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318A -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318A
KR20010037318A KR1019990044761A KR19990044761A KR20010037318A KR 20010037318 A KR20010037318 A KR 20010037318A KR 1019990044761 A KR1019990044761 A KR 1019990044761A KR 19990044761 A KR19990044761 A KR 19990044761A KR 20010037318 A KR20010037318 A KR 2001003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speed
forklift
solenoid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581B1 (ko
Inventor
전용철
조옥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9004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1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by checking feasibility of shifts, i.e. determine if requested shift can be successfully completed and post shift values are in an acceptable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5Preventing reverse gear shifts if vehicle speed is too high for safe shi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6Ratio indicator devices with means for advising the driver for proper shift action, e.g. prompting the driver with allowable selection range of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지게차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는, 상기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따른 레버위치를 감지하여 레버위치신호를 발생하는 레버위치 검출수단과,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진속도신호를 발생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과, 지게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 검출수단과, 통전시에는 상기 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전진 솔레노이드와, 통전시에는 상기 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후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레버위치신호, 엔진속도신호 및 차속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및 후진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거나 단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진 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까지 감속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또는 후진 솔레노이드를 통전시키는 변속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의하면, 변속시 충격을 최소로 억제하여 변속기 및 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FORWARD-REVERSE SHIFT CONTROL DEVICE FOR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식 변속기를 채용하는 엔진식 지게차에 있어서 급격한 전후진 변속으로 인한 충격을 억제함으로써 동력전달장치의 주요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지게차는 그 구동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엔진식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대별되며, 엔진식 지게차는 소음이 크고 매연을 배출하기 때문에 주로 실외에서 사용되고, 전동 지게차는 그 반대의 특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된다.
엔진식 지게차는 회전방향이 일정하고 출력에 한계가 있는 디이젤 엔진 또는 가솔린 엔진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주행방향을 전환하거나 주행속도를 바꾸기 위해서 변속기를 필수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엔진식 지게차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력은 토오크 컨버터, 변속기, 차동기어장치를 통해서 구동륜에 전달됨으로써 지게차를 전진시키기도 하고 후진시키기도 한다. 변속기는 수동식의 것과 동력식의 것이 있으며,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이라고 불리우는 동력식 변속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력식 변속기는 선기어, 피니온기어 및 링기어로 이루어진 유성기어장치를 갖는 것으로, 유성기어장치의 어떤 기어를 변속기의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연결하고 어떤 기어를 변속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가에 따라 지게차의 주행방향을 바꿀 수도 있고 주행속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유성기어장치의 기어를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연결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역할은 유압작동식 클러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유압작동식 클러치의 예로는 전진 클러치, 후진 클러치, 1단 클러치, 2단 클러치, 3단 클러치등을 들 수 있다.
유압작동식 클러치는 유압제어유닛의 각종 시프트밸브, 예를 들면, 전진 시프트 밸브 및 후진 시프트 밸브를 통해 압유가 공급됨에 따라 계합상태로 되고, 압유가 차단됨에 따라 해방상태로 된다. 전진 시프트 밸브 및 후진 시프트 밸브의 위치는 그에 대응하는 전진 솔레노이드 및 후진 솔레노이드의 통전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솔레노이드로의 전류공급은 변속 제어유닛에 의해 적절히 제어된다.
변속 제어유닛은 지게차의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를 예를 들면 전진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조작함에 따라 그 위치를 감지하여 후진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하여 후진 솔레노이드가 여자상태로 되어 후진 시프트 밸브를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압유가 후진 시프트 밸브를 거쳐서 후진 클러치로 공급된다. 압유의 공급으로 후진 클러치가 계합상태로 되면 변속기의 출력축이 역회전하여 지게차를 후진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력식 변속기에 의하면, 지게차의 운전자가 전후진레버를 전진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조작하면 변속제어유닛이 이것을 감지하여 후진 솔레노이드를 통전시킴으로써 지체없이 후진변속을 실행하게 된다. 지게차가 고속으로 전진주행하는 도중에 이러한 후진변속이 실행되면 변속기를 포함한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에 큰 충격이 가해져서 주요부품들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급격한 전후진 변속은 지게차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연료소모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일정속도 이상에서는 전후진 변속을 행하지 말도록 지게차 운전자를 교육시키거나, 유압식 토오크 컨버터를 채용하여 충격을 완화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으며, 급격한 전후진 변속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게차의 주행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에만 전후진 변속을 허용함으로써 급격한 변속으로 인한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게차 운전자의 변속기어 남용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게차의 주행속도 및 조향각도에 따라 전후진변속의 타이밍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급격한 변속으로 인한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게차 운전자의 변속기어 남용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 운전자에 의한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변속기의 전진 클러치 또는 후진 클러치를 계합시키거나 해방시킴으로써 지게차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따른 레버위치를 감지하여 레버위치신호를 발생하는 레버위치 검출수단과,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진속도신호를 발생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과, 지게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 검출수단과, 통전시에는 상기 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전진 솔레노이드와, 통전시에는 상기 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후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레버위치신호, 엔진속도신호 및 차속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및 후진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거나 단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진 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까지 감속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또는 후진 솔레노이드를 통전시키는 변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 1실시예의 전후진변속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 제어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 2실시예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속기 12: 토오크컨버터
14: 엔진 24: 전진 클러치
26: 후진클러치 30: 전진 시프트 밸브
32: 후진 시프트 밸브 34: 전진 솔레노이드
36: 후진 솔레노이드 38: 전후진 레버
42: 변속 제어 유닛 52: 조향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가 블럭도로서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지게차의 변속기(10)는 토오크 컨버터(12)를 통해 엔진(14)에 연결된 입력축(16)과 차동기어장치(18)을 통해 구동륜(20)에 연결된 출력축(22)을 갖는다. 또한, 변속기(10)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유성기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성기어장치는 전진 클러치(24) 또는 후진 클러치(26)가 유압에 의해 계합되거나 해제됨에 따라 출력축(22)을 정회전시키기도 하고, 역회전시키기도 한다.
상기한 전진 클러치(24) 및 후진 클러치(26)는 각각 유압제어유닛(28)의 전진 시프트 밸브(30) 및 후진 시프트 밸브(32)를 통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유압펌프와 연결되어 있다. 전진 시프트 밸브(30) 및 후진 시프트 밸브(32)는 평상시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전진 클러치(24) 및 후진 클러치(26)로의 압유공급을 차단하지만, 작동위치로 절환될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클러치(24)(26)로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전진변속 또는 후진변속을 실행하게 된다. 전진 시프트 밸브(30) 및 후진 시프트 밸브(32)의 위치는 그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진 솔레노이드(34) 및 후진 솔레노이드(36)에 의해서 제어된다. 전진 솔레노이드(34)가 통전되면 그에 대응하는 전진 시프트 밸브(30)가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진 클러치(24)로 압유가 공급됨으로써 전진변속이 실행된다. 반면, 후진 솔레노이드(36)가 통전되면 후진 시프트 밸브(32)가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후진 클러치(26)로 압유가 공급됨으로써 후진변속이 실행된다. 전진 솔레노이드(34)와 후진 솔레노이드(36)가 모두 단전상태로 되어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면 전진 클러치(24) 및 후진 클러치(26)로의 압유공급이 동시에 차단되고 이에 따라 변속기(10)는 중립으로 되어 입력축(16)의 토오크가 출력축(22)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지게차의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후진 레버(38)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전후진레버(38)의 위치는 전후진 레버위치센서 (40)에 의해 감지된다. 전후진 레버위치센서(40)는 현재의 레버위치에 대응하는 레버위치신호를 발생하며, 이 신호는 변속제어유닛(42)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엔진(14)의 플라이휠 주위에는 엔진속도센서(4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엔진속도센서(44)는 엔진(14)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엔진속도신호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엔진속도신호는 변속제어유닛(42)으로 입력된다. 변속제어유닛(42)은 엔진속도신호에 기초하여 지게차의 운행모드(오르막길 주행 또는 내리막길 주행)와 지게차에 걸리는 부하를 알아낼 수 있다. 차속센서(46)는 변속기(10)의 출력축(22)주위에 설치되어 지게차의 현재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차속신호를 변속제어유닛(42)으로 입력한다.
변속제어유닛(42)은 상기한 레버위치신호, 엔진속도신호 및 차속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34) 및 후진 솔레노이드(36)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거나 단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게차의 전후진변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변속제어유닛(42)은 전후진 레버(38)를 조작하더라도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까지 감속되지 않는 한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해서, 변속제어유닛(42)은 차속이 기준속도 이하로 감속될 때까지 변속시점을 지연시키게 되며, 기준속도 이하의 차속에서만 전진 솔레노이드(34) 또는 후진 솔레노이드(36)를 통전시켜서 전진 클러치(24) 또는 후진 클러치(26)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준속도″는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더라도 심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차속을 의미하며, 지게차의 차종, 부하, 조향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기준속도는 5Km/h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본 발명이 이 수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변속 제어유닛(42)은, 전후진 레버(38)의 조작시 차속이 기준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변속시점을 지연시키는 외에도 그 사실을 경고장치(48)를 통해 지게차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로 하여금 차속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도록 한다. 경고장치(48)의 예로는 부저나 점멸식 램프를 들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2에서는 전진에서 후진으로의 변속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후진에서 전진으로의 변속도 이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게차가 전진주행을 하고 있는 동안(S1), 전후진레버위치센서(40)는 전후진 레버(38)가 운전자에 의해 전진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조작되는지를 계속해서 판단하고(S2), 전후진레버(38)의 위치가 변경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하여 엔진(14)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 만약 엔진(14)이 가속되어 높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으면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어 엔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하고(S4),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S5)로 이행하여 차량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 예를 들면, 5Km/h까지 감소되기를 기다린다. 다음으로, 차속이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6), 아직도 5Km이상일 경우에는 그 사실을 운전자에게 경고함(S7)과 아울러 단계 S5로 귀환하여 차속이 더욱 감소될 때까지 기다린다.
차량속도감소 단계(S5)에서는 전진 솔레노이드(34)와 후진 솔레노이드(36)가 모두 단전상태로 유지되므로 변속기(10)는 중립이 되고 구동륜(20)에는 아무런 토오크도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운전가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속도를 기준속도까지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일단 차속이 기준속도인 5Km/h이하로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 단계(S8)에서는 전진 솔레노이드(34)를 단전상태로 유지한 채로 후진 솔레노이드(36)만을 통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압제어유닛(28)의 후진 시프트 밸브(32)가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압유가 후진 클러치(26)로 공급됨으로써 후진 변속이 실행된다. 후진변속후에는 변속기(10)의 출력축(22)이 역회전하고 지게차의 후진주행이 시작된다(S9).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 제어장치가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 2실시예의 전후진 변속 제어장치는 조향각도센서(5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1실시예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와 명확히 구별되며, 변속제어유닛(42)의 내부구성이나 제어방식도 양자간에 차이가 있다. 도 3의 제 2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향각도센서(50)는 조향휠(52)이나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향휠(52)의 회전각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읽어 이를, 예를 들면, 16단계의 디지틀 값으로 변환한 후 조향각도신호로서 변속제어유닛(42)에 입력할 수 있는 포텐쇼메터(Potentiome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진 변속시 조향각도를 고려하는 이유는, 일정각도 이상의 조향범위를 벗어난 운전모드에서는 전후진변속시 구동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커서 직진 운전모드에 비해 낮은 차속에서 전후진 변속이 실행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복실험을 통하여 경험적으로 알아낸 바에 의하면, 조향각도가 좌우 각각 30°이내인 경우에는 직진운전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차속이 5Km/h이하로 감소되었을 때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고, 조향각도가 30°를 초과한 경우에는 차속이 3Km/h이하로 감소된 후에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변속제어유닛(42)에는 전후진 변속에 영향을 주는 조향각도 범위, 예를 들면 좌우 30°가 기준각도범위로서 저장되어 있으며, 조향각도센서(50)에서 입력되는 실제조향각도가 이 기준각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후진 변속시점을 직진주행시에 비해 더 늦추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제어장치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게차가 전진주행을 하고 있는 동안(S1), 전후진레버위치센서(40)는 전후진 레버(38)가 운전자에 의해 전진위치에서 후진위치로 조작되는지를 계속해서 판단하고(S2), 전후진레버(38)의 위치가 변경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하여 엔진(14)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 만약 엔진(14)이 가속되어 높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으면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어 엔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하고(S4),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S5)로 이행하여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까지 감소되기를 기다린다.
이어서 차량의 조향각도가 기준각도범위, 예를 들면, 좌우 30°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S6), 기준각도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단계 S7로 이행하여 차속이 제 1의 기준속도(3Km/h) 이하로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차속이 제 1의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 S5로 귀환하고, 차속이 제 1의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된 경우에는 단계 S8로 이행하여 전진 솔레노이드(34)를 단전상태로 유지한 채로 후진 솔레노이드(36)만을 통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압제어유닛(28)의 후진 시프트 밸브(32)가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압유가 후진 클러치(26)로 공급됨으로써 후진변속이 실행된다. 후진변속 후에는 변속기(10)의 출력축(22)이 역회전하고 지게차의 후진주행이 시작된다(S9).
한편, 단계 S6에서 차량의 조향각도가 기준각도범위인 30°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행하여 차속이 제 2의 기준속도(5Km/h)이하로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차속이 제 2의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 S5로 귀환하고, 차속이 제 2의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된 경우에는 단계 S8을 거쳐 단계 S9로 이행함으로써 지게차가 후진주행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차속 및 조향각도 등에 따라 지게차의 전후진변속시점을 적절히 제어하고 급격한 전후진변속시 발생할 수도 있는 변속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 변속충격으로 인하여 변속기를 포함한 동력전달장치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 및 연료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지게차 운전자에 의한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변속기의 전진 클러치 또는 후진 클러치를 계합시키거나 해방시킴으로써 지게차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레버의 조작에 따른 레버위치를 감지하여 레버위치신호를 발생하는 레버위치 검출수단과,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진속도신호를 발생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과, 지게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 검출수단과, 통전시에는 상기 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전진 솔레노이드와, 통전시에는 상기 후진 클러치를 계합시켜 후진변속을 행하고 단전시에는 후진 클러치를 해방상태로 유지하는 후진 솔레노이드와, 상기 레버위치신호, 엔진속도신호 및 차속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및 후진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거나 단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진 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까지 감속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또는 후진 솔레노이드를 통전시키는 변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후진 레버 조작시 차속이 기준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그것을 지게차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감속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경고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게차 조향륜의 조향각도를 감지하여 조향각도신호를 발생하는 조향각도 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변속제어수단은 조향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각도범위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기준속도에서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고, 조향각도가 기준각도범위를 벗어나 있을 때에는 상기 기준속도보다 낮은 제 2의 기준속도에서 전후진 변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수단은 전후진 레버의 조작후 차속이 기준속도로 감속될 때까지 상기 전진 솔레노이드 및 후진 솔레노이드를 모두 단전상태로 유지하고 변속기를 중립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KR1019990044761A 1999-10-15 1999-10-15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KR10032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761A KR100329581B1 (ko) 1999-10-15 1999-10-15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761A KR100329581B1 (ko) 1999-10-15 1999-10-15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318A true KR20010037318A (ko) 2001-05-07
KR100329581B1 KR100329581B1 (ko) 2002-03-23

Family

ID=1961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761A KR100329581B1 (ko) 1999-10-15 1999-10-15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5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82B1 (ko) * 2004-10-25 2006-05-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 모노 패드용 중립 브레이킹 시스템
KR101503539B1 (ko) * 2009-12-17 2015-03-17 주식회사 두산 전/후진 방향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50144170A (ko) * 2014-06-16 2015-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계식 엑셀 페달을 사용하는 지게차의 작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4295A (ko) * 2016-05-02 2017-11-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트랜스미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0122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후진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9792B1 (ko) * 2018-07-13 2019-01-17 (주)엠에스정밀 건설장비용 고속 셔틀 방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526A (ko) * 2010-11-12 2012-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dps를 이용한 엔진토크 저감장치 및 방법
KR20170077537A (ko) * 2015-12-28 2017-07-06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작업기계의 유압모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34992B1 (ko) 2018-07-13 2019-04-05 (주)엠에스정밀 산업차량 및 건설장비용 제로 스타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1234A (ja) * 1987-10-09 1989-04-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走行車輛の変速装置
KR950017423A (ko) * 1993-12-17 1995-07-20 전성원 차량정지시의 자동 중립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82B1 (ko) * 2004-10-25 2006-05-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 모노 패드용 중립 브레이킹 시스템
KR101503539B1 (ko) * 2009-12-17 2015-03-17 주식회사 두산 전/후진 방향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50144170A (ko) * 2014-06-16 2015-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계식 엑셀 페달을 사용하는 지게차의 작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4295A (ko) * 2016-05-02 2017-11-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트랜스미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00122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후진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9792B1 (ko) * 2018-07-13 2019-01-17 (주)엠에스정밀 건설장비용 고속 셔틀 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581B1 (ko) 200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7911B2 (ja) 四輪駆動装置の制御方法
US8573339B2 (en) Hybrid industrial vehicle
JP4928239B2 (ja) 作業車
US6413185B1 (en) Driv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US9758037B2 (en) Control system for four-wheel drive vehicle
JPH0462895B2 (ko)
US9222581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work vehicle
US6543311B1 (en) Driving system for industrial trucks
JPH02236056A (ja) 車両の制動装置
JP2009196393A (ja) 作業車両
KR100329581B1 (ko) 지게차의 전후진변속 제어장치
EP2862834B1 (en) Industrial vehicle
JPH0587236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H02107828A (ja) 車両用自動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3695975B2 (ja) 産業用車両
JP4962957B2 (ja) 作業車両
JPH0540357Y2 (ko)
JP5034178B2 (ja) トラクタの二駆四駆切替装置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JP3424256B2 (ja) トラクターの前後進切換装置
JPS61248947A (ja) 自動車用電子制御変速機
JP2003185005A (ja) 自動変速装置
JPH05169997A (ja) 液圧駆動車両の駆動及び制動制御装置
JPH02107862A (ja) 走行車両の変速装置
KR19980031045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