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645A -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645A
KR20010043645A KR1020007012827A KR20007012827A KR20010043645A KR 20010043645 A KR20010043645 A KR 20010043645A KR 1020007012827 A KR1020007012827 A KR 1020007012827A KR 20007012827 A KR20007012827 A KR 20007012827A KR 20010043645 A KR20010043645 A KR 2001004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mature
post
hous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227B1 (ko
Inventor
패소우크리스쳔헨리
Original Assignee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다 유 퓨스
Publication of KR2001004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3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 H01H71/321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 H01H71/323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with rotatabl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subsequent sli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진보된 트립 메커니즘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서, 두개의 안정된 위치사이에서 피벗운동하는 피벗상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 및 하우징내에 있는 고정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은 하우징내에 위치되고, 스프링은 가동 접점에 맞물려 있고 고정접점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어, 이들사이의 전기 전도관계를 성립시킨다. 가동 접점과 맞물고 있는 포스트는 가동 접점을 맞물려 있고 두개의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대해 스프링의 바이어스와 상대하여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동접점을 움직이고 가동접점과 효과적으로 맞물림을 해제하는 스프링의 상대측 및 전기자상에 위치되어 있어서, 전기전도관계로 스프링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계전기는 추가로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래치면, 하우징상에 장착되고, 래치면을 맞물고 있고 두개의 위치중의 하나에서 전기자를 유지시키는 래치핑거를 가지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과부하 계전기는 일반적으로 과도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과열로 인한 전자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산업상의 세팅에 사용되는 전자 스위치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전자장치는 보통 접촉기로 언급되는 다른 계전기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는 3상전동기이다. 전형적인 접촉기는 3상전원에 연결된 회로의 각각을 끊었다 연결했다 하기위한 세개의 스위치된 전력경로를 갖는 해비듀티(heavy duty) 계전기이다. 접점을 끊었다 연결했다 하는 동작은 코일에 전류의 흐름의 결과로서 자기적으로 만들어지고 코일은 일반적으로 동떨어진 곳에 위치된 다른 스위치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제어되므로써 전류가 통하게 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과부하 계전기는 컨택터의 코일에 대한 제어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었다. 과부하 상태가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감지되면, 과부하 계전기는 접촉기의 코일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고, 컨택터를 개방시켜서 접촉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를 손상을 받지 않도록 전원으로부터 차단된다.
종래에는, 과부하 계전기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바이메탈소자에 의한 열전달관계에 있는 각 상에 레지티브 히터를 사용하였다. 예와같이, 레지티브 히터로부터 바이메탈소자까지 충분한 열입력이 생기고 과부하가 감지되면, 바이메탈소자는 컨택터 코일에 전류가 차단되도록 결합스위치를 개방하고, 전원에 연결된 전자장치부품을 차단시킨다.
최근에, 레지티브 히터 바이메탈소자형의 계전기가 전자 과부하 계전기로 대체되어 왔다. 예컨대, 여기에 참조로 언급되고 주줄리(Zuzuly)에 배당된, 1993,1,12 에 발행된 미국특허증 5,179,495을 보라. 일반적으로 그러한 회로의 출력은 상대적으로 저전력화되고, 결과적으로 출력이 접촉기 코일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고체상태 스위치가 요구된다. 고체상태 스위치는 인디케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촉기에 대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접점 메커니즘를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제어한다. 대개의 경우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는 과부하에 의한 차단의 발생으로 발광되는 발광체일 것이다. 그러한 접점 메커니즘의 하나가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 메커니즘"로 제목지어진 1997,4,11에 출원된 일련번호 08/838,904(대리인의 허가번호 97P7460US)로 출원인에게 공동으로 양도되어 계류중이고, 그 전면이 여기에 참조로 개시되었다.
여기에 개시된 트립 메커니즘은 소위 "브리징"이라 일컬어지는 접점을 사용하고, 가늘고 길게 늘어진 접점 바는 전기자의 운동결과로 두개의 분리된 고정접점과 접촉되게 된다. 접점 바는 전기자에 의해 운반된 포스트상의 크로스 멤버에 대하여 바이어스되고 접점 바에 풀크럼(fulcrum)을 제공한다. 전기자는 피벗하기 때문에, 접점 바는 두 안정된 위치사이를 이동시키는 전기자로서 아치형의 경로로 이동되고, 당연히 접점 바는 풀크럼상에서 얼마간 피벗된다. 결과적으로 접점 바의 한쪽 끝부분은 접점 바의 다른 한쪽 끝부분이 결합된 고정접점과 접촉하기 전에 고정 접점의 하나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접점 바는 고정 접점 양쪽과 동시에 접촉해야 한다.
게다가, 환경먼지(environmental grime)가 접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쌓일 염려가 있다. 특히, 접점에 의해 이어졌다 끊어졌다 하는 전기적 회로가 상대적으로 저전력일때, 그러한 먼지는 접점의 닫힘(closing)상에서의 클린 시그널(clean signal)의 발생을 방해할 수 있다. 이와같이,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의 트립 메커니즘은 그러한 환경먼지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접점이 닫힐때 가동접점(moveable contacts)에 의한 고정접점의 와이핑의 측정법을 제공한다. 동시에, 고정접점에서의 가동접점의 와이핑운동은 요구되는 와이핑 활동이 발생하게 하는 운동을 전적으로 이끄는 실질적인 와이핑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하나 이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시되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과부하 계전기에 대하여 새롭고 개선된 트립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또하나의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포지티브 와이핑 액션에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는 일실시예는 하우징, 두 안정한 위치사이의 피벗운동을 위해 피벗의 하우징에 설치된 쌍안정 전기자 및 하우징내의 고정된 접점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 메커니즘에서의 앞서말한 목적을 달성시킨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 유동성의 접점과 함께 유동성의 접점을 하우징내에 맞물림(engaging)하고 보통 유동성의 접점을 고정된 접점쪽으로 어징(urging)하는 스프링수단을 제공하여 양자사이의 전기적 전도관계를 만들도록 의도한다. 유동성의 접점 맞물림수단은 전기자에 배치되고, 유동성의 접점을 맞물고 두 안정한 위치중의 한쪽으로 스프링수단의 바이어스에 반대하여 고정된 접점으로부터 물러나도록 하고 효과적으로 유동성의 접점의 맞물림을 풀어 스프링수단이 유동성의 접점을 두 안정한 위치중의 다른 한쪽으로 전자적 수여관계에 의해 움직이게 하는 스프링수단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래치(latch)표면은 전기자 및 하우징 중의 하나에 의해 지탱되고, 스프링은 전기자 및 하우징의 다른 하나에 장착된다. 스프링은 래치표면을 맞물고 두 위치중의 하나에 전기자를 보유하기 위한 래치핑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치표면은 전기자에 의해 지탱되는 래치암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래치암의 기능을 억제하는 수단의 제공을 의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을 억제하는 수단은 수동연산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동연산기는 래치암으로부터 멀어졌다 가까와졌다 움직이도록 하우징에 상반적으로 장착된 푸시버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자는 가늘고 길게 늘어지고 가동접점 맞물림수단은 전기자의 가늘고 길게 늘어진 방향에 일반적으로 가로로 뻗는 포스트를 맞무는 가늘고 길게 늘어진 접점을 구비한다. 가동접점은 일반적으로 전기자에 평행한 가늘고 길게 늘어진 접점 바를 구비하고, 풀크럼은 풀크럼 맞물림에 접점 바를 바이어스하기 위한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바이어싱 스프링과 함께 포스트에 위치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풀크럼은 접점 바가 고정접점 양쪽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포스트에 위치된 두 분리된 표면에 의해 한정(define)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두 엑추에이터 사이의 운동을 위해 피벗상에 장착된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전기적 메커니즘에 사용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된다. 한쌍의 분리된 고정접점이 전기적으로 동일한 것을 연결하기 위해 고정접점을 맞물림하고 교락하는 닫힌 위치와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 개방위치 사이의 가동접점과 함께 설치된다. 접점 운반자는 움직일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에 위치되고, 피벗으로부터 분리된 평면에서 측면에서 측면으로 측정된 제 1 지정 디멘션을 갖는 포스트를 설치한 접점을 갖는다. 슬롯은 가로방향으로 포스트에서의 접점 바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포스트를 자유롭게 받아들이기 위해 접점 바에 위치된다. 슬롯은 제 1 디멘션보다 더 큰 가로방향으로의 끝에서 끝으로의 제 2 지정 디멘션을 갖는다. 포스트는 액추에이터가 두 엑추에이터 위치중의 하나로부터 움직이고 액추에이터가 액추에이터 위치중의 다른 하나에 도달하기 전에 중간 액추에이터 위치에서의 닫혀있는 교락위치로 움직이도록 접점 바를 운반한다. 제 1 및 제 2 디멘션은 포스트가 슬롯의 한쪽 끝부분을 맞물림하거나 액추에이터가 중간의 위치에 도달한 후 액추에이터가 다른 액추에이터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디멘션이다.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가 하나의 액추에이터 위치로부터 움직일때, 액추에이터가 계속해서 중간 액추에이터 위치로부터 다른 액추에이터 위치로 움직이기 때문에 접점 바는 닫혀있는 위치로 움직일 것이고 포스트는 그때 또는 그 후에 고정접점에 상대적인 접점 바를 이동하도록 슬롯의 끝부분을 맞물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점 바는 가로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늘어진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치수는 가로방향으로 가로방향으로 확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스트는 쇼울더를 구비하고 접점 바는 포스트상에서 쇼울더로부터 왕복하여 움직일 수 있다. 스프링은 쇼울더쪽으로 접점 바를 바이어스 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으로 인지될 것이다.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장치 및 조합물을 통해서 인지되고 얻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계전기 더 상세하게는,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trip)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구체화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상기에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에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 메커니즘의 다소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컨택트구조의 바람직한 형태의 단편적인 도면;
도 3은 컨택트구조의 평면도; 및
도 4는 컨택트에 의한 와이핑운동의 개시를 도시하는 두 안정된 위치사이의 전기자의 중간위치에서의 구성요소의 구조도.
도면에서, 과부하 계전기는 리셋 상태, 특히 오토 리셋 상태로 도시되었고, 다소 단편적으로 도시된 전반에 걸쳐 10으로 명시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전반적으로 12로 명시된 상개(normally open) 고정 접점의 한 세트 및 전반적으로 14로 명시된 상폐(normally closed) 고정 접점의 한 세트가 하우징(10)내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피벗 핀(16)을 포함하고, 전반적으로 18로 명시된 가늘고 긴 쌍안정 전기자가 두 안정된 위치사이의 운동을 위하여 피벗되었다. 상기 전기자(18)는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도시되고, 전반적으로 20으로 명시된 제 1세트의 가동 접점을 오픈 포지션에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다른 쌍안정위치에서, 전기자(18)는 전반적으로 22로 명시된 상폐의 제 2세트의 가동 접점을 개방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접점(20 및 24)는 각기 고정 접점(12 및 14)와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
전반적으로 24로 명시된 래치레버는 전기자(18)에 연결되어 그것과 함께 이동가능하여 전기자(18)의 두 안정된 위치 사이에서 피벗(16) 주위를 요동할 것이다. 하우징은 전반적으로 26으로 명시된 수동 오퍼레이터를 받아들리는 구멍(opening)(25)을 포함하고, 푸시버튼 표면(28) 및 디펜딩 섕크(30)를 구비한다. 푸시버튼(28)은 래치레버(24)로부터 일반적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설치된다.
고정 접점(12,14)로 돌아가서, 그 각각은 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분리된 접점(38 및 40)를 구비한다. 각기 고정 접점(38,40)의 세트를 이루는 접점(38 및 40)는 분리된 접점(43)을 갖는 각각의 가늘고 길게 늘어진 접점 바(42)에 의해 연결된다. 각 접점 바(42)는 전기자(18)와 같은 방향으로 길게 늘어지고, 일반적으로 늘어진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기자(18)로부터 뻗치는 각각의 포스트(44)의 중간지점에 느슨하게 설치된다. 두 포스트는 피벗(16)의 각 사이드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 포스트(44)는 양 사이드의 각각에 두개의 분리되고 측면으로 방향된 리브(rib)(45)를 구비한다. 각 리브(45)의 상단은 두 분리된 쇼울더표면(46)으로 규정된다. 각 접점 바(42)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위치되고 길게 늘어진 노치 또는 슬롯(47)을 구비한다. 상기 슬롯(47)은 전기자(18)와 같은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늘어지고, 각 접점 바(42)가 결합된 포스트(44)의 상단에 느슨하게 꿰어지도록 허용한다. 스프링(48)은 접점 바(42)를 쇼울더 표면(46)쪽으로 바이어스하는 작용을 한다. 쇼울더(45)의 상대적인 높이는 접점 바의 접점(43)이 접점(38,40)과 먼저 접촉될 때 양쪽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접점(38,40)의 상단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평면 P"(도 2)에서 끝난다. 포스트(44)는 스프링(48)과 반대로 접점 바(42)의 사이드에 위치된다.
이제 전기자(18)로 돌아가서, 전기자는 제 1자극편(magnetic pole piece)(62) 및 평행하게 분리된 제 2 자극편(64)을 구비한다. 자극부분(62 및 64)은 두개의 영구자석(66) 뿐만아니라 피벗(16)을 사이에 끼고 있다. 영구자석(66)은 단일구조일 수도 있지만, 편의를 위해서 그리고 피벗(16)을 수용하기 위해서 두 개의 분리된 자석으로 도시되었다.
하우징(10)에 각철(leg)(72 및 74)을 구비한 얇은 "U"자 형의 마그네틱요크(magan yoke) 또는 자극편(70) 설치된다. 전기코일(76)은 자극편(70)의 후미(78)근처에 배치된다. 어떤 경우에서는 전기권선(electrical winding)이 싱글코일인 반면에, 다른 경우에서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감겨진 두 개의 전기적으로 분리된 코일이다. 상세한 배치는 메커니즘에 사용된 전기회로의 제어모드에 의존한다. 만약 동일한 것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계전기를 스위칭하도록 코일(76)을 통하는 전류를 반전한다면, 싱글코일만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만약 전기코일이 전류를 반전하지 않는다면, 계전기를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한 코일 또는 다른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회로를 갖는 코일(76)로 서로 반대로 감겨진 두 코일이 사용된다.
이제 래치레버(24)로 돌아가서, 래치레버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복수의 중간위치를 통하여 자극편(64)이 멈추고 대체로 자극편(70)의 각철(72)의 하면에 접해있는 다른 안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상단에서, 래치레버는 하우징(10)에 구멍을 강조한 가늘고 길게 늘어진 노치(82)를 구비한다(도시되지 않음). 스크루드라이버어의 팁과 같은 도구는 구멍을 통하여 노치(82)안으로 삽입되어 레버(24)에 수동력을 사용하여 수동 테스트 목적으로 전기자(18)의 두 안정한 위치사이를 이동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노치(82) 바로 아래에, 두 인접하는 표면(84,86)에 의해 한정된 래치표면이 설치된다. 래치표면(84,86) 아래에 놓인것은 어떤 상태하에 설명되기위한 서로 감싸면서 래치면(84,86)의 표면(86)에 대하여 래칭하기에 적합된 위로향한 끝부분(90)을 갖는 스프링 래칭 핑거(88)이다. 래치핑거(88)는 하우징(10)내의 포켓(pocket)내의 포스트(96)에 설치된 전반적으로 94로 명시된 토션 스프링의 코일(92)로부터 뻗친다. 또한, 스프링(94)이 레치레버(24)에 설치되고 레치표면(84,86)이 하우징(10)에 위치된다.
래치핑거(88) 맞은편의 코일(92)의 끝부분(98)은 포스트(96)에서의 코일(92)의 회전을 막기 위하여 하우징(10)에 접촉된다. 래치핑거는 전기자(18)의 두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즉,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자극편(64)이 자극편(70)의 각철(72)의 하부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된 래치레버(24)를 래칭한다.
래치레버(24)는 또한 평평한 대각선의 프로젝션(100)을 일반적으로 피벗(16)에 평행한 포스트(102)에 아주 밀접하게 옮긴다. 전반적으로 104로 명시되는, 제 2 토션 스프링은 포스트(102)에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포스트(102)에 대한 토션 스프링(104)의 코일(108)의 회전을 막기 위해서 프로젝션(100)에 접촉되었다. 토션 스프링(104)의 반대쪽 끝부분(110)은 리셋 핑거로 역할하고, 푸시버튼 액추에이터(26)의 방향으로 프로젝션(100)의 끝을 지나 예각으로 대각선으로 뻗는다. 이러한 관계에서, 푸시버튼 액추에이터(26)의 섕크(shank)(30)는 정지면(stop surface) 역할을 하고 래치레버(24)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리셋 핑거(110)와 협력하는 노치(112)를 구비한다.
이제 푸시버튼 액추에이터(26)으로 돌아가서, 푸시버튼 액추에이터의 하단은 바이어싱 스프링(116)이 접촉된 레지(ledge)(114)를 구비한다. 바이어싱 스프링(116)은 구멍(25)내의 최상단 위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바이어스 하도록 푸시버튼(26)에 업워드 바이어스(upward bias)를 제공한다.
섕크(30)의 바로 위의 오퍼레이터(26)의 푸시버튼(28)은 바깥쪽으로 뻗치는 텅(tongue) 또는 레지(120)을 구비한다. 동시에, 하우징(10)은 지지면(retaining surface)(122)을 갖는 제 1노치 및 디텐트 면(detent surface)(124)을 갖는 제 2노치를 구비한다. 지지면(122)은 디텐트 면의 위 앞쪽이다. 도 1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레지(120)는 하우징(10)내에 수동 오퍼레이터(26)를 보유하기 위해 지지면(122)에 접하거나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16)의 바이어스에 대한 가압된 위치에서 푸시버튼(28)을 유지하기 위해 디텐트 면(124)에 접한다.
바람직하게, 오퍼레이터(24)는 상호작용을 위해서 뿐만아니라 하우징(10)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레지(120)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만들어진다. 결과로서, 오퍼레이터(26)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하방으로 눌러지면, 오퍼레이터는 레지(120)가 디텐트 면과 함께 하방에 놓이도록 회전한다. 이 위치에서, 오퍼레이터는 계전기에 대한 자동 리셋모드에 해당하는 최저위치에 구속된다.
자동 리셋모드에서, 레지(120)는 래치핑거(88)의 상단(90)에 접하는 것이 도 1로부터 상세히 관찰된다. 이것은 래치핑거(88)를 래치표면(84,86) 및 래치 암(24)의 맞물림에서 풀리게 한다.
출원인의 앞서 특정된 계류중인 출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것과 같이, 계전기 메커니즘이 트립되면,(18) 및 래치레버(24)는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즉, 자극편(64)이 자극편(70)의 각철(72)의 하면에 접촉되어 피벗될 것이다. 이 경우에, 스프링(108)의 끝부분(110)은 노치(112)로 들어가기 때문에 만약 푸시버튼(28)이 가압되면, 래치암(24)이 전기자(18)를 도 1에 도시된 리셋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시키면서 스프링의 끝부분(110)은 수평위치로 움직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발생하기 바로 전에, 레지(120)는 래치암(88)의 상단(90)과 접촉하고, 그것을 가압하여 래치 표면(84,86)의 맞물림에서 벗어나게 만들고, 피벗운동을 위하여 래치레버(24)를 풀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특징은 가동 접점(20,22)가 각각의 고정 접점(12,14)에 대하여 와이핑 활동을 일으키도록 닫히기 때문에 닫힐때의 양질의 전기적 접점을 방해하는 환경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이동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양 접점 바(42)에서의 슬롯(47)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끝에서 끝(end-to-end) 또는 처음에 미리 결정된 디멘션 "D"를 갖는다. 이 디멘션 피벗(16)에 의해 특정된 전기자(18)의 회전축에 평행하지만, 회전축으로부터 분리된 평면에서 측정된다. 설명된 구체예에서 접점 바(42)는 납작하고, 접점 바(42)의 평면은 전기자(18)의 가늘고 길기 늘어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접점 바(42)의 각각의 가늘고 길게 늘어진 방향으로 측정된다.
게다가, 포스트의 상단은 같은 방향으로 측정된 측면에서 측면(side-to-side) 또는 두 번째로 미리 결정된 디멘션 "d"를 갖는다. 디멘션 "d"는 상기 표면(46)을 측정한 포스트(44)의 상단의 디멘션이고, 슬롯(46)의 디멘션 "D" 보다 작다.
결과로서, 접점 바(42)는 포스트(44)상에서 화살표(130) 방향(도 3)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점 바(42)는 또한 포스트(44)의 상단에서 피벗(16)으로부터 왕복운동을 하기도 한다. 이 운동의 방향은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디멘션 "D" 및 "d"는 래치레버(24)의 움직임의 방향에 의존하는 포스트(44)의 한쪽면(134 또는 136) 또는 다른 한쪽면의 디멘션이고 접점 바(42)의 둘중의 하나의 닫힘 또는 열림 작동동안 도 1 및 도 4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접점 바를 운전시키도록 슬롯(47)의 끝부분(138,140)과 일치하여 접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접점(14,22)를 참조로, 포스트(44)의 일측(134)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접점바(42)의 슬롯(47)의 단부(138)와 대하는 상태에 있다. 래치레버(24)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접점바(42)는 일반적으로 면(46)과 접점바(42)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포스트(46)의 그 위치에 유지된다. 접점바(42)의 접점(43)이 고정된 접점(14)을 한정하는 접점(38,40)과 처음 접할 때, 접점(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38,40)에서부터 오프셋된다. 즉, 접점바(42)상의 접점(43)은 접점(38,40)의 대응하는 것에 센터링되지 않는다. 접점바(42)는 접점(38,40)과의 맞물림을 통한 마찰결과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18)는 리세트 위치로 완전히 이동할 수 없으며, 다시 말해, 자극편(64)은 자극편(70)의 레그(72)의 상부면과 아직 접하지 않는다.
전기자(18)는 상기 접점이 도 1에 도시되고 만들어진 안정된 위치로 계속 이동할 때, 포스트(44)는 포스트의 한측(136)이 접점바(42)의 슬롯(47)의 단부(140)와 접할 때까지 슬롯(47)내에서 움직인다. 디멘션(D,d)은 전기자(18)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기 전에, 상기 경우가 일어나도록 선택된다.
전기자(18)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계속해서 움직일 때, 측부(136)는 슬롯단부(140)와 접하는 상태에 있거나 현재 바닥에 닿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위치까지 왼쪽으로 접점바(42)가 구동되며, 접점바(42)의 접점(4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38,40)상에 현재 센터링된다. 이러한 이동운동 또는 와이핑 운동은 접점(38,40,43)이 저전력 접점 구성에 특히 장점을 갖는 우수한 전기접점을 얻기 위하여, 접점상에 쌓인 임의의 먼지를 확실히 문지른다. 고전력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디멘젼(D,d)은 와이핑 운동의 정도가 더욱 적게 되거나 거의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동시에, 전기자(18)의 상대측상에서 포스트(46)는 측부(136)가 슬롯의 단부(138)와 맞물리는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계전기가 트립되고 접점(12,20)이 닫혀질때 연관 접점바(42)의 슬롯(47) 단부(140)와 접하여 포스트(47)의 측부(136)가 유사 와이핑 운동의 단계를 설정하게 한다. 이러한 운동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은 개방위치로 움직일 때 다른 접점바(42)에 의해 맞물려 있는 스톱(142)을 장착할 수 있다. 스톱(142)은 또한 접점바(42)의 레벨화 기능을 제공한다.
앞서 말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스위칭 메커니즘 또는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 메커니즘은 브리징 접점에 적용된 접점 바가 양 접점에 대하여 동시에 확실히 닫혀지게 한다.
또한 이것은 주변의 먼지가 접점으로 만들어진 전기회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접점 폐쇄시에 매우 바람직하고 확실한 와이핑 운동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이 쉽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더 넓은 태양에서의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적인 디바이스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이들 장치 및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범주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하우징;
    두 안정된 위치 사이의 피벗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피벗상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
    상기 하우징내의 고정접점;
    상기 하우징내의 가동접점;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 사이의 전기적 전도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맞물고 정상상태로는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 어징하는 상기 하우징내의 스프링수단;
    상기 가동접점을 맞물면서 상기 두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대한 상기 스프링수단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상기 두 안정 위치의 다른 하나에 대한 상기 전기적 전도관계로 상기 스프링수단이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효과적으로 맞물림을 풀도록 하기위한 상기 전기자위 및 상기 스프링수단의 맞은편의 가동접점 맞물림 수단;
    상기 전기자중의 하나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래치표면;및
    상기 래치표면을 맞물고 상기 전기자를 상기 두 위치중의 하나에 유지하기 위하여 래치핑거를 갖고, 상기 전기자의 다른 하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에 대한 트립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표면은 상기 전기자에 의해 운반된 래치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암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수단은 수동 오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오퍼레이터는 상기 래치암으로부터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호적으로 장착된 푸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암에 의해 운반된 부가적인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때 상기 푸시버튼의 상호운동의 경로로 움직일 수 있는 리셋핑거를 갖고,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리셋핑거에 직면하는 정지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푸시버튼이 왕복운동될때 상기 핑거가 상기 래치암 및 상기 전기자를 상기 두 위치의 다른 하나쪽으로 누르도록 맞물려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암은 일반적으로 평행하지만 상기 피벗으로부터 분리된 포스트를 운반하고, 상기 부가적인 스프링은 상기 포스트에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핑거는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쪽으로 예각으로 상기 푸시버튼의 왕복운동의 경로를 향해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가늘고 긴 섕크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면은 상기 섕크에 있는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가늘고 길게 늘어져 있고, 상기 가동접점 맞물림수단은 일반적으로 상기 전기자의 가늘고 길게 늘어진 방향의 가로로 뻗는 가늘고 긴 접점 맞물림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일반적으로 상기 전기자에 평행한 가늘고 긴 접점 바, 포스트상의 풀크럼 및 상기 접점 바가 상기 풀크럼과 맞물려 바이어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바이어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풀크럼은 포스트상의 두 분리된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가 상기 두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로 움직이기 때문에 그때 또는 그 후에 상기 접점 바는 상기 고정접점에 접하고, 상기 접점 바는 상기 고정접점을 와이핑하기 위하여 가늘고 긴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고, 상기 가동접점은 가늘고 긴 접점 바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고정접점은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접점 바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바에서의 슬롯은 상기 접점 바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측면에서 측면으로 제 1 지정된 디멘션을 갖고, 상기 전기자상의 포스트는 상기 슬롯을 통하여 뻗으며 상기 접점 바가 상기 접점 바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포스트상에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디멘션보다 작은 상기 바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끝에서 끝으로의 제 2 지정된 디멘션을 갖고, 상기 포스트상의 쇼울더는 상기 전기자가 두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접점 바가 상기 고정접점에 접하도록 상기 포스트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접점 바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점 바에 맞물림할 수 있고, 상기 디멘션은 상기 전기자가 상기 두 안정된 위치중의 하나로 움직이기 전에 또는 상기 접점 바가 상기 고정접점과 접한 후에 상기 포스트가 상기 슬롯의 끝부분을 맞물도록 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12. 두 액추에이터 위치 사이의 운동을 위해 피벗상에 장착된 액추에이터;
    한쌍의 분리된 고정접점;
    전기적으로 동일한 것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접점을 맞물림하고 교락하는 닫혀있는 위치와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열린 위치 사이의 가동접점;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피벗으로부터 분리된 평면에서 측정된 측면에서 측면으로 제 1 지정된 디멘션을 갖는 포스트에 장착한 접점을 갖는 상기 액추에이터상의 접점 운반자; 및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포스트상의 상기 접점 바의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를 느슨하게 받아들이고, 상기 제 1 디멘션보다 더 큰 상기 가로방향에서의 끝에서 끝으로의 제 2 지정 디멘션을 갖는 상기 접점 바에서의 슬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멘션은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중간 위치에 도달한후 상기 액추에이터가 다른 액추에이터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슬롯의 끝부분을 맞물때의 디멘션이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하나의 액추에이터 위치로부터 움직일때, 상기 접점 바는 상기 닫혀있는 위치로 움직일 것이고 상기 포스트는 그때 또는 그 후에 상기 고정접점에 관계하는 상기 접점바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끝부분을 맞물것이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중간의 액추에이터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액추에이터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메커니즘에 사용하기 위한 스위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바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가늘고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멘션 양쪽 모두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가늘고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쇼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 바는 상기 포스트상에서 상기 쇼울더로부터 왕복이동 가능하고; 상기 접점 바를 상기 쇼울더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과부하 계전기에 결합되고, 하우징; 상기 두 액추에이터 위치 사이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전기자 피벗인 상기 액추에이터; 상기 전기자중의 하나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래치표면; 및
    상기 전기자의 다른 하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표면을 맞물림하기 위한 래치핑거를 갖고, 상기 다른 하나의 액추에이터 위치에 상기 전기자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07012827A 1998-05-15 1999-04-06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KR100551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9,710 US5994987A (en) 1998-05-15 1998-05-15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US09/079,710 199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645A true KR20010043645A (ko) 2001-05-25
KR100551227B1 KR100551227B1 (ko) 2006-02-09

Family

ID=2215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27A KR100551227B1 (ko) 1998-05-15 1999-04-06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4987A (ko)
EP (2) EP1078382B1 (ko)
JP (1) JP4231206B2 (ko)
KR (1) KR100551227B1 (ko)
CN (2) CN1303628C (ko)
DE (2) DE69905874T2 (ko)
WO (1) WO19990605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69B1 (ko) * 2006-02-27 2009-06-24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회로 차단기의 트립 릴리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8616B1 (fr) * 2000-05-02 2002-08-30 Schneider Electric Ind Sa Electroaimant rotatif
US6837729B2 (en) 2002-09-10 2005-01-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power electrical contactor with improved bridge contact mechanism
US6949997B2 (en) * 2003-09-26 2005-09-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stable trip-free relay configuration
US7161104B2 (en) 2003-09-26 2007-01-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ip-free PCB mountable relay configuration and method
CN1310268C (zh) * 2004-07-14 2007-04-11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双稳态的过载继电器的操作机构
TWM285793U (en) * 2005-01-14 2006-01-11 Teco Elec & Machinery Co Ltd Electronic protective relay
JP4840356B2 (ja) * 2005-04-20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過電流継電器
US7479868B2 (en) * 2005-06-08 2009-01-20 Therm-O-Disc, Incorporated Trip-free manual reset thermostat
US8013695B2 (en) * 2007-04-27 2011-09-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onic overload relay
US7659800B2 (en) * 2007-08-01 2010-02-09 Philipp Gruner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7868720B2 (en) * 2007-11-01 2011-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dia Hermetically sealed relay
US8203403B2 (en) * 2009-08-27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US8222982B2 (en) * 2009-12-28 2012-07-17 Schneider Electric USA, Inc. Overload relay trip mechanism
EP2447977A1 (de) * 2010-10-29 2012-05-02 Gruner AG Relais mit einer in eine Drehankerwippe integrierten Kontaktbrücke
US8514040B2 (en) 2011-02-11 2013-08-20 Clodi, L.L.C.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ith x-drive motor
JP5991778B2 (ja) * 2012-04-19 2016-09-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202650990U (zh) * 2012-07-02 2013-01-02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大功率磁保持继电器
JP6393025B2 (ja) * 2013-07-01 2018-09-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GB201402560D0 (en) * 2014-02-13 2014-04-02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tactors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DE102016211931B4 (de) 2016-06-30 2023-03-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Leistungsschütz mit hoher mechanischer Schockfestigkeit
DE102016123283A1 (de) * 2016-12-01 2018-06-07 Innofas Gmbh 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Bordnetzes von einer Energiequelle
EP4231324A1 (en) * 2017-11-01 2023-08-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omagnet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095A (en) * 1930-02-19 1931-12-29 Gen Electric Detachable contact
US3925742A (en) * 1974-06-25 1975-12-09 Fasco Industries Mechanical latch relay
US4181907A (en) * 1978-05-22 1980-01-0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having armature latch
SE415419B (sv) * 1979-01-05 1980-09-29 Asea Ab Kontaktanordning
IT1162505B (it) * 1979-03-01 1987-04-01 Ave Belli Andrea Interruttore differenziale ad alta sensibilita'
DE2914775B1 (de) * 1979-04-11 1980-07-17 Siemens Ag Einrichtung zum Umstellen einer Umschaltkontaktanordnung
US4378543A (en) * 1981-11-18 1983-03-29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Latch relay with manual reset and test
CH655814A5 (fr) * 1984-03-07 1986-05-15 Fouilleret S A Ets Contact electrique double auto-nettoyant.
FR2585508B1 (fr) * 1985-07-26 1987-11-13 Ferraz Court-circuiteur electrique a contact mobile auto-nettoyant
DE3645337C2 (de) * 1986-07-22 1997-08-14 Bach & Co Relais
US5332986A (en) * 1993-04-13 1994-07-26 Allen-Bradley Company, Inc. Overload relay mechanism
CN1121255A (zh) * 1994-10-18 1996-04-24 施内德电气公司 保护开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69B1 (ko) * 2006-02-27 2009-06-24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회로 차단기의 트립 릴리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31206B2 (ja) 2009-02-25
CN1310853A (zh) 2001-08-29
DE69910451D1 (de) 2003-09-18
EP1209710A3 (en) 2002-07-24
KR100551227B1 (ko) 2006-02-09
EP1209710B1 (en) 2003-08-13
JP2002543552A (ja) 2002-12-17
CN1536600A (zh) 2004-10-13
CN1303628C (zh) 2007-03-07
EP1078382A1 (en) 2001-02-28
DE69905874D1 (de) 2003-04-17
WO1999060593A1 (en) 1999-11-25
CN1205628C (zh) 2005-06-08
US5994987A (en) 1999-11-30
DE69910451T2 (de) 2004-06-17
EP1078382B1 (en) 2003-03-12
DE69905874T2 (de) 2003-09-25
EP1209710A2 (en) 200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227B1 (ko)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KR100478299B1 (ko)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트립 기구
EP0148745B1 (en) Molded-case circuit breaker with single solenoid operator for rectilinear handle movement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US4947145A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JPH09223447A (ja) 保護スイッチ機器用制御・発信装置
JP4127967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JP4311879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EP0364950B1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JP2000164108A (ja) 回路遮断器
JPH0668772A (ja) 保護スイッチ装置
US7330091B2 (en) Electronic type protective relay
JP3874168B2 (ja) 保護開閉器
JPH089872Y2 (ja) 遠隔制御式回路しや断器
JPH0641322Y2 (ja) 回路しや断器
JPH075760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