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096A -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096A
KR20010042096A KR1020007010453A KR20007010453A KR20010042096A KR 20010042096 A KR20010042096 A KR 20010042096A KR 1020007010453 A KR1020007010453 A KR 1020007010453A KR 20007010453 A KR20007010453 A KR 20007010453A KR 20010042096 A KR20010042096 A KR 2001004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incoming
box
mobile phone
incom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투씨라파엘
라베씨에크리스티안
보봇스테판
Original Assignee
보벳 스테판
디지플러그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벳 스테판, 디지플러그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보벳 스테판
Publication of KR2001004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0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통과 대역폭이 최소 1㎑인 개별, 개성적 유성 메시지를 위해 교체가능한 메모리(42)를 내장한다.
교체가능한 메모리는 등록가능한 타입이거나 사전등록 타입이다. 이 메모리는 커넥터(43)를 장착한 박스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Audible alarm for portable telephone or message receiver}
각 휴대폰은 벨소리가 아주 유사하다. 그래서, 휴대폰을 소지한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휴대폰 벨소리와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 타인의 휴대폰 벨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여러 휴대폰이 가까이 놓여 있고 그중 하나가 울릴때, 보통 휴대폰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것이 울렸다는 느낌을 받지만 결국 그중 하나만이 울린 것이다. 마찬가지로, 송신이 아닌 수신만 된다는 점에서 전화기와 구분되는 호출기는 그와 똑같은 불편을 유발하는 유사한 벨소리를 갖고 있다.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미 벨소리, 벨소리의 조합, 또는 착신 신호음에 차별화를 주는 멜로디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내장하는 휴대폰이나 호출기가 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휴대폰과 송신 및 수신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박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두가지 변형에 대한 도 3의 유사 도면.
본 발명은 기기가 선택 및 등록 기능에 있어 일부 사용자들이 복잡하게 느낄 수 있는 사용법과 조작을 수반하는 불편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실제로 전화기와 호출기는 보편적인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아주 간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러 사람들이 동일한 휴대폰이나 호출기를 사용할 경우, 한 사용자의 개별 착신 신호가 반드시 전화기의 공동 사용자에게 맞춰 조절되지 않고, 등록 변경에 관한 복잡함으로 인해 자신의 착신 신호를 개성화하기 힘들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 불편을 해소시킨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이 서로 교환이 가능하고 접속할 수 있는, 개성화된 신호음을 내장한 메모리를 포함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렇듯, 사용자는 카세트 플레이어나 CD 플레이어에 카세트 테이프나 CD를 선택하여 바꿔 넣을 수 있는 것처럼 자신의 착신 신호음을 쉽게 선택하여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폰이나 호출기용 개별적 착신 신호음을 내장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메모리는 사전 등록되어 있거나 등록이 가능하다.
등록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등록은 필수이고, 이 등록이 복잡하게 느껴지는 조작 구성이라는 불편을 내포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착신 신호용 메모리가 교체 불가능한 기존의 호출기나 전화기와는 달리, 공동 사용자는 휴대폰을 소지할 때마다 자신의 신호음을 재입력할 필요가 없다. 단지 단 한번 등록한 고유 메모리를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교체, 사전 설정 또는 등록이 가능한 메모리를 이용한 사용의 편리성은 전화기 및 신호음을 일반 전화 기능 외에 소리 읽기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특기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음악 한 소절이나 노래 또는 듣고자 하는 소리를 선택할 경우, 이 선택은 전화기의 신호음이 울릴때 흔히 느끼는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호하는 작동 방식에서, 메모리 속에 저장할 수 있는 신호음은 최소 1㎑에서 20㎑까지의 대역폭을 갖는다. 이처럼 아주 다양한 신호음을 이용할 수 있고, 이 신호음들을 실제로 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폭 넓은 값의 대역폭으로 인해 휴대폰이 소리 읽기 기능을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메모리가 등록 가능할 경우, 전통적 전화 연결, 휴대폰 또는 마이크로컴퓨터와의 접속 또는 마이크에서 나오는 소리에 의해 원격 충전될 수 있다. 이 소리는 카세트 플레이어, CD 또는 MD 플레이어, 라디오 또는 TV 등과 같은 기타 유성음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개별 신호음용 메모리는 예를 들어 최소 4 내지 10㎑의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용량과 최소 시간 8초로 되어 있다. 최소 4 내지 10㎑의 대역폭에 의해서, 신호음은 스펙트럼이 0에서 시작할 경우, 0 내지 4㎑ 사이에 펼쳐져 10㎑까지 연장될 수 있는 스펙트럼으로 확대될 수 있다. 물론 스펙트럼은 약 20㎑인 가청역까지 확대될 수 있다.
메모리는 EPROM 메모리와 같은 정적 기억 장치가 유리하다.
개별 신호음은 사용자나 공급자가 원하는 모든 형태 즉, 음악이나 노래 멜로디, 음성 메시지, 음향 등을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을 발음함으로써 식별이 가능하다.
이 신호는 신호음이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반복될 때 듣는 사람이 차이를 느끼지 못한채 연속적으로 되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메시지의 끝은 처음과 유사하다. 결국, 장치의 신호 반복은 무한하므로 이 신호는 반복되는 것이 낫다(트랙 읽기).
신호음의 메모리는 사전 저장된 ROM 타입으로, CD 디스크처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메모리는 사용자가 고유의 신호음을 만들 수도 있고 이를 임시로 변경하는 식으로 한번 또는 여러 번 등록 가능한 타입일 수도 있는데, 이 변경은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원격 저장으로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가 저장 가능할 경우, 본 장치에는 음향용 입력 기능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전 저장이나 등록이 가능한 메모리의 공급을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신 신호 장치와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를 갖춘 일반 형태의 박스 속에 내장된다. 특히 이 메모리는 같은 박스내에서 인코더 및 디코더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선 연결없이 휴대폰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낮은 감도에서 넓은 통과 대역폭까지 전파 수신으로만 연결된다. 이 장치는 휴대폰에서 가까이 위치하여 휴대폰의 수신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감도가 낮으므로 약 1미터의 거리 밖에 있는 송신기나 휴대폰으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는 탐지하지 못한다.
GSM과 DCS 1800 기종에서, 휴대폰은 전류가 통할 때 일정한 주파수로 가장 가까이 있는 송신기와 지속적으로 연결된다. 신호음 발신과 호출 수신 사이의 통화 주파수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휴대폰이 수신을 받을 때 휴대폰의 통화 주파수에 민감하다. 이 주파수는 보통 수백 헤르쯔이다. 다시 말하면, 이 장치는 선에 연결되기 전에 휴대폰이 수신을 받을 때 휴대폰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탐지 주파수 신호의 길이가 충분할 때만 탐지가 작동하도록 대기 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이 대기 기능은 탐지 신호간의 임시적인 휴지기에 호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장치는 모든 종류의 휴대폰과 호환이 되도록, 메시지를 읽지 않고 변조 주파수와 레벨 및 시간에만 민감한 것이 유리한 점이다.
제작 단계에서, 이 장치는 휴대폰과 별개인 박스 안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장치를 호주머니에 넣거나 허리때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 장치는 또한 휴대폰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평평한 타입의 경우, 휴대폰의 커버 속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제작의 경우, 이 장치는 메모리를 포함한 등록 및 교체가 가능한 모듈 접근을 허용하며 휴대폰에 내장된다. 이 경우, 본 장치는 휴대폰의 기능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과 장점들은 제작 방법의 설명과 함께 제시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것이다.
도 1에 그려진 휴대폰(1)은 보통 고주파 신호(3)에 의해 송신기/수신기(2)와 연결된다. 반대로 호출 수신 단계 동안과 선 접속 전에, 휴대폰은 저주파 신호(4)를 소신한다. 본 발명물인 장치(5)는 이 저주파에 민감하다. 타이머(겉으로 보이지 않음)가 있어서 시간이 짧은 신호에 민감할 수 없다. 호출 탐지 동안, 장치(9)는 사전등록된 메시지를 개시한다.
장치(5)(도 2)는 탐지기(11)에 의해 신호(4)를 수신하며, 이 신호 기간동안 교체가능한 메모리(13)의 내용을 읽고 그 속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고 장치의 마이크(15)를 공급하는 증폭기(14)에 소리를 전해주는 인코더/디코더(12)의 기능을 허용한다.
변형으로서, 인코더/디코더(12)(또는 디코더 단독)와 메모리(13)는 장치의 기타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커넥터가 내장된, 등록가능한 요소 내에서 단독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가변 대역폭의 사전저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용량의 메모리에 대해서, 큰 통과 대역폭의 소리를 낮은 통과 대역폭의 소리보다 더 길이가 약하다. 통과 대역폭의 변경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대량 제작을 하려면, 등록가능한 모든 소리에 대해 동일한 디코더를 준비하지만, 신호음이 디지털 타입인 경우 가변 표본화 주파수도 부가된다.
메모리(13)는 예를 들어 휴대폰의 소유자 확인이 되는 개성적 유성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때 이 메시지는 X가 직함이나 이름이라고 할 때 "X씨에게 전화입니다"를 가리킨다.
메모리는 또한 대량 제작용 사전저장 타입일 수도 있다.
저장된 메시지는 길이가 짧을 경우, 선에 접속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러한 개성적 메시지가 가능하려면, 저장된 착신 신호의 통과 대역폭이 충분해야만 한다. 이 대역폭은 최소한 1KHz이다. 음악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메시지의 경우, 15∼20kHz에 달하는 통과 대역폭이 낫다.
도 2에 제시된 예에서, 장치(5)는 탐지기(11), 인코더/디코더(12), 메모리(13) 및 증폭기(14)에 맞는 고유한 전원(16)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전기적으로 휴대폰과 떨어져 있지만 클리핑(32)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포함한 휴대폰과 박스(31)를 보여주고 있다. 실례로 장치의 박스(31)는 2개의 측면에서 플라스틱 고리(321)와 (322)를 휴대폰의 앞면(34)쪽을 향한 꺾쇠(33)로 연결한 채로 휴대폰의 뒷면(35)에 붙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박스(31)에 메모리 모듈(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을 삽입하기 위해 틈새 형태의 오리피스(21)가 있다. 제작시 이 장치는 모든 종류의 휴대폰과 호환이 되도록, 오직 주파수에만 민감하며, 간혹 메시지를 읽지 않고 변조 레벨과 시간에도 민감한 것이 좋다.
도 4에 제시된 예에서, 이 장치는 휴대폰에 내장된다. 도 4는 박스 측면에 오리피스(41)가 있고, 커넥터(43)를 갖춘 모듈(42)을 접속하고 메모리를 내장한 휴대폰의 투시도이다.
박스(311)(도 4에서 겹쳐져 그려짐)가 휴대폰의 박스와 구분되는 또다른 형태에서, 신호음 장치(5)는 휴대폰의 전원에서 전원을 끌어온다. 이 경우, 장치(5)에 대해 휴대폰의 안쪽 끝에 기존 커넥터(50)에 연결되는 커넥터(보이지 않음)를 예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에서, 호출 탐지를 위해서는 장치(5)와 휴대폰 사이에 직접 연결(전파 연결이 아님)을 예상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커넥터(50)가 있어서 휴대폰의 각종 기능을 외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준다. 이 장치(5)에는 도 3과 연계해서 도시된 장치처럼, 교체가능한 메모리를 끼울 수 있도록 틈새(211)가 존재한다.

Claims (19)

  1. 메모리(42)가 교체가능하고, 개별, 개성적인 유성 메시지 내장용 메모리(13)를 포함하는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전기 커넥터(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사전 저장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 메시지의 통과 대역폭이 최소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통과 대역폭이 1∼20㎑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 메시지가 관련 휴대폰 소지자의 신원을 나타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관련 휴대폰 선에 의해 또는 마이크나 기타 유성원의 도움으로 원격 조종으로 등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9. 제 4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EPROM 메모리와 같은 정적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디코더 및/또는 인코더에 연결되고, 전체 장치가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련 휴대폰 박스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관련 휴대폰 박스와 별개의 박스(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휴대폰에서 전원을 끌어오고 호출을 탐지하도록 관련 휴대폰의 커넥터(50)에 연결될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관련 휴대폰 박스와 박스(31)를 조립하는 수단(321, 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관련 휴대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탐지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 예를 들어 약 1미터 거리에서 낮은 근접 방출에만 민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용 메모리.
  18. 메모리가 착신 신호 장치에 접속된 전기 커넥터가 내장된 박스 속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는 개별, 개성적 메시지를 담은 휴대폰용 유성 메시지 장치용 메모리.
  19. 제 18항에 있어서,
    동일한 박스내에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10453A 1998-03-24 1999-03-11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 KR20010042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3857A FR2776801B1 (fr) 1998-03-24 1998-03-24 Alarme sonore pour telephone portable ou recepteur de messages
FR98/03857 1998-03-24
PCT/FR1999/000540 WO1999049434A1 (fr) 1998-03-24 1999-03-11 Alarme sonore pour telephone portable ou recepteur de mess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096A true KR20010042096A (ko) 2001-05-25

Family

ID=952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453A KR20010042096A (ko) 1998-03-24 1999-03-11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66611B1 (ko)
JP (1) JP2002508524A (ko)
KR (1) KR20010042096A (ko)
CN (1) CN1294726A (ko)
AT (1) ATE247315T1 (ko)
CA (1) CA2324902A1 (ko)
DE (1) DE69910364D1 (ko)
FR (1) FR2776801B1 (ko)
IL (1) IL137870A0 (ko)
WO (1) WO1999049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1779A (en) * 2016-06-30 2018-01-0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dio module use in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561A (en) * 1988-07-01 1989-09-19 Motorola, Inc. Method of reprogramming an alert pattern
US5307059A (en) * 1990-03-26 1994-04-26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customized voice alerts
JP2563152Y2 (ja) * 1990-06-04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付選択呼出受信機
WO1992003891A1 (en) * 1990-08-16 1992-03-05 Motorola, Inc. Programmable alert for a communication device
WO1993001662A1 (en) * 1991-07-11 1993-01-21 Shimon Neustein Pager apparatus
GB9121759D0 (en) * 1991-10-14 1991-11-2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Communications receiver
GB2267794A (en) * 1992-04-24 1993-12-15 Alan Kilpatrick Conroy A pre-payable mobile cellular phone
EP0660281A1 (en) * 1993-12-24 1995-06-28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binable with a radio modem for computer
FR2725574A1 (fr) * 1994-10-06 1996-04-12 Leroulley Catherine Sonnerie de telephone programmable personnalis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76801A1 (fr) 1999-10-01
EP1066611A1 (fr) 2001-01-10
DE69910364D1 (de) 2003-09-18
CA2324902A1 (fr) 1999-09-30
JP2002508524A (ja) 2002-03-19
IL137870A0 (en) 2001-10-31
EP1066611B1 (fr) 2003-08-13
ATE247315T1 (de) 2003-08-15
FR2776801B1 (fr) 2000-10-06
WO1999049434A1 (fr) 1999-09-30
CN1294726A (zh) 200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2541B1 (en) Incoming calling system
CA1307829C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JP3262727B2 (ja) イヤホン
JPH07322350A (ja) 親機と子機から成る携帯用移動電話機
US20050153661A1 (en) Toy radio telephones
KR20010042096A (ko) 휴대폰 또는 호출기용 착신 신호음 경보기
US20030078081A1 (en) Call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JP4502541B2 (ja) 携帯端末装置
JP3496481B2 (ja) 無線通信装置
KR19990046770A (ko)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KR100205910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음향 및 진동모드 스위칭방법 및 그 장치
KR200198701Y1 (ko) 휴대용 음향기기에 장착하는 휴대폰 착신음 발생장치
KR200184938Y1 (ko) 음성신호 진동 변환기능을 갖는 핸드폰
KR20040038016A (ko) 멜로디 연주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20000049348A (ko) 엠피3 재생 기능을 가진 에프알에스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KR1003165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착탈식원격수신장치및방법
KR100249032B1 (ko) 휴대용 통신기의 신호음 녹음방법
KR200165522Y1 (ko) 휴대폰용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KR200179155Y1 (ko) 휴대폰의 통화녹음장치
JPH11163971A (ja) 無線電話端末の着信通知方式
JP2560884B2 (ja) 携帯無線電話機
CA1303764C (en) Apparatus for optically coupling a terminal unit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hrough a pay telephone instrument and the like
KR100379030B1 (ko) 휴대폰의 착신신호 인식장치
JPH11154992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