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209A - 우산의 런너 - Google Patents

우산의 런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209A
KR20010031209A KR1020007004161A KR20007004161A KR20010031209A KR 20010031209 A KR20010031209 A KR 20010031209A KR 1020007004161 A KR1020007004161 A KR 1020007004161A KR 20007004161 A KR20007004161 A KR 20007004161A KR 20010031209 A KR20010031209 A KR 2001003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unner
base
umbrella mea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히로미
Original Assignee
사또 히로미
미스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히로미, 미스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사또 히로미
Publication of KR2001003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축 구멍을 구비한 우산살 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5)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런너(2)에 있어서, 우산살 기부의 상기 홈(5)내로의 삽입에 의해서 변형되고, 삽입후 상기 기부의 축 구멍내에 결합되어 상기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우산살 피봇용 판 스프링(12a, 12a)을 상기 우산살 수용홈(5) 내에 면하게 한다.

Description

우산의 런너{RUNNER OF UMBRELLA}
일반적으로, 우산의 지지 기둥(중간 막대)은 상단부에 페룰을, 그리고 하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동시에, 지지 기둥의 상부측에는 복수개의 굵은 살의 기부를 피봇하는 상부 런너가 고착되고, 지지 기둥의 하부측에는 각 굵은 살의 중간부에 선단부를 피봇 부착한 받침살의 기부를 피봇하는 하부 런너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도22는 종래의 하부 런너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지지 기둥(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원통형의 하부 런너(2)는 보스부(23)의 상부에 플랜지부(3)를 동축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3)에는 각 받침살(4)의 기부를 수용하는 홈(5)이 플랜지부(3)의 상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하고, 또한 플랜지부(3)의 외주면에는 받침살 수용홈(5)에 교차하는 선재 수용홈(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런너(2)에 대한 받침살(4)의 연결에 있어서는 받침살(4)의 기부에 형성된 축 구멍(4a)에 선재(결속 와이어)(7)를 순차적으로 삽입 관통시키고, 그 기부를 각 받침살 수용홈(5)에 삽입하면서 선재(7)를 홈(6)을 따르게 하고, 또한 그 선재(7)의 양단부를 서로 비틀리게 함으로써 선재(7)를 링형으로 하여 각 받침살(4)의 기부를 피봇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선재(7)의 꼬임 부분(7a)은 일반적으로 플랜지부(3)의 상단부면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8)의 외면의 홈(9)에 압입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런너에 있어서도 굵은 살의 기부에 개방된 축 구멍에 선재를 순차적으로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선재의 선단부를 비틀어 굵은 살의 기부를 피봇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산의 런너에서는 우산살의 기부를 피봇하는 데에 기부의 축 구멍(4a)에 선재(7)를 삽입 관통시켜 서로 비틀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작업의 기계화도 현저하게 곤란하다. 또, 우산의 개폐를 반복하는 중에 선재(7)의 꼬임 부분(7a)이 느슨해져서 우산살이 흔들리기도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결점도 있었다.
또, 우산살의 기부를 연결하는 선재(7)의 존재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우산의 반복 개폐 조작에 의해 느슨해진 꼬임 부분(7a)의 선단부에서 손가락을 다치거나 또는 의복이 걸려서 의복이 손상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상기 꼬임 부분(7a)을 열수축성의 합성 수지제 튜브로 피복하거나(실용신안등록 제3017521호), 혹은 꼬임 부분(7a)의 선단부를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로 피복 고착시키거나(실용신안등록 제3023762호)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선재(7)의 양단부를 서로 비틀리게 한 후에 그와 같은 여분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우산살 연결 작업의 작업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이었다.
또, 우산살 연결 작업의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부의 축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선재를 배제한 우산살의 피봇 구조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고 평3-7714호에는 우산살의 기부에 구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런너측에 상기 구형부에 대응하는 구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우산살의 구형부를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우산살의 기부를 피봇하도록 한 런너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우산살의 피봇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기부에 구형부를 형성한 특수한 우산살을 필요로 하므로, 기부에 축 구멍(4a)을 갖춘 종래의 우산살은 사용 불가능한 실용상의 중대한 결점을 갖는다.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우산살의 기부의 축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선재를 배제함으로써, 우산살을 런너에 연결하는 작업을 대폭 간략화하고 자동화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종래의 우산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런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산살의 기부를 피봇하는 런너, 특히 결속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신규의 런너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하부 런너의 평면도이다.
도2는 그 정면도이다.
도3은 그 하부 런너의 플랜지부 내에 매설되는 금속제 환형 박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4는 도2의 IV-IV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V-V 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6은 받침살이 받침살 수용홈 내에 피봇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7은 받침살이 판 스프링에 접촉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8은 판 스프링이 받침살에 의해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9는 받침살이 받침살 수용홈 내에 피봇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10은 받침살에 이를 상방으로 인장하는 힘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도3에 도시한 금속제 환형 박판의 변형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한 금속제 환형 박판을 사용한 경우의 도7에 대응하는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13은 도11에 도시한 금속제 환형 박판을 사용한 경우의 도9에 대응하는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런너의 플랜지부 내에 매설되는 금속제 환형 박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평면도이다.
도16은 그 바닥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XVII-XVII 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19는 그 정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3 실시 형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4 실시 형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22는 종래의 하부 런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런너는, 런너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 내에, 우산살 기부의 삽입에 의해서 변형되고 삽입후 우산살 기부의 축 구멍내에 결합되어 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우산살 피봇용 판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판 스프링은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판 스프링 또는 편측 지지된 한 장의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가진 슬릿을 구비한 외측 고리 혹은 갈고리형 판부와, 이 외측 고리 혹은 갈고리형 판부에 연결한 내측 고리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을, 각 슬릿 혹은 갈고리형 판부의 자유 단부를 각 우산살 수용홈 내에 면하게 하여 런너내에 동축적으로 매설하고, 각 슬릿을 거쳐서 대향하는 외측 고리의 부분 혹은 갈고리형 판부의 자유 단부에 의해서 판 스프링을 형성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우산살 기부의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의 변형(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가 우산살의 축 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변형)을 허용하는 빈 공간(우산살의 압입에 의해 판 스프링이 변형되는 측에 형성함)과, 이 변형과 반대 방향의 변형(우산살을 삽입시와 반대 방향으로 인장했을 때 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가 상기 변형과 역방향으로 변형되어 우산살의 축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등의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부(상기 빈 공간과는 반대측에 형성함)가 런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삽입체 성형에 의해 런너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런너가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플랜지부와 보스부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랜지부와 보스부가 일체 성형된 것이라든지, 또는 별개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보스부가 기계적으로 결합된 것이라도 좋다.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상기 플랜지부 내에 매설된다.
그리고, 별개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보스부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런너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을 삽입체 성형이 아닌 플랜지부와 보스부 사이에 개재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우산살 피봇 부재는, 상기 런너의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슬릿을 갖는 외측 고리와, 이 외측 고리에 연결한 내측 고리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각 슬릿을 거쳐서 대향하는 형태로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노출시키는 외측 고리의 부분에 의해서, 상기 우산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우산살 피봇 부재는, 상기 런너의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환형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갈고리형 판부를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측벽에 근접한 위치에 자유 단부를 갖는 형태로 우산살 수용홈 내에 노출시키는 갈고리형 판부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우산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단일의 판 스프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살 기부의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에 의해서 변형되고, 삽입후 상기 기부의 축 구멍내에 결합되어 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우산살 피봇용 판 스프링을 우산살 수용홈 내에 면하게 하고 있으므로, 단지 우산살 기부를 런너의 축방향으로 우산살 수용홈 내에 삽입시키는 것 만으로, 우산살을 런너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우산살의 연결 작업의 작업성을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게다가 선재를 비트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는 데에 부가하여, 복수개의 우산살의 기부의 축 구멍에 선재를 순차적으로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도, 그리고 우산살의 기부를 선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런너의 플랜지부의 방사형 홈에 삽입하는 작업도 불필요해지므로, 우산살을 런너에 연결하는 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는 잇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런너는, 축 구멍을 구비한 종래의 우산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상의 큰 잇점를 갖고, 게다가 우산살의 기부를 연결하는 선재가 불필요해지므로, 이 선재가 미관을 해치는 일도 없으며, 아울러 선재의 꼬임 부분도 없어짐으로써, 이 꼬임 부분의 선단부에 의해서 손가락이나 의복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을 슬릿을 거쳐서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은,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갖는 슬릿을 외측 고리에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을 런너내에 동축적으로 매설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우산살 수용홈의 측벽에 근접한 위치에 자유 단부를 갖는 단일의 판 스프링을 각 우산살 수용홈 내에 각각 면하게 한 구성도,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갖는 갈고리형 판부를 환형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돌출시킨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을, 각 갈고리형 판부의 자유 단부를 각 우산살 수용홈 내에 면하게 하여 런너내에 동축적으로 매설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우산살 기부의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의 변형을 허용하는 빈 공간과, 이 변형과 반대 방향으로의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부를 런너에 형성함으로써, 런너에 대한 우산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우산살이 런너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우산살을 우산살 수용홈 내에 삽입할 때는 그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산살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면을 수용홈의 바닥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판 스프링은 두께 방향으로는 변형되기 쉽지만 면방향으로는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판 스프링의 두께 방향, 즉 우산살 기부의 삽입 방향과 그 역방향으로는 어떠한 스톱퍼가 필요해지지만, 그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는 스톱퍼는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플랜지부와 보스부를 일체 성형할 때 삽입체 성형에 의해서 런너의 플랜지부 내에 매설하는 것이 제작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플랜지부와 보스부를 다른 부품으로 형성하여 기계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하는 구성의 경우는 보스부의 형상 및 빛깔을 변경시키는 경우에 편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은 하부 런너의 평면도, 도2는 그 정면도, 도3은 하부 런너내에 매설되는 금속제 환형 박판의 확대 평면도, 도4는 도2의 IV-IV 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5는 도1의 V-V 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6은 받침살을 피봇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횡단면도, 도7은 받침살이 판 스프링에 접촉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 런너(2)는, 우산 개폐시의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원통형 보스부(23)와, 이 보스부(23)의 상부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3)로 구성되고, 플랜지부(3)의 상단부면(3a)의 주위 모서리에는 도22에 도시된 종래의 하부 런너와 마찬가지로, 각 받침살(4)의 기부를 수용하는 8개의 받침살 수용홈(5)이 대략 등각도 간격을 유지하여 방사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플랜지부(3) 내에는 도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을 갖는 금속제 환형 박판(우산살 피봇 부재)(10)이 동축상으로 매설되어 있다.
두께가 약 0.4 mm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환형 박판(10)은 내측 고리(11)와, 방사형의 연결부(13)에 의해서 내측 고리(11)에 연결된 외측 고리(1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약 0.8 mm의 폭을 갖는 외측 고리(12)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8개의 슬릿(S)이 대략 등각도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슬릿(S, S) 사이의 대략 중앙에 상기 연결부(13)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 고리(12)의 연결부(13, 13) 사이의 부분에 의해서, 슬릿(S)을 거쳐서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받침살 피봇용 판 스프링(12a, 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대칭 위치에 있는 두 부위의 연결부(13, 13)에는 삽입체 성형시에 위치 결정핀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14, 14)이 형성되어 있다. 단지, 이들 구멍(14, 14)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며, 구멍(14, 14)이 없어도 삽입체 성형은 가능하다.
상기 슬릿(S)은 이를 레이저 가공 등으로 금속제 환형 박판(10)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공상 필연적으로 폭이 약 0.15 mm 정도인 슬릿으로서 형성되지만, 이것은 슬릿일 필요는 없으며, 요는 한 쌍의 판 스프링(12a, 12a)이 받침살 수용홈(5)에 압입된 받침살(4)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 변형될 수 있도록 판 스프링(12a, 12a) 사이가 절단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단, 받침살 삽입후에 복원된 판 스프링(12a, 12a) 사이에 받침살(4)의 빠짐을 허용하는 간극을 가진 슬릿이 있어서는 안됨은 물론이다.
이 환형 박판(10)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 런너(2)의 성형시에, 슬릿(S)을 거쳐서 대향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12a, 12a)을 각 받침살 수용홈(5) 내에 면하게 하여, 삽입체 성형에 의해 플랜지부(3) 내에 매설된다. 그리고, 도7로부터 특히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2a, 12a)의 받침살 수용홈(5)(홈(5)의 폭이 약 1.6 mm임) 내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이외의 상면측에는 플랜지부(3)의 내면(3b)이 밀착되어 있지만, 하면측에는 받침살 수용홈(5)에 연접된 빈 공간(15)(한 쪽의 크기가 약 3 mm임)이 플랜지부(3)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판 스프링(12a, 12a)은 빈 공간(15)에 의해서 하방으로의 변형이 허용되지만, 상방으로의 변형은 스톱퍼부로서 작용하는 플랜지부 면(3b)에 의해서 확실하게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판 스프링(12a, 12a)의 하부 런너(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은 판 스프링(12a, 12a)의 면 방향으로의 변형이 되므로 매우 변형되기 어려우며, 통상 우산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살(4)의 축 구멍(4a)(내경이 약 1.6 mm임)을 구비한 기부(폭이 약 1.2 mm임)가 하부 런너(2)의 플랜지부(3)의 상단부면(3a)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받침살 수용홈(5) 내에 삽입되면, 판 스프링(12a, 12a)은 빈 공간(15) 내로 탄성적으로 휘어 받침살(4)의 기부의 통과를 허용하여 축 구멍(4a)이 판 스프링(12a, 12a)의 선단부에 이르면, 도6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2a, 12a)은 그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이들 자유 단부를 축 구멍(4a) 내에 삽입시킨 상태가 되며, 이들 자유 단부에 의해서 받침살(4)의 기부가 피봇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살(4)에 대하여 이를 상방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 판 스프링(12a, 12a)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7에 도시한 수평 상태로 복귀한 위치에서 스톱퍼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 면(3b)에 접촉하여 걸림 고정되므로, 받침살(4)이 받침살 수용홈(5)으로부터 빠져 나올 우려가 없음은 명백하다.
또, 실제로는 판 스프링(12a, 12a)의 재료에 따라, 받침살(4)의 기부의 통과를 허용했을 때 판 스프링(12a, 12a)은 다소 소성 변형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축 구멍(4a)이 판 스프링(12a, 12a)에 이르렀을 때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중까지가 되고, 그 후 기부를 위로 당김으로써 판 스프링(12a, 12a)이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그 소성 변형으로 도중까지 밖에 복귀하지 않은 상태로서 판 스프링(12a, 12a)의 자유 단부가 축 구멍(4a) 내에 삽입(결합)되며, 기부의 복귀에 의해 축 구멍(4a)에 걸림 고정되어 보다 깊은 결합이 되도록 판 스프링(12a, 12a)의 자유 단부 사이의 슬릿(S)은 소성 변형의 크기에 따라서 충분히 작은 폭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또, 받침살(4)에 대하여, 이를 받침살 수용홈(5)의 깊이 방향(도9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받침살(4)의 선단부가 홈(5)의 바닥면(5b)에 접촉하므로, 그 이상으로 받침살(4)이 이동하여 판 스프링(12a, 12a)의 자유 단부로부터 축 구멍(4a)이 빠지는 일도 없다.
또, 금속제 환형 박판(10)에 형성되는 슬릿(S)은 인접한 연결부(13)의 중앙이 아니라, 도3에 대응하는 도11 및 도7에 대응하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한 쪽으로 편위시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9에 대응하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 판 스프링(12a)이 받침살(4)의 축 구멍(4a) 내에 보다 깊게 삽입되므로, 그 만큼 받침살(4)이 홈(5)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받침살(4)의 기부를 하부 런너(2)의 상방으로부터 받침살 수용홈(5) 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받침살(4)의 기부를 하부 런너(2)에 확실하게 피봇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살(4)의 하부 런너(2)에 대한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이 작업의 자동화도 가능해진다.
또, 선재 삽입 관통용의 축 구멍(4a)을 기부에 구비한 종래의 받침살(4)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실용상의 큰 잇점이며, 게다가 받침살(4)의 기부를 연결하는 선재가 불필요해지므로 이 선재가 미관을 해치는 일도 없고, 아울러 선재의 꼬임 부분도 없어짐으로써, 이 꼬임 부분에 의해서 손가락이나 의복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굵은 살의 기부를 피봇하는 상부 런너도 하부 런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환형 박판(10)을 구비한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런너내에 매설되는 금속제 환형 박판(우산살 피봇 부재)의 도3에 대응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 스프링이 편측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환형 박판(20)도 도3에 도시한 환형 박판(10)과 같이 두께가 약 0.4 mm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며, 환형 박판(10)의 내측 고리(11)와 동일한 직경의 환형부(21)와, 이 환형부(21)의 외주로부터 대략 등각도 간격을 유지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8개의 갈고리형 판부(2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각 갈고리형 판부(22)는 방사형의 기초부(22a)와, 이 기초부(22a)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주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약 0.8 mm의 폭을 갖는 받침살 피봇용 판 스프링(22b)으로 구성된다.
이 환형 박판(20)도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 런너(2)의 성형시에, 받침살 수용홈(5)의 측벽(5a)에 근접한(0.3 mm의 간격을 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22b)의 자유 단부(T)를 받침살 수용홈(5) 내에 면하게 한 상태로 삽입체로서 플랜지부(3) 내에 매설된다.
그리고, 이 경우도 판 스프링(22b)은 이 판 스프링(22b)의 하방에 대응하여 형성된 빈 공간에 의해서 하방으로의 변형이 허용되지만, 상방으로의 변형은 스톱퍼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 면에 의해서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직경이 비교적 작은 하부 런너(2)를 사용하는 경우는, 판 스프링(22b)을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축 구멍(4a) 내에 깊게 삽입함으로써, 도13의 경우와 같이 판 스프링(22b)에 의한 받침살(4)의 보유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하부 런너(2)의 플랜지부(3)와 보스부(23)가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이지만, 이하의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플랜지부(3)와 보스부(23)를 다른 부품으로 형성하여 양자를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하도록 해도 좋다.
도15 내지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3 실시 형태로서, 도15는 하부 런너(2)의 플랜지부(3)의 평면도, 도16은 그 바닥면도, 도17은 도16의 XVII-XVII 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18은 보스부(23)의 평면도, 도19는 그 정면도, 도20은 플랜지부(3)와 보스부(23)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16의 XVII-XVII 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랜지부(3)도, 그 상단부면(3a)의 주위 모서리에 각 받침살(4)의 기부를 수용하는 8개의 받침살 수용홈(5)이 대략 등각도 간격을 유지하여 방사형으로 개구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3) 내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을 갖는 금속제 환형 박판(10)이 삽입체 성형에 의해 동축적으로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3)는 평탄한 상면(3a)과 바닥면(3b)을 구비한 편평한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지 기둥(1)이 삽입 관통되는 중심 구멍의 주위벽 하부를 따라서 4개의 원호형 홈(3c)이 바닥면(3b)측으로부터 제거되어 형성되고, 또한 각 홈(3c)의 상단부에 각각 2개의 결합 오목부(3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산 개폐시의 하부 런너(2)의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원통형 보스부(23)는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바닥면(3b)에 접촉하는 평탄한 상면(23a)을 구비하고, 이 면(23a) 상에 플랜지부(3)의 각 원호형 홈(3c)에 삽입되는 4개의 원호형 돌출벽(23d)과, 플랜지부(3)의 받침살 수용홈(5)에 삽입되는 8개의 기둥형 부재(23)가 돌출 형성되고, 각 원호형 돌출벽(23d)의 외주 상단부에는 플랜지부(3)의 결합 오목부(3d)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 갈고리(23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부(23)를 플랜지부(3)에 서로 위상을 일치시켜 삽입하면, 양자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 된다. 본 실시 형태는 보스부(23)의 형상 및 빛깔을 변경시키는 경우에 편리하다.
그리고,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런너의 제4 실시 형태를 도20에 대응시켜 도시한 하부 런너(2)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도, 플랜지부(3)측의 결합 갈고리(3e)와 보스부(23)측의 결합 오목부(23e)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갖지만, 이 경우는 보스부(23)의 상면에 금속제 환형 박판(10)을 적재하는 평탄한 상단부면을 구비한 돌출 모서리(23f)가 형성되고, 이 돌출 모서리(23f) 상에 적재된 금속제 환형 박판(10)이 플랜지부(3)와 보스부(23)의 결합에 의해서, 플랜지부(3)의 하면(3f)과 보스부(23)의 돌출 모서리(23f)의 상단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 런너(2)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요컨대 본 발명의 런너는 원통형의 런너 본체의 단부면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된 우산살 수용홈 내에 우산살 피봇 부재를 구비한 기본 구조를 갖는 우산의 런너에 있어서, 우산살 피봇 부재를 우산살 수용홈 내에 자유 단부를 면하게 한 스프링 부재로 하고, 그 스프링 부재가, 우산살 기부의 축 구멍이 스프링 부재에 이르기까지 우산살의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을 허용하는 변형과, 그 변형후 축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복원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것이며, 또한 런너 본체가 우산살 기부를 우산살 수용홈에 압입하고 축 구멍에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를 관통 삽입시킨 후에는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스프링 부재의 변형의 하나를 저지하는 수단과,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우산살 기부의 이동의 하나를 저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의, 우산살의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시에 허용되는 변형과 다른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부(플랜지부 면(3b))와, 우산살 기부의, 축 구멍이 스프링 부재를 넘는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톱퍼부(홈(5)의 바닥면(5b))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그와 같은 기능을 분담시키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스프링 부재의 변형 전체를 저지하는 수단과,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우산살 기부의 이동 전체를 저지하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수단이 있으면 되는 것이며, 양 쪽의 수단에 분담시킬 필요는 없다. 또, 그 분담시키는 방법도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하지만,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스프링 부재의 변형 전체를 저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우산살의 기부가 우산살 수용홈에 삽입될 때는 그 삽입을 허용하는 스프링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 변형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후퇴시키고 있지만, 일단 축 구멍에 스프링이 관통 삽입된 후에는 그 변형측의 공간으로 진출하여 재차의 변형을 저지하는 가동형의 스톱퍼를 고려할 수 있다. 물론, 그 밖의 방향으로의 변형은 항상 저지하도록 고정형의 스톱퍼가 설치된다. 또, 축 구멍으로부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우산살 기부의 이동 전체를 저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축 구멍이 스프링 부재를 넘어서 우산살 수용홈 내로 더욱 삽입되는 것은 상기 실시예의 홈(5)의 바닥면(5b)과 같은 스톱퍼가 저지하고, 그 밖의 방향으로의 기부의 이동은 스프링과는 별도의, 축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가동형 부재가 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스프링 부재가 판 스프링임에 따라서 두께 방향으로의 변형은 허용하지만, 면 방향으로의 변형은 허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상기 실시 형태는 이를 이용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원형인 선형의 스프링으로도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런너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스프링의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또한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런너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각종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구성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판 스프링의 효과를 이용한 상기 각 실시 형태가 바람직하다.

Claims (16)

  1. 축 구멍을 구비한 우산살 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런너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상기 우산살 기부의 상기 홈내로의 삽입에 의해서 변형되고, 삽입후 상기 기부의 축 구멍내에 결합되어 상기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우산살 피봇용 판 스프링을 면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런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슬릿을 갖는 외측 고리와 상기 외측 고리에 연결한 내측 고리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이, 각 슬릿을 각 우산살 수용홈 내에 면하게 하여 동축적으로 매설되고, 각 슬릿을 거쳐서 대향하는 외측 고리의 부분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측벽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자유 단부를 갖는 단일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환형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갈고리형 판부를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이, 각 갈고리형 판부의 자유 단부를 각 우산살 수용홈 내에 면하게 하여 동축적으로 매설되고, 각 갈고리형 판부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단일의 판 스프링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기부의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판 스프링의 변형을 허용하는 빈 공간과, 상기 변형과 반대 방향의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삽입체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동축적으로 일체 성형되는 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상기 플랜지부 내에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동축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상기 플랜지부 내에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10.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동축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제 환형 박판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보스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11. 원통형의 런너 본체의 단부면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된 우산살 수용홈을 갖고,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우산살 피봇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우산의 런너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피봇 부재는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자유 단부를 면하게 한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우산살 기부의 축 구멍이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이르기까지 우산살의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을 허용하는 변형과, 상기 변형후 상기 축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복원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것이며,
    상기 런너 본체는 상기 우산살 기부를 상기 우산살 수용홈에 압입하고 상기 축 구멍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를 관통 삽입시킨 후에는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런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변형을 저지하는 수단, 및/또는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게 하는 상기 우산살 기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런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우산살의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시에 허용되는 변형과 다른 변형을 저지하는 스톱퍼 수단, 및
    상기 우산살 기부의, 상기 축 구멍이 상기 스프링 부재를 넘는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로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톱퍼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런너.
  14. 축 구멍을 구비한 우산살 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런너내에 동축상으로 매설되는 우산살 피봇 부재로서,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슬릿을 갖는 외측 고리와, 상기 외측 고리에 연결한 내측 고리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각 슬릿을 거쳐서 대향하는 형태로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노출시키는 외측 고리의 부분에 의해서, 상기 우산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살 피봇 부재.
  15. 축 구멍을 구비한 우산살 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우산살 수용홈을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개구시킨 런너내에 동축상으로 매설되는 우산살 피봇 부재로서,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환형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갈고리형 판부를 구비한 한 장의 금속제 환형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산살 수용홈의 측벽에 근접한 위치에 자유 단부를 갖는 형태로 상기 우산살 수용홈 내에 노출시키는 갈고리형 판부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우산살 기부를 피봇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단일의 판 스프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살 피봇 부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내에 삽입체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살 피봇 부재.
KR1020007004161A 1998-09-30 1999-03-30 우산의 런너 KR20010031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77671 1998-09-30
JP27767198 1998-09-30
JP10317577A JP2960935B1 (ja) 1998-09-30 1998-11-09 傘のろくろ
JP98-317577 1998-11-09
PCT/JP1999/001612 WO2000018271A1 (fr) 1998-09-30 1999-03-30 Coulant de paraplu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209A true KR20010031209A (ko) 2001-04-16

Family

ID=2655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161A KR20010031209A (ko) 1998-09-30 1999-03-30 우산의 런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1706B1 (ko)
JP (1) JP2960935B1 (ko)
KR (1) KR20010031209A (ko)
CN (1) CN1277542A (ko)
AU (1) AU2959899A (ko)
TW (1) TW371622B (ko)
WO (1) WO20000182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84A (ko) * 2001-08-21 2001-09-28 정준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835A1 (fr) * 2003-07-21 2005-01-28 Yves Michel Emile Fremont Dispositif d'articulations des baleines de parapluies, parasols, et ombrelles sur les coulants et noyaux
US7703464B2 (en) * 2007-08-31 2010-04-27 Oliver Joen-An Ma Quick connector for shade structure
US7891367B2 (en) * 2008-04-17 2011-02-22 Oliver Joen-An Ma Quick connector hub for shade structure
CN201252900Y (zh) * 2008-09-05 2009-06-10 马准安 一种伞骨角度调节装置
CN103371579B (zh) 2012-04-19 2015-12-23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快速挂骨上下巢结构及相关伞具和快速挂骨方法
US9192215B2 (en) 2013-03-04 2015-11-24 Oliver Joen-An Ma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US9078497B2 (en) 2013-03-06 2015-07-14 Oliver Joen-An Ma Quick connector hub for shade structure
USD731166S1 (en) * 2013-03-13 2015-06-09 Oliver Joen-An Ma Umbrella hub
USD738610S1 (en) * 2013-09-19 2015-09-15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9433269B2 (en) 2014-02-25 2016-09-06 Oliver Joen-An Ma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US9022049B1 (en) * 2014-05-28 2015-05-05 Joen-Shen Ma Umbrella top notch and runner
USD848139S1 (en) 2015-05-15 2019-05-14 Oliver Joen-An Ma Umbrella frame
USD820581S1 (en) 2015-05-22 2018-06-19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D814172S1 (en) 2015-05-22 2018-04-03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10631603B2 (en) 2015-09-14 2020-04-28 Oliver Joen-An Ma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US10060152B2 (en) 2015-09-14 2018-08-28 Oliver Joen-An Ma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USD809283S1 (en) 2016-10-19 2018-02-06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6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9284S1 (en) 2016-10-19 2018-02-06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5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9775S1 (en) 2016-10-19 2018-02-13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4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DE202016008013U1 (de) 2016-10-25 2017-03-07 Qingdao Activa Shade Inc. Schirmrippen Verbindungsanordnung
CN207561480U (zh) 2016-12-07 2018-07-03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伞毂装配结构
USD826543S1 (en) 2016-12-21 2018-08-28 ZHUN-AN Ma Umbrella housing
USD828995S1 (en) 2016-12-21 2018-09-25 ZHUN-AN Ma Umbrella housing
USD814173S1 (en) 2016-12-21 2018-04-03 ZHUN-AN Ma Umbrella runner grip
USD813525S1 (en) 2016-12-21 2018-03-27 ZHUN-AN Ma Umbrella runner grip
USD833137S1 (en) 2017-09-27 2018-11-13 ZHUN-AN Ma Umbrella hub
USD847487S1 (en) * 2017-09-27 2019-05-07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935762S1 (en) 2019-11-08 2021-11-16 ZHUN-AN Ma Umbrella runner
CN215837455U (zh) 2020-03-27 2022-02-18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肋端连接器及遮荫结构
USD909042S1 (en) * 2020-06-19 2021-02-02 Richard Holbrook Umbrella hub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6073A (en) * 1953-09-22 1957-06-18 Norman M Wittman Means for securing umbrella ribs
US2762383A (en) * 1953-09-22 1956-09-11 Norman M Wittman Means for securing umbrella ribs
JP2677417B2 (ja) 1989-06-05 1997-11-1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硬化フェノール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H0758222B2 (ja) 1989-06-15 1995-06-21 オムロン株式会社 感震器
JPH0323762A (ja) 1989-06-21 1991-01-31 Toshiba Corp 伝送端末装置
JPH0984617A (ja) * 1995-09-25 1997-03-31 Hinode Yougasa Kogyo Kk 洋傘における下ロクロの受骨枢着構造
JPH09173119A (ja) * 1995-12-26 1997-07-08 Phoenix:Kk 洋 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84A (ko) * 2001-08-21 2001-09-28 정준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959899A (en) 2000-04-17
JP2960935B1 (ja) 1999-10-12
TW371622B (en) 1999-10-11
CN1277542A (zh) 2000-12-20
US6311706B1 (en) 2001-11-06
JP2000166630A (ja) 2000-06-20
WO2000018271A1 (fr)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209A (ko) 우산의 런너
KR0153492B1 (ko) 클립
US8495802B2 (en) Clip
KR101481360B1 (ko) 2피스 클립
GB2340876A (en) A fastening clip
US3415155A (en) Bushing
KR960031817A (ko) 판체의 연결구
EP1375931A1 (en) Two-piece clip
EP2910142B1 (en)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KR100309543B1 (ko) 클램프
JP3409302B2 (ja) 複合ラジアル−スラスト−すべり軸受
GB2041729A (en) Connecting wiper blade to wiper arm
US5174676A (en) Post connector
US4164132A (en) Key retainer
JPH0457050B2 (ko)
US20070193898A1 (en) Optical disc accommodating case
EP3589876B1 (en) Quick connector
EP3589877B1 (en) Quick connector
EP2279660A1 (en) Improved bird ring
CZ2001171A3 (cs) Kulový kloub
KR200257415Y1 (ko) 혁대용 버클
US6923593B2 (en) Locking member and device
EP3590387A1 (en) Roll brush
KR102036011B1 (ko) 와이어형 악세사리 체결구
JPS61294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