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512A -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 Google Patents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512A
KR20010041512A KR1020007009681A KR20007009681A KR20010041512A KR 20010041512 A KR20010041512 A KR 20010041512A KR 1020007009681 A KR1020007009681 A KR 1020007009681A KR 20007009681 A KR20007009681 A KR 20007009681A KR 20010041512 A KR20010041512 A KR 2001004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urrent
measuring device
di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398B1 (ko
Inventor
도리스 슈미트-란트지델
게르하르트 슈라우트
로베르트 라이너
폴커 귄거리히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4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1)를 갖는 데이터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매체는 인덕터(1)에 직렬로 연결된 정류 회로(2) 및 데이터의 처리 및/또는 저장을 위한 회로 장치(3)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장치(3)에는 전원 전압 제어 회로(4)가 병렬로 연결된다. 진폭 복조기로서 작동하는 전류 측정 장치(SME; RM, DS; SP, DS; TR, DS;D11, 122, 1S; SP1, SP2, DS)가 인덕터(1)와 전원 전압 제어 회로(4) 사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DATA MEDIUM FOR CONTACTLESS RECEPTION OF AMPLITUDE-MODULATED SIGNALS}
상기 데이터 매체는 현재 주로 칩 카드의 시장에 나와 있으며, 및 독일 특허 출원 제 196 34 134.5호에 공지되어 있다. 거기에 기술되어 있는, 무선 전자기식 전송 경로에 의한 터미널과 휴대용 데이터 매체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현재 상기와 같은 무접촉 전송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캐리어 신호의 100%-ASK-변조가 일어난다. 캐리어 신호의 이러한 스위치 온/오프는 데이터 매체내에서 비교적 쉽게 복조되긴 하지만, 귀선 소거 주기(blanking interval)동안 어떠한 클럭 신호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무접촉 칩 카드 규격 통일 위원회(ISO 14443)에서 현재 기술은 기록/판독 장치로부터 카드 또는 통상 데이터 매체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온-오프-키잉(OOK)에 추가로 5~15%의 변조도로 진폭 위상 변조(ASK)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록/판독 장치와 데이터 매체간의 거리가 심하게 변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신된 신호의 진폭이 변동되고, 상기 진동은 변조에 중첩되어 중첩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변조는 복조하기가 어렵다. 또한 데이터 매체내 회로들은 심하게 변동하는 전류 소비를 나타내며, 상기 전류 소비는 마찬가지로 변조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 언급된 문제는 특히 적절한 전원이 없어 그 작동 에너지를 수신된 신호로부터 얻는 수동 데이터 매체에 중요하다.
본 발명은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갖는 데이터 매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데이터 매체는 인덕터에 직렬로 연결된 정류 회로 및 데이터 처리 및/또는 저장을 위한 회로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체의 기본 회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기본 회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의 기본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개선예;
도 5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제 2 개선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기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기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기본 회로도; 및
도 9는 도 8에 따른 제어 회로 및 복조 회로의 상세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가 약화되거나 완전히 제거된 데이터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데이터 매체를 통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체에서는 전원 컨셉과 관련하여 복조기가 구현된다. 제 1 조치로서 회로 장치에 대해 병렬로 전원 전압 제어 회로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 전압 제어 회로는 회로 장치에 의해 주어진 부하 회로내 및 인덕터와 정류기에 의해 주어진 공급 회로내 전류를 차단시킨다. 그럼으로써 공급 회로내 전류는 인덕터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의 전력 공급에만 의존한다. 진폭 변조기로 작용하는, 공급 회로내 전류용 전류 측정 장치에 의해 진폭 변조가 측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공급 회로내에 측정 저항이 배치되며, 상기 측정 저항의 단자가 복조 회로와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복조 회로는 진폭 변조의 기준이 되는, 측정 저항에서의 전압 강하를 평가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전류 미러 회로를 제공하며, 상기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전류가 공급 회로내 전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비례하고, 따라서 변조에도 비례한다.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공급 회로내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에서의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전류에 의존하고, 및 높은 전류에서는 전류의 근에 의해서만 증가함으로써 정류기에서의 전압을 제한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류 미러 다이오드의 저항이 측정 저항에 비해 더 낮음에도 불구하고, 저항값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예에서 전류 미러-다이오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서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달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도력이 더 커진다.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전류 미러-다이오드 트랜지스터가 곧바로 포화 상태에 있을 수 있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에 대한 제 1 실시예는 전원 전압,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전압 분배기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전압 분배기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류 부하의 병렬 제어기에 발생되는 전압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추가 전압 제어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원 전압 제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보다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회로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전류 미러 회로가 정류 회로에 통합된다. 그로 인해 전류 미러 회로가 이미 정류 회로 내에 포함된 다이오드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정류 회로와 부하 사이의 추가 전압이 강하하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전류 미러 회로의 후방에 연결된 복조 회로의 입력 전류의 펄스 주파수가 두 배로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전류 미러 회로가 사용되며, 그로 인해 복조 회로에서의 필터링이 간편해진다.
또한 정류기 다이오드 자체에서의 전압 강하가 검출 및 형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공급 라인으로 뻗은, 정류 회로의 다이오드쌍에 적어도 한 쌍의 추가 다이오드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추가 다이오드쌍의 반대쪽 극에 배치된 다이오드의 연결 지점은 복조 회로의 제 1 입력부에 연결된다. 그에 대응하는, 정류 회로의 다이오드쌍을 통해 공급된 전원 전압은 복조 회로의 제 2 입력부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복조 회로가 차동 전압을 평가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비선형정 저항을 의마하며, 상기 저항의 특성 곡선이 복조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변형은 추가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로 정류 회로의 확장이 매우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부하 회로내에서의 전원 전압 제어와 공급 회로내에서의 전류 측정의 바람직한 조합이, 정류 회로의 출력부에서의 전압을 제어하는 직렬 제어 회로에 의한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달성된다. 정류 회로와 전원 전압 제어 회로 사이의 전류 경로내에 배치된 트랜지스터는 그 저항이 공급 회로내 전류에 따라 변동되고, 트랜지스터에서의 전압 강하가 거의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를 위한 제어 신호가 공급 회로내 전류의 기준이 되며, 따라서 변조의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 하기 실시예에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따라 인덕터(1)가 정류 회로(2)와 연결되고, 상기 정류 회로는 그 측면에 데이터의 처리 및/또는 저장용 회로 장치(3)에 라인(6, 7)을 통해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도 1에 기본적으로 도시된 데이터 매체는 한편으로는 인덕터(1)에 의해 기록/판독 장치로부터 에너지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기록/판독 장치로부터 송신된 캐리어 신호는 진폭 변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터가 데이터 매체로부터 기록/판독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컨대, 그리고 현재 일반적으로 인덕터(1)에서 부하 변조가 실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세부도가 아무 의미를 갖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 필요한 회로 부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있지 않으며, 하기에서도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데이터 처리/저장용 회로 장치(3)는 첫째로 바람직하게는 비휘발성 데이터 메모리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회로 장치(3)는 데이터 처리 및 편집용 논리 회로, 특히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공된 잡(job)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회로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매체의 특히 진보적인 실시예의 경우 회로 장치(3)가 완전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제시된 회로 장치(3)는 한편으로는 가능한한 일정한 전원 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달성될 잡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 소비 내지는 전류 소비를 갖는다. 기록/판독 장치가 일정한 신호 전력을 갖는 신호를 데이터 매체로 전송하게 되나, 상기 데이터 매체에 수신되는 신호는 기록/판독 장치에 대한 데이터 매체의 거리와 상관없이 변동 진폭을 나타낸다. 상기 두 효과가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시 중첩됨으로써 수신될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특히 전원 전압 안정화의 전류 공급 컨셉과 관련하여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문제가 해결된다.
제 1 조치로서 회로 장치(3)에 대해 병렬로 전원 전압 제어 회로(4)가 연결된다. 상기 병렬 제어 회로(4)는 최대 진폭의 경우, 즉 예컨대 논리적 "1"의 송신시 인덕터(1) 및 정류 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높은 전류를 유도한다. 상기 회로 장치(3)에서의 전압은 그로 인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전원 전압 제어 회로(4)와 회로 장치(3)에 의해 규정된 부하 회로(LK), 및 인덕터(1)와 정류 회로(2) 및 전원 전압 제어 회로(4)에 의해 규정된 공급 회로(VK)의 연결이 상기 전원 전압 제어 회로(4)에 의해 해제된다. 이 때 공급 회로(VK)를 통하는 전류(I)가 진폭 변조의 기준이다. 전원 전압 제어 회로(4)에 대해 병렬로 회로 장치(3)용 에너지 저장기의 역할을 하는 부하 커패시터(5)가 연결된다.
지금까지 언급된 모든 회로 부품들은 집적 회로로서 반도체 칩에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 라인(6, 7)에 부하 커패시터(6)가 연결되는 지점이 바깥쪽으로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칩에는 부하 용량의 증대를 위한 외부 커패시터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조치로서 진폭 변조기로 작용하는 전류 측정 장치(SME)에 의해 전류(I)가 검출되며, 검출된 신호는 복조되고, 그렇게 하여 얻어진 데이터 신호가 회로 장치(3)에 공급된다.
도 2에는 전류 측정 장치의 제 1 방법으로서 공급 회로(VK)의 전류 경로내에 배치되고, 복조 회로(DS)와 연결되는 단자를 갖는 측정 저항(RM)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측정 저항(RM)에서의 전압 강하는 공급 회로(VK)를 통하는 전류(I)에 대한 기준이며, 따라서 캐리어 신호의 변조에 대한 기준이 된다.
측정 저항(RM)이 간단히 구현될 수 있으나, 데이터 매체의 유효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측정 저항에 의해 야기되는 전압 강하가 장애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류 미러(SP)를 갖는 전류 측정 장치가 구현된다. 상기 전류 미러(SP)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이오드로서 연결된, 전류 미러 회로의 트랜지스터(T1)가 공급 회로(VK)의 전류 경로내에 배치되고, 반면 상기 공급 회로의 드레인 단자에 있는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공급 회로(VK)내 전류에 비례하는 복조될 전류를 복조 회로(DS)에 공급한다. 이러한 전류 미러 회로(SP)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T1)에서의 전압 강하가 감소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1)가 포화 상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반작용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공급 회로(VK)내 전압 강하의 추가 감소는 도 4 및 도 5에 따라 상기 공급 회로(VK)내에 배치된, 바이어스 전압을 갖는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의 허용 전류에 의해 달성된다.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저항(R1, R2)으로 구성된 전압 분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부하 변동에 따른, 병렬 제어기(4)에서의 전압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응축기(C)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필터에 추가된다.
도 5에 따라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바이어스 전압의 추가 안정화를 위해 추가 전압 제어 회로(VRS)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전압 제어 회로(VRS)에는 전원 전압 제어 회로(4)와 동일한 기준 전압(Uref)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Uref)은 제어된 전원 전압으로부터 도출된다.
도 5에는 복조 회로(DS)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T2)의 전류가 제어 가능한 저항(RD)을 지나 전송된다. 상기 저항(RD)에서의 전압 강하는 동일한 양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회로(FS)에 전달된 다음 논리적 레벨을 검출하는 컴퍼레이터 회로(KS)로 전달된다. 복조기 제어 회로(RS)는 전류 변동이 느릴 때, 예컨대 상기 복조 회로가 데이터 매체의 기계적 운동에 의해 기록/판독 장치의 전자계내에 제공되는 것처럼, 일정한 전압 강하가 제공되도록 상기 저항(RD)을 조절한다. 이 때 복조기 제어 회로(RS)는 저항 영역에서 작동하는 MOS-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저항(RD)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
정류 회로(2)는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집적 반도체 회로내에서는 상기 다이오드가 대부분 다이오드로서 연결된 트랜지스터(T21,...,T24)로 구성된다. 공급 회로(VK)에서의 추가 전압 강하를 막기 위해 상기 트랜지스터 다이오드가 전류 미러에 보충되어 복조 회로에 미러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양극성 전원 전압 라인(6)으로 뻗은, 정류 회로(2)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T23, T24)가 전류 미러(SP1, SP2)에 보충된다. 방향 전환을 위해 상기 전류 미러(SP1, SP2)에 각각 추가 전류 미러(SP3, SP4)가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정류 회로(2)내에 놓인 전류 미러 회로(SP1, SP2)는 n채널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추가 연결된 전류 미러 회로(SP3, SP4)는 p채널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류기(2)의 다이오드(D1...D4)가 저항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다이오드에 전압 강하가 복조 회로의 전류 강도에 대한 정보로서 전달된다. 도 7에 제시된 상기 실시예의 바람직한 구성은 그 외에도 추가 다이오드(D11, D22)를 갖는 정류기 기준 분기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다이오드는 양극성 전원 전압 라인(6)으로 뻗은 다이오드(D1, D2)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그 연결 지점이 복조 회로(DS)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가 차동 전압을 평가할 수 있다.
공급 회로(VK)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거기에서는 공급 회로(VK)내에 제어 및 복조 회로(RDS)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트랜지스터(TR)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 및 복조 회로(RDS)가 정류 회로(2)의 출력 단자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제어 트랜지스터(TR)와 제어 및 복조 회로(RDS)에 의해 구성된 직렬 제어기에 의해 입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제어 트랜지스터(TR)를, 그의 순방향 저항이 전류와 상관없이 변동됨으로써 제어 트랜지스터(TR)에서의 전압 강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어 트랜지스터(TR)용 제어 신호가 공급 회로(VK)내 전류에 대한 기준이 되며, 그에 상응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능한 회로가 도 9에 나와 있다. 정류 회로(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저항(R3, R4)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로부터 유도된 입력 전압이 컴퍼레이터(V)에 의해 기준 전압(Uref')와 비교되고, 차동 신호가 제 1 대역 증폭기(BPV1)를 통해 제어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에 전송된다. 또한 컴퍼레이터(V)의 출력 신호는 제 2 대역 증폭기(BPV2)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제 2 대역 증폭기는 그 출력부에서 변조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컴퍼레이터(V)가 자체적으로 적절한 필터 특성을 가지며, 변조된 신호가 전송되는 회로 장치(3)의 입력부가 반작용이 없어서 제어 트랜지스터(TR)의 제어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원칙적으로 상기 대역 증폭기(BPV1, BPV2)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무접촉 작동시 집적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반도체 칩상에 전압 제한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정류기 앞에는 교류 전압 제한 회로가, 또한 정류기 뒤에는 직류 전압 제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체는 지금까지 단지 무접촉 작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조합식 데이터 매체 또는 듀얼-인터페이스-데이터 매체로서 형성시키는 것도 별 문제없이 가능하다. 즉, 접점에 의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수신 인덕터(1)에 접촉면도 추가 제공될 수 있다. 접점에 의한 작동의 경우 접점으로부터 높은 전압이 공급될 때 너무 높은 횡류가 흐르지 않도록 병렬 제어기(4)를 차단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병렬 제어기(4)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매체가 무접촉 구동으로 작동하는지, 또는 접점에 의한 구동으로 작동하는지를 구별하는 추가 회로가 필요하다. 그러한 회로는 예컨대 접점 및/또는 인덕터에 직접 연결된 정류 회로에서의 전원 전압의 존재 여부 및/또는 인덕터에서의 고주파 캐리어 신호의 존재 여부 및/또는 접점에서의 클럭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검출 및 평가할 수 있다.

Claims (12)

  1. -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1),
    - 상기 인덕터(1)의 후방에 연결된 정류 회로(2) 및
    - 데이터의 처리 및/또는 저장용 회로 장치(3)를 포함하는 데이터 매체에 있어서,
    - 상기 회로 장치(3)에 대해 병렬로 전원 전압 제어 회로(4)가 연결되고,
    - 진폭 변조기로 작용하는 전류 측정 장치(SME; RM, DS; SP, DS; TR, DS; D11, D22, DS; SP1, SP2, DS)가 상기 인덕터(1)와 전원 전압 제어 회로(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저항(RM)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정류 회로(2)와 전원 전압 제어 회로(4) 사이의 전류 경로내에 배치된 전류 미러 회로(SP)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SP)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T1)의 제어 단자가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R1, R2; VRS)의 출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전압 분배기(R1, R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저역 패스 필터(R1, R2; C)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추가 전압 제어 회로(VR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류 미러 회로(SP1, SP2)로 구성되며, 상기 전류 미러 회로(SP1, SP2)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들)(T23, T24)이 정류 회로(2)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들)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각각의 공급 라인으로 뻗은, 정류 회로(2)의 다이오드쌍(D1, D2)에 병렬로 연결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극성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다이오드(D11, D12)로 구성되며,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상기 다이오드쌍의 단자가 전류 측정 장치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정류 회로(2)와 전원 전압 제어 회로 사이의 전류 경로 내에 배치되어 직렬 제어기로서 형성된 입력 전압 제어 회로(TR, RDS)로 구성되며, 측정될 전류에 비례하는, 직렬 제어기(TR, RDS)의 제어 트랜지스터(TR)용 조절 신호가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장치가 복조 회로(D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회로(DS)가 전류를 전압으로 나타내는 제어 가능한 저항(RD) 및 상기 저항(RD)을 제어하는 복조기 제어 회로(R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체.
KR10-2000-7009681A 1998-03-03 1999-03-03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KR100485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03736A EP0940769B1 (de) 1998-03-03 1998-03-03 Datenträger zum kontaktlosen Empfangen von amplitudenmodulierten Signalen
EP98103736.9 1998-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512A true KR20010041512A (ko) 2001-05-25
KR100485398B1 KR100485398B1 (ko) 2005-04-27

Family

ID=823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681A KR100485398B1 (ko) 1998-03-03 1999-03-03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23728B1 (ko)
EP (1) EP0940769B1 (ko)
JP (1) JP2002506259A (ko)
KR (1) KR100485398B1 (ko)
CN (1) CN1222907C (ko)
AT (1) ATE207224T1 (ko)
BR (1) BR9908478A (ko)
DE (1) DE59801757D1 (ko)
ES (1) ES2166114T3 (ko)
MX (1) MXPA00008613A (ko)
RU (1) RU2234129C2 (ko)
UA (1) UA57828C2 (ko)
WO (1) WO1999045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3936B1 (de) * 1998-02-17 2001-05-09 Infineon Technologies AG Datenträger sowohl für den kontaktlosen als auch den kontaktbehafteten Betrieb
UA52833C2 (uk) * 1998-07-29 2003-01-15 Інфінеон Текнолоджіз Аг Носій даних з регулюванням споживаної потужності
DE19938998B4 (de) * 1999-08-17 2008-01-1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treiben von Chipkarten
FR2800530B1 (fr) * 1999-10-28 2002-03-22 A S K Dispositif de demodulation d'un signal module en amplitude
DE10116747B4 (de) * 2001-04-04 2006-01-26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r Demodulation einer durch Wechsel der Amplitude zwischen einem niedrigen und einem hohen Pegel (ASK-) modulierten Spannung
EP1374514B1 (de) * 2001-04-04 2010-03-31 Infineon Technologies AG Demodulator für amplitudensprungmodulierte (ask) signale
US7113547B2 (en) * 2001-08-24 2006-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r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FR2854288B1 (fr) * 2003-04-23 2005-05-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mission-reception rf
DE102004014203B4 (de) * 2004-03-23 2006-02-02 Infineon Technologies Ag Kontaktloser Datenträger mit Stromdemodulation
WO2006038314A1 (ja) * 2004-09-30 2006-04-13 Fujitsu Limited 信号抽出回路および非接触icカード
WO2007063584A1 (ja) * 2005-11-30 2007-06-07 Fujitsu Limited 復調回路
WO2007063589A1 (ja) 2005-11-30 2007-06-07 Fujitsu Limited 信号抽出回路
JP5137545B2 (ja) * 2006-12-25 2013-02-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191719B2 (ja) * 2007-10-31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icタグシステムおよび無線icタグ動作方法
GB0722516D0 (en) * 2007-11-15 2007-12-27 Innovision Res & Tech Pl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284369A1 (en) *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9312924B2 (en) 2009-02-10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US20100201312A1 (en) 2009-02-10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JP5852961B2 (ja) 2009-10-28 2016-02-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誘導チューブを有する圧力補助システム
DE102011084485A1 (de) * 2011-10-14 2013-04-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duktiven Übertra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DE102012102007A1 (de) * 2012-03-09 2013-09-12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versorgungsvorrichtung zum Liefern einer Spannung aus einem elektromagnetischen Feld
DE102013104142B4 (de) 2013-04-24 2023-06-15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karte
KR101949954B1 (ko) * 2013-06-07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주입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8014A (en) * 1986-11-14 1988-06-02 British Broadcasting Corp Information transfer system
US5495241A (en) * 1991-01-25 1996-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reducing power loss in devices for contactless data and energy transf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0525642B1 (en) * 1991-07-23 1999-10-06 Hitachi Maxell Ltd. A recording medium reader/writer system and a non-contact IC-card system
US5630836A (en) * 1995-01-19 1997-05-20 Vascor, Inc. Transcutaneous energy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FR2751148B1 (fr) * 1996-07-12 1998-09-18 Inside Technologies Demodulateur d'un signal alternatif module en amplitude recu dans une bobine par induction electromagnetique
US6134275A (en) * 1996-08-23 2000-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portable data carrier over a wireless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ink
US6173899B1 (en) * 1998-04-03 2001-01-16 Alexander Rozin Method and system for contactless energy transmission and data exchange between a terminal and IC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57828C2 (uk) 2003-07-15
US6323728B1 (en) 2001-11-27
ATE207224T1 (de) 2001-11-15
WO1999045499A1 (de) 1999-09-10
MXPA00008613A (es) 2003-08-01
EP0940769A1 (de) 1999-09-08
DE59801757D1 (de) 2001-11-22
CN1222907C (zh) 2005-10-12
RU2234129C2 (ru) 2004-08-10
EP0940769B1 (de) 2001-10-17
JP2002506259A (ja) 2002-02-26
BR9908478A (pt) 2000-12-05
ES2166114T3 (es) 2002-04-01
CN1292906A (zh) 2001-04-25
KR100485398B1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398B1 (ko) 진폭 변조된 신호의 무접촉 수신을 위한 데이터 매체
JP4315530B2 (ja) 非接触icカードデバイスのための検波回路
EP0706151B1 (en) Non-contact type IC card
JP4854604B2 (ja) 半導体集積回路、それを搭載したカード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4584373B2 (ja) 電磁誘導結合で作動する遠隔交信装置
JP4356846B2 (ja) 変調補償クランプ回路
RU2000124936A (ru)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приема амплитудно-модулированных сигналов
US6954053B2 (en) Interface for shunt voltage regulator in a contactless smartcard
JPH09147070A (ja) 非接触型情報カード
US5966404A (en) Reader/writer for performing efficient transmission/reception with no-battery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6659352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 contactless information medium having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3829577B2 (ja) 電磁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の全二重伝送方法
JP3892563B2 (ja) 情報記憶媒体
US20020105376A1 (en) Demodulation capacity of a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JP2001043327A (ja) 非接触icカードの有無検出回路
JP4434472B2 (ja) 遠隔電力供給される電子構成部品用安定化電力供給デバイス
JP3838667B2 (ja) 遠隔操作による情報交換のための携帯電子機器
JP3900299B2 (ja) 非接触icカード
US75718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a data transfer unit with energy
JP3990100B2 (ja) 非接触情報記録媒体
WO2006117834A1 (ja) 半導体装置及びicカード
JP200713350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