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240Y1 -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 Google Patents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240Y1
KR200328240Y1 KR20-2003-0020266U KR20030020266U KR200328240Y1 KR 200328240 Y1 KR200328240 Y1 KR 200328240Y1 KR 20030020266 U KR20030020266 U KR 20030020266U KR 200328240 Y1 KR200328240 Y1 KR 200328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means
attachment
button
support layer
attach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옥
Original Assignee
박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옥 filed Critical 박일옥
Priority to KR20-2003-0020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장식물로서의 압화장식품을 옷이나 가방 등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꽃을 원상태로 피복하여 보호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보호하는 투명층(11)과 꽃을 지지하는 지지층 (12) 및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명층(11)이 상기 지지층(12)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층(12)과 투명층(11) 사이에 꽃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층(12)의 타면 상에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Pressed flower ornament having holding means}
본 고안은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장식물로서의 압화장식품을 옷이나 가방 등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화(natural flower)는 향기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절화된 상태로 사무실 또는 가정의 실내에 꽃병 또는 수반에 장식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화는 절화 초기에는 생화 자체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로 시들어져서 장식성은 시간이 갈수록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완전히 시들어버리게 되어 한시적인 역할만을 할 수 있게 되어 주기적으로 새로운 생화로 교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유지비용이 소요된다.
더욱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 생일축하 꽃다발이나 예쁜 꽃잎 또는 나뭇잎 등은 오랜 기간동안 보관하고자 할 경우 단지 건조방식으로 수분을 제거시켜 생화의모양을 유지하도록 자세를 고정시켜서 건화(dried flower)를 만든 후, 이를 꽃병에 꽂아두거나 묶음으로 벽에 걸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건화 등은 수분이 대부분 빠져나간 상태이므로, 탈수시에 탈색이 이루어지며, 수분이 없어 취급시에 주의하지 않으면 쉽게 부서지거나 꺾어지는 단점이 있어 생산지에서 소비지의 소비자에게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품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아라비아고무나 계란의 난백질(흰자위)을 이용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생화를 코팅하여 케이크 등의 장식에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그 보존기간이 수일에서 길게는 수개월까지에 불과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식물의 데코레이션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압화(pressed flower)는 통상 종래부터 책갈피 등에 소형의 꽃이나 잎등을 넣어 압축되어 평면화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자연건조가 되도록 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보존성이 증가하며, 평면화에 의해 다른 물품에의 부착성 등이 개선되고, 투명비닐 등에 의해 가열압착하여 코팅하는 것에 의해 평면상의 압화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나, 역시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키기에는 부착 등에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9-25457호 및 동 공보 제1989-17094호에는 생화를 건조(또는 압착건조), 수지코팅 처리에 의해 조화가 제공할 수 없는 자연그대로의 자태와 아름다움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어 장식용 꽃 또는 쟁반 등과 같은 원하는 피착물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식용 꽃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용 꽃은 옷이나 가방 등에부착하여 사용함에 있어 특히 영구적인 부착이 곤란하며, 부착에 노력과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옷에 부착하는 경우 등에서 세탁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판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제의 투명층으로 피복되어 보호되는 압화장식품이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압화장식품 역시 별도의 부착수단이 없기 때문에 금속제의 지지판에 상용화된 접착제 등을 적용시켜 역시 단단한 표면을 갖는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여 장식하거나 지지판 등에 구멍을 뚫어 고리를 달아 핸드폰 등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여 옷 등 연질의 바탕재에 고정시키기 곤란하며, 옷 등에 고정시켰을 경우에도 세탁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 장식성이 많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단추는 옷을 여미는 도구로서 옷고름 대용품이며, 단추의 기원은 BC 2500년경 이집트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단추의 어원은 포르투갈어의 BOTAN이 변한 것이고, 영어 BUTTON은 고대 GERMAN의 BUTTRE에서 유래된 것이다. 고대의 단추는 이집트나 그리스, 페르시아 등지의 유물에서 볼 수 있었고 단순한 형태로 기능적인 역할 보다는 장식적인 가치가 우선되었다. 중세의 단추가 기능적인 용도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이후의 십자군 전쟁시 동양의 문화가 전파되면서 단추의 단추 구멍이 도입되었다. 따라서, 14세기 이후의 단추의 단추 구멍은 장식적인 용도로서 뿐 아니라 기능적인 용도로서 사용되었다. 근대에 들어와서 단추의 사용은 더욱 증가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남녀 모두 사용하였다. 17세기에는 바로크 의상의 화려함과 함께 단추는 장식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18세기에 들어와 산업혁명으로 금속, 상아 단추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여성복에서도 단추의 사용이 확대되었다. 19세기에는 단추 제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로 수공업에 의존하던 단추가 기계에 의해 대량 생산되기 시작되었다. 20세기 이후 합성수지의 개발로 더욱 다양하고 기능적인 용도로 변화되었다. 단추에 사용된 재료로는 거의 모든 물질이 사용되었다. 소재는 천연소재, 합성수지소재, 인조소재, 결합소재로 나누어 고찰해보면 천연소재로는 금속과 조개, 애나멜, 마노, 벽옥, 대리석, 나무, 상아, 뿔 등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합성수지 소재로는 모조보석, 유리, 아크릴, 세룰로이드, 나일론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제작기법에서는 수공의 상감세공, 정밀주조, 프레스기법, 모자이크, 염색, 가공, 결각, 양각기법 등을 사용하였다. 형태로서는 단연 원형이 많았고 타원형, 기둥형, 결각, 양각기법등을 사용하였다. 색채면에서는 단색보다는 인근색, 대비색, 다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또한 유채색이 단연 우세하게 쓰였다. 단추 자체로서의 색상, 의복과 단추와의 색상조화가 주는 디자인의 장식성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양면에 있어서는 구상문양의 다양하고 섬세한 표현이 놀라울 정도로 화려하게 변했다. 버튼을 트랜드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해 왔으며 이제는 미니멀리즘의(minimalism) 흐름과 유행 속에서 버튼이 옷 속에 감추어지거나 묻히는 경향이다. 디자인 자체나 소재, 칼라의 강조가 중시되고 의복의 기능적인 측면이 중시되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발달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단추는 공장에서 대량생산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일부 수작업에 의한 고급단추들이 있기는 하나, 여전히 인공적인 제품으로서 자연적인 아름다움 등은 많이 결여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장식물로서의 압화장식품을 옷이나 가방 등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압화장식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이 다른 장식천과 함께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투명층 12 : 지지층
13 : 고리단추형 부착판 14 : 핀형 부착판
15 : 홀단추형 부착판 21 : 바탕재
22 : 장식무늬천 23 : 장식무늬
31 : 홀단추형 제2부착판 32 : 보호리브
131 : 고리형 단추구멍 141 : 고정핀
151 : 홀형 단추구멍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은, 꽃을 원상태로 피복하여 보호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보호하는 투명층과 꽃을 지지하는 지지층 및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명층이 상기 지지층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층과 투명층 사이에 꽃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은 부착수단으로서 고리형 단추구멍을 포함하는 고리단추형 부착판이나 홀형 단추구멍들이 형성된 홀단추형 부착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은 부착수단으로서 고정핀을 포함하는 핀형 부착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은 천과 같은 바탕재에 장식무늬천과 함께 바느질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은, 꽃을 원상태로 피복하여 보호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보호하는투명층(11)과 꽃을 지지하는 지지층(12) 및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명층(11)이 상기 지지층(12)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층(12)과 투명층(11) 사이에 꽃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층(12)의 타면 상에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투명층(11)은 통상 합성수지제로서, 내부에 고정되는 꽃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꽃을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투명한 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층(11)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의 지지층(12) 상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투명층(11)과 지지층(12) 사이에 장식의 대상이 되는 꽃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투명층(11)이 형성된 지지층(12)의 대향되는 표면에는 옷 등의 연질의 바탕재(21)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은 부착수단으로서 고리형 단추구멍(131)을 포함하는 고리단추형 부착판(13)이나 홀형 단추구멍(151)들이 형성된 홀단추형 부착판(15)이 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단추구멍(131)을 포함하는 고리단추형 부착판(1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단추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고리형 단추구멍(131)이 형성되어 이 고리형 단추구멍(131)을 통해 바느질로 실을 수회 반복통과시키면서 바탕재(2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리형 단추구멍(131)을 포함하는 고리단추형 부착판(13)은 국내외 유수의 단추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홀형 단추구멍(151)들이 형성된 홀단추형 부착판(1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홀형 단추구멍(151)들이 형성되어 이 홀형단추구멍(151)들을 통해 바느질로 실을 수회 반복통과시키면서 바탕재(21)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바느질에 의해 실로 천과 같은 바탕재(21)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되며, 바탕재(21)가 옷인 경우에도 반복되는 세탁에도 내구성을 가지며,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옷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옷을 장식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수단으로서 고정핀(141)을 포함하는 핀형 부착판(14)이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141)은 통상의 옷핀 또는 안전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고정핀(141)을 포함하는 핀형 부착판(14) 역시 국내외 유수의 단추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은 바느질 대신 간단하게 고정핀 (141)을 이용하여 쉽게 옷 등의 천의 재질의 바탕재(2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역시 반복되는 세탁 등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부착수단들 이외에 통상의 청바지 등에서 사용되는 리벳구조와 같은 공지의 부착수단들이 상기 단추구멍 또는 고정핀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리벳구조 등 역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압화가 취부되는 상기 지지층(12)과 옷 등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의 부착판들 간의 결합 역시 통상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한 고정이나 용접 등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지지층(12)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부착판들에 영구자석을 취부시켜 이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지지층(12)을 상기 부착판들에 고정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들은 모두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과 같은 바탕재(21)에 장식무늬천(22)과 함께 바느질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장식무늬천(22)은 재봉, 염색 또는 수실에 의한 수놓음 등에 의해 또는 일정한 무늬를 갖도록 직조된 직물 등으로서 장식성이 뛰어난 미려한 모양을 나타내는 천들로 옷 등을 장식함에 있어 바느질로 고정시켜 옷을 장식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을 바탕재(21)에 고정시킬 때 상기한 공지의 장식무늬천 (22)들과 함께 바느질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옷 등을 보다 미려하게 그리고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으며, 역시 세탁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는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무늬천(22)과 함께 또는 상기 장식무늬천(22) 없이 바탕재(21)에 직접 재봉, 염색 또는 수실에 의한 수놓음 등에 의해 또는 일정한 무늬를 갖도록 무늬를 형성시키고, 이와 함께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을 바느질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바탕재(21)의 예로 옷을 구성하는 천을 예로 들었으나, 가방이나 기타 일상 생활용품 등 장식이 요구되는 모든 종류의 제품을 재봉가능한 바탕재 (21)로 제조된 제품에의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특히 꽃이 대형이거나 복잡한 구성 등을 위한 경우 상기 지지층(12)을 대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단추형 제2부착판(31) 상에 보호리브(32)를 형성시키고, 상기 보호리브(32) 내에 꽃을 삽입한 후, 상기 보호리브(32) 내로 아크릴수지 등을 부어넣어 투명층(11)을 형성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장식물로서의 압화장식품을 옷이나 가방 등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꽃을 원상태로 피복하여 보호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보호하는 투명층과 꽃을 지지하는 지지층 및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명층이 상기 지지층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층과 투명층 사이에 꽃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부착수단으로서 고리형 단추구멍을 포함하는 고리단추형 부착판이나 홀형 단추구멍들이 형성된 홀단추형 부착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판이 부착수단으로서 고정핀을 포함하는 핀형 부착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착수단으로서 홀형 단추구멍들이 형성된 홀단추형 제2부착판 상에 형성된 보호리브 내에 꽃을 삽입하고, 상기 보호리브 내로 아크릴수지 등을 부어넣어 투명층(11)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KR20-2003-0020266U 2003-06-26 2003-06-26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KR200328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66U KR200328240Y1 (ko) 2003-06-26 2003-06-26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66U KR200328240Y1 (ko) 2003-06-26 2003-06-26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912A Division KR20050001645A (ko) 2003-06-26 2003-06-26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240Y1 true KR200328240Y1 (ko) 2003-09-26

Family

ID=4933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266U KR200328240Y1 (ko) 2003-06-26 2003-06-26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5767A (en) Ribbon embroidery applique and method
KR200328240Y1 (ko)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50001645A (ko) 부착수단이 구비된 압화장식품
KR200487968Y1 (ko) 한지 압화 장식패
CN105648676A (zh) 一种湘南布贴绣的制作方法
KR200419537Y1 (ko) 조합 의류품
KR200190637Y1 (ko) 누드 목걸이
KR102401789B1 (ko)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KR200336908Y1 (ko) 개량 스팽글
KR102194527B1 (ko) 장식체의 유동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장식
KR200367703Y1 (ko) 착탈이 가능한 모피용 장신구
JP3043311U (ja) コサージュ用の花どめ及びそれを利用したコサージュ
KR100993449B1 (ko) 겨자씨가 부착 고정된 장신구 및 물품의 제작방법 및겨자씨가 부착된 장신구 및 물품
KR200367196Y1 (ko) 쥬얼리 부케 베이스
JP3048045U (ja) 和風の化粧紙器
KR20040079356A (ko) 종이를 이용한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CN201767173U (zh) 带防护框和小凹口陶瓷纽扣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JPH03199404A (ja) 装飾品
KR200198784Y1 (ko) 장식용 화분
KR200384692Y1 (ko) 액세서리 펜던트
JP3176809U (ja) 装飾片を取付けた着物及びその帯
KR20150007014A (ko)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JP3099158U (ja) 環状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