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191A -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191A
KR20010032191A KR1020007005381A KR20007005381A KR20010032191A KR 20010032191 A KR20010032191 A KR 20010032191A KR 1020007005381 A KR1020007005381 A KR 1020007005381A KR 20007005381 A KR20007005381 A KR 20007005381A KR 20010032191 A KR20010032191 A KR 2001003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glucose
concentration
calcium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스란더안더스
리퍼벵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감브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감브로 아베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3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61M1/1668Detail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61M1/287Dialysa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7Separating means having frangi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액, 특히 복막투석용 의료용액을 위한 용기이다. 대격실(10)은 중탄산염 나트륨, 락트산염 나트륨 및 염화 나트륨 등과 같은 주 의료용액을 수용한다. 또한, 칼슘 이온 및 포도당과 같이 오랜 보관 기간동안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지 않는 의료용액의 부분적인 양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소격실(14, 15)이 제공된다.
제1 소격실(14) 또는 제2 소격실(15)의 내용물과 대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함으로써, 포도당 농도가 1.5% 또는 2.5%이고 칼슘 이온 농도가 1.0mM 또는 1.6mM인 용액이 얻어진다. 두 소격실(15)의 모두의 내용물과 대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함으로써, 포도당 농도가 4%이고 칼슘 이온 농도가 2.5mM인 용액이 얻어진다. 포도당 농도가 높은 곳에서 초여과가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의료용액들은 복막투석액으로 사용되는 동안 칼슘이 중립을 지킨다.

Description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FOR MEDICAL SOLUTION}
복막투석용 용기는 WO 97/058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용기는 완충액으로 락트산염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투석액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는 고농도, 저pH인 포도당을 수용하는 2개의 소격실 뿐만 아니라 젖산 나트륨, 염화 나트륨, 염화 칼슘 및 염화 마그네슘을 수용하는 제1의 대격실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액들이 상기 격실 내에서 제자리에 위치한 상태로 가압멸균기에서 소독된다. 사용하는 동안, 소격실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취성의 핀(frangible pin)에 의해 대격실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투석액은 1.5%, 2.5% 또는 4% 등의 필요한 농도의 포도당을 함유한다. 3중 격실 용기를 사용하면, 3가지 농도의 용액들을 단일 용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관 및 물류 비용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투석액은 3개 이상의 격실이 마련된 다중 격실 용기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특히 완충액(buffer)으로 포도당 및 칼슘 이온뿐만 아니라 중탄산염을 함유하는 투석액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2, 도 3 및 도 4는 복막박막을 통과하는 칼슘 수지를 보여주는 컴퓨터 모의 실험의 결과 도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WO 97/05852에 따른 용기를 젖산염 완충액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탄산염으로 구성된 완충액으로 교환되어 있는 복막투석 타입과 같은 용기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지된 바와 같이, 중탄산염은 칼슘 또는 마그네슘과 대격실 내에서 화합될 수 없는데, 이는 예를 들어 오랫동안 보관하거나 또는 pH가 높을 때, 탄산염이 침전으로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탄산염 및 칼슘/마그네슘은 사용하기 바로 전까지 격리되어져야만 한다.
하나의 선택예로 포도당을 수용하는 소격실에서 칼슘을 포함하고 대격실에서 중탄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포도당 및 칼슘/마그네슘은 대부분 잘 화합된다. 다시 말해,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2가의 이온들은 일정 범위까지 포도당 분해를 촉진한다. 사용하기 바로 전에 소격실의 내용물들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동안, 탄산염이 침전될 위험은 적은데, 이는 전체 용액의 pH값이 pH = 7.4 이하로 잘 유지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복막투석액은 1.75mM (mmol/ℓ) 농도의 칼슘 이온과 0.25~0.50mM 사이의 농도의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한다. 완충액으로 보통 30~40mM 농도에 가깝게 존재하는 중탄산염이 단독으로 또는 중탄산염과 락트산염의 화합물, 예를 들어 25mM의 중탄산염과 15mM의 락트산염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원리가 물론 마그네슘 이온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후술되는 내용에서는 칼슘 이온만이 고찰될 것인데, 이는 칼슘 이온이 임상 치료에서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용액이 WO 97/05852에 기술된 형태의 3중 격실 용기 내에서 사용된다면, 칼슘 이온이 2개의 소격실에서 동일한 한가지 농도로 함유되어야 하는 문제가 나타난다. 상기 소격실 중 하나의 내용물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될 때, 포도당의 농도는 1.5% 그리고 예를 들면 칼슘의 농도는 1.75mM이 되며, 상기 농도는 제1 소격실 내의 칼슘의 농도와 포도당의 양에 의해 조절된다. 제2 소격실의 내용물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면, 포도당의 농도는 2.5% 그리고 칼슘의 농도는 1.75mM이 되며, 상기 농도는 제2 소격실 내의 칼슘의 농도와 포도당의 양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4%의 제3 포도당 농도를 얻으려면, 제1 및 제2 소격실의 내용물 모두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어야 하고, 그것으로 인하여 4%의 포도당 농도는 얻어지지만, 칼슘의 농도는 지나치게 커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대략 3.5mM이다. 따라서 3가지 다른 포도당 농도를 제공 가능한 형태의 3중 격실 용기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이는데, 이는 가장 높은 포도당 농도를 나타내는 곳에서 칼슘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다. 개념을 4중 격실 용기로 넓힐 필요가 있지만, 상기 용기는 안전에 관한 새로운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한 전술된 형태의 3중 격실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혈액투석(heamodialysis)뿐만 아니라 복막투석용 칼슘에 관한 미결의 쟁점들은 이해하기 어려운데, 이는 일반적으로 투석환자들이 음식물에 있는 인산염을 응결시키기 위해 탄산칼슘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음식과 함께 소비되는 탄산칼슘의 일부는 장기계통(intestinal tract)에 흡수되어 혈중 칼슘 농도를 크게 한다. 동시에, 탄산칼슘은 인산염을 응결시켜 환자에게 부하된 인산염이 감소된다. 인산염은 투석을 통해 체내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분자인데, 이는 인산염이 합성박막 또는 복막박막 어느 것이든지 박막을 쉽게 통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복막투석액에서의 칼슘의 농도는 1.75mM이다. 상기 농도는 정상적인 생리학적 혈중 자유 칼슘 농도에 상응하는 적합한 절충물로 보이는데, 이는 칼슘이 단백질 특히 알부민과 결합되어서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혈액 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환자의 칼슘 농도가 증가되면 칼슘의 제거가 일어나지만, 칼슘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칼슘은 체내에 공급된다.
잉여 칼슘이 나타나면[칼슘과잉혈증(hypercalcemia)], 특히 구토, 현기증, 근육 기능 감소, 심전계 질환(ECG-disorders), 괴사 석회화(necrosis calcification)와 같은 잇따르는 증상들이 발생한다.
보통 칼슘과잉혈증은 환자가 몇일간 탄산칼슘 소비를 피함으로써 조정되고, 그 결과 칼슘 농도는 빠르게 감소한다.
또 한편으로, 칼슘과잉혈증은 일반적으로 경련, 과잉반사(hyper-reflexes), 연축(spasms), 심전도 변화 및 부갑상선항진증(hyperparathyroidism)과 같은 잇따르는 증상들이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칼슘과잉혈증은 투석액 내의 칼슘 농도가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에 탄산칼슘 섭취량을 늘림으로써 중화된다.
전술된 증상들은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칼슘에 관한 미결문제들은 어려운 것으로 인식된다.
최근에는, 투석액에서 칼슘의 농도를 1.35, 1.25 또는 1.0mM 까지 더 낮추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 이유는 탄산칼슘의 경구섭취로 인해 칼슘 농도가 증가되고 환자의 인산염양을 더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과 함께 칼슘과잉혈증에 대한 위험이 커지고 진단과 치료에 대한 증대된 인식이 필요하다.
이전의 실험은 복막박막을 건너 칼슘 이온이 이동하는 것이 복막투석액 내의 포도당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효과는 거의 논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견은 WO 97/05852에 기술된 형태의 3중 격실 용기가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완충액을 위한 것으로 적합하게 되는 것에 대해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복막박막을 건너 칼슘 이온이 이동하는 것을 모의실험한 본 발명의 실험은 다음의 예기치 못한 결과를 나타낸다. 4시간 동안 복막투석액이 칼슘 이동에 관해서 중립(유입량과 유출량이 같음)을 지킨다면, 1.5% 포도당에서 약 1.2mM 칼슘, 2.5% 포도당에서 약 1.6mM 칼슘, 그리고 끝으로 4.0% 포도당에서 약 2.3mM 칼슘, 즉 칼슘의 농도는 실질적으로 최종 용액에서 포도당 농도에 비례한다.
이는 2개의 포도당 소격실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농도로 존재하는 칼슘에 의해 3중 격실 용기 내에서 달성된다. 혼합 용액에서 최종 포도당 농도는 소격실의 부피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포도당 농도가 예를 들어 50%로 포도당 소격실 내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최종 포도당 농도가 소격실의 부피에 의해 결정됨으로 인하여 칼슘의 농도가 포도당 농도에 항상 비례하게 된다. 포도당 농도가 높을수록(부피가 클수록), 초여과(ultrafiltration)가 많아지고 이리하여 또한 혼합 용액에서 칼슘의 농도가 높아진다. 칼슘 농도는 그런 점에서 선택되어 환자는 초여과 및 포도당 농도에 무관한 순손실, 순이익, 또는 중립 칼슘 균형 중 하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격실에는 중탄산염을 그리고 소격실에는 칼슘과 함께 포도당을 수용하는 전술된 형식의 3중 격실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인하여 가장 높은 포도당 농도를 나타내는 곳에서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 전보다 칼슘 조절이 잘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칼슘 농도가 포도당 농도와 항상 무관하게 사용된다는 점에서 공지의 방법과는 완전히 다르다.
칼슘 농도가 포도당 농도에 비례하는 복막투석액을 사용함으로써, 소격실에 동일한 한가지 용액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3중 격실 용기를 채우는데 사용되는 장비는 단 2가지 다른 조성물(대격실용 하나와 2개의 소격실용 하나)만을 만들면 된다. 이런 방법으로, 생산비용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의료용액, 특히 복막투석용 용액을 수용하고 대격실과 2개 이상의 소격실로 구성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대격실은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큰 부피를 갖고, 상기 소격실은 오랜 보관 기간동안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지 않는 의료용액의 부분적인 양을 수용한다. 대격실은 중탄산염 이온을 포함하고, 소격실은 포도당과 칼슘 이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에서 포도당 농도가 칼슘 이온의 농도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비례하는 농도를 얻기 위하여, 2개의 소격실은 부피는 서로 다르더라도 포도당 및 칼슘의 농도가 동일한 용액을 포함하거나, 제1 소격실은 대격실의 내용물과 상기 제1 소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할 때 포도당 농도는 1.5%정도의 제1 예정된 값을 얻고 칼슘 이온 농도는 1.0mM정도의 제2 예정된 값을 얻을 만큼의 농도를 갖는 포도당 및 칼슘 이온을 포함하고, 한편 제2 소격실은 대격실의 내용물과 상기 제2 소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할 때 최종적으로 조제된 용액에서 포도당 농도는 2.5%정도의 제3 예정된 값을 얻고 칼슘 이온 농도는 1.6mM정도의 제4 예정된 값을 얻을 만큼의 농도를 갖는 포도당 및 칼슘 이온을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소격실의 내용물은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하여 4% 포도당 농도 및 2.5mM 칼슘 이온 농도 정도보다 높은 포도당 및 칼슘 이온 농도를 갖는 최종적으로 조제된 용액을 얻는다.
소격실은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에서 농도가 약 0.25 내지 0.75mM 될 정도의 마그네슘 이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액, 특히 복막투석용 의료용액을 제1 대격실과 복수개의 소격실로 구성되는 용기에서 만드는 방법과 관련이 있고, 상기 제1 대격실은 최종적으로 조제된 용액을 충분히 수용할 만큼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소격실은 오랜 보관 기간동안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지 않는 의료용액의 부분적인 양을 수용한다. 상기 대격실은 중탄산염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소격실은 포도당과 칼슘 이온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격실의 내용물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하여 의료용액을 만들고, 상기 의료용액에서 포도당의 농도는 실질적으로 칼슘 이온 농도와 비례한다.
끝으로, 본 발명은 또한 포도당과 칼슘 이온의 농도가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복막투석액의 조제를 위한 용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문제, 해법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중 격실 용기를 도시한다. 용기(1)는 용접 이음부(21, 22)로 양 단부가 봉해진 형태이다. 상기 용기는 용접 이음부(11, 12 및 13)에 의해 대격실(10)과 2개의 소격실(14, 15)로 나누어 진다.
소격실(14 및/또는 15)은 취성 핀(18, 19)에 의해 대격실과 통해있고, 상기 취성 핀은 보통은 봉해져 있으나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취성 핀(18 및/또는 19)이 개방될 때, 소격실(14 및/또는 15)내의 내용물이 대격실(10)로 흘러 내려와서 그곳에서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한다.
용기를 제작하는 동안, 적합한 용액이 용접 이음부(20 및 21)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투입관(16, 17 및 22)을 통하여 서로 다른 격실(10, 14 및 15)에 공급된다. 용접 이음부(21)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견본 및/또는 주입 포트(23)는 대격실(10)로부터 견본을 만들 수 있게 해주고, 대격실에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대격실(10)내의 용액은 도관(24)을 통하여 환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용기는 상부 용접 이음부(20)에 있는 구멍(25)에 의하여 스탠드에 놓여진다. 지금까지 설명된 백(bag)은 실질적으로 WO 97/05852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용기는 2리터의 복막투석액이 기혼합(ready-mixed)된 상태로 대격실(10)에서 수용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더 크거나 작은 용기도 본 발명에 따라 실현 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여러 농도의 칼슘 이온뿐만 아니라 포도당으로 구성된 복막투석액으로 치료하는 동안 복막박막을 건너는 칼슘이온의 이동을 시간의 함수로서 살펴보았다. 도 2, 도 3 및 도 4는 1.5%, 2.5% 및 4%의 포도당 농도에 대한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칼슘의 이동은 복막박막을 건너는 농도 구배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초여과 또한 원인이 된다. 통상적인 지속성 외래복막투석(CAPD) 치료는 환자가 4시간(240분) 동안 복막투석액을 지니고 있는 후에 새로운 복막투석액으로 교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240분의 기간동안 상기 복막투석액에서 복막박막을 건너는 칼슘 이동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려면, 1.2mM, 1.6mM, 2.3mM의 칼슘 농도가 각각 요구된다.
상기 계산치는 특히 복막박막의 어떤 특성들을 전제로 한다. 포도당 농도에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칼슘 농도는 실질적으로 칼슘이 중립을 지키는 요법 즉, 복막박막을 건너는 칼슘의 이동이 선택된 포도당 농도와는 별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으로 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1)는 복막투석액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여기에서 완충액은 중탄산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여러 격실 내의 용액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실시예 1
격실(10)은 다음 성분의 1900ml을 수용한다.
중탄산염 나트륨 40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4)은 다음 성분의 10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30%
염화 칼슘 20mM
염화 마그네슘 5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5)은 다음 성분의 10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50%
염화 칼슘 33mM
염화 마그네슘 8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4)의 내용물과 격실(10)의 내용물을 혼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복막투석액 얻게 된다.
포도당 1.5%
칼슘 1.0mM
중탄산염 38mM
나트륨 132mM
마그네슘 0.25mM
격실(15)과 격실(10)의 내용물을 혼합하면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복막투석액 얻게 된다.
포도당 2.5%
칼슘 1.65mM
중탄산염 38mM
나트륨 132mM
마그네슘 0.4mM
두 격실(14 및 15)의 내용물을 격실(10)의 내용물과 혼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복막투석액 얻게 된다.
포도당 4.0%
칼슘 2.5mM
중탄산염 36mM
나트륨 132mM
마그네슘 0.6mM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각 소격실의 내용물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다.
실시예 2
격실(10)은 다음 성분의 1950ml을 수용한다.
중탄산염 나트륨 25mM
락트산염 나트륨 15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4)은 다음 성분의 6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50%
염화 칼슘 33mM
염화 마그네슘 8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5)은 다음 성분의 10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50%
염화 칼슘 33mM
염화 마그네슘 8mM
염화 나트륨 132m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액들은 여러 격실(10, 14 및 15)에서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사용된다.
실시예 3
격실(10)은 다음 성분의 1850ml을 수용한다.
중탄산염 나트륨 27mM
락트산염 나트륨 16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4)은 다음 성분의 15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20%
염화 칼슘 13mM
염화 마그네슘 3.2mM
염화 나트륨 132mM
격실(15)은 다음 성분의 260ml을 수용한다.
포도당 20%
염화 칼슘 12.5mM
염화 마그네슘 3.1mM
염화 나트륨 132mM
희석의 효과로 인하여, 칼슘의 농도가 처음 두 실시예에서 보다 다소 낮다.
높은 pH가에 대한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대격실에서 pH가는 pH = 7.2로 맞춰진다. 일반적으로 소격실에서 pH가는 약 3.0정도로 낮은데, 이는 가압멸균하는 동안 포도당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환자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사용할 때, 환자는 혈액속의 자유 칼슘의 농도 및 최종적으로 조제된 투석액에서의 포도당 농도뿐만 아니라 칼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칼슘의 유입 및 유출을 경험한다. 포도당의 농도가 가장 높은 경우에는, 대략 그 순효과가 2개의 더 낮은 농도를 사용하는 것과 같아서,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사용은 환자에게 더 간단하고 쉽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또 다른 화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예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본 발명은 추가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7)

  1.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큰 부피를 갖는 대격실(10)과, 오랜 보관 기간동안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지 않는 의료용액의 부분적인 양을 수용하는 소격실(14, 15)로 구성되어 있는 복막투석용 의료용액을 수용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격실(10)은 중탄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소격실(14, 15)은 포도당 및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에서의 포도당의 농도는 칼슘 이온의 농도에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수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격실(14, 15)은 부피는 서로 다르더라도 동일한 포도당 및 칼슘 농도를 갖는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수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소격실(14)은 대격실의 내용물과 상기 제1 소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할 때 포도당 농도는 1.5%정도의 제1 예정된 값을 얻고 칼슘 이온 농도는 1.0mM정도의 제2 예정된 값을 얻을 만큼의 농도를 갖는 포도당 및 칼슘 이온을 포함하고,
    제2 소격실(15)은 대격실의 내용물과 상기 제2 소격실의 내용물이 혼합할 때 최종적으로 조제된 용액에서 포도당 농도는 2.5%정도의 제3 예정된 값을 얻고 칼슘 이온 농도는 1.6mM정도의 제4 예정된 값을 얻을 만큼의 농도를 갖는 포도당 및 칼슘 이온을 포함하며,
    제1 소격실(14) 및 제2 소격실(15)의 내용물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하여 4% 포도당 농도 및 2.5mM 칼슘 이온 농도 정도보다 높은 포도당 및 칼슘 이온 농도를 갖는 최종적으로 조제된 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수용 용기.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격실(14, 15)이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에서 농도가 예를 들어, 약 0.25 내지 0.75mM 될 정도의 마그네슘 이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수용 용기.
  6. 최종적으로 조제된 의료용액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큰 부피를 갖는 대격실과, 오랜 보관 기간동안 대격실의 내용물과 화합하지 않는 의료용액의 부분적인 양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소격실로 구성되어 있는 용기내에서, 복막투석용 의료용액을 조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격실은 중탄산염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소격실은 포도당과 칼슘 이온을 포함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격실의 내용물이 대격실의 내용물과 혼합하여 의료용액을 만들고, 상기 의료용액에서 포도당의 농도는 실질적으로 칼슘 이온 농도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액 조제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막투석액에서 포도당과 칼슘 이온의 농도가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투석액 조제용 용기의 사용.
KR1020007005381A 1997-11-28 1998-11-27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 KR20010032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4386-3 1997-11-28
SE9704386A SE512349C2 (sv) 1997-11-28 1997-11-28 Flerkammarbehållare för medicinsk lösning, förfarnde för beredning av medicinsk lösning för peritonealdialys samt användning av sådan behållare vid beredning av medicinsk lösning
PCT/SE1998/002146 WO1999027885A1 (en) 1997-11-28 1998-11-27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for medical solu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191A true KR20010032191A (ko) 2001-04-16

Family

ID=2040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381A KR20010032191A (ko) 1997-11-28 1998-11-27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35823A1 (ko)
JP (1) JP2001524353A (ko)
KR (1) KR20010032191A (ko)
CN (1) CN1280481A (ko)
AU (1) AU742793B2 (ko)
BR (1) BR9815055A (ko)
CA (1) CA2311903A1 (ko)
SE (1) SE512349C2 (ko)
WO (1) WO1999027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468B2 (ja) 1994-07-01 2005-04-06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化学的にバランスさせた腹膜透析溶液
JP3060133U (ja) * 1997-10-27 1999-07-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眼灌流・洗浄液バッグ包装体
DE19912850B4 (de) 1999-03-22 2005-04-0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Lösung, insbesondere für Hämo- oder Peritonealdialys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2539930A (ja) 1999-03-30 2002-11-26 ガンブロ ルンデイア アクチーボラグ 熱に敏感な流体を滅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SE9903331D0 (sv) 1999-09-16 1999-09-16 Gambro Lundi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sing a heat sensitive fluid
US7122210B2 (en) * 2002-01-11 2006-10-17 Baxter International Inc. Bicarbonate-based solutions for dialysis therapies
SE524531C2 (sv) * 2002-12-10 2004-08-24 Gambro Lundia Ab Metod för att framställa en medicinsk lösning för peritonealdialys där en lösning innehållandes ett eller flera acetylerade eller deacetylerade aminosocker värme- eller strålningssteriliseras med bestämda pH-värden och med bestämda viktsprocent för att undvika att cytotoxiska produkter bildas
JP4361492B2 (ja) 2002-12-10 2009-11-11 ガンブロ・ルンディア・エービー 腹膜透析用薬剤の製造のための医学的溶液を調製する方法
WO2004052269A1 (en) * 2002-12-10 2004-06-24 Gambro Lundia Ab A method for preparing a medical solu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eritoneal dialysis
SE524530C2 (sv) * 2002-12-10 2004-08-24 Gambro Lundia Ab Metod för att framställa en medicinsk lösning för peritonealdialys där en lösning innehållandes ett eller flera acetylerade eller deacetylerade aminosocker värme- eller strålningssteriliseras med bestämda pH-värden och med bestämda viktsprocent för att undvika att cytotoxiska produkter bildas.
SE0301577L (sv) 2003-05-28 2004-11-29 Gambro Lundia Ab Lösning med låg natriumhalt
US9004761B2 (en)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DE102010039489A1 (de) * 2010-08-18 2012-02-23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Konzentrat
EP3003358B1 (en) 2013-06-07 2021-03-24 Allen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dialysis
DK178893B1 (en) * 2015-07-05 2017-05-01 Dorte Dyrsborg Intravenous Bag
WO2017038959A1 (ja) * 2015-09-03 2017-03-09 太 宮崎 キット製剤及び用量調整方法
DE102018103937A1 (de) * 2018-02-21 2019-08-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enthaltend Dialyselösung oder Dialyselösungskonzentrat
JPWO2020036231A1 (ja) 2018-08-17 2021-09-02 レジメンキット株式会社 用量調整が必要なキット製剤の薬剤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6778A5 (fr) * 1987-05-29 1996-06-28 Vifor Medical Ag Récipient destiné au stockage séparé de composés actifs et à leur mélange subséquent.
EP0442406B1 (en) * 1990-02-14 1995-07-26 Material Engineering Technology Laboratory, Inc. Filled and sealed, self-contained mix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24353A (ja) 2001-12-04
CN1280481A (zh) 2001-01-17
WO1999027885A1 (en) 1999-06-10
SE512349C2 (sv) 2000-03-06
SE9704386D0 (sv) 1997-11-28
SE9704386L (sv) 1999-05-29
AU742793B2 (en) 2002-01-10
BR9815055A (pt) 2002-04-30
AU1515399A (en) 1999-06-16
EP1035823A1 (en) 2000-09-20
CA2311903A1 (en) 199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2191A (ko) 의료용액 수용을 위한 다중 격실 용기
AU779950B2 (en) Bicarbonate-based solution in two parts for peritoneal dialysis or substitution i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JP5690040B2 (ja) 重炭酸塩ベースの腹膜透析溶液
KR100700434B1 (ko) 농축 글루코오즈 구역 및 농축 염산 구역이 있는 다중쳄버 용기
US8771749B2 (en) Stable bicarbonate ion-containing drug solution
WO1998010745A1 (en) Batch quantity dialysate chemical formulations
NZ551171A (en) Peritoneal dialysis solution
Feriani et al. Short term clinical study with bicarbonate-containing peritoneal dialysis solution
JPH08131542A (ja) 腹膜透析液調製用溶液セット
US20030232093A1 (en) Stable bicarbonate-based solution in a single container
JP2000245826A (ja) 中性腹膜透析液
JP3909063B2 (ja) 安全性の改善された用時混合型薬液
MXPA00005012A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for medical solution
JP2003088582A (ja) 腹膜透析液および保存容器
JP4533351B2 (ja) 安全性の改善された用時混合型薬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