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347A -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 Google Patents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347A
KR20010040347A KR1020007007860A KR20007007860A KR20010040347A KR 20010040347 A KR20010040347 A KR 20010040347A KR 1020007007860 A KR1020007007860 A KR 1020007007860A KR 20007007860 A KR20007007860 A KR 20007007860A KR 20010040347 A KR20010040347 A KR 2001004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flat plate
support
plate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사흐 세이델
Original Assignee
페사흐 세이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사흐 세이델 filed Critical 페사흐 세이델
Publication of KR2001004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8Fastening; Joining by clamping or clipping
    • F28F2275/085Fastening; Joining by clamping or clipping with snap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uel Cell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평판형 열교환기(17100)는 지지부재(S), 기판(17102), 가동 가압판(17104), 로킹부재(1706,1708) 및 지지부재 결합부(17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FLAT PLATE HEAT EXCHANGER AND FLAT PLATE THEREFOR}
평판형 열교환기는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복수의 판형 적층금속으로 구성된 열교환 평판을 포함한다. 상기 평판은 하부의 길다란 이송부재 및 상부의 길다란 안내부재에 의해 기판과 가압판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직하고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평판은 상부 및 하부 외측엣지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U형상인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길다란 부재가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그들 사이에 평판을 지지한다. 상기 개구들은 길다란 부재들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층물의 조립 또는 분해 중에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판형 열교환기에 열교환 평판 적층물을 고정하는데 있어서의 고려해야 할 점은 적층물이 지지 구조물에 이상적으로 고정되어 평판들 사이 또는 평판과 지지구조물 사이에서 전혀 이동될 가능성이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그러한 어떠한 이동으로 열교환기를 통해 접촉 연장하는 액체 도관에 바람직하지 않은 힘을 유발하여 열교환기의 손상 및 기계적 파손을 초래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평판을 안내부재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결합 장착식 해결책이 다수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의 해결책중에 버퀴스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04,040호가 있다. 버퀴스트 등의 특허공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는 기판(ⅰ)과 가압판(ⅲ) 사이에 배열되고 하부 이송바아(ⅳ)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열교환 평판(ⅰ)을 가진다. 상기 하부 이송바아(ⅳ) 및 상부 안내바아(ⅴ)는 상기 평판의 각각의 하부(ⅵ) 및 상부(ⅶ)에 있는 개방형 오목부(도시않음)를 통해 연장한다.
각각의 열교환 평판(ⅰ)의 적어도 상부엣지에는 평판의 나머지 부분과 공동 평면상에 있고 안내 바아(ⅴ)와 결합하여 열교환 평판(ⅰ)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러그는 평판의 면에 횡방향으로 옆으로 굽혀지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구속을 통해 오목부 내측으로 안내 바아(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바아(ⅴ)가 삽입된 후에는 복원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열교환 평판에 있어서의 고유한 단점은 러그를 굽힐 수 있는 충분한 힘으로 안내 바아상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평판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상당한 힘을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너무나 커다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러그들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지 않게 하는 커다란 힘으로 러그를 굽혀야 한다. 게다가, 평판의 열결 특성상 평판을 적층배열로 움직이지 못하게 로크하기 위해 지지 바아와 안내 바아를 모두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평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그에 사용되는 평판 및 평판 적층물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미국 특허 제 4,804,04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평판형 열교환기의 개략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평판의 종축선을 따라 정렬된 지지부재 결합부를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될 수 있는 평판의 개략도이며,
도 1c는 평판의 코너에 위치된 지지부재 결합부를 갖는 것을 제외하면, 도 1b의 평판과 유사한 도면이며,
도 2a는 완전 결합시 부분 결합된 것으로 보이는 열교환기 조립체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물체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는 도 1b에 도시한 평판의 중앙 결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전 결합시 부분 결합된 것으로 보이는 열교환기 조립체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물체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는 도 1b에 도시한 평판의 중앙 결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물체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는 평판의 중앙 결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두 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완전 결합시 열교환기 조립체의 한 쌍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평판형 열교환 평판의 이중 결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3 개의 코너지지 결합부를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가능한 평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3 개의 상이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고 2중 또는 3중 지지부재의 장착을 위한 평판에 사용될 수 있는 코너 결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된 금속 시이트로 형성된 중첩식 열교환 평판의 부분도이며,
도 15a는 평판이 엇갈린 배열처럼 보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첩식 평판 적층물의 지지대상에 초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b는 평판의 초기 중첩상태를 도시하는 도 15a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15c는 화살표 15C로 나타낸 도 15b의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15d는 완전 중첩위치에 있는 도 15a 및 도 15b의 적층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e는 도 15d에 도시한 중첩식 평판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와 유사하지만 평판이 비-엇갈림 배열로 적층된 적층된 복수의 중첩 평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바와 같이 형성된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 평판을 갖지만 평판을 지지부재상에 로크하기 위한 추가의 로킹수단을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단일 평판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지집재에 평판을 부분 및 완전히 로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7의 적층물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0은 도 1b에 도시한 평판과 유사하지만, 평판의 예정된 열팽창을 허용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지지부재 결합부들을 갖는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가능한 평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과 유사하지만, 하나가 각주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평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개의 평판을 조립하는데 최소의 힘만이 필요하며 상기 평판들이 조립 또는 분해시 실질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예정된 위치에 스냅결합될 수 있는,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한 열교환 평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로크될 수 있어서 필요로 하는 지지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열교환 평판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간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배열된 이동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의 길다란 지지장치를 갖춘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열교환 평판이 제공되는데, 상기 각각의 평판은,
열전도 재료로 형성된 평판부재, 및
평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평판부재와 길다란 지지장치 사이에 스냅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평판과 연관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결합부는 결합방향의 측면이고 상기 평판부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의 폭을 가지며, 상기 지지결합 장치는 평판부재의 예정된 엣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엣지에 위치된 개구내에서 종결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지지장치의 횡단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며, 상기 지지결합 장치도 오목부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부분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여 적어도 예정된 측방향 굽힘력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또는 해제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된 폭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평판의 예정된 엣지부가 상기 개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결합 장치도 한 쌍의 측면돌기를 가지며, 상기 측면돌기 사이의 거리는 지지장치내의 개구의 폭보다 커서 적어도 예정된 측방향 굽힘력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또는 해제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측방향 돌기가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상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평판 부재가 접첩 시이트로부터 형성되며 평판이 포개질 수 있도록 평판부재의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예정된 비 수직각도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성형 개구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성형개구 내측으로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의 평판부재가 포개진 적층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각각의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들이 평판부재 중의 하나에 인접한 성형개구 내에 배열되며, 상기 적층물의 단부에 위치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의 측벽이 그에 인접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과 결합되게 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평판부재는 절곡 시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탄성부재가 적층식으로 배열될 때 모든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성형 개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도 적층물의 성형개구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 및 성형개구는 정렬된 개구 내측으로 삽입부재의 삽입에 의해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모든 탄성부재를 측면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물의 정렬된 성형개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삽입가능한 한 쌍의 로킹부재 및 두 개의 탄성부재가 제공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부재들은 오목부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평판형 열교환기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평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버퀴스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04,040호과 같은 종래기술에 공지된, 평판 자체, 그의 지지장치, 및 평판을 지지장치에 로킹하기 위한 수단이 제외된 전체의 열교환기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중에, 본 발명의 평판부재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부분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단일 지지부재는 도면에 문자 S로 표시되어 있지만, 다중 지지부재는 S',S'' 및 S'''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재는 도 1a의 기판(ⅱ)과 가압판(ⅲ) 사이로 연장하는 수평 지지대 또는 가이드에 대응하지만, 도 1a에 도시한이송 바아(ⅳ) 또는 상부 안내바아(ⅴ)와 같은 설명된 평판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평판부재을 부착시키는데 바람직할 수 있는 어떤 다른 지지수단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이들은 예를들어, 평판부재 적층물을 통해 연장함으로써 평판의 체결은 물론 그를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길다란 스크류 부재(도시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과 가압판 사이로 연장하는 추가의 구조재일 수 있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본 명세서에 설명하지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평판형 열교환기에의 사용을 위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대로 복수의 유사한 평판부재를 적층물로 조립하기 위한 평판부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평판부재(100)는 바람직하게 장방형이며 평판부재(100)가 수직위치로 조립될 때 각각 평판부재의 상부 및 바닥에 지향되는 평행한 엣지(102,104)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평판부재(100)는 상부 및 바닥엣지(102,104) 사이로 연장하는 펴앵한 측면엣지(106,108)도 가진다.
도 1c를 간단히 참조하면, 도 1b와 같이 중앙이라기 보다는 평판의 코너에 위치된 지지부재 결합부를 갖는 것을 제외하면, 도 1b의 평판부재와 동일한 평판부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평판부재(100')의 모든 부분들은 도 1b의 설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도면부호로 나타냈으므로, 특별히 도 1c 이외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 2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 결합부(110)가 상부엣지(102)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며 일반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지지부재(S)와 결합한 후에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10)는 상부 엣지(102)에 지지부재(S)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112)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12)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도면부호 116으로 나타낸 오목부의 출구에서 억제부를 제공하는 포울(114)이 제공되어 있다. 도 1b 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억제부의 폭(W1)은 지지부재(S)의 직경(D1)보다 작아서 상기 지지부재(S)는 이중 머리 화살표(11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방향으로의 억제부를 정상적으로 통과하지 못한다(118).
평판부재(100)와 지지부재(S) 사이의 스냅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포울(114)은 오목부(112)의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길다란 개구(121)의 제공에 의해 신축성을 수용하는 가요성 아암(120)상에 장착된다. 상기 아암(120)상에 형성된 포울(114)은 포울(114)이 이들과 접촉하게 될 때 저항력 성분을 지지부재에게 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고 반대의 힘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아암(120)은 화살표(222)로 나타낸 방향으로 평판부재(100)의 평판에서 외측으로 굴곡되게 된다. 이는 정상적으로 억제되어 있던 개구가 순간적으로 확대됨으로써 대향력이 결합력이냐 해제력이냐에 따라 오목부(112)내측으로의 지지부재(S)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1b에 나타낸 배열의 특징은 오목부(112)가 끼워맞춤되어 그의 둥근 내측부(124)가 지지부재의 외측 곡률반경과 유사한 곡률반경을 가진다. 게다가, 상기 포울(114)은 바람직하게, 지지부재(s)가 둥근 내측부(124)와의 완전한 접촉결합시에도 지지부재(s)와 접촉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이는 평판부재의 적층 조립 및 해제시에 평판부재의 우발적인 엇긋남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1b를 참조하면, 바닥 엣지(104)에도 지지부재(s')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0')가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합부(110')는 결합부(110)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평판부재(100)에 상부 및 바닥 결합부(110,110')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대각선상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평판부재가 수직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오목부(112,112')를 각각 지지부재(s,s')와 완전히 결합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예에서 평판이 지지부재와 상부 엣지와의 결합만으로 적절히 지지되며 각각의 평판부재(100)가 지지부재에 대한 측면 스냅결합만으로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대로 복수의 유사한 평판을 적층물로 조립하기 위한 평판부재(1100)가 도시되어 있다. 평판부재(1100)는 평판(100)(도 1b)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에 대해 더 이상 상술하지 않는다. 평판부재(100)에 유사한 상대부분을 갖는 평판부재(1100)는 맨앞부분에 "1"을 추가한 도면부호로 나타냈다.
평판부재(1100)는 한 쌍의 내향 포울(1114)을 각각 갖는 것을 제외하면, 평판부재(100)부재의 지지부재 결합부(110)와 일반적으로 유사한 제 1 및 제 2 지지부재 결합부(1110a,1110b)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부재(S1,S2) 사이의 간격보다 더 이격되도록 도시된 Y축선을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1110a,1110b)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1110a,1110b)가 Y축선을 따라 위치되지만, 이들 중 하나 또는 두 개가 상기 Y축선을 따라 위치될 필요성은 없으며 도시된 두 개의 결합부 보다 많은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간격은 일정한 각도로 평판을 삽입하는 것을 촉진시킬뿐만 아니라 지지부재(S1,S2)를 이격시키는 지지부재에 대한 응력의 발생없이 평판부재(100)의 열팽창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e)을 초래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간극(e)은 특정된 크기는 아니지만 1-2mm 이하이다. 적층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엣지 위치된 지지결합부에 대해 간극(9e)을 제공하도록 주어진 적층구조물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1100a)는 관련지지부(s1)와 밀착결합되어 Y축선 또는 Y축선에 수직한 X1축선에 따른 평판부재(1100)의 이동을 방지하나, 제 2 결합부(1100b)Y축선에 따른 평판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관련 지지부(S2)와의 결합으로 Y축선에 수직한 X2축선을 따른 평판부재(1100)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도시된 평판부재(1100)가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되어 상기 제1 및 제 2 결합부(1100a,1100b)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또는 각각 하상 방향으로, 또는 어떤 다른 평면상에 지향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횡단면 형상이 포울(1114) 및/또는 내측부(1124)와 파지 결합될 수 있는 표면 또는 다른 부분을 갖는 한, 일반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둥글지 않은 각주 형태인 지지부(S3)와 관련하여 평판부재(1100)가 사용될 수 있는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를 간단히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 1b, 도 1c 및 도 2a와 유사하고 끝부분에 "a" 또는 "b"만이 추가된 도면 참조부호에 의해 도 2a에 나타낸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지지부재 결합부(110a)를 도시한다. 게다가, 상기 결합부(110a)는 도 2a의 결합부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특별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 결합부(110a)는 오목부(112a)로부터 일반적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러그(119)를 갖는 가요성 아암(120a)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처럼, 지지부재(S)로부터 이격된 러그(119)의 평면 함몰부에서는 가요성 부재(120a)상에 형성된 포울(114a)과 오목부(112a)의 측벽상에 형성된 상이한 포울(114b) 사이에 한정된 억제부가 확대되어 있으며, 상기 포울(114a,114b)은 오목부(112a)의 개구를 가로질러 내부 외측으로 향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1b, 도 1c 및 도 2a와 유사하고 그들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각각 설명하는 지지부재 결합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를 간략히 참조하면, 도 1b 및 도 2a의 가요성 아암(120) 및 포울(114)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오목부(3112)을 형성함으로써 제공되는데, 이는 평판부재(3100)에 체결된 고무형 또는 탄성부재(3113)의 제공으로 규제되어서 포울형 단부(3114)가 오목부(3112)내측으로 연장된다.
도 4에는 오목부(4112)의 내측 엣지(4115)상에 위치된 일체 형성된 포울(4114)의 제공과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포울없이 가요성 아암(4120)이 제공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4112)의 깊이와 관련하여 도 1b 및 도 2a의 오목부 보다 깊은, 도 1b 및 도 2a의 실시예와 상이한 지지부 결합부(41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지지부 결합부(5110)는 한 쌍의 포울지지 가요성 아암(5120) 사이에 대칭되게 형성된 오목부(5112)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포울지지 가요성 아암(6120)을 가지며 그 사이에 평탄한 오목부(6112)가 한정되어 있는 지지부재 결합부(61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삼각형 처럼 넓고 평탄한 베이스를 갖는 지지부재(S)에 형상 끼워맞춤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시된 지지부재 결합부(7110)는 비대칭 이중 아암배열을 가진다. 결합부(7110)는 제 1 가요성 아암(7120a) 및 제 2 가요성 아암(7120b)를 가진다. 제 1 아암(7120a)은 일반적으로 가요성 아암(120; 도 1b 및 도 2a)와 유사하며 단일의 내향 제 1 포울(7114a)를 가진다. 제 2 아암(7120b)은 길다랗고 따라서 제 1 아암(7120a) 보다 큰 가요성을 가지며 한 쌍의 포울(7114a,7114b)을 갖는데, 상부 포울(7114b)은 제 1 포울(7114a)과 대향 위치되고 하부 포울(7114b')은 그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결합 지지부재(S)가 3 개의 포울(7114a,7114b,7114b') 사이에 있는 하부 형상 끼워맞춤 위치 또는 예로서 나타낸 상부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
도 1b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다수의 지지부재 결합부의 어떤 특징의 적합한 조합뿐만 아니라 전술한 형태의 지지부재와 평판 부재의 스냅결합을 제공하는 어떤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해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사한 평판부재를 적층형태로 조립하기 위한 평판부재(200)의 상부엣지부(2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엣지부(202)는 통상적으로 평판부재(200)의 상부 코너에 인접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지지부재(S,S')와 결합된 후에 그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이중 지지부재 결합부(210)를 가진다.
각각의 결합부(210)는 단지,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212)가 반드시 끼워맞춤될 필요는 없고 가요성 아암(220)이 각각 측면 엣지(106,108)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그들의 신축성을 수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b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하고 도시한 결합부(110)와 유사하다.
평판부재와 지지부재(S,S')와의 스냅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아암(220)상에 장착된 내향 포울(214)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S,S')의 두 최고지점 사이의 거리인 치수(D2) 보다 작은 폭(W2)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치수(W2,D2)는 도 1b 및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치수(W1,D1)에 대응하며, 일반적으로 지지부재에 대해 평판부재의 평면상으로의 밀기 또는 당김에 의해 지지부재(S,S')의 결합과 해제를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공지된 대로 복수의 평판부재를 적층형태로 조립하기 위한 평판부재(9200)의 상부 엣지부(92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엣지부(9202)는 통상적으로 평판부재(9200)의 상부 코너(9203)에 인접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지지부재(S,S')와 결합된 후에 그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이중 지지부재 결합부(9210)를 가진다.
각각의 결합부(9210)는 단지,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212)가 반드시 끼워맞춤될 필요는 없고 제 1 및 제 2 포울(9214,9214')가 외측을 향하도록 제공된 것을 제외하면, 도 1b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하고 도시한 결합부(110)와 유사하다. 또한, 제 1 포울(9214)이 가요성 아암(9220)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포울(9214')은 성형부(9121')를 거쳐 평판부재(9200)의 나머지부분에 단단히 연결된 이동불가능한 외향 엣지부(9220')상에 형성되어 있다. 성형 오목부(9121')를 제공한 목적은 도 14 내지 도 15e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열교환 평판의 중첩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평판부재와 지지부재(S,S')와의 스냅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포울(9214',9214')가 폭(w3)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폭(w3)은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S,S')의 두 최근접 또는 최고 내측지점 사이의 거리인 치수(D3) 보다 큰 폭(W3)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치수(W3,D3)는 도 1b 및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치수(W1,D1)에 대응하며, 일반적으로 지지부재에 대해 평판부재의 평면상으로의 밀기 또는 당김에 의해 지지부재(S,S')의 결합과 해제를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부재(S,S')와의 스냅결합을 위해 배열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부재(310,310',310'')를 갖는 평판부재(300)가 도시되어 있다. 결합부(310,310',310'')는 어떤 적합한 스냅결합형 구조물이며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예시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평판부재(300)를 세 개의 모든 지지부재상에 장착하기 위해 제 1 결합부(310)가 지지부재(S)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평판부재(300)는 화살표(31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지부재(S) 주위에서 회전되어서 각각의 지지부재(S,S')에 대한 제 2 및 제 3 결합부(310',310'')에 대한 결합을 제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이중 또는 삼중 지지부재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예시적인 평판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 내지 도 13을 간단히 참조하면, 이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어떤 구성도 전체적으로 평탄한 금속 시이트 또는 절첩된 금속 시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평판형 열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사한 평판부재를 적층 구조물로 조립하기 위한 중첩식 평판부재(1400)의 상부 엣지부(14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엣지부(1402)는 상부 엣지부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압박되어 지지부재(S)(도시않음)와 결합한 후에 그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단일 지지부재 결합부(1410)를 가진다. 도 1b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부(1410)는 상부 엣지(1402)에 지지부재(S)를 포함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1412)에 의해 구성된다. 오목부(1412)는 기능이 도 1b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하고 도시한 억제부(116)와 유사한 억제부(1416)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포울(1414,1414')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포울(1414)은 가요성 아암(1420)상에 제공되며, 제 2 포울(1414')은 성형 오목부(1421')를 경유하여 평판부재(1400)의 나머지부로부터 이격된 부동의 내향 엣지부(1420')상에 형성된다. 평판(1400)은 도 1b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 스냅 결합기구에 의해 지지부재(S)로부터 부착 및 탈락되도록 배열된다.
개구(1421)는 바람직하게 평판 시이트부(1401)로부터 연장하여 개구(1421)를 가로질러 조금 각도지게 하는 한 쌍의 측벽(1423a,1423b)를 가진다. 성형 오목부(1421')는 바람직하게 개구(1421)보다 작은 크기이며 유사한 형상의 측벽(1423')을 가지나, 상기 측벽(1423')은 금속 시이트의 연속체(1425')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측벽(1423a)은 외측 측벽(1423b)쪽으로 변위됨으로써 개구(14212)의 폭을 좁히며 개구(1421')의 폭은 고정되어 있다.
개구(1421)와 성형 오목부(1421')는 평판부재(1400)의 편리한 중첩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5a 내지 도 15e와 연관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부재(1400)에 인접하게 개구(1421,1421')를 엇갈리게 하거나 도 16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의 균일한 방향으로 평판부재(1400)를 정렬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평판부재(1400)가 지지부재(S)상에 교대방식으로 장착되어 오목부(1421)내에 탄력적으로 파지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5a에 있어서, 복수의 평판부재(1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평판부재는 지지부재(S)와 스냅결합되어 각각의 개구(1421)가 한 쌍의 오목부(1421') 사이에 정렬 및 배열된다. 상기 평판부재(1400)는 지지부재(S)를 따라 미끄럼함으로써 서로 이동하여 초기에 중첩되나 아직 적층형태로 서로 밀집되지는 않는다.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아암(1420)에 의해 인가된 압축 파지력에 의해 평판부재(1400)의 밀집결합 이전에, 상기 교대하는 평판부재(1400)는 지지부재에 대해 조금 측면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포울(1414a,1414'a)은 파동 또는 계단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15d 및 도 15e를 참조하면, 평판부재가 적층물(1450) 형태로 서로 밀집되면, 평판부재(1400)의 가요성 아암(1420)은 개구(1421)내측에 삽입될 성형 오목부(1421')에 의해 지지부재(s)에 대해 내측으로 로크되어, 특히 도 15e에서와 같이 모든 포울(1414a,1414'a)이 지지부재에 대해 단단히 로크된다. 이는 각각의 평판부재를 그에 인접한 평판부재와 그리고 나서 모든 평판부재와 서로 로크함으로써 예정된 위치에 지지부재에 대해 완전한 적층물로 고정하여 지지부재 또는 로킹수단의 제공 필요성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이러한 특징들은 열교환기를 통해 연장하는 작동유체 이송도관에 대한 적층구조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만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그러한 이동이 발생되면, 상기 도관들의 기계적 손상 및 파괴가능성을 유발할 것이다. 열교환기 구조물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평판 및 적층물의 완전한 고정은 이동의 발생시에 그러한 기계적 손상을 방지한다.
도 16을 간략히 참조하면, 모든 개구(1421)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평판부재(1400)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측벽(1423a,1423b)의 원추형 배열로 인한 평판 부재의 밀집화로 평판부재에 인접한 측벽(1423a,1423b)들이 중첩배열을 이룰 수 있게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사다리꼴로서 대략적으로 도시한 적합하게 성형된 고정부재(1452)를 단부 평판부재(4200)의 개구(1421)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모든 평판부재(1400)의 측벽(1423a,1423b)이 팽창되게 함으로써 평판부재(1400)가 서로 로킹되고 또한 이들이 지지부재(S)와 접촉되게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판(17102), 이동 가압판(17104), 이들 사이로 연장하는 지지부재(S), 및 상기 기판(17102)과 가압판(17104) 사이의 지지부재(S)상에 장착되는 열교환 평판부재(1700)의 적층물(1750)들을 갖춘 평판형 열교환기(17100)가 도시되어 있다. 기판(17102), 이동 가압판(17104), 및 평판부재(1700)는 바람직하게 한 쌍의 길다란 로킹부재(1706,1708)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로킹부재(1706,1708)는 상당히 짧은 제 1 길이(L1)와 상당히 두꺼운 제 2 길이(L2) 및 상기 제 2 길이로부터 제 1 길이로 테이진 요부(L3)를 가진다.
도 18을 참조하면, 각각의 평판부재(1700)는 도 5와 연관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결합부(5110)와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 끼워맞춤식 중앙위치된 지지부재 결합부(1710)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결합부(1710)는 도 5의 결합부에 대해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특별히 설명한다.
가요성 아암(1720,1720')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각각의 개구(1721)는 측면 엣지(1723a,1723b,1723'a,1723'b)에 형성된 두 쌍의 대향하는 둥근 노치(1725)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노치쌍은 원의 두 대향 원호를 형성한다. 특히, 두 개의 노치(1725)쌍은 가요성 아암(1720,1720')이 휴식위치에 있을 때 노치에 의해 형성된 원의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d)을 갖는 로킹부를 갖춘 로킹부재(1706,1708)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가요성 아암(1720,1720')이 관련 개구(1721)와 함께 설명되고 두 개의 로킹부재(1706,1708)의 용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개구(1721), 및 그와 사용되는 단일 로킹부재(1706,1708)를 갖춘 단일 가요성 아암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적층물(1750)의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평판부재(1700)가 도 1b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한 기술에 따라 지지부재(S)에 체결된 후에, 제 1 로킹부재(1706)의 제 1 길이(L1)가 기판(17102)내에 적합하게 제공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선택된 개구(1721)내에 형성된 노치(1725) 내측에 삽입된다.
도 1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길다란 결합된 노치(1725)에 의해 한정된 원의 직경은 제 1 로킹부재의 두꺼운 길이(L2)의 직경보다 작다. 로킹부재(1706)의 계속된 삽입으로 지지부재(S)쪽으로 가요성 아암(1720')의 고정을 초래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평판 부재 적층구조물의 다른 개구(1721)의 노치(1725)를 통해 제 2 로킹부재(1721)의 순차 삽입으로 지지부재(S)쪽으로 가요성 아암(1720')의 고정을 초래한다. 오목부(1712)와 지지부재(S)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결합부(1710)가 끼워맞춤되고 로킹부재가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및 가압판(17104)을 통해 연장할 때, 로킹부재(1706,1708)의 완전삽입으로 평판 적층물(1750)이 열교환기(17100)내의 위치로 완전하게 로킹된다(도 17).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710)가 형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 끼워맞춤 이외의 구성을 갖는 평판도 사용될 수 있고 다른 바람직한 로킹도 제공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도 1b 내지 도 19b와 관련하여 예시된 어떠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들을 유지하면서 유용하게 조합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이 본 명세서의 실시에들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사상은 단지 다음 청구범위에 한정되어 있을 뿐이다.

Claims (20)

  1. 평판형 열교환기로서,
    길다란 지지장치를 갖는 지지구조물, 및
    열 전도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장치에 부착되어 서로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보통 평판형인 복수의 평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평판부재는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길다란 지지장치 사이의 스냅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스냅 결합방향에 측면으로 또한 상기 평판부재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각각 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된 폭을 가지며, 각각의 지지 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재의 예정된 엣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엣지부에 위치된 개구내에서 종결되며, 상기 지지장치의 횡단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통해 작동가능하게 측면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예정된 측면 신축력의 부재시 상기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및 해제를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돌기가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된 폭을 갖는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의 예정된 엣지부가 상기 개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결합 장치도 한 쌍의 측면돌기를 가지며, 상기 측면돌기 사이의 거리는 지지장치내의 개구의 폭보다 커서 적어도 예정된 측방향 굽힘력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또는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부재가 접첩 시이트로부터 형성되며 평판이 포개질 수 있도록 평판부재의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예정된 비 수직각도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성형 개구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개구 내측으로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의 평판부재가 포개진 적층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각각의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들이 평판부재 중의 하나에 인접한 성형개구 내에 배열되며, 상기 적층물의 단부에 위치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의 측벽이 그에 인접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과 결합되게 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는 절곡 시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탄성부재가 적층식으로 배열될 때 모든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성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도 적층물의 성형개구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 및 성형개구는 정렬된 개구 내측으로 삽입부재의 삽입에 의해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모든 탄성부재를 측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는 적층 구조물의 정렬된 성형개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삽입가능한 한 쌍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쌍이 상기 오목부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지지장치는 한 쌍의 서로 이격된 일반적으로 평행한 길다란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평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중 선택된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단일 지지결합부를 내부에 각각 갖는 한 쌍의 일반적으로 평행한 엣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결합부가 한 쌍의 상기 길다란 지지부재와 결합될 때, 다른 지지결합부가 다른 지지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길다란 지지부재 쌍들 사이로 연장하는 축선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부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11. 길다란 장치를 갖는 지지 구조물내에 지지되는 유사한 부재들의 적층물을 갖는 열교환기용 평판부재로서,
    열 전도재료로 형성된 일반적으로 평판형인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재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평판부재와 길다란 지지장치 사이에 스냅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평판과 관련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부는 결합방향에 측면으로 또한 상기 평판부재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된 폭을 가지며, 각각의 지지 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재의 예정된 엣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엣지부에 위치된 개구내에서 종결되며, 상기 지지장치의 횡단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통해 작동가능하게 측면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예정된 측면 신축력의 부재시 상기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및 해제를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돌기가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공지된 폭을 갖는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의 예정된 엣지부가 상기 개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결합 장치도 한 쌍의 측면돌기를 가지며, 상기 측면돌기 사이의 거리는 지지장치내의 개구의 폭보다 커서 적어도 예정된 측방향 굽힘력이 없는 경우에도 지지장치로부터 평판부재의 결합 또는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가 접첩 시이트로부터 형성되며 평판이 포개질 수 있도록 평판부재의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예정된 비 수직각도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성형 개구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열교환기는 성형개구 내측으로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재는 복수의 평판부재가 포개진 적층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각각의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들이 평판부재 중의 하나에 인접한 성형개구 내에 배열되며, 상기 적층물의 단부에 위치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의 측벽이 그에 인접한 평판부재의 성형개구의 측벽과 결합되게 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측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는 절곡 시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에 인접되게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탄성부재가 적층식으로 배열될 때 모든 평판부재의 성형 개구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성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도 적층물의 성형개구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 및 성형개구는 정렬된 개구 내측으로 삽입부재의 삽입에 의해 지지장치를 강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모든 탄성부재를 측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부재는 적층 구조물의 정렬된 성형개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삽입가능한 한 쌍의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쌍이 상기 오목부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지지장치는 한 쌍의 서로 이격된 일반적으로 평행한 길다란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평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중 선택된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단일 지지결합부를 내부에 각각 갖는 한 쌍의 일반적으로 평행한 엣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결합부가 한 쌍의 상기 길다란 지지부재와 결합될 때, 다른 지지결합부가 다른 지지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길다란 지지부재 쌍들 사이로 연장하는 축선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부재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부재.
KR1020007007860A 1998-01-16 1999-01-14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KR20010040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2295698A IL122956A (en) 1998-01-16 1998-01-16 Heat exchanger with flat plates
IL122956 1998-01-16
PCT/IL1999/000024 WO1999036741A1 (en) 1998-01-16 1999-01-14 Flat plate heat exchanger and flat plate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347A true KR20010040347A (ko) 2001-05-15

Family

ID=1107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860A KR20010040347A (ko) 1998-01-16 1999-01-14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973960B1 (ko)
EP (1) EP1055094B1 (ko)
JP (1) JP2002509234A (ko)
KR (1) KR20010040347A (ko)
CN (1) CN100337085C (ko)
AT (1) ATE285557T1 (ko)
AU (1) AU746312B2 (ko)
BR (1) BR9908034A (ko)
CA (1) CA2318233C (ko)
DE (1) DE69922790T2 (ko)
ES (1) ES2237904T3 (ko)
IL (1) IL122956A (ko)
RU (1) RU2225580C2 (ko)
TR (1) TR200002071T2 (ko)
WO (1) WO1999036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5088B2 (ja) * 2006-02-02 2012-01-18 株式会社ティラド 熱交換器
SE532732C2 (sv) * 2006-11-27 2010-03-23 Alfa Laval Corp Ab Inspänningsanordning för modulplattor, reaktorplattor eller värmeväxlarplattor samt förfarande för att försluta/öppna en sådan, samt ett kontrollsystem för tryckavlastning i en sådan flödesmodul eller plattreaktor
FR2910607B1 (fr) 2006-12-21 2009-02-06 Alfa Laval Vicard Soc Par Acti Echangeur thermique a plaques
SE531856C2 (sv) * 2007-12-21 2009-08-25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 med inpassningsanordning
SE533205C2 (sv) 2008-12-03 2010-07-20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e
SE533583C2 (sv) * 2009-03-13 2010-10-26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
BE1018588A3 (nl) * 2009-09-23 2011-04-05 Atlas Copco Airpower Nv Buizenwarmtewisselaar.
NL2004565C2 (en) * 2010-04-16 2011-10-18 Mircea Dinulescu Plate type heat exchanger having outer heat exchanger plates with improved connections to end panels.
JP4991904B2 (ja) * 2010-04-26 2012-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装置
WO2013007299A1 (de) * 2011-07-13 2013-01-17 Filtrox Ag Filterschicht zur verwendung in einem schichtenfilter sowie vorrichtung für eine schichtenfiltration
DE102011080829A1 (de) * 2011-08-11 2013-02-14 Mahle International Gmbh Plattenwärmetauscher
RU2014114468A (ru) * 2011-09-13 2015-10-20 Эй-ХИТ ЭЛЛАЙД ХИТ ИКСЧЕНДЖ ТЕКНОЛОДЖИ АГ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SI2762823T1 (sl) * 2013-01-30 2017-10-30 Alfa Laval Corporate Ab Pritrjevalna sredstva, tesnilni sklop in sestav
DK2796824T3 (en) * 2013-04-23 2019-03-04 Alfa Laval Corp Ab HEAT TRANSFER PLATE SUPPLIED WITH A DEVICE FOR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PLATE
US11774187B2 (en) * 2018-04-19 2023-10-03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transfer fin of fin-tube type heat exchanger
PL3614087T3 (pl) * 2018-08-24 2021-04-19 Alfa Laval Corporate Ab Płyta wymiennika ciepła i kaseta do wymiennika ciepła
DK180418B1 (en) * 2019-11-07 2021-04-22 Danfoss As Heat exchanger plate
RU2763632C1 (ru) * 2020-08-28 2021-12-30 Данфосс А/С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6856C (de) * G. hirschmann in Berlin S., Kommandantenstrafse 54 Galvanokaustische Schneideschlinge
CA622045A (en) * 1961-06-13 Aktiebolaget Separator Device for suspending plates in heat exchanger
NL65531B (nl) * 1933-06-02 1935-07-15 Keskusosuusliike Hankkija Inrichting voor het kiemvrij maken door verhitting van melk en andere vloeistoffen
NL58202C (ko) * 1938-05-30
US2601974A (en) 1939-12-09 1952-07-01 Separator Ab Plate heat exchanger
US2462511A (en) * 1945-01-12 1949-02-22 Kramer Trenton Co Method of producing condensers or the like for heat exchange apparatus
US2532301A (en) * 1945-11-29 1950-12-05 Mccord Corp Condenser
US2621028A (en) * 1947-02-24 1952-12-09 Cherry Burrell Corp Plate type heat exchanger support
US2619329A (en) 1947-02-24 1952-11-25 Cherry Burrell Corp Heat exchange apparatus and support therefor
US2610834A (en) * 1947-02-24 1952-09-16 Cherry Burrell Corp Plate type heat exchanger
GB1079841A (en) * 1965-02-16 1967-08-16 Rosenblads Patenter Ab Improvements in suspension means for heat transferring plates of heat exchangers of the plate type
GB1129924A (en) * 1966-03-30 1968-10-09 Apv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te heat transfer apparatus
GB1244724A (en) 1967-11-17 1971-09-02 Parkson Ind Equipment Compan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te heat exchangers
US3780797A (en) * 1972-02-28 1973-12-25 Gebelius Sven Runo Vilhelm Convectors
US4090556A (en) 1976-05-10 1978-05-23 Almqvist Christer Anders Hjalm Means for locating plate elements in a device, such as a heat exchanger, filter, or the like
DK417676A (da) * 1976-09-16 1978-03-17 Danske Mejeriers Maskinfabrik Varmevekslingsplade til varmevekslere
FR2507760B1 (fr) * 1981-06-12 1986-05-02 Valeo Dispositif de fixation d'un echangeur de chaleur dans un boitier et installation de chauffage ou de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SE8603059D0 (sv) * 1986-07-09 1986-07-09 Alfa Laval Thermal Ab Vermevexlingsplatta for plattvermevexlare
US4771825A (en) * 1987-01-08 1988-09-20 Chen Hung Tai Heat exchanger having replaceable extended heat exchange surfaces
JP3069592B2 (ja) * 1990-02-21 2000-07-24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US5056590A (en) * 1990-03-30 1991-10-15 The Cherry-Burrell Corporation Plate heat exchanger
US5183105A (en) * 1991-07-08 1993-02-02 Brazeway, Incorporated Opposed canted evaporator
US5467816A (en) * 1993-02-08 1995-11-21 Larinoff; Michael W. Finned tubes for air-cooled steam condensers
US6464414B1 (en) * 2000-03-21 2002-10-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 media sensor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2956A (en) 2004-09-27
EP1055094B1 (en) 2004-12-22
DE69922790T2 (de) 2005-09-01
AU1981399A (en) 1999-08-02
TR200002071T2 (tr) 2000-11-21
CA2318233C (en) 2008-10-28
WO1999036741A1 (en) 1999-07-22
ES2237904T3 (es) 2005-08-01
CN100337085C (zh) 2007-09-12
IL122956A0 (en) 1998-08-16
US6973960B1 (en) 2005-12-13
DE69922790D1 (de) 2005-01-27
RU2225580C2 (ru) 2004-03-10
AU746312B2 (en) 2002-04-18
ATE285557T1 (de) 2005-01-15
BR9908034A (pt) 2002-01-08
CN1293750A (zh) 2001-05-02
CA2318233A1 (en) 1999-07-22
EP1055094A1 (en) 2000-11-29
JP2002509234A (ja) 2002-03-26
EP1055094A4 (en)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0347A (ko) 평판형 열교환기 및 그에 사용되는 평판
EP0039229B1 (en) Plate heat exchanger
JP5721290B2 (ja) ケーブル挿入システムのフレーム及びグロメット
KR101195054B1 (ko) 캐리어 부품에 2개의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2004198100A (ja) ハウジングを備えた電気ヒータ
JP2000346245A (ja) 棒状体ホルダー
CN210397376U (zh) 一种卡扣组件与电子装置
CN101470464A (zh) 扩展卡锁固装置
WO1996035026A1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sections
AU633197B2 (en) Plate-type heat exchanger
KR101760642B1 (ko) 케이블 보호장치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JP6948130B2 (ja) 連結具
MXPA00007020A (en) Flat plate heat exchanger and flat plate therefor
CN115685623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2004205766A (ja) 鍵盤構造
US20240077171A1 (en) Strip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strip
WO2021261604A1 (ja) チューブエレメントのクリップ
CN218545418U (zh) 边板组件及具有其的换热器
CN216002476U (zh) 一种用于防汽车线束交叉的新型装置
CN114025964A (zh) 具有真空系统的打印设备
KR920001830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고정틀
JPH0756434B2 (ja) 板形熱交換器
KR20190141332A (ko) 채널 간판, 채널 간판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143899Y1 (ko) 핀헤더 고정용 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