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383A -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383A
KR20010043383A KR1020007012404A KR20007012404A KR20010043383A KR 20010043383 A KR20010043383 A KR 20010043383A KR 1020007012404 A KR1020007012404 A KR 1020007012404A KR 20007012404 A KR20007012404 A KR 20007012404A KR 20010043383 A KR20010043383 A KR 2001004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lever
wiper arm
steering le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484B1 (ko
Inventor
짐머요아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4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4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9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arms consisting of two or more articulate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114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static joint
    • Y10T403/32131One member is plate or side
    • Y10T403/32155Bearing component clamped to plate or side, e.g., bolte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아암은 레버 기어(10)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레버 기어(10)는 구동 샤프트(12)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 구동 레버(14) 및 차축(16, 18, 20)에 연결된 조종 레버(22, 24, 26)를 갖는다. 상기 조종 레버(22, 24, 26)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 와이퍼 레버(1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종 레버(22, 24, 26)는 지지 숄더(30, 32, 34)에 대한 설치 방향(28)으로 차축(16, 18, 20)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fixing a control arm to an axle}
다수의 자동차용 와이퍼를 갖는 와이퍼 장치는 플레이트 위에서 와이퍼 장치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와이퍼 모터에 의해 와이퍼 작동을 지지하고, 상기 와이퍼 모터의 모터 샤프트는 개별 와이퍼용 구동 샤프트의 한 단부에 고정 연결된 크랭크를 로드에 의해 구동시킨다.
지지 하우징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이 제공되고, 지지 하우징과 구동 샤프트에 고정 연결된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정면에는 축 베어링이 제공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는 차체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차체에 연결되어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어 아암을 방풍 유리 위에서 작동시킨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스쳐지나가는 와이퍼 표면을 방풍 유리의 형태에 적절하게 조화시키기 위해, 와이퍼 아암이 레버 기어에 의해 작동된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레버 기어는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구동 레버, 그리고 차축에 지지된 조종 레버를 가지며, 상기 두 레버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 와이퍼 레버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공지된 와이퍼에서 샤프트 단부 및 차축 아암은 외부 원추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원추부 위로 구동 레버 또는 조종 레버가 적합한 내부 원추부에 의해 프레스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의 결합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제조 공차가 가산됨으로써, 정확한 위치는 구동 샤프트 및 조종 레버에 대한 구동 레버의 축 방향으로 차축에 대해서만 어렵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너트의 시동 모멘트는 레버의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 공차 및 상이한 시동 모멘트는 레버 기어의 흔들림, 및 베어링 지점의 마멸을 증가시킨다.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DE 44 28 371 A1 호에는 와이퍼의 샤프트 네이브 결합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구동 샤프트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 및 지지 숄더를 갖는다. 상기 구동 샤프트와 고정부 사이에 개구를 갖는 패드가 삽입되며, 상기 개구는 설치되기 전에 이미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를 포지티브하게 둘러싼다. 또한 상기 패드는 외부 원추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원추부에 의해 상기 패드는 구동 샤프트에서 분리가능한 고정 부재에 의해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부의 내부 원추부에 프레스된다. 상기 고정부는 패드 위의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 숄더 위로 프레스되어, 종방향으로 고정된다.
공지된 해결책에서 제조 공차는 와이퍼 아암의 위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와이퍼 아암은 높은 시동 모멘트에 의해 와이퍼 아암의 위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서문에 따른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 장점들이 하기 도면에서 나타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면, 명세서 및 청구항은 결합된 수 많은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당업자들에게 이러한 특성들은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관찰되어 더욱 의미있게 결합되어 통합된다.
도 1은 레버 기어를 갖는 와이퍼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평면(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Ⅲ)에 따른 분해도.
도 4는 하부의 조종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상부의 차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따른 설치된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상부의 차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부의 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부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장점)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기어의 조종 레버는 지지 숄더에 대한 설치 방향으로 차축에 지지된다. 상기 조종 레버는 정해진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조종 레버 및 차축의 제조 공차는 축에 대한 조종 레버의 위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조종 레버는 위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높은 축방향력을 갖는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 숄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레버를 차축에 정확하게 설치함으로써 레버 기어의 흔들림 및 마멸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종 레버와 더불어 구동 레버도 지지 숄더에서 설치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 레버 및 조종 레버는 서로 조화된 정확한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 또는 차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레버와 조종 레버간의 높이차, 그리고 흔들림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레버는 플레이트 위에서 직접 또는 바람직하게 지지 숄더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차축의 직경이 더 작아짐으로써, 차축은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종 레버는 바람직하게 큰 표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종 레버의 하중은 틸팅 모멘트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조종 레버는 차축과의 지지 지점에서 플레이트 위에 지지되어, 더 얇고 가벼우며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 및 차축을 갖는 와이퍼 장치는 통상적으로 레버 기어 및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분리되어 자동차 제조자에게로 전달된다. 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예컨대 프레스 결합,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차축 및/또는 위상에 의해 넌-포지티브하게 차축에 프레스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와이퍼 장치에 유격 없이 연결되고 별도로 공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와이퍼 장치의 제조시 이에 상응하여 위치 설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제조자는 조종 레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플레이트에 설치시킬 수 있다.
명확한 지지 지점을 갖기 위해, 조종 레버는 회전가능한 차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조종 레버는 너트에 의해 차축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종 레버 및 차축은 설치시 차축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설치시 이미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차축과 조종 레버 사이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한편으로는 지지 지점에서의 차축의 마찰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너트의 조여짐과 풀림에 의해 구동 모멘트 보다 작게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축과 조종 레버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은 전달된 작은 회전 모멘트로 설계되고, 따라서 더 작고, 가볍고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조종 레버와 차축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은 플레이트 위에서 제조된다. 작용하는 틸팅 모멘트는 플레이트 위에 지지되고 작게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짧은 축 결합에 의해 전달됨으로써, 축의 전체 길이 및 무게는 절약된다.
바람직하게는 차축과 플레이트 간의 넌-포지티브(non-positive)한 결합이 사용된다. 샤프트는 회전 대칭에 의해 경제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는 유격없이 고정된다. 플레이트와 조종 레버간의 포지티브한 결합에 의해, 상기 조종 레버는 플레이트 위에 제공된 후에 이미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간단히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레버는 플레이트 위에 설치됨으로써 위치가 확정된다. 상기 조종 레버의 위치가 과잉 설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및 조종 레버는 헐거운 결합부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연결된다.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고 공간을 절약하는 포지티브한 결합은 조종 레버의 측벽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은 플레이트를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며, 더 정확히 말하자면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 예컨대 하나 이상의 평평한 부분에 의해 조종 레버 및 플레이트에서 나타난다. 또한 전달되는 힘은 바람직하게 조종 레버의 큰 반경에 의해 플레이트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조종 레버에는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에 측벽을 더 쉽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측벽은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작은 횡단면 영역에서 설치 방향으로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둥근 횡단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조종 레버는 바람직하게 제 1 설치 단계에서는 크고 둥근 횡단면 영역에 의해 플레이트에 위치 설정되고, 그리고 제 2 설치 단계에서는 조종 레버 또는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을 갖는 차축과 함께 플레이트 위에 제공되며, 이 때 측벽 및 플레이트는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조종 레버의 간단하고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공지된 결합 이외에도, 상기 조종 레버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차축이 각각 회전 방향으로 넌-포지티브하게 및/또는 포지티브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와 차축 간에 제공된 회전 방향으로의 완전한 결합은, 차체에 와이퍼 장치를 설치한 후 차축에 설치 방향으로 플레이트, 예컨대 에이프런 덮개 뒤로 부품이 설치되어야 할 경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품은 미리 설치된 플레이트 없이 차축에 간단하게 작은 개구에 의해 설치되어, 가능한 한 밀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넌-포지티브한 결합 없이 또는 약간의 넌-포지티브한 결합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조종 레버는 플레이트 위에서 직접 차축에 고정 연결되며, 더 정확히 말하자면 상기 차축은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 예컨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을 가지며, 상기 영역을 조종 레버가 포지티브하게 둘러싼다. 조종 레버의 측벽과 플레이트 간의 결합은 생략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더 작게 형성되거나 심지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프리 설치 및 휨 방지가 생략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예컨대 에이프런 덮개의 설치 후 레버 기어에 의해 비로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레버와 차축간의 회전 방향으로의 포지티브한 결합은 차축의 하나 이상의 평평한 부분에 의해, 또는 차축의 타원형 횡단면에 의해, 그리고 조종 레버 내에 배치된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을 갖는다. 상기 구동 샤프트와 구동 레버 사이에는 패드가 삽입되며, 상기 패드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에 상응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둘러싼다. 상기 패드는 분리가능한 고정 부재, 예컨대 너트에 의해 외부 원추형에 의해 구동 레버의 내부 원추형으로 프레스되고 상기 구동 레버에 의해 지지 숄더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 레버는 지지 숄더에서 축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다. 상기 패드는 회전 방향으로의 포지티브한 결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개의 큰 지지 표면 위에서, 예컨대 6면각체 또는 타원형 횡단면 위에서 구동 샤프트에 결합되고, 그리고 이를 통해 구동 레버에 의해 쉽게 구동 샤프트로부터 빼지거나 해체될 수 있다. 상기 패드 및 특히 구동 레버를 유격없이 구동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구동 샤프트의 횡단면 영역이 설치 방향으로 증대되는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실행되며, 상기 영역에서 패드는 넌-포지티브하게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를 뒤로 뺄 때 우선 패드의 더 큰 내부 직경은 구동 샤프트의 더 작은 외부 직경이며, 이에 따라 상기 패드는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레버가 구동 레버와 마찬가지로 패드에 의해 차축에 연결될 경우, 상기 조종 레버는 축 방향으로 차축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어, 패드에 의해 쉽게 차축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또한 구동 샤프트에 구동 레버를 고정하고, 그리고 차축에 조종 레버를 고정함으로써 부품의 다양성 및 제조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조종 레버와 차축 사이에는 단지 작은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조종 레버는 바람직하게 박판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에 의한 조종 레버와 차축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시, 회전 모멘트는 큰 반경을 통해 포지티브한 결합에 의해 전달되고, 그리고 틸팅 모멘트는 플레이트에서 큰 표면 위에 지지되며, 이는 각각 조종 레버의 부하를 적게 만들고 조종 레버를 박판부로 형성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치 방향으로 확대되는 원추형이 방지되고 한 측면의 조종 레버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디프 드로잉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박판부로 형성된 조종 레버에 의해 무게, 제조 비용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차축과의 접합 지점에서 조종 레버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한 실시에에서 상기 조종 레버는 이 영역의 커버측에 포트형 잠금 장치를 갖는다.
도 1은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의 단면도를 보여주며, 상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106, 108)은 플레이트(104) 위에서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104)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구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와이퍼 구동 장치는 로드(110)에 의해 구동 샤프트(12)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 샤프트(12)는 와이퍼 장치(108)에서 방사형 및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차체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와이퍼 베어링(108)의 자유 단부에 고정된 레버 기어(10)의 구동 레버(14)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 레버(14)와 더불어, 상기 레버 기어(10)는 조종 레버(22) 및 와이퍼 레버(112)를 가지며, 이 때 상기 조종 레버(22)는 회전가능한 차축(16)에 의해 와이퍼 베어링(106)에 지지되고 상기 와이퍼 레버(112)는 두 개의 베어링(114 및 116)에 의해 구동 레버(14) 및 조종 레버(2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 레버(112)는 거기에 고정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갖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아암을 방충 유리위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종 레버(22), 및 바람직하게는 구동 레버(14)는 설치 방향(28)으로 플레이트(36, 118) 위에서 차축(16) 또는 구동 샤프트(22)에 배치된 지지 숄더(30, 68)에 지지된다(도 2). 상기 구동 레버(14) 및 조종 레버(22)는 서로 조화된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2) 및 차축(1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레버(14)와 조종 레버(22) 사이의 예기치 않은 높이차, 와이퍼 베어링(106, 108) 및 베어링(114, 116)에서의 흔들림, 그리고 이에 따른 마멸은 방지된다.
상기 플레이트(36)는 회전 대칭 차축(16)에서 넌-포지티브하게 유격없이 프레스되어, 회전 방향(42, 44)으로 차축(16)에 고정 연결된다. 박판부로 형성된 조종 레버(22)는 헐거운 결합부(120)에 의해 회전 방향(42, 44)으로 포지티브하게 플레이트(36)에 의해 차축(16)에 연결되며, 더 정확히 말하자면 상기 플레이트(36)를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는(도 2 및 도 3) 측벽(46, 48)을 갖는다. 설치를 간소화하기 위해, 상기 측벽(46, 48)은 설치 방향(28)으로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작은 횡단면 영역(50)으로부터 바람직하게 크고 둥근 횡단면 영역(52)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도 4). 상기 조종 레버(22)는 바람직하게 제 1 설치 단계에서 크고 둥근 횡단면 영역(52)에 의해 플레이트(36)에 위치 설정되고, 그리고 제 2 설치 단계에서 조종 레버(22) 또는 플레이트(36)가 회전함으로써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0)을 포함하는 차축(16)에 의해 플레이트(36) 위에 놓여지기 때문에, 상기 측벽(46, 48) 및 플레이트(36)는 회전 방향(42, 44)으로 포지티브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0)은 평평한 부분(122)을 가지며, 상기 평평한 부분(122)에는 플레이트(36)의 평평한 부분(124)이 포지티브하게 놓인다. 조종 레버(22)는 너트(64)에 의해 플레이트(36) 위에서 지지 숄더(30)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36) 위에서 차축(16)과 조종 레버(22)가 포지티브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너트(64)는 조여지고 풀려지며, 이 때 차축(16)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종 레버(22)의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해진다.
도 5, 6 및 7에서 조종 레버(26)는 플레이트(40) 위에서 차축(20)에 직접 나사선(136) 아래로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차축(20)은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4)을 가지며, 상기 횡단면 영역(54)을 조종 레버(26)가 회전 방향(42, 44)으로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126)와 함께 포지티브하게 둘러싼다.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차축(20)의 횡단면 영역(54)은 평평한 부분(128)을 가지며, 상기 평평한 부분(128)에는 개구(126)의 평평한 부분(13)이 놓인다. 설치시 우선 밀봉(134)을 갖는 에이프런 덮개(132)가 설치되고, 이어서 플레이트(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40) 위에서 조종 레버(26)는 지지 숄더(34)에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40)를 미리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40)는 도 3의 실시예에 있는 플레이트(36)와 비교해 볼 때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조종 레버(26)는 조종 레버(22)와 같이 너트(64)에 의해 축 방향으로 차축(20)에 고정된다.
차축(16)과의 접합 지점에서 박판부로 형성된 조종 레버(22, 26)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조종 레버(22, 26)는 커버측(96, 98)에서 포트형 잠금 장치(100, 102)(도 2, 3, 4, 5 및 7)를 갖는다.
부품 다양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8의 실시예에서 구동 샤프트(12)와 구동 레버(14)간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차축(18)과 조종 레버(24) 간의 결합이 실행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12) 및 차축(18)은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 70)(도 2, 8 및 9)을 갖는다. 상기 구동 샤프트(12)와 구동 레버(14) 사이, 그리고 조종 레버(24)와 차축(18) 사이에는 패드(58, 72)가 삽입되며, 상기 패드(58, 72)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 70)에 상응하는 개구(60, 74)를 가지며(도 8 및 10),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12) 및 차축(18)은 회전 방향으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된다. 상기 패드(58, 72)는 너트(64)에 의해 외부 원추부(62, 76)에 의해 구동 레버(14) 및 조종 레버(24)의 내부 원추부(66, 78)에 프레스되어, 상기 내부 원추부(66, 78)와 함께 플레이트(38, 118) 위에서 지지 숄더(32, 68)에 고정된다(도 8 및 9). 상기 플레이트(38, 118)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 70)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138, 140)를 가지며, 그리고 차축(18) 및 구동 샤프트(12)에 유격없이 프레스된다. 패드(58, 72)는 회전 방향(42, 44)으로 구동 샤프트(12) 및 차축(18)에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며, 더 정확히 말하자면 6면각체의 6개의 큰 지지 평면(84, 86, 88, 90, 92, 94) 위에서 결합되고, 그리고 이를 통해 레버(14, 24)에 의해 쉽게 구동 샤프트(12) 및 차축(18)으로부터 빼지거나 해체될 수 있다. 패드(58, 72) 및 특히 구동 레버(14), 그리고 조종 레버(24)를 유격없이 지지하기 위해,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 70)은 설치 방향(28)으로 증대된 직경(80, 82)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경(80, 82)에서 상기 패드(58, 722)는 넌-포지티브하게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5)

  1. 레버 기어(10)가 구동 샤프트(12)에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된 구동 레버(14) 및 차축(16, 18, 20)에 연결된 조종 레버(22, 24, 26)를 가지며, 상기 두 레버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 와이퍼 레버(112)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 기어(10)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22, 24, 26)는 지지 숄더(30, 32, 34)에 대한 설치 방향(28)으로 차축(16, 18, 2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22, 24, 26)는 플레이트(36, 38, 40) 위에서 상기 지지 숄더(30, 32, 3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6, 38)는 상기 차축(16, 18)으로 넌-포지티브(non-positive)하게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16)은 회전 방향(42, 44)으로 상기 플레이트(36)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36)는 회전 방향(42, 44)으로 상기 조종 레버(22)에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6) 및 상기 조종 레버(22)는 헐거운 결합부(120)에 의해 회전 방향(42, 44)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22)는 측벽(46, 48)을 포함하는 플레이트(36)를 회전 방향(42, 44)으로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6, 48)은 설치 방향(28)으로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작은 횡단면 영역(50)에서 큰 횡단면 영역(52)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8.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20)은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4)을 가지며, 상기 조종 레버(26)는 상기 영역(54)에서 상기 차축(20)을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9.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18)은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을 가지고,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60)를 가지며 상기 차축(18)을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며 외부 원추부(62)를 갖는 상기 차축(18)과 상기 조종 레버(24) 사이에 삽입된 패드(58)에 의해, 상기 외부 원추부(62)는 분리가능한 고정 부재(64)에 의해 차축(18) 위에서 조종 레버(24)의 상응하게 형성된 내부 원추부(66)에 프레스되어, 상기 조종 레버(24)와 함께 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 숄더(3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14)는 지지 숄더(68)에 대한 설치 방향(28)으로 구동 샤프트(1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12)는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횡단면 영역(70)을 가지고,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70)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74)를 가지고 구동 샤프트(12)를 포지티브하게 둘러싸며 외부 원추부(76)를 갖는, 상기 구동 샤프트(12)와 구동 레버(14) 사이에 삽입된 패드(72)에 의해, 상기 외부 원추부(76)는 회전불가능한 고정 부재(64)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12) 위에서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구동 레버(14)의 내부 원추부(78)에 프레스되어, 구동 레버(14)와 함께 상기 지지 숄더(68) 위에 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2.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12) 또는 차축(18)의 회전 대칭에서 벗어난 횡단면 영역(56, 70)은 적어도 한 영역에서 설치 방향(28)으로 증대되는 직경(80, 82)을 가지며, 상기 패드(58, 72)는 상기 횡단면 영역(56, 70) 위에 넌-포지티브하게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3. 제 9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8, 72) 및 구동 샤프트(12) 또는 차축(18)은 최대 12개의 큰 지지 표면(84, 86, 88, 90, 92, 94) 위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22, 24, 26)는 박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레버(22, 26)는 차축(16, 20)과의 접합 지점에 대한 커버측(96, 98)에서 포트형 잠금 장치(100, 10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KR1020007012404A 1999-03-08 1999-10-13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KR100686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0118.3 1999-03-08
DE19910118A DE19910118A1 (de) 1999-03-08 1999-03-08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ar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383A true KR20010043383A (ko) 2001-05-25
KR100686484B1 KR100686484B1 (ko) 2007-02-23

Family

ID=790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404A KR100686484B1 (ko) 1999-03-08 1999-10-13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10243B1 (ko)
EP (1) EP1076620B1 (ko)
JP (1) JP2002539013A (ko)
KR (1) KR100686484B1 (ko)
BR (1) BR9910308A (ko)
DE (2) DE19910118A1 (ko)
WO (1) WO2000053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0118A1 (de) 1999-03-08 2000-09-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arms
US8272806B2 (en) 2008-01-22 2012-09-25 Ford Contracting, Inc. Panel connector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8019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WO2017201470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6658B1 (fr) 1994-02-28 1996-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és d'accouplement entre l'arbre moteur et la tête d'entraînement.
DE4428371B4 (de) 1994-08-11 2009-04-0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erarms
JPH1170858A (ja) * 1997-06-18 1999-03-16 Asmo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DE19737070C2 (de) * 1997-08-26 2000-11-30 Bosch Gmbh Robert Gelenkverbindung
DE19910118A1 (de) 1999-03-08 2000-09-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11804D1 (de) 2005-04-28
EP1076620A1 (de) 2001-02-21
EP1076620B1 (de) 2005-03-23
JP2002539013A (ja) 2002-11-19
BR9910308A (pt) 2001-01-09
KR100686484B1 (ko) 2007-02-23
DE19910118A1 (de) 2000-09-14
US6910243B1 (en) 2005-06-28
WO2000053468A1 (de) 200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383A (ko) 와이퍼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KR100323277B1 (ko) 차량용조향너클장치
KR20060129368A (ko) 와이핑 각도 조정을 위한 방법
EP1297986B1 (en) Bracket mounting structure of propeller shaft
US5680792A (en) Concentric drive bearings for actuating two actuator rods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EP1297985B1 (en) Bracket mounting structure of propeller shaft
EP1266810B1 (en) Wip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20050045997A (ko) 와이퍼 구동장치용 베어링
KR20010080182A (ko) 구동 샤프트에 와이퍼 아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WO2000053464A1 (en) Vibration dampening pivot housing for windshield wipers
KR100689645B1 (ko)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6545380B1 (en) Method for assembling a windscreen wiper drive mechanism and a drive mechanism produced according to this method
US6238094B1 (en) Wiper system
EP1555460A1 (en) Differential gear for vehicle
KR100324692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의 고정구조
CN102123892A (zh) 风挡雨刷驱动装置
KR100333862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101703605B1 (ko) 와이퍼와 차체의 연결장치
KR100666294B1 (ko) 장착이 용이한 와이퍼 마운팅구조
KR200147889Y1 (ko) 조향장치 피트먼암 체결구조
KR20040102788A (ko) 조향칼럼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 구조
KR19980034283U (ko) 수동변속기의 웨이트 댐퍼 취부구조
KR101048117B1 (ko) 변속레버 조립체
KR20050099013A (ko) 차량용 스티어링 기어 구조
KR19980040158U (ko) 차량의 액슬 하우징용 범퍼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