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593A -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593A
KR20010040593A KR1020007008462A KR20007008462A KR20010040593A KR 20010040593 A KR20010040593 A KR 20010040593A KR 1020007008462 A KR1020007008462 A KR 1020007008462A KR 20007008462 A KR20007008462 A KR 20007008462A KR 20010040593 A KR20010040593 A KR 2001004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antennas
g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래미쉬라재럼
첸네이크슈샌딥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도날드 디. 먼둘
Publication of KR2001004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5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안테나 간에 이득 불균형이 존재하며,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신호 수신용으로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Description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UTILIZED BY A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CEPTION OF A SIGNAL}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서 엄청난 손해가 되는 페이딩(fading)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기술이다. 다이버시티 조합을 수행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최대비 조합(maximal ratio combining)(MRC), 등가 이득 조합(equal gain combining)(EGC) 및, 선택 조합(selection combining)(SC)이 있다. 그러나, 조합하기 전에 안테나 신호의 위상 동조(co-phasing)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다이버시티 조합은 신호의 검출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사전-검출 선택 조합(pre-detection selection combining) 또는 사전-선택 다이버시티가 바람직한데, 이는 단말기가 단 하나의 수신 체인(chain)만을 가질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더 적게 들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신호 형식은 수신 전에 안테나상에서 신호의 샘플링(sampling)(또는 수신)을 허용해야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따라서, 사전-선택 다이버시티는 슬롯에의한(slotted) 전송 모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예컨대, TDMA 시스템)에 더 적합하다. 또한, 사전-선택 다이버시티는, 맨 처음 슬롯에서 얻어진 채널의 샘플이 전체 슬롯 기간동안 유효하다고 가정할 수 있을 정도로 페이딩율이 충분히 낮을 때만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다이버시티 수신 방식(diversity receiving system)에 대한 실시예는 Dent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361,404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 소유자에게 양도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참조로 이용된다.
이전에는 사전-선택 다이버시티가 이용되었지만, 소정의 시간에 최고의 성능을 가진 것을 결정하는 상기 과정은 동일한 이득을 가진 안테나를 필요로하였다.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서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이용에있어 한 가지 문제는, 제2안테나가 일반적으로 주 안테나보다 더 작은 이득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종종 미학적인 목적으로 제2안테나가 단말기 내부에 놓임으로써 발생하는데, 여기서 단말기를 감싸고있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2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큰 이득 차이가 감지되므로(예컨대, 어떤 경우에는 4dB에 달함), 상기 이득 차이를 고려해야 하며, 또는 더 낮은 이득을 가진 안테나로부터의 반송파 전력/간섭율(carrier power/interference ratio)이 오히려 더 크다 하더라도 수신 방식은 거의 대부분 더 큰 이득을 가진 안테나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안테나가 동일하지 않은 이득을 가질 때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전-선택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는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 간에 이득 차이가 판정되며 및/또는 연속 갱신되는 경우,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noise) 및 간섭을 고려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특징은, 이하의 도면을 고려하여 아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주로, 신호 수신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microcellular communications terminal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신호를 수신함에있어 상이한 이득을 가진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신호 수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신호 수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의 수신기에 대한 부분 개요도.
도 3은 신호 수신을 위한 바람직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기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신호 수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역시 안테나를 선택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선택적인 수신기 실시예에 대한 부분 개요도.
도 5a 및 5b는 신호 수신을 위한 바람직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기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흐름도.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있어서,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안테나 간에는 이득 불균형이 존재한다. 상기 방법은,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측정 전력 및 이득 불균형에 따라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여 각 안테나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얻는 단계, 안테나에 대한 상기 보상 신호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안테나를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 및/또는 갱신하는 단계는 물론, 안테나에의해 접하게 되는 노이즈 및 간섭에 따라 각 안테나에 대한 측정된 신호 전력에 이용된 이득 불균형 요소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있어서,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적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안테나 간에는 이득 불균형이 존재한다. 상기 방법은 모든 안테나에 의해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가중하는 단계,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 각각의 가중 조건마다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조합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수신된 조합 신호에 대한 측정된 전력 및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에 따라 신호 수신을 위한 조합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여 각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얻는 단계, 각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저장하는 단계, 모든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조합 신호를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 및/또는 갱신함은 물론,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 및 간섭에 따라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있어서,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이한 이득을 가진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는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회로,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보상한 후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 장치(control) 및, 선택된 안테나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있어서,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이한 이득을 가진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회로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상기 신호의 수신을 가중하여 소정의 바람직한 조건에 대한 조합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고려하여 가장 큰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있어서,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를 위한 다이버시티 수신 방식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일하지 않은 이득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측정된 각 안테나의 신호 전력에 따라 어떤 안테나가 신호를 수신할지를 상기 복조하기 전에 선택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도록 되어있는데, 여기서 상기 측정된 신호 전력은 이득 불균형 요소에 의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6관점에 있어서,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안테나 간에는 이득 불균형이 존재한다. 상기 방법은, 모든 안테나에 의해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가중하는 단계,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 각각의 가중 조건마다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조합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되는 조합 신호에 대한 신호 전력이 다른 조합 신호 모두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조합 신호의 신호 전력이 다른 조합 신호 모두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클 때는 신호 수신을 위해 실제로 동일하게 가중된다는 조건하에서 조합 신호를 선택하며, 또는 실제로 동일하게 가중된다는 조건에서의 조합 신호에 대한 신호 전력이 다른 모든 조합 신호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크지 않을때는 신호 수신을 위해 동일하지 않게 가중된다는 조건으로부터 조합 신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나타내며 명백히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끝나지만, 첨부 도면을 고려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는데, 여기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숫자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12 및 14)와 연결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10)를 나타낸다. 도 1에 단 두 개의 안테나가 도시되어 있지만, 신호 수신을 위해 단말기(10)는 임의의 수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숫자(18)로 주로 나타낸 수신기의 제어 장치(16)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분리된 신호 경로(20 및 22)가 각각 안테나(12 및 14)에 접속된다. 수신기(18)는 안테나(12 및 14)에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데 이용되며, 제어 장치(16)의 기능 이외의 것은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있음을 알아두어야 한다. 사전-선택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하면, 신호 측정 회로(24 및 26)로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6)는 원하는 슬롯 직전에 안테나(12 및 14)에 수신된 신호의 순간적인 신호 세기(instantaneous signal strength)(RSSI)나 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형태상으로 아날로그나 디지털이 가능하며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있다. 신호 전력 측정 회로(24 및 26)는, 바람직한 전력 측정을 얻는데 반드시 필요한 제곱 및 적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16)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부분이 바람직하다.
가산 접합점(summing junction)(28)이 제어 장치(16)에 구비되어, 신호 측정 회로(24 및 26)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신호(30 및 32) 간의 전력 차이를 비교한다. 신호(30)는 플러스 성분(positive designation)으로, 신호(32)는 마이너스 성분(negative designation)으로 각각 제공되어, 상기 신호의 합이 안테나(12 및 14)에 수신되는 신호 전력의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또한, 이득 불균형 요소()(안테나(12 및 14)의 이득이 dB로 측정될 때는로 나타냄)가 신호(30 및 32)중 한 신호에 곱해져 안테나(12 및 14) 간의 이득 차이를 보상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예컨대, 안테나(12)가 안테나(14)보다배 큰 이득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거나 판정되면, 어떤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이 신호를 수신하기에 더 바람직한가는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기서, P1은 안테나(12)의 측정 전력이고, P2는 안테나(14)의 측정 전력이다. 상기 식이 옳으면 수신기(18)의 제어 장치(16)에 의해 안테나(12)가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되고, 그렇지 않다면 안테나(14)가 선택된다. 물론, 안테나(14)가 안테나(12)보다배 더 큰 이득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거나 판정되면, 어떤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이 신호를 수신하기에 더 바람직한지는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식이 옳으면 수신기(16)의 제어 장치(22)에 의해 안테나(14)가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되고, 그렇지 않다면 안테나(12)가 선택된다.
전력(P1및 P2)이 대수로(logarithmically) 측정되는 경우, 상기 결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하며,
P1〉 P2+
여기서,은 데시벨(decibels)(dB)에서의 안테나(12 와 14) 간의 이득 불균형 요소이다. 도 2를 보면, 가산 접합점(34)이 제공되어 신호(32)에을 추가한다. 물론, 신호 전력이 대수로 측정되지 않으면, 승산기(multiplier)(36)가 이득 불균형 요소()와 신호(32)를 곱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서도, 제어 장치(16)가 안테나(12 와 14) 간의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여, 이것으로부터의 측정 신호 전력이 사실상 동일한 이득을 가진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선택 방법이 중요한데, 이는 어떤 안테나가 더 큰 신호 세기를 갖는지 뿐 아니라, 어떤 안테나가 수신 신호에 대해 더 우수한 반송파 전력-대-간섭 전력(carrier power-to-interference power)(C/I) 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지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16)의 가산 접합점(28)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38)는, 선택된 안테나 및 이와 연결된 신호 경로로부터만 지정된 시간 주기 동안(일반적으로 세 슬롯) 신호 수신을 허용하는 스위칭 장치(40)를 작동하는데 이용된다.
안테나(12 와 14) 간의 이득 불균형은 어떤 경우에는 알려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득 불균형이 알려져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측정된 신호 전력이 적절히 보상될 수 있도록 결정될 필요가 있다.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이 처음부터 알려져 있다거나 다시 말해 미리결정되어 있으면, 역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득 불균형을 판정 및/또는 갱신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규정된 시간 주기 동안 각 안테나로부터 순간적인 신호 세기의 평균을 구한(현재의 도플러 주파수(Doppler frequency)에 따르지만, 전화 호출하는 동안 몇 분내에 쉽게 얻을 수 있음) 다음, 그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무선 채널 손상 대부분이 평균을 이루게된다.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갱신하는 상기 언급한 방법이 이용되던지,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이 이용되던지, 바람직한 것은 안테나에 실제 감지된 것에 따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에 이용된 이득 불균형 요소(또는 간접적으로 말해 상기 보상된 신호 전력)는, 안테나(12 및 14)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 및/또는 간섭을 고려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정(fine-tune)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득 불균형 요소는, 안테나(12 및 14)가 노이즈-제한 환경에 있을 때(즉, 사실상은 1(unity),은 0임) 사실상 무시할 수 있으며, 간섭-제한 환경에 있을 때는(신호가 대수로 측정되는지 여부에 따른이나) 상기 안테나 간에 실제 이득 불균형과 사실상 동일하다. 안테나(12 및 14)가 노이즈와 간섭이 결합되어 있는 환경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득 불균형 요소()는, 셀룰러 시스템을 통해 반송파 및 간섭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경험에의해 판정되는 안테나 각각의 RSSI로부터 얻어지는 규정된 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10)가 슬립(sleep) 모드(즉, 능동적으로 전송하진 않지만 산발적으로 신호를 수신함)에서 작동하면, 안테나(12 및 14)중 단 하나만이 이것으로의 스탠바이 전류(standby current)를 이용하여 최적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슬립 모드인 동안 스탠바이 전류를 줄이기위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큰 이득을 가진 안테나(즉, 상기 나타나있는 바와 같은 안테나(12))가 이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호출 동안에는, 다른 안테나가 작동되어 상기 언급한 선택 과정이 일어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기(18)의 제어 장치(16)는 다음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작동한다. 먼저, 바람직한 슬롯 이전의 규정된 시간 주기 동안 각 안테나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며(박스 66), 그 다음 순간적인 신호 전력이 측정된다(박스 68). 각 안테나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규정된 시간 주기는 서로 만나지 않거나 상이한 시간 간격(interval)이 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예컨대, 수신기(18)는 일반적으로, 슬롯이 여기에 할당되기 직전의 짧은 시간 주기(예컨대, 0.5 밀리세컨드(milliseconds))동안 각 안테나(12 및 14)를 통해 신호(예컨대, 지속기간이 각각 약 6밀리세컨드인 세 개의 슬롯을 가진 TDMA-형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득 불균형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각 안테나의 신호 전력을 보상하여, 상기 안테나 각각의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판정한 다음(박스 70), 이것을 다른 안테나의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과 비교한다(박스 71). 가장 큰 이득을 가진 안테나의 이득 불균형 요소()가 1(은 0임)이라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 및 그 보상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제어 장치(16)는 예정한 타임 슬롯(예컨대, 약 6밀리세컨드)동안 신호를 수신하는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안테나를 선택한다(박스 72). 일단, 바람직한 안테나가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되면, 신호(38)가 스위칭 장치(40)로 전송되어, 규정된 길이의 시간동안 신호가 다른 안테나에 수신되지 못하게 한다(박스 74). 그런 다음, 규정된 시간 길이가 완료할 때 까지(박스 77), 단말기(10)에 의해 이용되는 타임 슬롯동안 수신기(16)가 상기 신호를 복조한다(박스 76). 상기 과정은 피드백 루프(78)를 통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계속해서 신호 수신을 위한 바람직한 안테나를 판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은 안테나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얻기 전에 판정 또는 갱신되어야 한다(도 3의 띠로된(dashed) 박스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음). 또한, 각 안테나로부터의 보상 신호 전력은 안테나(12 및 14)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 및/또는 간섭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40)(일반적으로 손실이 많음)를 제거하기 위해, 도 4에 있어서, 수신기(18)는 신호 경로(20 및 22)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s)(42 및 44)를 포함하는 RF/IF 포트(84)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6')의 논리가 상기 증폭기로 제어 신호(46 및 48)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42 및 44)의 출력(50 및 52)은 가산 접합점(54)에서 가산됨을 알 수 있는데, 제어 신호(46 및 48)는 증폭기(40 및 42)의 이득 각각을 조절하는데 이용되어, 이것으로부터 출력(50 및 52)이 가중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잡음 증폭기(40 및 42)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중된다: (1)저잡음 증폭기(42)가 "1"로 가중되고 저잡음 증폭기(44)가 "0"으로 가중되어, 수신되는 신호 전력은 제1안테나(12)로부터이며 P1으로 표시된다; (2)저잡음 증폭기(42)가 "0"으로 가중되고 저잡음 증폭기(44)가 "1"로 가중되어, 수신되는 신호 전력은 제2안테나(14)로부터이며 P2로 표시된다; 그리고, (3)저잡음 증폭기(42) 및 저잡음 증폭기(44)가 모두 "1"로 가중되어, 제1 및 제2안테나(12 및 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전력을 P12로 나타낸다. 물론, 제어 신호(46 및 48)는 다른 바람직한 가중 조건을 얼마든지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합성기(synthesizer)(56)가 가산 접합점(54)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가산 접합점으로부터의 신호(58)를 디지털화되기에 더욱 용이한 중간 주파수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터(filter)(60 및 62)(예컨대, 탄성 표면파(surface acoustic wave) 또는 SAW 형태임)가 RF/IF 포트(84)의 업스트림(upstream) 신호 경로(20 및 22)에 각각 구비되어, 안테나(12 및 14)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대역폭(bandwidth)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대역 필터(bandwidth filter)(63)와 자동 이득 제어장치(automatic gain control)(64)가 합성기(56)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바로 인접하게 제어 장치(16')에 놓여, 신호 전력 측정 회로(65)내로 입력되기 전에, 신호를 규정된 대역폭 범위로 유지하고 증폭기(42 및 44)의 이득을 바람직한 범위내로 유지하는 것을 또한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상기 기재되어 있는 증폭기(42 및 44)의 다양한 가중 조건에 있어서 신호 전력 측정 회로(65)에 의해 순간적인 신호 전력이 측정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67)를 이용하여 신호 전력(P12)이 신호 전력(P1과 P2)의 합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렇다면, 상기의 동일하게 가중되는 조건(각각 "1")의 저잡음 증폭기(42 및 44)로부터 얻어지는 조합 신호는 안테나(12 와 14) 간의 이득 차이와 관계없이 선택된다. 신호 전력(P12)이 신호 전력(P1과 P2)의 합보다 크지 않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67)는 안테나(12 와 14) 간의 이득 차이를 고려하여 신호 전력(P1및 P2)을 개별적으로 보상하게 된다. 다음으로, 각각 동일하지 않게 가중된다는 조건의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이 마이크로프로세서(67)에 저장되어, 동일하지 않게 가중되는 다른 조건의 증폭기에 대한 조합 신호의 보상 신호 전력과 비교된다. 그 후,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가 선택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67)내의 논리가 제어 신호(46 및 48)를 각각 증폭기(42 및 44)에 제공한다. 물론, 마이크로프로세서(67)에 저장된 보상 신호 전력에 임계값(threshold value)이 이용되어, 안테나(12 및 14)에 의해 감지되는 노이즈 및/또는 간섭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적용이 가능한 동일하지 않게 가중되는 조건의 증폭기(40 및 42)에 의해 생성되는 많은 조합 신호를 측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이미 확인된 특정 조건만 제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12 및 14) 간의 이득 불균형이 처음부터 알려져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든지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 및/또는 갱신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자동 이득 제어 장치(64)에 이해 이용된 이득을 기록하여 이들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는 별도의 입력(62)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67)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또한 자동 이득 제어 장치(64)에 의해 수행된 보상이 상기 장치로의 처음 진폭에 직접 관련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5의 흐름도를 보면, 수신기(18)의 제어 장치(16')는 규정된 시간 동안 양쪽 안테나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변경됨에 따라 작동한다(박스 86). 그러나, 수신된 신호의 순간적인 신호 전력을 측정하기 전에, 상기 신호는 그 대역폭을 제한하기 위해 적어도 한번 여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박스 88). 각 안테나로부터의 신호 각각은 저잡음 증폭기(42 및 44)로 입력되는데(박스 89), 여기에 인가되는 이득은 다양한 조건에 대해 제어 신호(46 및 48)에 의해 가중된다(박스 90). 다음으로, 각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가중 조건에 대해 가산 접합점(54)에서 조합된다(박스 91).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 신호(58)가 제어되어, 이것의 순간적인 신호 전력이 각각의 가중 조건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박스 92).
이러한 점에 있어서, 제어 장치(16')는, 저전력 증폭기(42 및 44)가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된다는(즉, "하이(high)" 또는 "1"로 설정됨) 가중 조건에 대해 측정된 신호 전력이 다른 가중 조건에 대해 측정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큰지 여부(예컨대, P12〉 P1+ P2)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응답이 긍정(yes)이면,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된다는 조건하의 조합 신호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되고, 제어 신호(46 및 48)는 마이크로프로세서(67)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박스 94). 상기 결정에 대한 응답이 부정(negative)이라면, 동일하지 않게 가중된다는 각 조건의 조합 신호에 대한 측정된 신호 전력이 보상되어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계산하며(박스 95),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이 제어 장치(16')에 의해 저장된(박스 96) 다음, 비교된다(박스 98). 결정 박스(93)으로 표현된 바람직한 단계를 생략하여, 상기 과정이 박스(92)의 단계에서 박스(95)의 단계까지 직접 이어진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띠선(97) 참조).
안테나(12 및 14)에 의해 감지되는 노이즈와 간섭에 따라, 저장하여 비교하는 단계 이전에 각 조합 신호의 보상된 신호 전력에 임계값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띠 박스 100). 어쨌든, 마이크로프로세서(67) 로직은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를 선택하여(박스 102), 제어 신호(46 및 48)를 적절히 설정한다(박스 104). 그러면, 제어 신호(46)를 통해, 증폭기(42 및 44)의 이득이 안테나(12 및 14)로부터 수신된 각 신호에 제공되어 그것의 적절한 양이 결정된다. 이 때, 수신기(18)가 상기 선택된 조합 신호를 복조한다(박스 106).
상기 제어 신호의 설정은 규정된 수의 슬롯 동안 지속되어, 상기 수신된 신호가 단말기용 수신기에 의해 복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를 이용함에 있어서, 피드백 루프(108)가 제공되어, 상기 과정이 안테나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수신기(18)에 의해 이용되는 바람직한 조합 신호(즉, 그 대신 증폭기의 가중 조건)가 연속적으로 갱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 및 기재되어 있지만,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0)

  1.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며 안테나 간에 이득 불균형이 존재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측정된 전력 및 상기 이득 불균형에 따라,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안테나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얻기 위해,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는 단계,
    (b) 상기 안테나의 보상 신호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각 안테나의 측정된 신호 전력에 이득 불균형 요소를 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동일한 이득을 가질 때와 유사하게, 상기 안테나에 의한 상기 신호 수신을 허용하는 수적인 값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각 안테나의 측정된 신호 전력에 이득 불균형 요소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테나의 측정된 신호 전력이 대수형식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동일한 이득을 가질 때와 유사하게 상기 안테나에 의한 상기 신호 수신을 허용하는 수적인 값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가 알려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 이전에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판정 단계는,
    (a) 규정된 시간 주기 동안 안테나 각각으로부터 순간적인 신호 세기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득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에 따라 안테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상된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간섭에 따라 안테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상된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잡음이 제한되면,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사실상 무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간섭이 제한되면,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과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안테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순간적인 신호 세기로부터 얻어지는 규정된 관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안테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순간적인 신호 세기로부터 얻어지는 규정된 관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규정된 시간 주기동안 상기 선택된 안테나로부터만 수신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단말기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안테나 중 단 하나만을 스탠바이 전류를 이용하여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안테나마다 상이한 시간 주기 동안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a) 상기 측정, 보상, 비교 및, 선택하는 단계를 연속하여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선택을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안테나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복조하기 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2.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며 안테나 간에 이득 불균형이 존재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든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소정의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상기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가중하는 단계,
    (c)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
    (d) 각각의 가중 조건에 대해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조합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된 조합 신호의 측정 전력 및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에 따라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가중 조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규정된 대역폭내로 여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a)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기로 입력하는 단계, 및
    (b) 가중 조건 각각에 대해 상기 증폭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 신호로 공급되는 이득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a)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된 신호 전력을 얻기 위해,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는 단계,
    (b) 각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조합 신호 모두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조합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이 알려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판정 단계는,
    (a)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에 이용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로부터의 이득을 기록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득 차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에 따라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상기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간섭에 따라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상기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선택된 조합 신호에 의해서만 수신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조합 신호마다 상이한 시간 주기 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3. 제22항에 있어서,
    (a) 상기 수신, 가중, 조합, 측정 및, 선택 단계를 연속하여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조합 신호를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신호를 복조하기 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35.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로서, 상기 단말기가 신호 수신을 위한 상이한 이득을 가진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에 있어서,
    (a) 상기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회로,
    (b)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보상한 후 가장 큰 신호를 갖는 안테나 하나를 상기 신호 수신을 위해 선택하는 제어 장치와,
    (c) 상기 선택된 안테나로부터만 상기 신호의 수신을 허용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간의 이득 차이는 안테나 각각의 측정된 신호 전력에 이득 불균형 요소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에서 보상되어, 각 안테나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사실상 동일한 이득을 가진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는 안테나 각각의 측정된 신호 전력에 이득 불균형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에서 보상되어, 각 안테나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사실상 동일한 이득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상기 신호 전력이 대수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 되는 노이즈 및 간섭에 따라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잡음이 제한되면,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가 사실상 무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간섭이 제한되면,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가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과 사실상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요소는,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순간적인 신호 전력으로부터 얻어지는 규정된 관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가 슬립 모드이면 상기 안테나 중 한 안테나만을 스탠바이 전류를 이용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시간 주기가 서로 만나지않는 동안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슬롯에 의한 모드의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5.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이전에 각 수신된 신호 전력이 상기 회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가 알려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8.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로서, 상기 단말기가 신호 수신을 위한 상이한 이득을 가진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에 있어서,
    (a)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회로, 및
    (b) 상기 안테나에 의한 상기 신호의 수신을 가중하여 바람직한 소정의 조건에 대해 조합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고려하여 가장 큰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를 선택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에 따라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해 측정된 신호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 되는 노이즈 및 간섭에 따라 상기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1. 제48항에 있어서, 각 안테나와 상기 전력 측정 회로 사이에 놓이는 저잡음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저잡음 증폭기 각각은 각자의 안테나로부터의 입력 및 각각의 가중 조건에 대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간의 이득 차이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3.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자동 이득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차이는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에 이용되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이득을 기록하여 이들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수신기.
  55.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a)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일하지 않은 이득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와,
    (b) 상기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와 같은 복조 이전에,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측정된 각 안테나의 신호 전력에 따라 어떤 안테나가 상기 신호를 수신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된 신호 전력은 안테나 각각에 대한 이득 불균형 요소에 의해 변경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
  56.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며 안테나 간에 이득 불균형이 존재하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든 안테나에 의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b) 소정의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상기 안테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가중하는 단계,
    (c)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
    (d) 각각의 가중 조건에 대해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조합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되는 조합 신호의 신호 전력이 다른 조합 신호 모두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신호의 신호 전력이 다른 모든 조합 신호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크면, 상기의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되는 조건의 조합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사실상 동일하게 가중되는 조건에서의 상기 조합 신호의 신호 전력이 상기 다른 조합 신호 모드에 대한 신호 전력의 합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조합 신호에 대한 측정 전력 및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에 따라, 동일하지 않게 가중되는 조건의 상기 조합 신호 중 하나를 상기의 신호 수신용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규정된 대역폭 범위내로 여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0. 제56항에 있어서,
    (a)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기에 입력하는 단계, 및
    (b) 각각의 가중 조건에 있어 상기 증폭기에 의해 각 수신 신호에 공급되는 이득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a)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얻기 위해,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을 보상하는 단계,
    (b) 조합 신호 각각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모든 조합 신호에 대한 보상 신호 전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d)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가진 조합 신호를 상기 신호의 수신용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간의 상기 이득 불균형이 알려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 이전에 상기 안테나 간의 이득 불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불균형 판정 단계는,
    (a) 상기 안테나 신호에 이용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로부터의 이득을 기록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득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5.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노이즈에 따라 각각의 조합 신호에 대힌 상기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6.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접하게되는 간섭에 따라 각각의 조합 신호에 대한 상기 보상 신호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7.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선택된 조합 신호의 상기 가중 조건에서만 수신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조합 신호마다 상이한 시간 주기 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69. 제58항에 있어서,
    (a) 상기 수신, 가중, 조합, 측정, 판정 및, 선택 단계를 연속하여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b) 상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조합 신호를 가장 큰 보상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조합 신호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7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복조하기 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안테나 선택 방법.
KR1020007008462A 1998-02-03 1999-02-02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100405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7,829 US6226507B1 (en) 1998-02-03 1998-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utilized by a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ception of a signal
US09/017,829 1998-02-03
PCT/US1999/002201 WO1999039457A1 (en) 1998-02-03 1999-02-02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utilized by a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ception of a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593A true KR20010040593A (ko) 2001-05-15

Family

ID=2178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462A KR20010040593A (ko) 1998-02-03 1999-02-02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26507B1 (ko)
EP (1) EP1055294A1 (ko)
JP (1) JP2002502184A (ko)
KR (1) KR20010040593A (ko)
CN (1) CN1289487A (ko)
AU (1) AU750795B2 (ko)
BR (1) BR9908784A (ko)
EE (1) EE04211B1 (ko)
IL (1) IL137612A0 (ko)
WO (1) WO19990394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614A (ko) * 2002-05-13 200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7222269A1 (ko) * 2016-06-2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신호 보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8352C (zh) * 1998-12-24 2008-11-26 诺基亚公司 降低信号幅度的一种设备和方法
DE10109359C2 (de) * 2001-02-27 2003-01-16 Bosch Gmbh Robert Diversity-Antennenanordnung
JP2002261667A (ja) * 2001-02-28 2002-09-13 Pioneer Electronic Corp 受信装置
US6961545B2 (en) * 2001-04-09 2005-11-01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US7190748B2 (en) * 2001-08-17 2007-03-13 Dsp Group Inc. Digital front-e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782330B2 (ja) * 2001-09-14 2006-06-07 富士通株式会社 Ofdm受信方法及びofdm受信装置
WO2004038956A1 (ja) * 2002-10-28 2004-05-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および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US20040199379A1 (en) * 2003-04-04 2004-10-07 Hickman Charles Bert Method for employing interference canceling with predetection combiners
JP2004325239A (ja) * 2003-04-24 2004-11-18 Sharp Corp アンテナゲイン特定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4189656B2 (ja) * 2003-04-28 2008-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Agc受信機を用いた携帯電話のアンテナ切り替え方法、およびその携帯端末
US7496164B1 (en) * 2003-05-02 2009-02-24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radio receiver system
JP3906209B2 (ja) * 2004-01-26 2007-04-18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US7558554B2 (en) * 2004-02-24 2009-07-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selection diversity with prediction
US7450924B1 (en) * 2004-03-25 2008-11-11 At&T Mobility Ii Llc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receive diversity for single-valued modulation receivers
US8666445B2 (en) * 2005-10-25 2014-03-04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tenna switching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541414B2 (ja) * 2006-04-28 2010-09-08 富士通株式会社 受信ダイバシチ機能を有するw−cdma方式による移動機、及びそのシステム
US8031794B2 (en) * 2006-05-09 2011-10-04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multiple antenna radio receiver system
JP4740049B2 (ja) * 2006-06-29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331886B2 (en) * 2008-09-22 2012-12-1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ynamic scalable concurrent communication and multi-core receiver architecture
AR075864A1 (es) 2009-03-17 2011-05-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 de potencia ascendente en entradas multiples salidas multiples
US8428521B2 (en) * 2009-08-04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for uplink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CN102035487B (zh) * 2009-09-29 2014-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用于分集接收的自动增益控制方法及装置
JP5555325B2 (ja) 2009-10-02 2014-07-2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アンテナを有するデバイスのための電力制御
US8971948B1 (en) * 2010-11-19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antenna gain imbalance
US8654883B2 (en) 2012-05-29 2014-02-18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RF MIMO system performance
US8811522B2 (en) 2012-05-29 2014-08-19 Magnolia Broadband Inc. Mitigating interferences for a multi-layer MIMO system augmented by radio distribution network
US8842765B2 (en) 2012-05-29 2014-09-23 Magnolia Broadband Inc. Beamformer configurable for connecting a variable number of antennas and radio circuits
US8599955B1 (en) 2012-05-29 2013-12-03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tennas in hybrid MIMO RDN systems
US8971452B2 (en) 2012-05-29 2015-03-03 Magnolia Broadband Inc. Using 3G/4G baseband signals for tuning beamformers in hybrid MIMO RDN systems
US8619927B2 (en) * 2012-05-29 2013-12-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crete gain control in hybrid MIMO/RF beamforming
US8767862B2 (en) 2012-05-29 2014-07-01 Magnolia Broadband Inc. Beamformer phase optimization for a multi-layer MIMO system augmented by radio distribution network
US8644413B2 (en) 2012-05-29 2014-02-04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blind tuning in hybrid MIMO RF beamforming systems
US8837650B2 (en) 2012-05-29 2014-09-1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crete gain control in hybrid MIMO RF beamforming for multi layer MIMO base station
US8649458B2 (en) 2012-05-29 2014-02-11 Magnolia Broadband Inc. Using antenna pooling to enhance a MIMO receiver augmented by RF beamforming
US8861635B2 (en) 2012-05-29 2014-10-14 Magnolia Broadband Inc. Setting radio frequency (RF) beamformer antenna weights per data-stream in a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system
US8885757B2 (en) 2012-05-29 2014-11-11 Magnolia Broadband Inc. Calibration of MIMO systems with radio distribution networks
US9154204B2 (en) 2012-06-11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transmit RDN architectures in uplink MIMO systems
US9343808B2 (en) 2013-02-08 2016-05-17 Magnotod Llc Multi-beam MIMO time division duplex base station using subset of radios
US8797969B1 (en) 2013-02-08 2014-08-05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 MIMO) base station using single-user (SU) MIMO co-located base stations
US20140226740A1 (en) 2013-02-13 2014-08-14 Magnolia Broadband Inc. Multi-beam co-channel wi-fi access point
US8774150B1 (en) 2013-02-13 2014-07-08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ide-lobe contamination effects in Wi-Fi access points
US8989103B2 (en) 2013-02-13 2015-03-2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ttenuation of preamble reception in co-located WI FI access points
US9155110B2 (en) 2013-03-27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100968B2 (en) 2013-05-0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ancellation scheme with multi-beam
US9425882B2 (en) 2013-06-28 2016-08-23 Magnolia Broadband Inc. Wi-Fi radio distribution network st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Wi-Fi RDN stations
US8995416B2 (en) 2013-07-10 2015-03-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o-channel access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US8824596B1 (en) 2013-07-31 2014-09-02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s in time division MIMO RDN architecture
US9497781B2 (en) 2013-08-13 2016-11-15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060362B2 (en) 2013-09-12 2015-06-1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 occupied Wi-Fi channel by a client using a nulling scheme
US9088898B2 (en) 2013-09-12 2015-07-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scheduling for co-located access points
US9408245B2 (en) * 2013-10-30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service using multiple channels
US9172454B2 (en) 2013-11-01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transceiver array
US8891598B1 (en) 2013-11-19 2014-11-18 Magnolia Broadband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calibration for obtaining the channel reciprocity for time division duplex MIMO systems
US8942134B1 (en) 2013-11-20 2015-01-27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gistration in a multi-beam system
US8929322B1 (en) 2013-11-20 2015-01-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de lobe suppression using controlled signal cancellation
US9014066B1 (en) 2013-11-26 2015-04-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294177B2 (en) 2013-11-26 2016-03-22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42276B1 (en) 2013-12-05 2015-05-26 Magnolia Broadband Inc. Multiple co-located multi-user-MIMO access points
US9172446B2 (en) 2014-03-19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arse explicit sounding by implicit data
US9100154B1 (en) 2014-03-1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AP-to-AP sounding in an 802.11 network
US9271176B2 (en) 2014-03-28 2016-02-23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based sounding feedback
EP3823185A1 (en) * 2014-04-08 2021-05-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gital repeater system
US10045244B2 (en) * 2015-09-03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nnection performance in UL/DL imbalance scenarios
CN108809867A (zh) * 2017-05-04 2018-11-1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分集增益接收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以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39733A (en) 1990-09-21 1994-04-27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Mobile telephone diversity reception with predetect signal combination
US5396656A (en) * 1993-09-02 1995-03-07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desired components of quadrature modulated signals
US5574466A (en) * 1995-03-31 1996-11-12 Motorola,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anning
JP3106088B2 (ja) * 1995-05-26 2000-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ダ・トランスポンダ
US6018651A (en) * 1995-11-29 2000-01-25 Motorola, Inc.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switched antenna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940452A (en) * 1995-11-29 1999-08-17 Motorola, Inc. Dual mode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023615A (en) * 1995-11-29 2000-02-08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in a radio subscriber unit
US5745520A (en) * 1996-03-15 1998-04-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reshold step-down size adjustment
GB2311693B (en) 1996-03-29 2000-06-21 Nokia Mobile Phones Ltd Antenna selection control circuitry
US5692019A (en) * 1996-06-17 1997-11-25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tenna switch diversity, and method therefor
US5901346A (en) * 1996-12-11 1999-05-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 compensated multiple output signal source
US6006111A (en) * 1997-10-08 1999-12-2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elf-balancing matrix ampl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614A (ko) * 2002-05-13 200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7222269A1 (ko) * 2016-06-2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신호 보상기
US11025290B2 (en) 2016-06-23 2021-06-0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signal compens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8784A (pt) 2000-12-05
IL137612A0 (en) 2001-07-24
EE04211B1 (et) 2003-12-15
US6226507B1 (en) 2001-05-01
EE200000442A (et) 2001-12-17
JP2002502184A (ja) 2002-01-22
WO1999039457A1 (en) 1999-08-05
EP1055294A1 (en) 2000-11-29
CN1289487A (zh) 2001-03-28
AU2574999A (en) 1999-08-16
AU750795B2 (en)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0593A (ko) 신호 수신을 위해 마이크로셀룰러 통신 단말기에 의해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에서의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CA2052007C (en) Radio telephone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JP3989532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のための複数アンテナホームベース
US6067449A (en) Antenna selection control circuitry
JP3782616B2 (ja) ブースター、監視装置、ブースター・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監視方法
KR100471618B1 (ko)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교정 시스템
EP1222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ably switching diversity antennas on signal dropout
US6018647A (en) Diversity reception system
US7801018B2 (en) Diversity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US7295157B2 (en) Array antenna receiver device
KR19980030359A (ko) 부호분할 다중 접속방식 단말기의 외부 간섭신호 제거장치
US7542775B2 (en) Control device and radio control method
AU746749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system
US7826802B2 (en) Estimation of received signal strength
EP0924875B1 (en) Diversity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CDMA system
KR20020041516A (ko) 중계기 및 무선 주파수 시스템의 자동 이득 설정 방법
US6430173B1 (en) Reception method and receiver
KR100219283B1 (ko) 시디엠에이 기지국 시스템의 최대 통화용량 측정방법
JPWO2003013012A1 (ja) 受信機
NO311396B1 (no) Radiokommunikasjonsmottaker til mottak av et hoppet signal
JPH07105754B2 (ja) ダイバ−シチ受信機
KR20020051662A (ko) 멀티캐리어 무선전송방식의 순방향 자동이득 조절방법.
KR19980082570A (ko) 디지털셀룰러시스템에서의 역방향링크 가입자 부하조건 부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