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665A -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665A
KR20010033665A KR1020007007185A KR20007007185A KR20010033665A KR 20010033665 A KR20010033665 A KR 20010033665A KR 1020007007185 A KR1020007007185 A KR 1020007007185A KR 20007007185 A KR20007007185 A KR 20007007185A KR 20010033665 A KR20010033665 A KR 2001003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ump
displacement
individual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쾨르너틸만
Original Assignee
베른하트 뷔스트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하트 뷔스트,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른하트 뷔스트
Publication of KR2001003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04C11/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082Details specially related to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 F04C2/084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량을 차등화시킬 수 있는 기어 펌프 시리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어 펌프 시리즈는 기어 형태로된 제1 변위요소 및 제2 변위요소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호 계합된 변위요소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 펌프를 구비한다. 개별 기어 펌프들은 상기 두 개의 변위요소의 이론적인 축들 사이의 축 간격과 이론적인 회전축들 사이의 축 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기어 요소의 축방향 연장부 형태로된 기어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개별 기어 펌프들의 두 개의 변위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끝원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 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 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LINE OF PRODUCTS FOR GEAR PUMPS HAVING DIFFERENT DELIVERY CAPAC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INDIVIDUAL GEAR PUMPS OF SAID LINE OF PRODUCTS}
서로 계합되어 하우징 내에서 정밀한 공차를 갖고 작동하며, 변위요소(displacing element)로서 기능하는 두 개의 기어를 구비한 기어펌프 형태의 다양한 유압펌프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어펌프들은 변위 요소(displacing element)의 형태에 따라서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a)외기어(external gear)를 구비한 기어펌프
b)내기어(internal gear)를 구비한 기어펌프
이에 대해서는 기계 구조용 독일-포켓북 제 18판 H4-H5를 참조한다. 내기어를 구비한 펌프는 보이스(Voith)사의 독일 특허공보 제 G 1210 8. 80 10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유압 펌프의 주 특성은 기하학적 변위량과 공칭 압력(Nominal pressure)이다. 다양한 구역에 적용되고, 적용 구역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조건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출력량을 차등화 할수 있는 유압펌프가 제안되었다. 시리즈 상의 개별 펌프들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그 특성은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이들은 대체로 연속적(series)인 형태로 설치된다.
구조적인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출력량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내기어를 구비한 펌프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는 보이스사의 공보 3.83, pp. 4-5로부터 알 수 있다. 가능한 출력 유량(output flow)의 증가는 다소 큰 간격을 두고 그룹 내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룹들 사이의 본질적으로 차별되는 특징은 변위요소들의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 크기가 다름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다. 그룹 내에서 가능한 출력량을 상승시키는 작업은 기어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즉 축방향으로 기어를 신장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개별 형태들 사이의 유사성을 결정하기가 힘들고, 요구되는 공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용 조건들이 변화될 경우, 구동 라인에 있는 개별 펌프들을 자유롭게 교환할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 시리즈(라인)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 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력량을 차등화할 수 있는 기어 펌프 시리즈를 만들어내는 것을 그 기본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상이한 사용조건 하에서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시리즈 내의 개별 펌프들에 대한 약간의 개조만을 통하여 가능한 최대의 공통적인 구조적 특징을 확보하고 독자적인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기어 펌프 시리즈를 만들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요구되는 구조적 공간으로 인하여, 또한, 전체적인 구동 체인은 교체하지 않으면서, 유체 정역학적 시스템 내에서 다소 큰 또는 작은 출력량을 갖는 펌프로 교체해야할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펌프들은 가능한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종속항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차등 출력량을 갖는 기어 펌프 시리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는 변위체 또는 변위요소로서 상호 계합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리즈로 되어 있는 각각의 펌프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들은 크기의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a) 상호 계합되어 있는 두 개의 기어들의 축들 사이의 축 간격
b) 기어 폭, 즉, 기어부의 축방향 연장부
다시 말해서, 시리즈를 구성하는 모든 펌프들은 동일한 축 간격을 가지며,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어 폭을 갖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동일한" 이라는 말에는 통상의 가공 공차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량을 차등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개별 변위 요소들 사이의 축 간격이 동일하며, 톱니 높이에 걸쳐 일정한 기어 폭을 갖는 시리즈로된 펌프 내에서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서로 계합되어 있는 두 개의 기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끝원(tip circle diameter)이 가변되면 충분하다. 그러나, 두 개의 기어의 이끝원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소위 톱니 높이가 높은(high) 기어를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량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기어의 이끝원 또는 기어 반경의 크기가 클 경우 일반적인 기어에 비해 출력량의 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어 이끝원의 작은 변화 조차도 출력량의 증가를 충분히 야기할 수 있다. 변위 요소의 축 또는 변위 요소의 대칭축에 대한 개별 펌프의 반경 방향으로의 용적(volume) 증가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다. 이는 또한 개별 변위 요소의 반경 또는 이끝원의 감소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축방향 구조 길이는 시리즈의 모든 기어 펌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변화는 반경방향에서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출력량이 기어의 이끝원 반경에 대해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전체 기어 펌프 유닛의 용적의 작은 증가만이 발생한다. 기어 펌프 유닛의 축방향 구조 길이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전체 구동 체인을 교체하거나 사용되고 있는 유압펌프에 다시 적용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전달될 출력량에 근거한 사용 조건에 맞춰 구동 체인 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 펌프를 출력량이 큰 또는 작은 시리즈 내의 다른 기어 펌프로 교체할 수 있게된다.
기어 펌프 시리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횡방향 피치(p)가 특별한 변위 요소, 즉, 시리즈 내에 있는 개별 펌프의 기어들에게 할당된다. 축 간격은 모든 펌프에 대해 일정하게 미리 설정된다. 즉, 기어의 치수 요인(dimension factor)인 모듈(module)이 모든 펌프에 일정하게 형성되므로써,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일한 기본적인 변위 요소를 가지고도 개별 기어 펌프의 변위 요소들을 발전시켜 펌프장치로부터 차등적인 출력량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르면, 두 개의 변위 요소 중의 하나 이상이 최대 출력량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톱니 높이가 높은 기어로서 설계된다. 또한, 최소 출력량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 또는 개별 톱니부의 크기를 금속을 제거하거나 깍아내어 감소시키므로써 기어의 이끝원을 작게 만든다. 이러한 작업은 차등 출력량을 발생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서, 개별 기어 펌프들은 개별 요소들의 관점에서 특별히 콤팩트하고 표준화된 크기를 갖도록 설계된다. 고도의 표준화는 제조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전체 비용의 절감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호 계합된 개별 기어들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펌프 유닛의 구조는 기어 쌍들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사례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영향력은 형태에 상관없이 톱니부에만 적용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출력량을 갖도록 설계된 변위요소에서부터, 톱니부의 높이를 감소시키므로써, 즉, 톱니부의 재료를 제거시키므로써 적은 출력량을 발생하는 변위요소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a)외기어를 구비한 기어 펌프와 b)내기어를 구비한 기어 펌프에 공히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펌프가 단일-유로(single-flow) 방식인지 다중-유로(multi-flow) 방식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외기어 형태로된 톱니를 갖는 변위 요소를 구비한 기어 펌프에 있어서, 양 변위 요소들은 그 크기나 기어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유사하게 설계되며, 반면, 이중 유로 또는 다중 유로 기어 펌프에서는 다른 설계 및 크기를 갖는 변위 요소들이 사용된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펌프 시리즈의 단면도와 I-I부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b1 및 도1b2는 외기어를 구비한 단일 유로 기어 펌프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시리즈의 펌프의 축방향 단면도로서 두 개의 가능한 실시예를 대비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b1은 큰 출력량을 갖는 펌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1b2는 작은 출력량을 갖는 펌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2a 및 2b는 도1a 및 1b에 도시된 펌프의 변위 요소의 계합 기어부를 각각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은 외기어를 구비한 다중 유로 기어 펌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a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량을 차등화 시킬 수 있는 기어펌프 시리즈의 기어 펌프(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그 전방이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하우징(2)을 구비한다. 두 개의 변위 요소, 즉, 제1 변위 요소(4)와 제2 변위 요소(5)는 상기 하우징(2) 내에 설치된다. 변위 요소(4, 5)들은 외측으로 톱니가 형성된 스퍼어 기어의 형태로 설계되며 서로 치합되어 있다. 이들은 하우징(2) 내에서 정밀한 공차를 두고 작동한다. 제1 변위 요소(4)는 구동 샤프트(6)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6)는 그 일 부분이 베어링(7, 8)을 통해 하우징(2) 및 하우징을 완결시키는 커버(3) 내에 장착된다. 또한, 기어 펌프(1)는 압력 연결부(8) 및 흡입 연결부(9)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 연결부(8)와 흡입 연결부(9)는 압력 챔버(8.1) 및 흡입 챔버(9.1)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6)와 제1 변위 요소(4)를 통해 안내되는 회전력은 제2 변위요소(5)의 피니언 샤프트(17)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흡입 챔버(9)에는 진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진공은 유체를 컨테이너(여기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 라인으로 안내하거나, 흡입 라인으로부터 유체를 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체는 변위 요소들의 톱니 공간부, 즉 제1 변위 요소(4)의 톱니 공간부(4.1)와 제2 변위 요소(5)의 톱니 공간부(4.2)로 이송된다. 상기 위치에서, 상기 유체는 적절한 장소로 공급되거나 또는 그 방향으로 이송된다. 부가적으로, 축방향 공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기어 펌프(1)를 설계할 수 있다. 이는 변위 요소들의 베어링을 일방향(one-side)으로 로딩(loading)시키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에 작동 압력을 주면서 양 방향으로 로딩시키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이러한 경우, 개별 기어들의 축방향 공차가 압력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압력 챔버에서부터 흡입 챔버까지의 전방부에 존재하는 누출오일로 인하여 매우 큰 용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축방향 공차를 조절하는 것은 이러한 용적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량은 변위 요소들(4, 5)의 개별 기어부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2)의 내벽(10)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도1a2의 I-I부를 단면 도시하고 있는 도1a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변위 요소(4, 5)들의 두 개의 인접 톱니 요소들(4A, 4B 및 5A, 5B) 사이에 형성되는 소위 톱니 공간부(4.1, 5.1)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도1a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양 변위 요소(4, 5)들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이들은 동일한 기하학적 칫수를 갖는다. 변위 요소(4)의 회전축(R1) 및 변위 요소(5)의 회전축(R2)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간격을 갖고 있다.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어 펌프 유닛의 연장부는 부호(b)로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b1 및 1b2에는 발명에 따른 기어 펌프 시리즈의 기어 펌프(1) 및 추가의 기어 펌프(1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론적인 회전축과 대칭축(R1, R2)의 간격(이것 또한 축 간격으로 기재한다) 그리고 축방향 연장부(b)가 양 펌프에 있어서 동일하게 형성된다. 개별 변위 요소들이 장착되는 축들의 간격으로서 정의되는 축 간격은 제2 변위 요소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연결되었을 경우 두 개의 회전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적어도 제1 변위 요소는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기어 펌프 시리즈의 두 개의 기어 펌프(1, 100)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변위 요소들이 서로 다른 이끝원(tip circle diameter)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도1b2는 도1b1에 따른 기어 펌프(1)보다 감소된 출력량을 발생하도록 설계된 기어펌프(100)를 도시하고 있다. 기어펌프(1)용 변위요소(4, 5)와 기어 펌프(100)용 변위요소(104, 105)는 톱니 높이가 높은 기어(high gearing)의 형태를 갖도록 설계된다. 변위 요소(104, 105)의 이끝원(dk1B, dk2B)은 기어 펌프(1)의 기어 요소(4A, 4B)의 이끝원(dk1,dk2) 보다 작게 형성된다. 기어 펌프(100)의 개별 변위 요소(104, 105)의 이뿌리원(root circle diameter; dF1B, dF2B)과 기어 펌프(1)의 개별 변위 요소(4, 5)의 이뿌리원(dF1, dF2)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톱니의 높이(z1A, z1B, z2)의 차이에 의해, 두 개의 인접한 톱니 요소들(104A, 104B, 4A, 4B, 105A, 105B, 및 5A, 5B) 사이에서 동일한 축연장 방향, 즉, 기어 폭(ZB1, ZB2)방향으로 용량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두 개의 동일하게 설계된 변위 요소(4, 5 및 104, 105)는 바람직한 설계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설계할 경우, 도1b1에 따른 변위 요소(4, 5)를 구비한 기어 펌프를, 변위 요소들에 대한 단순 작업을 통해, 변위 요소(104, 105)를 구비한 기어펌프(100)의 형태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개별 기어 요소들을 깍거나 톱니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시되고 있는 기어들은 직선 형태의 톱니부를 구비한 기어 또는 스퍼어 기어 처럼 반경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된 기어들이다. 이러한 기어들은 인볼류트(involute)기어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별 기어 요소들의 기어부를 헬리컬(helical) 기어의 형태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설계적인 문제는 소음을 적게하거나 출력량을 적게하는 경우등에 따라 구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얻어지는 면 접촉비 및 횡 접촉비는 양 경우에 있어서 2 이상으로 유지된다.
도2a 및 도2b는 도1b1 및 1b2에 도시된 기어부를 직각 절단한 확대도이다. 이는 개별 변위 요소들(104, 105, 4, 5)의 상호 계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2a는 도1b1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2b는 도1b2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간명한 이해를 위하여, 기어부의 기하학적인 크기를 표시하는 문자들을 유사한 형태로 다시 한번 사용하였다. 피치원(base circle diameter; d4,d104,d5,d105)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끝원(dk,dk1b), 이뿌리원(dF1,dF2,dF1A,dF1B) 및 톱니 높이(z1,z2,z1B,z2B)가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개별 변위 요소(4, 5, 104, 105)들은 도2a 및 1B에 따른 실시예에서 모두 동일한 피치(p)를 갖는다.
펌프 시리즈의 펌프의 변위 요소들을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도록 설계하므로써 펌프 시리즈의 개별 펌프들에 대한 표준화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3은 외기어를 구비한 이중 유로 기어 펌프 형태의 기어 펌프(200)를 직각 단면한 단면도이다. 상기 펌프(200)는 제1 변위 요소(204) 및 두 개의 다른 변위 요소(205.1, 205.2)로 구성된 3개의 변위 요소를 구비한다. 두 개의 다른 변위 요소들은 축방향으로 설계된 하우징 커버(203)와 함께 하우징(202) 내에 설치된다. 기어 펌프(200)는 두 개의 흡입 연결부(209.1, 209.2)와 두 개의 압력 연결부(208.1, 208.2)를 구비한다. 이들 연결부들은 대응 흡입 챔버(211.1, 211.2)와 대응 압력 챔버(212.1, 212.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흡입 챔버와 압력 챔버는 상호 계합된 변위 요소 구역에 형성된다. 변위 요소(204)는 구동 요소로서 기능하며, 따라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구동 샤프트(206)에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206)와 함께 회전하며, 슬리이브 베어링에 의해 축 상에 장착된다. 토오크는 변위 요소(204)를 통해 두 개의 다른 변위 요소(205.1, 205.2)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다른 변위 요소(205.1, 205.2)들은 그들의 이론적 회전축(R205.1,R205.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두 개의 다른 변위 요소(205.1, 205.2)들은 샤프트에 장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축 상에 장착된다. 특히, 이들은 이끝원(dk), 이뿌리원(df), 및 피치원(d)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변위 요소(205.1, 205.2)들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그 기하학적인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제2 변위 요소(205.1, 205.2)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 높은 수준의 표준화가 가능해 진다. 작동 매체의 이송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펌프(200)를 사용하여 두 개의 다른 방향의 유체 흐름 및 이송 경로를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어를 구비한 기어펌프 시리즈의 기어펌프에 있어서, 펌프 시리즈의 개별 기어 펌프들 사이의 축 간격(a1, a2)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단지 기어의 톱니 높이 만이 도1 및 도2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기어펌프 시리즈의 개별 기어 펌프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형태의 변위 요소들(204, 205.1, 205.2)을 갖는 기어 펌프를 단순 개조함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다. 이경우에도, 개별적인 기어부들은 톱니 높이가 높은 기어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이론적인 출력량을 광범위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어 펌프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고, 흡입 챔버와 압력 챔버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 펌프 시리즈의 기어 펌프를 예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 조건에 따른 구체적인 설계사항들이 당업자들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어펌프 시리즈의 기어펌프는, 기어 펌프 내에 배치되는 기어의 톱니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므로써, 사용 조건에 따라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교체를 하지 않고도 원하는 출력량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의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운용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Claims (8)

  1. 기어 형태로된 제1 변위요소(4, 104, 204) 및 제2 변위요소(5, 105, 205.1, 205.2)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호 계합된 변위요소(4, 5, 104, 105, 204, 205)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 펌프를 구비하며, 개별 기어 펌프(1, 100)들은 상기 두 개의 변위요소(4, 5, 104, 105, 204, 205)의 이론적인 축들 사이의 축 간격(a)과 이론적인 회전축(R1, R2)들 사이의 축 간격(a)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기어 요소의 축방향 연장부 형태로된 기어 폭(6, ZB1, ZB2)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별 기어 펌프(1, 100)들의 두 개의 변위 요소(4, 5, 104, 105)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끝원(dk1, dk2, dk1B, dk2B)의 크기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량을 차등화 시킬 수 있는 기어 펌프 시리즈.
  2. 제1 항에 있어서, 개별 기어 펌프(1, 100, 200) 그리고/또는 시리즈의 기어 펌프들의 개별 변위요소들(4, 5, 104, 105, 204, 205.1, 205.2)은 기어가 일정한 횡방향 피치(p)를 그릴 수 있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변위요소들(4, 5, 104, 105, 204, 205.1, 205.2)은 외기어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4. 제3항에 있어서, 시리즈의 기어 펌프(1, 100)의 개별 변위요소들(4, 5, 104, 105)은 동일한 크기 및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 펌프(200)는 이중-유로(dual flow) 펌프 또는 이단(two-stage) 펌프의 형태로 설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변위 요소(205.2)가 제공되어 두 개의 제1 변위 요소들 중의 하나와 계합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변위 요소들(204, 205.1, 205.2)이 다른 이끝원(dk204, dk205.1, dk20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위 요소는 내기어의 형태를 가지며, 제2 변위 요소는 상기 내기어와 계합되는 외기어를 구비한 피니언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부가 스파이어럴 기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펌프 시리즈.
  8. 변위요소의 기하학적인 축들 또는 이론적인 회전축들 사이에 소정의 축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부에 소정 축방향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별 변위요소들이 소정의 이끝원을 갖고 있는 기본적인 기어 펌프 유닛으로부터 펌프 시리즈의 기어 펌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적인 기어 펌프 유닛으로부터 부재(material)를 제거하여 기어부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적은 출력량을 갖는 기어 펌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7185A 1998-10-29 1999-10-18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 KR20010033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9804.7 1998-10-29
DE19849804A DE19849804C2 (de) 1998-10-29 1998-10-29 Baureihe für Zahnradpumpen mit unterschiedlicher Förderleis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einzelnen Zahnradpumpen der Baureihe
PCT/EP1999/007878 WO2000026539A1 (de) 1998-10-29 1999-10-18 Baureihe für zahnradpumpen mit unterschiedlicher förderleis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einzelnen zahnradpumpen der baurei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665A true KR20010033665A (ko) 2001-04-25

Family

ID=788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185A KR20010033665A (ko) 1998-10-29 1999-10-18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40493B1 (ko)
EP (1) EP1044331A1 (ko)
JP (1) JP2002529644A (ko)
KR (1) KR20010033665A (ko)
CA (1) CA2317013A1 (ko)
CZ (1) CZ20002294A3 (ko)
DE (1) DE19849804C2 (ko)
WO (1) WO2000026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640B2 (en) * 2006-08-30 2009-09-22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Three gear type gear pump of a fuel supply system
EP1925823B1 (de) * 2006-11-21 2016-08-17 Johann Sagawe Umlaufverdrängermaschine
US20090084816A1 (en) * 2007-10-02 2009-04-02 Nordson Corporation Two component metering pump assembly
IT1396898B1 (it) * 2008-12-02 2012-12-20 Marzocchi Pompe S P A Profilo dentato per rotori di pompe volumetriche ad ingranaggi a dentatura estern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5104A (en) 1945-12-14 1948-07-15 Keelavite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tary pumps
US2691482A (en) * 1952-07-17 1954-10-12 Equi Flo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expanding gases
US2720171A (en) * 1952-09-24 1955-10-11 Vickers Inc Power transmission
DE1403934A1 (de) * 1960-03-14 1969-01-16 Reiners U Wiggermann Ohg Regelbare Zahnrad-Verdraengungsmaschine
GB1297002A (ko) 1969-04-08 1972-11-22
JPS5893977A (ja) * 1981-11-30 1983-06-03 Kayaba Ind Co Ltd 二段内接ギヤポンプ
JPS595892A (ja) * 1982-07-03 1984-01-12 Kiichi Taga 多段インタ−ク−ラ−ギヤ−ポンプ式コンプレツサ−
JPS6477782A (en) * 1987-09-19 1989-03-23 Ebara Corp Rotary machine of roots type
DE4310211A1 (de) 1993-03-29 1994-03-24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Zahnradmaschine (Pumpe oder Motor)
DE19647052C2 (de) 1996-11-14 1999-06-1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Arbeitsmedien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7013A1 (en) 2000-05-11
DE19849804C2 (de) 2001-10-04
JP2002529644A (ja) 2002-09-10
WO2000026539A1 (de) 2000-05-11
EP1044331A1 (de) 2000-10-18
DE19849804A1 (de) 2000-05-11
CZ20002294A3 (cs) 2001-12-12
US6540493B1 (en) 200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410A (en) Volumetric type flowmeter having circular and involute tooth shape rotors
JP5395343B2 (ja) 油圧装置
JP2820290B2 (ja) 流体圧式回転ピストン形機械
EP0079156B1 (en) Oil pump
US2588888A (en) Pump
KR20010033665A (ko) 차등 용량을 갖는 기어 펌프시리즈 및 상기 시리즈의 개별기어 펌프들을 제조하는 방법
KR100490929B1 (ko) 이론적으로 차등적인 출력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어모터 시리즈 및 상기 기어 모터 시리즈의 개별 기어모터들을 제조하는 방법
JP2005517139A (ja) 潤滑剤用溝を備えた伝動装置
JPH0310807B2 (ko)
KR20020091106A (ko) 역전 기어식 로우터 세트
JP2924997B2 (ja) スクリュー機械
CN114483575B (zh) 用于输送大比重流体的双螺杆泵
US5242286A (en) Internal gear pump
CN110925190B (zh) 一种带有分段式月牙板的油泵
JP3011796B2 (ja) 液圧流体のための内接歯車ポンプ
CN102597522A (zh) 螺旋齿轮泵
JPH11264381A (ja) オイルポンプロータ
JPH0526034B2 (ko)
US4265606A (en) Fositive displacement pulse free rotary fluid pump
CN112272738B (zh) 具有螺旋齿的容积式齿轮机
JP3109405B2 (ja) 内接型ギヤポンプ
YOSHINO et al. Studies on Gear Pumps with 2 to 5 Teeth
KR20230159435A (ko) 삼중 나사 펌프용 나사 조립체 및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삼중 나사 펌프 (Screw assembly for a triple screw pump and triple screw pump comprising said assembly)
JPH08247046A (ja) オイルポンプ
EP3779237A1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