는 대부분 의복과 신발, 가방등과 색상을 맞추어 필요에 따라 착용하는데, 다양한 색상과 형상의 장신구를 구비하고자 할 때는 장신구가 고가인 경우에는 가격 면에서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었다.
또한, 장신구들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해 별도의 무늬를 새기거나 무늬장식물을 부착해야 하므로, 무늬세공작업이나 부착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힘들고 생산단가의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 양장과 조화하여 사용되도록 성형제조된 것이 많고, 한복의 전통적인 미와 잘 조화되는 장신구는 거의 제공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몸에 착용되었을 때 소재 자체의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양장뿐만 아니라 한복과 잘 조화되어 전통적인 미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장법에 있어서, 성형 및 가공이 쉽고 따라서 가격 면에서도 저렴한 종이를 소재로 성형제조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일실시예.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장식부재 2: 몸체
3: 종이부 4: 지지부재
본 발명은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가 그 위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부재는 종이부와 상기 종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이다.
특히, 상기 종이부의 주재료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이부는 재료로 사용된 종이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이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는 상기 몸체 저면에 핀이나 클립을 부착하여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로치 등과 핸드폰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종이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한 후 염색된 종이를 만들고자 하는 장신구의 크기대로 적절하게 자른 후,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염색된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한 후, 상기 장신구의 지지부재 위에 상기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하여 장식부재를 만든 후 상기 장식부재를 장신구의 몸체 위에 다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후 일정시간 건조시키거나, 혹은 상기 장신구의 지지부재 위에 상기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한 다음,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염색된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의 본 발명의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특히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종이는 염색 대신에 미리 인쇄된 용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몸에 착용하여 미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종이부와 상기 종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가 그 위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염색 또는 인쇄된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한 후, 상기 장신구의 지지부재 위에 상기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하여 만들거나, 혹은 지지부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종이를 고정부착하고 상기 종이를 송곳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소정형상으로 제조되고, 이와같이 하여 만들어진 상기 장식부재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몸체에 부착되고 건조되어 장신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몸체 및 지지부재의 제조, 성형단계, 염색단계 또는 인쇄 단계, 재단 단계, 주름형성단계, 몸체 부착단계, 건조단계, 코팅단계 등의 순서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만들고자하는 장신구에 알맞은 형상으로 몸체 및 지지부재를 제조하는 몸체 및 지지부재의 제조, 성형단계;
종이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하는 염색단계 또는 인쇄단계;
인쇄 또는 염색된 종이를 만들고자하는 장식부재 성형품의 크기에 적절하게 자르는 재단 단계;
인쇄 또는 염색되고 재단되어진 종이를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주름을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부착함으로써 장식부재를 소정형상으로 성형하는 주름형성단계;
상기의 장식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몸체에 부착하는 몸체 부착단계;
상기 장식부재와 몸체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온에서 일정시간 자연 건조 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장신구에 무광택의 투명도료 등으로 코팅하는 코팅단계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종이를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장식 효과가 뛰어난 장신구를 만들 수 있다. 즉, 장식부재를 종이를 이용하여 원형, 사각형 등의 여러 종류의 모양을 갖도록 성형하여 본 발명의 장신구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종이 소재로써 고유의 한지를 사용하여 우수한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재는 주름이 형성된 종이부와 그 내부의 지지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타원형으로 상부면이 완곡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면이 몸체의 장식부재 부착부위에 고정부착된다.
따라서, 장식부재의 상부면이 돌출성형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는 성형제조하고자하는 장식부재의 소정형상으로 성형되되, 일면이 완곡돌출 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장식부재가 외부돌출 성형되는 구조를 이루게 지지한다.
상기 장식부재는 종이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원형, 사각형 등의 여러 종류의 모양을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장신구의 몸체는 장식부재와 별도 성형되고, 알루미늄을 프레스로 찍어 제조하고, 알루미늄 외에 철재 및 금, 은 등의 소재가 사용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가 부착되도록 몸체에는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부위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식부재가 부착된 몸체의 저면에, 핀이나 클립을 부착함으로서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로치 등과 핸드폰 액세서리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의 염색 단계에서, 상기 장식부재는 종이의 표면에 염색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무늬를 형성시킨 다음, 종이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한다.
종래의 장신구들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해 장식부재의 표면에 별도의 무늬를 새기거나 무늬 장식물을 별도 제작하여 부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효율이 저하되고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나, 본 발명은 별도의 무늬를 형성하는 제조공정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염색된 종이를 주름을 형성하는 성형과정에서 적절하게 색상을 조화하여 무늬를 표현하면 된다. 특히, 한지는 염색되면 장신구에 다양한 색상효과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종이 소재는 염색 대신에 미리 인쇄된 용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하여, 장식부재의 표면에 표현되는 무늬는, 종이부의 소재로 한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효과로 인하여 한지 고유의 재질감과 더불어 장신구가 더욱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발산하며, 한복과 같이 착용하면 한복의 전통미와 자연미와 조화되어 장식 효과가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주름형성단계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종이를 고정부착하고 상기 종이를 송곳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장식부재가 소정형상으로 제조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장식부재 제조방법은, 상기 재단된 종이의 일면 전체에 접착제를 칠하고, 상기 접착제가 칠해진 종이의 일면 중앙부에, 상부면이 돌출된 소정형상의 지지부재의 상기 상부면이 부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의 돌출된 상부면을 상기 접착제가 칠하여진 종이의 일면으로 감싸면서 주름을 형성하며, 이때, 송곳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하면, 주름이 잡힌 종이부는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소정형상의 장식부재로 성형된다.
또는, 종이부와 지지부재가 상호 고정부착할 때,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부재 위에 상기 주름이 형성된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하여 장식부재를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주름형성단계 이후, 상기 장식부재를 장신구의 몸체 위에 다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는 과정에 스프레이 등으로 소량의 물을 뿌려 한지의 보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착제는 PVAc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알루미늄 판재를 프레스로 찍어서 별도로 만들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가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에 종이의 가장자리가 고정부착 되도록 송곳을 이용하여 종이를 지지부재의 돌출부로 끌어당기면서 주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종이의 가장자리 부위가 고정부착 되어진다.
종이에 칠해진 접착제의 응고에 따라 주름이 고정되고 고정된 주름이 다수 개 형성되면서 소정의 형상을 이룬다.
다음단계로써,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부위에 접착제를 칠하고, 상기 장식부재를 몸체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장식부재를, 건조되지 않는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몸체에 부착한 상태로 일정시간 건조시킨 후에, 상기 가공품에 무광택의 투명도료 등으로 코팅하여 제조된다.
상기의 제품을 건조시킬 때는 상온에서 일정시간 자연 건조한다. 이때 건조 환경에 따라 약간의 건조시간이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종이의 가장자리 부위와 몸체부가 부착되어진다.
상기 장식부재의 상면에 통상의 무광택 투명 도료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코팅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코팅은 장신구의 손상을 어느 정도 막아주게 되고, 도료 특유의 광택으로 인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자 이용되지만, 본 발명은 코팅하지 않아도 종이 자체의 재질로 인하여 고급스러우면서도 자연스러운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코팅할 경우에는 제품자체의 자연미를 위해 무광택의 코팅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장신구 몸체의 저면에, 고정판이나 클립을 부착시킴으로서 머리핀이나 반지, 목걸이 및 브로치 등의 장신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되어진 본 발명의 장신구는, 종이와 접착제의 강력한 접착력에 의해 장식부재와 장신구 본체의 이탈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떨어뜨렸을 경우에도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손상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종이와 접착제가 혼합되어 응고되면서 방수 효과가 발생하여 물에 접촉되어도 형태가 거의 변형되지 않으므로 비가 오는 경우에도 착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신구는 종이부의 소재로 한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외형으로 인하여 양장뿐만 아니라, 한복과 맞추어 착용하였을 때 전통적이고 자연적인 미를 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는 금속 등의 일반적인 장신구에 비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머플러와 같이 부드럽고 가벼운 제품과 결합 시에도 그 무게로 인해 머플러가 아래로 처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머플러 등의 색상이 다양한 제품에도 조화롭게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신구의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신구는 한지 등의 종이를 소재로 함으로써 전통적인 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낮은 중량감으로 인해 가볍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고, 다양한 염색으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서 자연스러운 미와 고급스러움을 구비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한복과 조화가 뛰어나 전통에 알맞은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과정에 있어서, 성형 및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하고, 이에 따라 가격 면에서도 저렴하므로 장신구로써 우수한 제품가치가 있다.

Claims (9)

  1.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장식부재(1)와, 상기 장식부재(1)가 그 위에 결합되는 몸체(2)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부재(1)는 종이부(3)와 상기 종이부(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부(3)의 재료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부(3)는 재료로 사용된 종이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부(3)는 상기 지지부재(4)에 접착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 저면에 핀이나 클립을 부착하여 머리핀이나 목걸이, 팔찌 및 브로치 등과 핸드폰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길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6.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종이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한 후 염색된 종이를 만들고자 하는 장신구의 크기대로 적절하게 자른 후,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염색된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한 후, 상기 장신구의 지지부재(4) 위에 상기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하여 장식부재(1)를 만든 후 상기 장식부재(1)를 장신구의 몸체(2)위에 다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7.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종이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한 후, 염색된 종이를 만들고자 하는 장신구의 크기대로 적절하게 자른 후, 상기 장신구의 지지부재(4)위에 상기 염색되고 잘라진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한 다음, 접착제와 송곳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염색된 종이에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여 장식부재(1)를 만든 후 상기 장식부재(1)를 장신구의 몸체(2) 위에 다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특히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염색 대신에 미리 인쇄된 용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KR1020040063007A 2004-08-06 2004-08-06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KR20040079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007A KR20040079356A (ko) 2004-08-06 2004-08-06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007A KR20040079356A (ko) 2004-08-06 2004-08-06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356A true KR20040079356A (ko) 2004-09-14

Family

ID=3736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007A KR20040079356A (ko) 2004-08-06 2004-08-06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3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39B1 (ko) * 2006-05-25 2007-02-26 김은희 종이 말기를 이용한 귀금속 장식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4798B1 (ko) * 2006-11-15 2008-06-09 김우식 제품 표면에 한지 부착 방법
KR102170710B1 (ko) * 2019-06-03 2020-10-27 임성희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39B1 (ko) * 2006-05-25 2007-02-26 김은희 종이 말기를 이용한 귀금속 장식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4798B1 (ko) * 2006-11-15 2008-06-09 김우식 제품 표면에 한지 부착 방법
KR102170710B1 (ko) * 2019-06-03 2020-10-27 임성희 종이 보석 귀걸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9356A (ko)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KR101417902B1 (ko) 투영 가공 처리된 장식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투영 가공 처리된 장식구
US6295995B1 (en) Permanently covered rigid or semi-rigid mounting piece for an article of fashion
KR100296615B1 (ko) 반짝이를포함하는악세사리의장식면구조및그제조방법
KR101866631B1 (ko)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KR20100058384A (ko) 자개 장식이 구비된 의복용 장식 버클
KR200409878Y1 (ko) 장식품
CN201577654U (zh) 拉链片的装饰块改良
CN208211642U (zh) 一种可自制文字或图案的个性化装饰物
KR200331317Y1 (ko) 장식무늬를 가지는 신변 장신구
KR20038807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JP3039073U (ja) 皮革製品の装飾具取付構造
KR101445233B1 (ko) 에나멜 장식체가 결합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에나멜 장식체가 결합된 장신구.
CN2298698Y (zh) 实竹工艺钮扣
KR200317922Y1 (ko) 칠보장식을 구비한 지갑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246828Y1 (ko) 장식편 부착구조를 갖는 악세사리
KR101444755B1 (ko) 한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86026Y1 (ko) 장식용 펜던트
Vynnychuk et al. Artistic and stylistic features of modern brooches
KR200200760Y1 (ko) 모조 패션 손톱
KR200374211Y1 (ko) 압화를 부착한 장식물
KR200328240Y1 (ko)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KR200373534Y1 (ko) 종이 액세서리
KR101417904B1 (ko) 강화 보호 필름이 부착된 장식구 및 그 장식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