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68Y1 - 한지 압화 장식패 - Google Patents

한지 압화 장식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68Y1
KR200487968Y1 KR2020170004225U KR20170004225U KR200487968Y1 KR 200487968 Y1 KR200487968 Y1 KR 200487968Y1 KR 2020170004225 U KR2020170004225 U KR 2020170004225U KR 20170004225 U KR20170004225 U KR 20170004225U KR 200487968 Y1 KR200487968 Y1 KR 200487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ressing
press
korean paper
pa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미숙
Original Assignee
권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숙 filed Critical 권미숙
Priority to KR2020170004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로나 감사 등의 각종 기념패에 장식적인 기능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관광상품 중의 하나인 노리개로 형성시킨 장식패로 한지와 생화를 압착하여 형성한 압화를 장식패의 중앙부에 형성하여 완성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노리개 형상의 장식패에 한지와 생화를 이용한 우리나라 전통적인 공예를 통하여 구성한 압화를 사용하므로, 노리개가 주는 미적 심미관의 효과와 시각적으로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공예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지 압화 장식패{A memorial tablet using korean paper and press flower}
본 고안은 우리나라 전통 의복 또는 가구 등에 장식적인 기능을 목적으로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관광상품 중의 하나인 노리개 형상으로 구성한 장식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한지와 생화를 압착하여 형성한 압화를 장식패의 중앙부에 형성하여 제작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화는 조형예술의 일종으로 꽃과 잎을 눌러서 말린 그림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꽃누르미 또는 누름꽃이라고 부르지만 보통 한자로 압화(pressed flower, 押花)라고 부른다. 압화는 흔히 들판이나 산에서 발견되는 야생화의 꽃과 잎, 줄기 등을 채집하여 물리적 방법이나 약품처리를 하는 등의 인공적인 기술로 누르고 건조한 후, 회화적인 느낌을 강조하여 구성한 것을 말한다. 압화는 꽃을 평면으로 말리기 때문에 조형성이 적은 반면 다양한 매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압화로 된 한 송이 작은 들꽃은 카드, 편지지, 액세서리, 액자용 그림, 전등갓 등 다양한 생활용품과 어울려 훌륭한 장식품이 될 수 있다.
압화는 꽃뿐만 아니라 식물의 잎과 줄기, 야채, 버섯, 과일, 해초 등 재료의 다양한 장점이 있어서 자연풍경, 회화, 인물의 표현 등을 표현하는데 아주 뛰어난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압화는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주의력, 집중력, 인내력 등을 기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 허리 등에 다는 패물인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고려시대 귀부인들이 허리띠에 금탁(金鐸) ·금향낭(錦香囊)을 찼다는 기록이 있는데, 고려 후기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자 허리띠에만 차던 것을 옷고름에도 찼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옷고름에 달았다. 국가의 궁중의식이나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달았고, 간단한 것은 일상에도 달았는데 양반계급에서는 집안에 전래(傳來)하는 노리개를 자손 대대로 물려주어 가풍을 전하기도 하였다.
노리개는 외형상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호화로운 장식이기도 하였지만, 정신적인 배경으로는 부귀다남 ·불로장생 ·백사여의(百事如意) 등의 시대적인 행복관을 바탕으로 한 여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었다. 노리개 외에도 실용적인 면과 부덕(婦德)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향갑(香匣) ·침낭 ·장도(粧刀) 등이 있다.
노리개의 구성으로는 삼작(三作) 또는 단작(單作)으로 띠돈[帶金]·끈목[多繪]·패물·매듭술 등 5가지로 되어 있다.
띠돈은 가장 위에 있는 고리로서 노리개를 고름에 걸게 만든 것인데, 재료는 주로 금 ·은 ·백옥 ·비취옥 ·금패 ·산호 등이고, 모양은 정사각형·직사각형·원형·화형(花形)·나비형·사엽형(四葉形) 등과 화문(花文)·쌍희자문(雙喜字文)·용문·불로초문 등의 길상(吉祥)무늬를 사용한다. 끈목은 동다회[圓多繪]를 주로 쓰는데, 띠돈과 패물·술을 연결하며 매듭을 맺는다. 삼작(三作) 노리개는 3개의 노리개를 한 벌로 꾸민 것으로, 대삼작(大三作)·중삼작(中三作)·소삼작(小三作)으로 구분한다. 대삼작 노리개는 가장 호화롭고 큰 것으로 주로 궁중에서 사용하였고, 중삼작 노리개는 궁중과 상류계급에서, 소삼작 노리개는 젊은 부녀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였다. 단작 노리개는 삼작 노리개 중의 한 개를 따로 달거나, 처음부터 하나만으로 만들어진 노리개이다.
노리개의 색조는 삼색(三色)을 비롯하여 12색에 이르는데, 삼작 노리개는 홍색·남색·황색의 3색을 기본으로 썼고, 분홍·연두·보라·자주·옥색 등을 쓰기도 하였다. 노리개의 위쪽인 다양한 매듭이 있는 부분은 짧은 저고리의 길이와 비례하고 길게 드리운 술 부분은 긴 치마의 길이와 같은 비례로 하여 일종의 함수관계를 이룬다.
상기 압화 및 노리개와 같은 전통 장식패와 관련 있는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81624호에 기념메달을 수납하여 진열하는 장식패에 관한 것으로, 어떤 일을 기념하거나 사람의 공적을 칭송하게 되는 상징으로 수여되는 기념메달을 수납하여 진열할 수 있는 기념메달 장식패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2979호에 장식용 기념패에 있어서, 꽹과리 또는 징형상의 기념패(10)의 정면에는 음각의 다채로운 무늬나 글씨를 형성하되, 상기 기념패(10) 상부에는 실내의 벽면에 매달기 위한 다채로운 매듭이 형성된 고정부(20)를 형성하고, 상기 기념패(10) 하부에는 고정부(20)의 매듭(21a)과 연결되는 매듭(21b) 또는 끈목(22)으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기념패에 노리개 형상의 장식적 기능을 부여토록 하여, 노리개가 주는 미적 심미관의 효과와 기념패로써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장식용 기념패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8561호에 각종 열쇠를 끼워두는 고리패를 투명성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내부에는 눌러서 건조한 건조생화 또는 일반적인 생화를 삽입, 몰딩함으로서 외모가 미려하면서 신선한 느낌을 받도록 개량한 생화를 형성한 열쇠고리패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노리개와 같은 장식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식물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고, 장식물을 장식하는 소재가 항상 동일한 느낌을 주므로 그 가치가 떨어지거나 또는 상패나 기념패 등에 사용되는 금속은 시간이 지나면 광택이 없어지게 되어 심미감이 떨어져 어둡고 침침한 느낌이 되어 쉽게 식상 하여 가치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써, 한지와 생화를 압착하여 제조한 압화를 노리개 형상을 한 장식패와 결합하여 전통공예를 이용하여 구성한 한지 압화 장식패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한지 압화 장식패에서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식패(10)의 정면에는 한지와 생화를 이용하여 완성한 압화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패(10)의 상부에는 실내의 벽면에 매달기 위한 다채로운 매듭이 형성된 고정매듭(20)을 형성하며, 상기 장식패(10)의 하부에는 여러 가닥의 실로 구성된 매듭술을 달 수 있도록 끈목(30)을 형성한다. 상기 장식패(10)의 전면에 형성하는 한지와 생화를 이용한 압화는 염료통에 염료액을 혼합하여 완성 시키고, 상기 혼합한 염료액에 한지 또는 생화를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침지 시키는 한지 염색단계와 생화 염색단계와 생화의 표면에 염료를 사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 또는 도형 등을 그리거나 또는 쓰는 생화 도안단계와 상기 염색한 한지의 표면에 상기 생화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배치하는 생화 장식단계와 한지와 생화의 양면인 윗면과 아랫면에 실리카겔 또는 규산 재질로 형성된 건조시트를 위치시키고 양쪽에서 압착시키는 압화단계와 장식패(10)의 전면에 압화를 부착하는 압화 부착단계와 상기 장식패(10)에 부착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압화의 표면에 0.5㎜ 내지 1.5㎜의 두께의 에나멜 코팅을 형성하는 코팅단계를 거쳐서 장식패(10)를 완성한다.
상기 에나멜 코팅은 한지와 생화를 압착시켜 형성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함이므로 압화를 모두 덮을 수 있을 만큼의 크기이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우리나라 전통 공예를 이용한 일반적인 노리개 형상의 장식패에 한지와 생화를 압착시켜서 형성한 압화를 사용하므로, 화려한 노리개가 주는 미적 심미감의 효과와 시각적으로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공예와 자연적인 생화를 이용하므로, 전통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면서 우리나라 전통 공예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한지 압화 장식패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한지 압화 장식패의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한지 압화 장식패의 전면도이고, 도 2는 한지 압화 장식패의 후면도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의 전체적인 형상은 우리나라 전통 의복 또는 가구 등의 장식품인 노리개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는 장식패(10)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패(10)의 상부에는 우리나라 전통 의복에 매달거나 또는 가구 등의 벽면에 매달기 위한 다채로운 매듭이 형성된 고정매듭(20)을 형성하며, 상기 장식패(10)의 하부에는 여러 가닥의 실로 구성된 매듭술을 달 수 있도록 끈목(30)을 형성한다.
상기 장식패(10)의 전면부에는 한지와 생화를 압착하여 구성한 압화를 부착하고, 상기 압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식패(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에나멜 코팅을 하여 완성하며, 상기 에나멜 코팅층은 압화의 표면에 0.5㎜ 내지 1.5㎜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패(10)의 전면부에 형성하는 압화는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압화를 고정 부착한다.
먼저, 염료통에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분말 또는 염료 용액 10중량부를 혼합한 염료액을 완성시키며, 상기 혼합한 염료액에 한지 또는 생화를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한지 염색단계와 생화 염색단계와 생화의 표면에 염료를 사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 또는 도형 등을 그리거나 또는 쓰는 생화 도안단계와 상기 염색한 한지의 표면에 상기 생화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배치하는 생화 장식단계와 한지와 생화의 양면인 윗면과 아랫면에 실리카겔 또는 규산 재질로 형성된 건조시트를 위치시키고 양쪽에서 압착시키는 압화단계와 장식패(10)의 전면부에 압화를 부착하는 압화 부착단계와 상기 장식패(10)에 부착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압화의 앞면과 뒷면에 0.5㎜ 내지 1.5㎜의 두께의 에나멜 코팅을 형성하는 코팅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에나멜 코팅은 한지와 생화로 구성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함이므로 압화를 모두 덮을 수 있을 만큼의 크기이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체
10. 장식패
20. 고정매듭
30. 끈목

Claims (5)

  1. 우리나라 전통적인 장신구인 노리개 형상의 장식패에 있어서,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식패(10)의 전면에는 한지와 생화를 이용하여 완성한 압화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패(10)의 상부에는 실내의 벽면에 매달기 위한 다채로운 매듭이 형성된 고정매듭(20)을 형성하며, 상기 장식패(10)의 하부에는 매듭술을 달 수 있도록 끈목(30)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식패(10)에 형성되는 압화는
    한지를 염료통에 침지시켜서 한지를 염색하는 한지 염색단계와;
    생화를 염료통에 침지시켜서 생화를 염색하는 생화 염색단계와;
    생화의 표면에 염료를 사용하여 그림, 문자, 도형 등을 그리거나 또는 쓰는 생화 도안단계와;
    한지의 표면에 염색하거나 또는 채색한 생화를 배치하는 생화 장식단계와;
    한지와 생화의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건조시트를 위치시키고, 건조시트를 압착시켜서 수분이 제거된 압화를 형성하는 압화단계와;
    장식패(10)의 전면부에 한지와 생화를 압착시켜 형성한 압화를 고정 부착하는 압화 부착단계와;
    장식패(10)에 부착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압화의 앞면과 뒷면에 투명재질로 된 에나멜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를 거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 염색단계와 생화 염색단계에서 염료통에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분말 또는 염료 용액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한 염료액에 한지 또는 생화를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트는 실리카겔 또는 규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10)에 부착된 압화를 보호하기 위하여 압화의 앞면과 뒷면에 0.5㎜ 내지 1.5㎜ 두께의 투명재질로 된 에나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압화 장식패.
KR2020170004225U 2017-08-09 2017-08-09 한지 압화 장식패 KR200487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25U KR200487968Y1 (ko) 2017-08-09 2017-08-09 한지 압화 장식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25U KR200487968Y1 (ko) 2017-08-09 2017-08-09 한지 압화 장식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68Y1 true KR200487968Y1 (ko) 2019-02-27

Family

ID=6551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225U KR200487968Y1 (ko) 2017-08-09 2017-08-09 한지 압화 장식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630A (zh) * 2019-12-31 2020-05-05 广州懿锝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立体空窗珐琅工艺品及其制备方法
CN113080582A (zh) * 2021-03-09 2021-07-09 广东顺德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首饰及表面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79B1 (ko) * 2012-03-09 2012-11-23 김진아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79B1 (ko) * 2012-03-09 2012-11-23 김진아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630A (zh) * 2019-12-31 2020-05-05 广州懿锝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立体空窗珐琅工艺品及其制备方法
CN113080582A (zh) * 2021-03-09 2021-07-09 广东顺德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首饰及表面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nus Malaysian batik: Reinventing a tradition
Mamarajabov et al. Historical analysis of the art of embroidery in the Uzbek national craft
KR200487968Y1 (ko) 한지 압화 장식패
KR101949344B1 (ko) 한지 압화 서랍장의 제조방법
Tyagi Let's Know Handicrafts of India
Triston et al. Contemporary Appliqué: Cutting edge design and techniques in textile art
Akchurina-Muftiyeva Ethnic style in the contemporary art of Crimea
Xiaoju Exploring the innovative application of traditional motifs in the design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Tu et 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f Hubei Yangxin Cloth Paste
Hang et al. Chinese arts & crafts
Killion Wearing Art History: Fashion as an Art
Khakimov The art of the northern regions of Central Asia
Aleyrac-Fielding ‘Luscious Colors and Glossy paint’: the taste for China and the consumption of color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Guo et al. Applications of Traditional Blue and White Elements in Interior Decoration Design
CN2416778Y (zh) 伞把装饰结构
WEAVING Archaic forms of folk decorative applied art. Types of folk art in Russia
Alsarhan et al. Activate the economic side for Saudi Arabia tourism through the innovation of traditional motifs in textiles
Wilkinson Harmony & Contrast: A Journey Through East Asian Art
Liu Analysis on the Painting Forms of Traditional Blue and White and Modern Blue and White
COONEY Three ivories of the late XVIII Dynasty
CN103373163A (zh) 一种水晶画及其制造方法
Hilton The Peasant House and Its Furnishings: Decorative Principles in Russian Folk Art
CN2670256Y (zh) 一种花盆套
CN2465949Y (zh) 吉祥卡
Whiting The Cincinnati Decorative Art Ro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