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089A -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089A
KR20010034089A KR1020007007699A KR20007007699A KR20010034089A KR 20010034089 A KR20010034089 A KR 20010034089A KR 1020007007699 A KR1020007007699 A KR 1020007007699A KR 20007007699 A KR20007007699 A KR 20007007699A KR 20010034089 A KR20010034089 A KR 2001003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vapor
transparent layer
discharge lamp
pressure mercury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333B1 (ko
Inventor
스니즈커스-헨드릭스인그리드제이엠
힐덴브란드볼커디
로에스조한네스에이치
Original Assignee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Publication of KR2001003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2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저전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는 방전관(10)가 마련되어 있다. 방전관(10)는 방전 공간(11)을 밀봉하고, 가스등 방식으로, 수은과 희박한 가스가 채워져 마련되어 있다. 방전관(1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칸듐, 이트륨, 또는 희토류 금속(란탄, 세륨, 가돌륨, 이터븀, 및/또는 루테륨)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투명층(16)이 마련되어 있다. 방전 램프는 투명층(16)이 알칼리 희토류 금속 및/또는 다른 희토류 금속의 붕산염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알칼리 희토류 금속은 칼슘, 스트론튬, 및/또는 바륨이다. 또다른 희토류 금속은 바람직하게 란탄, 세륨, 및/또는 가돌륨이다. 산화물은 바람직하게 Y2O3또는 Gd2O3이다. 바람직하게, 투명층(16)은 5㎚ 및 200㎚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발광층(17)은 바람직하게 방전관내의 투명층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비교적 낮은 수은 소비량을 갖는다.

Description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방전관―상기 방전관은 수은 및 비활성 가스가 채워진 방전 공간을 기밀 방식으로 봉입함―과 투명층―스칸듐 산화물, 이트륨 산화물 혹은 희토류 금속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방전관의 적어도 일부의 내벽으로 이루어진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서, 수은은 자외선(UV) 광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한 주요 성분을 구성한다. 발광 재료(예를 들면, 형광 분말)를 포함하는 발광층은 UV를 다른 파장, 예를 들면 태닝(tanning)을 위한(선 패널 램프(sun panel lamp)) UV-B 및 UV-A나 또는 일반적인 조명을 위한 가시 광선으로 전환하도록 방전관의 내부 벽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전 램프는 또한 형광 램프로서 지칭된다. 저전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방전관는 통상 원형이고, 가늘고 길며 조밀한 형상을 포함한다. 통상, 조밀한 형광 램프의 관형의(tubular) 방전관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비교적 짧은 직선 부분의 집합체를 포함하며, 이 직선 부분은 브리지(bridge) 부분에 의해 또는 구부러진 부분을 거쳐 함께 접속된다. 조밀한 형광 램프에는 통상 (일체화된) 램프 캡(cap)이 마련되어 있다.
저전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서는 방전관의 내부 벽 부분의 블래크닝(blackening)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며, 이 부분은 램프의 동작 동안 방전 공간에 존재하는 방전과 접촉하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은 및 유리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정되는 이러한 블래크닝은, 특히 블래크닝이 불규칙하게, 예를 들어 어두운 스테인(stain) 또는 도트(dots)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낮은 광 출력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램프에 좋지 않은 미관을 제공한다. 서두 문단에서 언급한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방전관의 내부 벽의 블래크닝 및 탈색이 최소로 감소된다.
개시 문단에서 기술된 형태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미국 특허 제4,544,97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램프에서 상기 산화물은 방전관의 내벽에 얇은 막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산화물의 공지의 투명한 층은 무색이고,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흡수하기 어렵고, 빛과 방사선 투과율의 필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공지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이용상의 단점은 수은의 사용량이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결과로서, 비교적 많은 량의 수은은 공지의 램프를 충분히 긴 유효기간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유효기간이 끝난 후에 분별없이 처리를 하면, 이것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양의 수은을 소비하는 개시 문단에 기술된 형태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인 붕산염 및/또는 인산염 및/또는 희토류 금속인 스칸듐 또는 이트륨으로 구성된 투명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 문단에 기술된 산화물과 그 발명적 수단에 따른 상기 붕산염 및/또는 인산염의 양 요소로 이루어진 층은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방전관에서, 작동 중에 만연되는 희소 수은 가스 환경의 영향에 매우 양호한 내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으로 제공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수은 소비는 공지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투명층에서 보다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으로 제공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산화물로 이루어진 투명층으로 제공된 공지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와 비교된다. 수천 시간 작동한 후에, 공지의 투명층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에서 실질적으로 적어도 2배 이상 적은 수은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관형상의) 방전관의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 모두에서 생성된다. 만곡 램프부는 예컨대, 만곡형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만곡 램프부를 갖는 (콤팩트한) 형광 램프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서의 투명층은, 밝기 및 방사 투과율을 더 갖추고 있으며,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방전관의 내벽 상에 매우 얇고 폐쇄되고 균질의 투명층으로써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건조시키거나 소결시킨 후 요구층(desired layer)을 얻는 동안에, 예를 들어, 적당한 금속-유기 화합물의 용액(예를 들어, 아세톤네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스칸듐 아세테이트, 이륨 아세테이트, 란탄 아세테이트 또는 칼슘 아세테이트가 혼합된 가돌리늄 아세테이트), 또는 물로 희석한 인산 용액 또는 붕산 용액을 갖는 방전관를 들어올림으로써 효과적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이용상 추가 잇점은 254nm 주위의 파장 범위에서 비교적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방전관에 있어서, 254nm 파장에서 수은 방전, 특히 공명 복사). 주어진 투명층의 굴절율이 방전관의 내벽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비교적 크고, 그 층 두께가 상기 파장에서의 반사율이 최대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투명층을 이용함으로써,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초기 밝기 출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층은 붕산염 및/또는 인산 칼슘, 스트론튬 및/또는 바륨을 포함한다. 그 투명층은 비교적 가시광선에 대하여 높은 투과 계수를 갖는다. 또한, 투명층을 갖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붕산칼슘, 붕산스트론튬 또는 붕산 바륨 또는 인산칼슘, 인산 스트론튬 또는 인산 바륨을 포함한 투명층을 갖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양호한 지속성(maintenance)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층은 란탄(lanthanum)의 인산염(phosphate) 및/또는 붕산염(borate), 세륨(cerium) 및/또는 가돌리늄(gadolimium)을 포함한다. 이것은 란탄 붕산염 또는 가돌리늄 붕산염을 포함하거나 체륨 인산염 또는 가돌리늄 인산염을 포함하는 투명층이 방전관의 내벽에 양호한 부착물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층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예를 들어, 란탄 아세테이트, 세륨 아세테이트 또는 붕산 또는 묽은 인산을 혼합한 가돌리늄 아세테이트)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저비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 대한 제품 제조 압력이 탁월해진다.
스칸듐, 이트륨, 란탄, 세륨 및/또는 가돌리늄의 붕산염 및/또는 인산염을 포함하는 투명층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를 사용하는 다른 잇점은, 이러한 층이 254nm 안팍의 파장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상기 고반사율의 투명층을 사용하고, 이러한 층의 층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초기 출광이 증가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를 얻게 된다. 이러한 층은 특정 용도, 예를 들어, 방사선 용도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살균 램프로 불리움)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투명층은 이트륨 및/또는 가돌리늄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투명층은 자외선 방사선과 가시광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계수의 투과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로 구성된 층은 약간 습윤성이고 방전관(vessel)의 내벽과의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 층은 상대적으로 용이한 방식(예를 들어, 이트륨 아세테이트 또는 가돌리늄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으로 제공될 수 있고,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층은 대략 5nm 에서 대략 200nm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층의 두께가 200nm를 초과하면, 방전 공간에서 발생되는 방사선의 흡수성은 너무 크다. 층의 두께가 5nm 미만이면, 방전관의 벽과 방전사이에 상호 작용이 일어난다. 최소한 실질적으로 90nm의 층 두께가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층 두께에서, 투명층은 254nm 안팍의 파장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전 공간과 접하는 투명층의 한 쪽에 발광 재료층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사용 잇점은, 발광 재료(예를 들어, 형광 분말)로 구성된 발광층이 종래의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투명층과의 접착성보다 이러한 투명층과의 접착성이 상대적으로 좋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및 다른 측면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알 수 있고,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상세 단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대체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은 모두 도형이고 축척비는 아니다. 특히, 일부 치수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유사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한 동일 참조 부호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 1a는 대략 30 ㎤의 체적을 가진 방전 공간을 기밀하게 둘러싸는 방사선 투과식 방전관(10)을 구비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방전관(10)은 (실제) 내부 직경(D)이 대략 10mm인 적어도 원형의 단면을 가진 (초크) 유리관이다. 이 유리관은 고리 형태로 구부러져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곧은 부분(31,33,35,37)과 3개의 아치형 부분(32,34,36)을 가지고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상세 단면도이다. 방전관(10)은 내부 표면(12)상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16)과 발광층(1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전관(10)은 램프 캡(71)을 지지하는 하우징(70)에 의해 지지된다. 방전 공간(11)은 수은 뿐만 아니라 이 실시예에서는 희가스, 아르콘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전 공간(11)은 수은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은은 또한아말감이라 불리우는 증기압 조정 부재(20)내에 존재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비스무스-주석 또는 비스무스-주석-납의 합금을 가진 Hg의 중량 당 3%의 50g 아말감이다. 방전을 유지하는 수단(40)은 방전 공간(11)내에 배열된 전극 쌍(41b, 4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 쌍(41a, 41b)은 전자 방출 재료로 코팅된 텅스텐의 권선이고, 여기서는 바륨 산화물, 칼슘 산화물 및 스트론튬 산화물의 혼합물이다. 각각의 전극(41a, 41b)은 방전관(10)의 (톱니 모양의) 단부(14a, 1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류 공급 도체(50a, 50a'; 50b, 50b')는 방전관(10)의 단부(14a; 14b)를 지나 전극 쌍(41a, 41b)에서 외부로 뻗어있다. 전류 공급 도체(50a, 50a'; 50b, 50b')는, 하우징(70)에 내장되어 있으며 램프 캡(71)상의 종래의 전기 기계식 접점(73a, 7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원 공급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이것은 수은과 희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방전 공간(111)을 기밀하게 둘러싸고 있는 방전관(1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방전관는 총 길이가 대략 46cm이고 내부 직경이 대략 10mm인 3개의 U자형 부품(132, 134, 136)을 가진 초크 유리의 빛 투과 튜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부(114A, 114B)로 실링되어 있다. 부품(132, 134, 136)은 채널(161, 162)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튜브 부분의 내부 표면은 투명층(116)과 발광층(117)을 가지고 있다. 방전관(10)의 체적(V)은 대략 36㎤이다. 전류 공급 도체(150a, 150a'; 150b, 150b')는 각각의 단부(114a; 114b)를 지나 방전 공간(111)에 배열된 전극(141a; 141b)의 각 전극에 이른다.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일 실시예에서, Me=Sr 또는 Ba인 여러 농도의 Me(Ac)2용액과 H3BO3이 본 발명의 투명층을 제조하기 위해서 여러 농도의 Y(Ac)3(이트륨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용액에 첨가되었다. Me(Ac)2와 H3BO3사이의 몰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비교를 위해서, 중량 당 1.25%의 Y(Ac)3이 또한 준비되었다. 린스와 건조후에, 튜브식 방전관는 용기를 통해 과량의 상기 용액을 통과시킴으로써 코딩되었다. 코딩한 후, 방전관는 대략 70℃의 온도에서 공기로 건조되었다. 그 다음, 방전관는 3개의 공지 인산염 즉, 테르븀 활성화 세륨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를 가진 녹색 발광 재료, 2가의 유로퓸 활성화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를 가진 청색 발광 재료, 및 3가의 유로퓸 활성화 이트륨 산화물을 가진 적색 발광 재료로 구성된 발광 코팅을 구비하고 있었다. 코팅한 후, 방전관는 곧은 부분(31, 33, 35, 37)과 아치형 부분(32, 34, 36)(도 1a 참조)을 가진 고리 형태로 구부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방전관는 주문식으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로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된 다수의 방전관의 투명층에의 발광 재료의 부착성은 "클래퍼 테스트(clapper test)"라 불리우는 테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의 5 열에 표시된 "탈 분말(powder-off)"의 크기는 0="탈 분말이 없음(no powder-off)"(높은 부착성)에서 10="모두 탈 분말(all powder-off)"(부착성 없음)까지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1 행은 방전관의 내벽상에 바로 제공된 발광층의 결과치를 나타내고 있다. 2 행은 종래의 방전 램프의 투명층의 결과치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의 3 행과 4 행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두 개의 투명층의 결과치(상이한 Y(Ac)3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측정에 따른 투명층으로의 발광층의 부착성은 미코딩된 방전 램프의 부착성과 비교하여 보다 좋고, 종래의 방전 램프의 투명층으로의 발광층의 부착성보다 상당히 좋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2는 유지 테스트의 결과치를 나타내고 있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이 제공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유지가 공지의 방전 램프에 비해, 그리고 코팅되지 않은 방전 램프에 비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투명층에 대한 프리커서로서 Sr(Ac)2대신에 Ba(Ac)2가 사용된 다른 테스트에 의하면, 이들 방전 램프의 유지가 공지의 방전 램프의 유지와 비교할만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Ba가 부가된 방전 램프는 투명층에 대한 발광층의 접착력이 향상됨을 나타내고 있다.
표 3은, 예를 통하여 다양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들의 수은 소모(㎍Hg로 표현됨)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의 예는 Sr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가지며 튜브형 방전관가 후크 형태로 구부려지고 4개의 직선 부분(31, 33, 35, 37) 및 3개의 아치형 부분(32, 34, 36)을 갖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와 관련된 것이다. 표 3의 제 1 열에 언급된 수자들은 관련된 직선 및 곡선 부분의 참조 번호들에 대응한다. 투명층의 수은 함유량(㎍Hg 단위)은 수천 시간의 동작 시간후에 6개의 램프에 대해 (분해적으로) 측정되었다. 수은 소모에 대한 값들은 평균값이다. 표 3은 전극 및 아말감 분위기에서의 수은 소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표 3은 수은 소모가 투명층 없는 방전 램프에서 또는 공지의 방전 램프에서보다 방전관의 직선 부분(31,33,35,37) 및 곡선 부분(32,34,36)에서 상당히 낮음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 수은 소모는 투명층이 없는 방전 램프로부터 공지된 Y2O3투명층에 제공된 방전 램프로 이르는 이 두가지 요소에 의해 개선되며, 수은 소모는 공지된 Y2O3투명층에 제공된 방전 램프로부터 투명층에 제공된 방전 램프로 이르는 또 다른 두가지 요소에 의해 더욱 개선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값으로 인해, 명백히 방전관의 곡선 부분(32,34,36)이 상당히 개선된다. 후자는 특히 비교적 두꺼운 투명층을 사용한 경우이며 방전관가 만곡되는(bent) 동안 대략 30%로 스트레치되기 때문에, 투명층은 방전관의 직선 부분(31,33,35)에서보다 곡선 부분(32,34,36)에서 더 얇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에 제공된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는 통상의 요건(x=0.31, y=0..32)을 만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신규한 특성 형상 및 각각의 신규한 특성 형상의 조합내에 존재한다. 임의의 참조 번호(signal)가 청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함'이란 단어는 청구항에 리스트되기 보다는 다른 요소 및 단계의 존재에서 배제된다.

Claims (7)

  1. 수은 및 비활성 가스가 채워진 방전 공간(11)을 기밀 방식으로 봉입하는 방전관(10)과,
    스칸듐 산화물, 이트륨 산화물 혹은 희토류 금속을 포함하는 투명층(16)을 갖는 방전관(10)의 적어도 일부의 내벽으로 이루어진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6)은 알칼리 토금속의 붕산염 혹은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혹은 스칸듐의 붕산염 혹은 스칸듐의 인산염 혹은 이트륨의 붕산염 혹은 이트륨의 인산염 혹은 또다른 희토류 금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칼슘, 스트론튬 혹은 바륨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희토류 금속은 란탄, 세륨, 혹은 가돌리늄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이트륨 산화물 혹은 가돌리늄 산화물인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6)은 5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공간(11)에 접하는 투명층(16)의 한 측면에는 발광 재료의 층(17)이 제공되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재료는 테르븀에 의해 활성되는 녹색 발광의 세륨 마그네슘 알루민산염, 2가의 유러퓸에 의해 활성되는 청색 발광의 바륨 마그네슘 알루민산염, 3가의 유러퓸에 의해 활성되는 적색 발광의 이튜륨 산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KR1020007007699A 1998-11-12 1999-10-27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KR100582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3824.2 1998-11-12
EP98203824 1998-11-12
PCT/EP1999/008255 WO2000030151A1 (en) 1998-11-12 1999-10-27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089A true KR20010034089A (ko) 2001-04-25
KR100582333B1 KR100582333B1 (ko) 2006-05-23

Family

ID=823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699A KR100582333B1 (ko) 1998-11-12 1999-10-27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55963B1 (ko)
EP (1) EP1048053B1 (ko)
JP (1) JP2002530808A (ko)
KR (1) KR100582333B1 (ko)
CN (1) CN1282988C (ko)
DE (1) DE69922485T2 (ko)
ES (1) ES2234319T3 (ko)
TW (1) TW444230B (ko)
WO (1) WO2000030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8419C1 (de) * 1999-06-23 2001-02-22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r Sockelung einer elektrischen Lampe, Verwendung des Verfahrens zur Sockelung einer Leuchtstofflampe und Leuchtstofflampe
DE10009598A1 (de) * 2000-02-29 2001-09-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cheidung einer Beschichtung auf einem Substrat durch Versprühen einer Flüssigkeit
US8352331B2 (en) * 2000-05-03 2013-01-08 Yahoo! Inc. Relationship discovery engine
DE10058852A1 (de) * 2000-11-27 2002-06-06 Raylux Gmbh Kompakte elektrodenlose Niederdruck-Gasentladungslampe mit erhöhter Lebensdauer
US6921730B2 (en) * 2002-03-14 2005-07-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lass composition, protective-layer composition, binder composition, and lamp
WO2003084529A2 (en) * 2002-04-11 2003-10-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WO2004055860A1 (en) 2002-12-18 2004-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aminant getter on uv reflective base coat in fluorescent lamps
JP4190995B2 (ja) * 2003-09-19 2008-12-03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真空紫外光励起紫外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7524972A (ja) * 2004-02-02 2007-08-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及びコンパクトな蛍光灯
US7737639B2 (en) * 2008-03-13 2010-06-15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s having desirable mercury consumption and lumen run-up times
US10634337B2 (en) 2014-12-05 2020-04-2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with heat dissipation of power supply in end cap
US11131431B2 (en) 2014-09-28 2021-09-2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0021742B2 (en) 2014-09-28 2018-07-1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20140134330A1 (en) * 2012-09-02 2014-05-15 Global Tungsten and Powders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tb and eu usage in tri-band phosphor fluorescent lamps
US10560989B2 (en) 2014-09-28 2020-02-11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N106032880B (zh) * 2014-09-28 2019-10-25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Led光源及led日光灯
US10299333B2 (en) 2014-09-28 2019-05-21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N205213093U (zh) 2014-09-28 2016-05-04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整流滤波电路、灯及led直管灯
US10514134B2 (en) 2014-12-05 2019-12-2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A2966947C (en) 2014-12-05 2021-05-0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897265B2 (en) 2015-03-10 2018-02-2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having LED light strip
US10161569B2 (en) 2015-09-02 2018-12-25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N206439657U (zh) 2016-03-17 2017-08-25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U型led日光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590A (en) * 1974-01-18 1976-10-05 Thorn Lighting Limited Electric discharge lamp
US4069441A (en) * 1974-05-06 1978-01-17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ic gas discharge lamp having two superposed luminescent layers
NL8202778A (nl) * 1982-07-09 1984-02-01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JPS6097540A (ja) * 1983-11-02 1985-05-31 Hitachi Ltd 螢光灯
JPS6220236A (ja) * 1985-07-19 1987-01-28 Hitachi Ltd 電球型蛍光灯
JPH0240854A (ja) * 1988-08-01 1990-02-09 Nichia Chem Ind Ltd 蛍光ランプ
US5170095A (en) * 1989-02-24 1992-12-08 Tungsram Reszvenytarsasag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ight source of high wall loadability
JP2784255B2 (ja) * 1990-10-02 1998-08-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放電ランプ
JP3149444B2 (ja) * 1991-01-30 2001-03-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H04292848A (ja) * 1991-03-20 1992-10-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金属蒸気放電灯
JP2912734B2 (ja) * 1991-07-04 1999-06-28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ランプ
JP2998856B2 (ja) * 1991-08-05 2000-01-17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ランプ
ES2126917T3 (es) * 1994-08-25 1999-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mpara de descarga de vapor de mercurio de baja presion.
JPH08236077A (ja) * 1995-02-28 1996-09-13 Matsushita Electron Corp 蛍光ランプおよび蛍光ランプ装置
US5869927A (en) * 1995-07-31 1999-02-09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with a mixed layer containing phosphor and metal oxide
US5898265A (en) * 1996-05-31 1999-04-2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TCLP compliant fluorescent lamp
JPH1040862A (ja) * 1996-07-26 1998-02-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粒状エミッタ、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11307055A (ja) * 1998-04-23 1999-11-05 Matsushita Electron Corp 蛍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2930A (zh) 2001-04-25
EP1048053B1 (en) 2004-12-08
TW444230B (en) 2001-07-01
JP2002530808A (ja) 2002-09-17
KR100582333B1 (ko) 2006-05-23
DE69922485D1 (de) 2005-01-13
DE69922485T2 (de) 2005-11-03
CN1282988C (zh) 2006-11-01
WO2000030151A1 (en) 2000-05-25
EP1048053A1 (en) 2000-11-02
US6555963B1 (en) 2003-04-29
ES2234319T3 (es)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333B1 (ko)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
EP0385275A2 (en) Fluorescent lamp having ultraviolet reflecting layer
CA1264930A (en) Fluorescent lamp using multi-layer phosphor coating
US7696694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US4874984A (en) Fluorescent lamp based on a phosphor excited by a molecular discharge
US6583551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and compact fluorescent lamp
US7239072B2 (en)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4751426A (en) Fluorescent lamp using multi-layer phosphor coating
KR20060044680A (ko) 가시광 방출을 위한 형광램프
US20050218812A1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and compact fluorescent lamp
US20050116649A1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US20100008060A1 (en) Light assembly with high color-rendering property
US20090153016A1 (en) Colored fluorescent lamp
JPS60148043A (ja) 金属蒸気放電灯
JP2002298787A (ja) 蛍光ランプ
JPH08129988A (ja) 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