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991A -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991A
KR20010031991A KR1020007005101A KR20007005101A KR20010031991A KR 20010031991 A KR20010031991 A KR 20010031991A KR 1020007005101 A KR1020007005101 A KR 1020007005101A KR 20007005101 A KR20007005101 A KR 20007005101A KR 20010031991 A KR20010031991 A KR 2001003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cdna
lpa
seq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185B1 (ko
Inventor
후쿠시마다이키치
나카데신지
하가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인간 리보포스파티딘산(인간 LPA) 수용체, (2) 인간 LPA 수용체 단백질을 이용하는 길항제 또는 작동약의 스크리닝 방법, (3) 인간 LPA 수용체를 함유하는 LPA 저해제, (4) 인간 LPA 수용체의 제조 방법, (5) 인간 LPA 수용체의 모노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6) 인간 LPA 수용체를 코드하는 cDNA, (7) 상기 cDNA로 이루어지는 복제 또는 발현 벡터, 및 (8) 상기 복제 또는 발현 벡터에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HUMAN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 AND USE THEREOF}
LPA 수용체는 LPA와 결합하여, 세포내에 시그널을 전하고, 세포 증식, 혈관 세포의 탈분화, 세포의 증식 억제 등, 여러 가지 생리 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간 LPA 수용체를 얻을 수 있으면 그 자체를 이용하여, 혈관 경련 등의 의약품, 진단약으로서 응용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타입의 LPA 수용체 길항제 등의 의약품의 스크리닝이나 평가 등 폭넓게 의약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PA 수용체는 여러개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어느 종의 LPA 수용체에 관해서는 인간형은 아직 분리되어 있지 않아, 그 작용 및 구조는 명확하지 않다.
세포는 증식 인자, 호르몬, 신경 전달 물질 등의 생리 활성 물질을 수용체를 통해 인식하여, 여러 가지로 응답한다. 세포막 상에 존재하는 LPA 수용체는 LPA와 결합하여, 동 수용체에 공역(共役)한 G 단백질을 통해 세포내에 시그널을 전한다. LPA 수용체에 공역할 수 있는 G 단백질로서는 Gi, Gq 등이 알려져 있고, 동 수용체는 세포 증식 항진 작용, 또 반대인 증식 억제 작용 등의 응답에 관여한다고 한다. 또한, G 단백질의 하류에는 MAP-키나제계가 연동하고 있어, LPA 수용체는 다채로운 시그널을 전달하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LPA를 리간드로 하는 수용체는 이미 마우스나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South African Clawed Frog)로부터 분리되고 있다. 예컨대, Tigyi 등은 LPA 수용체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난모(卵母) 세포로부터 최초로 얻었으며, 이것은 PSP24형 LPA 수용체라 불리고 있다(Proc. Natl. Acad. Sci. U.S.A. 93, 14367-l4372, 1996). 또한, 마우스로부터 다른 타입의 LPA 수용체가 클로닝되고 있으며, 이것은 vzg-1이라 불리고 있다(J. Cell. Biol. 135, 1071-1083, 1996).
인간에서 유래하는 LPA 수용체에 관해서는 vzg-1의 상동체인 Edg-2(Biochem. Bioph. Res. Commun., 231, 619-622, 1997)가 보고되어 있지만, 인간에서의 PSP24형에 관한 보고는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는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난모 세포에 발현되는 PSP24형 LPA 수용체의 인간에서의 대응체를 클론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인간에서 유래하는 뇌조직으로부터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를 코드하는 cDNA의 클론화 및 상기 LPA 수용체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의 결정에 성공했다.
핵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핵산 서열에 대하여 BLASTN에 의해, 또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BLASTP에 의해 검색한 결과,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를 코드하는 핵산 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은 없었다. 또, 소수성 플롯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상기 LPA 수용체의 폴리펩티드는 7회 막관통 영역을 갖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폴리펩티드는 신규의 막단백질임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1)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 그 상동체, 단편 또는 그 상동체의 단편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2)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상동체로 이루어지는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인간 LPA) 수용체,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단백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LPA산 유사 물질, 인간 LPA 길항 물질, 인간 LPA 수용체에 반응하는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길항 물질 또는 작동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4)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간 LPA산 저해제, 또는 인간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저해제,
(5)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세포를 배양하여, 배양물로부터 상기 단백질을 채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인간 LPA 수용체의 제조 방법,
(6)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단백질 혹은 그 단백질의 부분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7)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폴리펩티드를 코드하는 cDNA,
(8) 서열 번호 2에 기재한 염기 서열을 갖는 상기 (7)에 기재한 cDNA, 또는 그 서열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편,
(9) 서열 번호 3에 기재한 염기 서열을 갖는 상기 (7)에 기재한 cDNA, 또는 그 서열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편,
(10)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cDNA로 이루어지는 복제 또는 발현 벡터, 및
(11) 상기 (10)에 기재한 복제 또는 발현 벡터에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조포스파티딘산(LPA) 수용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1) 인간 LPA 수용체, (2) 인간 LPA 수용체 단백질을 이용하는 인간 LPA산 유사 물질, 인간 LPA 길항 물질, 인간 LPA 수용체에 반응하는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길항 물질 또는 작동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3) 인간 LPA 수용체를 함유하는 LPA 저해제 또는 인간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저해제, (4) 인간 LPA 수용체의 제조 방법, (5) 인간 LPA 수용체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6) 인간 LPA 수용체를 코드하는 cDNA, (7) 상기 cDNA로 이루어지는 복제 또는 발현 벡터 및 (8) 상기 복제 또는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간 LPA 수용체의 CHO 세포에서의 발현의 노던 하이브리드화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인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 그 상동체, 그 서열의 단편 및 그 상동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의 폴리펩티드를 코드하는 cDNA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 번호 2로 나타내어지는 염기 서열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화하는 cDNA에는 상기 서열의 상보 서열도 포함된다.
하이브리드화시키기 위한 조건은 스트린젠트(stringent)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상동체란, 일반적으로 적어도 20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개, 예컨대 40, 60 또는 10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 영역에서,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또는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상동성인 것으로, 그와 같은 상동체는 이후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로서 기재된다.
또한,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단편, 또는 이들의 상동체의 단편이란, 적어도 10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아미노산, 예컨대 20, 25, 30, 40, 50 또는 60 아미노산 부분을 의미한다.
서열 번호 2 또는 3으로 나타내어지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cDNA란, 일반적으로 적어도 20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개, 예컨대 40, 60 또는 100개의 연속된 염기 서열 영역에서,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또는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상동성인 것으로, 그와 같은 cDNA는 이후 본 발명의 cDNA로서 기재된다.
서열 번호 2로 나타내어지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의 단편이란, 적어도 10 염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염기, 예컨대 20, 25, 30 또는 40 염기 부분을 의미하며, 그와 같은 단편도 본 발명의 cDNA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기 위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숙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제조 방법도 포함된다. 배양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가 발현되어, 숙주 세포로 제조되는 조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DNA는 상기와 같은 벡터의 안티센스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안티센스 mRNA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티센스 mRNA는 세포 중의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레벨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그 단편을 항원으로서 이용하여, 통상의 하이브리도마의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숙주 동물(예컨대, 래트나 토끼 등)에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접종하여, 면역 혈청을 회수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그 항체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로서는 서열 번호 1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 이외에, 그 일부가 결손된 것(예컨대, 서열 번호 1 중, 생물 활성의 발현에 필수적인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 등), 그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과 치환된 것(예컨대, 물성이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것), 및 그 일부에 다른 아미노산이 부가 또는 삽입된 것도 포함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아미노산을 코드하는 코돈은 1∼6 종류(예컨대, Met는 1 종류, Leu는 6 종류)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바꾸지 않고서 cDNA의 염기 서열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cDNA에는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폴리펩티드를 코드하는 모든 염기 서열군이 포함된다. 염기 서열을 바꿈으로써, 폴리펩티드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서열 번호 2로 특정되는 cDNA는 본 발명의 cDNA의 한 형태이며, 천연형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 번호 3으로 나타내어지는 cDNA는 서열 번호 2로 특정되는 cDNA에 천연의 비번역 부분을 가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 번호 2 또는 3 중에 나타내어지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의 제작은 예컨대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행해진다.
인간 LPA 수용체의 cDNA 클로닝
일반적으로는 인간 성인 뇌조직, 인간 콩팥 조직 등으로부터 또, 여러 가지 인간 세포주 등으로부터 TRIzol 시약(등록 상표, GIBCOBRL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mRNA 퓨리피케이션 키트(mRNA Purification Kit)(상품명, Pharmacia에서 판매) 등을 이용하여 poly(A)+RNA를 정제할 수 있다. 가블러 등의 방법(Gene, 25, 263, 1983) 또는 시판되는 cDNA 합성 키트를 이용하여 cDNA를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서 장(長)염기쌍인 것을 분별한 후, 플라스미드 벡터(예컨대 PUC19)나 λ 파지 벡터(예컨대, λ gt11)에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준하여, 표지프로브를 이용하여 콜로니 하이브리드화나 플라크 하이브리드화 등으로 스크리닝하여,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는 cDNA 단편을 포함하는 클론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cDNA를 다른 벡터 등에 재클로닝함으로써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 cDNA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이 cDNA를 제작하여,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로부터 분리된 cDNA 서열을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PCR법에 의해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 cDNA의 부분 길이를 클로닝하고, 또한 이것을 이용하여 전체 길이의 클로닝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폴리(A)+RNA 및 cDNA의 조제
인간 성인 뇌조직으로부터 TRIzol 시약(등록 상표, GIBCOBRL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mRNA Purification Kit(상품명, Pharmacia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폴리(A)+RNA를 정제했다.
이 폴리(A)+RNA를 바탕으로 마라톤 cDNA 앰플리피케이션(Marathon cDNA Amplification Kit)(상품명, Clontech사에서 판매))에 의해 cDNA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2 :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의 부분 클로닝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난모 세포로부터 얻은 LPA 수용체(PSP24)의 염기 서열 정보에 기초하여, 센스, 안티센스 각각 18개씩의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이 프라이머 사이에서 PCR를 행했다. 그 중 어느 프라이머의 조합에서 인간 PSP24형 클론의 부분 단편이라고 생각되는 밴드가 증폭되었다. 이 PCR에 이용한 프라이머의 셋트를 이하에 나타낸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PSP24 프라이머# 15 : 5'-TTCCT TATTATTGTACAGAGGCAGG -3'(25량체)(서열 번호 4),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PSP24 프라이머# 21 : 5'-AAGAGAATCAAAATAGTGGTGAAGG-3'(25량체)(서열 번호 5).
증폭된 cDNA를 아가로우스 전기 영동으로 분획한 후, pT7Blue-2 T-벡터(상품명, Novagen에서 판매)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a로 형질 전환하여 플라스미드를 조제했다. 그리고, 이 DNA의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했다. 결정한 염기 서열을 핵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핵산 서열에 대하여 BLASTN에 의해, 또 결정한 염기 서열을 번역한 아미노산 서열을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BLASTP에 의해 검색한 결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PSP24형 LPA 수용체와 상동성을 나타내고, 또한 결정한 DNA의 핵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은 없었다. 이점에서 이 PCR 산물은 신규 유전자의 부분 길이임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3 : 인간 PSP24형 LPA 수용체의 전체 길이 클로닝
이어서 마라톤 cDNA 앰플리피케이션(Marathon cDNA Amplification kit(상품명, Clontech사에서 판매))을 이용하여 전체 길이 클로닝을 시도했다. 결정한 부분 길이의 염기 서열 내에 새롭게 프라이머를 제작하여(F1, F2, F3, R1, R2 및 R3), 이 프라이머와 5'측 혹은 3'측의 어댑터 서열 특이적 프라이머(AP1, AP2) 사이에서 5'-RACE(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및 3'-RACE를 행했다. 그 중 다음의 프라이머의 조합에서 인간 PSP24형 LPA 수용체 클론의 5' 부분 혹은 3'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밴드가 증폭되었다. 이 PCR에 이용한 프라이머의 셋트를 이하에 나타낸다.
5'-RACE
1차 PCR 안정화된 PCR
R1-AP1 R2-AP2
R2-AP1 R3-AP2
R3-AP1 R3-AP2
3'-RACE
1차 PCR 안정화된 PCR
1-AP1 F2-AP2
2-AP1 F3-AP2
R1 프라이머 :
5'-GCCCATGTCAATGCTCATCTGGAAAGG-3'(27량체)(서열 번호 6),
R2 프라이머:
5'-AGGTCTCTGCAGACTCATGAGACCCAG-3'(27량체)(서열 번호 7),
R3 프라이머 :
5'-GCTGGCCTGGCTGAGGCATATACCTTC-3'(27량체)(서열 번호 8),
F1 프라이머 :
5'-GTCCAGAGGCAGGATAAGCTAAACCCA-3'(27량체)(서열 번호 9),
F2 프라이머 :
5'-CCGACCTGCAGATACCTTCCCGAGCTC-3'(27량체)(서열 번호 10),
F3 프라이머 :
5'-ACCAATCCAGGCTACCAGGCTTATGTG-3'(27량체)(서열 번호 11)
AP1 프라이머 :
5'-CCATCCTAATACGACTCACTATAGGGC-3'(27량체)(서열 번호 12)
AP2 프라이머 :
5'-ACTCACTATAGGGCTCGAGCGGC-3'(23량체)(서열 번호 13).
증폭된 cDNA를 부분 클로닝과 같은 수법으로 서브클로닝하여,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3에 나타내는 서열을 얻었다. 또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고, 아미노산으로 번역하여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서열을 얻었다. 핵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핵산 서열에 대하여 BLASTN에 의해, 또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BLASTP에 의해 검색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를 코드하는 핵산 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은 없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신규 막단백질임이 판명되었다. 또 동류의 7회 막관통 영역을 갖는 막단백질인 PAF 수용체, LTB4 수용체 등과의 상동 관계도 없었으므로, 본 클론은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의 PSP24LPA 수용체의 인간에서의 대응체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4 : 전체 길이 cDNA의 클로닝 및 염기 서열의 결정
전체 길이 cDNA의 클로닝은 서열 번호 3에 나타내는 결정된 PSP24형 인간 LPA 수용체의 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코작(Kozac) 서열과 전체 해독 영역을 포함하도록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PCR법에 의해 클로닝했다. 이용한 프라이머는 다음 2종이다.
5'측 프라이머 :
5'-AAACCATGGTCTTCTCGGCAGTGTTGA-3'(27량체)(서열 번호 14),
3'측 프라이머 :
5'-TCACACCACCGTCCGATGTTCCCCACA-3'(27량체)(서열 번호 15).
특이적으로 증폭된 cDNA를 부분 클로닝과 같은 수법으로 서브클로닝하여,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1에 나타내는 서열을 얻었다. 또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여, 전체 길이를 분리했다.
실시예 5 : 포유 동물 세포에서의 단백질 발현
본 발명 수용체(인간 PSP24형 LPA 수용체)를 CHO 세포에, 리포펙션법을 이용하여 도입하여, 안정 형질 발현 세포를 취득했다. 수용체 발현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상기 유전자를 블라스티시딘(Blasticidin) 내성 마커를 갖는 벡터에 도입하여, 제한 효소 절단에 의해, 직쇄 형상으로 한 후, 세포에 도입했다. 이어서 블라스티시딘(Blasticidin)(5 μg/ml) 존재하에서 배양하여, 내성주를 한외희석법에 의해 29개 분리했다. 이들 클론으로부터 TRIzol 시약(Gibco BRL)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조제하여, RT-PCR에 의해 발현하고 있는 클론만을 선택했다. 발현이 확인된 클론에 관해서, 그 유전자의 전체 길이를 프로브로 하여, 노던 하이브리드화 (Nothern Hybridization)법에 의해, 발현량의 강약을 측정했다(도 1). 도면의 우측 가로에 나타낸 숫자는 사이즈 마커로서 이용한 리포좀 RNA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고, 1.9 kb 부근에 그 유전자의 전사물이라 생각되는 밴드가 관찰되었다. 좌단에 대조군으로서 친주(親株)의 CHO 세포로부터 조제한 전체 RNA를 영동했다.

Claims (11)

  1.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 그 상동체, 단편 또는 그 상동체의 단편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2. 서열 번호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상동체로 이루어지는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인간 LPA) 수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단백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LPA산 유사 물질, 인간 LPA 길항 물질, 인간 LPA 수용체에 반응하는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길항 물질 또는 작동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간 LPA산 저해제, 또는 인간 LPA 이외의 인지질에 대한 저해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세포를 배양하여, 배양물로부터 상기 단백질을 채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인간 LPA 수용체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단백질 혹은 그 단백질의 부분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폴리펩티드를 코드하는 cDNA.
  8. 서열 번호 2에 기재한 염기 서열을 갖는 제7항에 기재한 cDNA, 또는 그 서열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편.
  9. 서열 번호 3에 기재한 염기 서열을 갖는 제7항에 기재한 cDNA, 또는 그 서열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편.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cDNA로 이루어지는 복제 또는 발현 벡터.
  11. 제10항에 기재한 복제 또는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
KR1020007005101A 1997-11-11 1998-11-10 인간 리조포스파티드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 KR100629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774997 1997-11-11
JP97-307749 1997-11-11
PCT/JP1998/005047 WO1999024569A1 (fr) 1997-11-11 1998-11-10 Recepteur d'acide lysophosphatidique humain et utilisation dudit recep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991A true KR20010031991A (ko) 2001-04-16
KR100629185B1 KR100629185B1 (ko) 2006-09-28

Family

ID=1797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101A KR100629185B1 (ko) 1997-11-11 1998-11-10 인간 리조포스파티드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2056B1 (ko)
EP (1) EP1029916B1 (ko)
JP (1) JP4280886B2 (ko)
KR (1) KR100629185B1 (ko)
AT (1) ATE362983T1 (ko)
DE (1) DE69837811D1 (ko)
WO (1) WO1999024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9190B2 (en) 1997-04-14 2006-10-10 Arena Pharmaceuticals, Inc. Endogenous and non-endogenous versions of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US6555339B1 (en) 1997-04-14 2003-04-29 Arena Pharmaceuticals, Inc. Non-endogenous, constitutively activated human protein-coupled receptors
WO2000022131A2 (en) * 1998-10-13 2000-04-20 Arena Pharmaceuticals, Inc. Non-endogenous, constitutively activated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EP1129101A4 (en) * 1998-11-19 2002-09-18 Smithkline Beecham Corp G-PROTEIN COUPLED TO THE 7TM RECEPTOR
USRE42190E1 (en) 1998-11-20 2011-03-01 Arena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identifying a compound for inhibiting or stimulating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ATE366815T1 (de) * 1998-11-20 2007-08-15 Arena Pharm Inc Menschliche, an ein g-protein gekoppelter rezeptor rup3 ohne bekannten ligand
US7816492B2 (en) 1998-11-20 2010-10-19 Arena Pharmaceuticals, Inc.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US20030017528A1 (en) 1998-11-20 2003-01-23 Ruoping Chen Human orph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CA2381437A1 (en) * 1999-07-30 2001-02-08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G-protein coupled receptor and dna sequences thereof
WO2001085935A2 (en) * 2000-05-09 2001-11-15 Bayer Aktiengesellschaft Endothelial differentiation gene 6-like g protein coupled receptor
US6902902B2 (en) 2001-11-27 2005-06-07 Arena Pharmaceuticals, Inc.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and modulator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related disorders
WO2003072014A2 (en) 2002-02-25 2003-09-04 Mpex Bioscience, Inc. Minicell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25651A1 (de) * 2002-06-08 2003-12-24 Aventis Pharma Gmbh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von Agonisten oder Antagonisten für den GPR45like/GPR63 Rezeptor
US7300764B2 (en) 2002-06-08 2007-11-2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for identifying agonists and antagonists of the GPR45-like/GPR63 receptor
US20070003928A1 (en) * 2002-12-12 2007-01-04 Shuji Hinuma Novel use of edg receptors
WO2009089380A2 (en) * 2008-01-08 2009-07-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for p2ry5 mediated regulation of hair growth and mutants thereof
KR101584722B1 (ko) * 2011-09-19 2016-01-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의 천연 약용식물 유래 리간드로서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967B1 (en) * 1997-12-10 2001-04-03 Synapt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DNA encoding a mammalian LPA receptor and uses thereof
WO2000022131A2 (en) * 1998-10-13 2000-04-20 Arena Pharmaceuticals, Inc. Non-endogenous, constitutively activated hum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0886B2 (ja) 2009-06-17
KR100629185B1 (ko) 2006-09-28
ATE362983T1 (de) 2007-06-15
WO1999024569A1 (fr) 1999-05-20
DE69837811D1 (de) 2007-07-05
US6252056B1 (en) 2001-06-26
EP1029916A1 (en) 2000-08-23
EP1029916A4 (en) 2002-11-13
EP1029916B1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kes et al. Moesin: a member of the protein 4.1-talin-ezrin family of proteins.
Paul Molecular cloning of cDNA for rat liver gap junction protein.
O'Connell et al. Cloning of cDNAs encoding mammalian double-stranded RNA-specific adenosine deaminase
US5965360A (en) Diagnosis of metastatic cancer by the mts-1 gene
KR20010031991A (ko) 인간 리조포스파티딘산 수용체 물질 및 그 용도
WO1998039446A2 (en) 70 human secreted proteins
JP2002504818A (ja) リガンドファミリーのntn−2メンバー
JPH10513045A (ja) ヒトの胎児の脾臓で発現する新規なケモカイン、その産生と使用
JP2001512667A (ja) ヒトオーファンレセプターntr−1
US5726298A (en) Epimorphin and its encoding nucleic acids
KR100566839B1 (ko) 종양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WO2000052173A2 (en) Cloned human sphingosine kinase homologues
KR100270348B1 (ko) 전사인자 에이피알에프
JP2002526099A (ja) Nlk1−相互作用タンパク質
JP2003521215A (ja) 83個のヒト分泌タンパク質
AU714793B2 (en) Novel stress proteins
JPH11501817A (ja) ヒト臍静脈内皮細胞で発現されるヒアルロン酸レセプタ
US5837239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designated as epimorphin genes encoding the same and antibodies thereto
JP2003210183A (ja) ヒトIκB−β
KR20010043090A (ko) 신규인 폴리펩티드, 그 폴리펩티드를 코드화하는 cDNA및 그 용도
WO1998030910A1 (en) Subtractive antibody screening (sas) and uses therefor
AU769825B2 (en) Gene encoding syntaxin interacting protein
WO1991008217A1 (en) Human intestinal mucins
JP2002539833A (ja) カリンレギュレーターroc1およびroc2をコードする単離dna、それらによってコードされた単離タンパク質、ならびにそれらの利用法
EP1038960A1 (en) BSMAP, a surface protein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b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