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684A -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684A
KR20010088684A KR1020010050233A KR20010050233A KR20010088684A KR 20010088684 A KR20010088684 A KR 20010088684A KR 1020010050233 A KR1020010050233 A KR 1020010050233A KR 20010050233 A KR20010050233 A KR 20010050233A KR 20010088684 A KR20010088684 A KR 2001008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ib
barrel
elastic member
elas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표
Original Assignee
정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표 filed Critical 정준표
Priority to KR102001005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684A/ko
Publication of KR2001008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025/003Accessories not covered by groups A45B25/24 - A45B25/30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살통과 살대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차양장치의 살통과 살대의 조립에 사용되던 철사 등의 선재가 불필요하여, 살통과 살대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생산 효율이 증대되며, 살통과 살대의 결합부분이 일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부분적인 수리가 가능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PARASOL USING ELASTICITY AND METHOD FOR ASSEMBLE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통과 살대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살통과 살대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살대 또는 탄성부재가 일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부분적인 수리도 가능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차양장치는 차양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중 살대, 살통 및 차양막을 구성요소로 갖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차양막에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햇빛 이외에도 비나 눈 등을 차단할 수 있고, 방풍기능을 부가하면 간이 천막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차양장치에는 통상 사용되는 파라솔, 우산, 양산 및 파라솔형 텐트 등이 포함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차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의 상부에 상부 살통(120)이 고정되고, 그 하부에 하부 살통(130)이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부 살통(120)에는 복수개의 주 살대(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살통(130)에는 받침 살대(1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받침 살대(142)의 하부 살통(130)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는, 주 살대(140)의 중단에 부착된 체결구(141)에 피봇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살통(130)의 손잡이부(132)를 손으로 잡고 지지대(110)를 따라 하부 살통(1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하부 살통(130)과 결합된 받침 살대(142)를 통하여 체결구(141)가 옆으로 확장되면서 들어올려지고, 따라서 주 살대(140)가 상승되어 차양장치가 펼쳐지게 된다. 이 때, 지지대(110)에는 걸림쇠(도시되지 않음)가 적절한 높이에 구비되어 있어서, 하부 살통(130)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도 2에는 하부 살통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지지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대(110)에 장착된 하부 살통(13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31)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살대(140)가 수용되는 살대 수용홈(142)이 형성된다.
살대(140)를 하부 살통(130)과 결합시키기 위해서, 살대(140)를 살대 수용홈(142)에 삽입하고, 와이어나 철사 등의 선재(150)를 살대(14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관통시킨 후, 선재(150)를 플랜지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선재 수용홈(151)에 고정시키고 선재(150)의 양단을 꼬아서 선재(150)가 선재 수용홈(15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선재(150)를 고아서 형성된 꼬임 부분(152)은 단부가 날카로우므로, 차양장치 사용자가 상처를 입거나 의복이 걸려 찢어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부(131)의 일측에 형성된 꼬임부 수용돌기(153)에 꼬임 부분(152)을 수용시킨다.
그러나,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140)에는 바람 등에 의해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선재(150)는 상당한 힘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재(150)로 살대(140)를 연결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꼬기 위해서는 매우 강한 힘을 가해야 하므로, 차양장치 제작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선재를 꼬아서 살대(140)를 고정한 경우, 차양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선재(150)가 점차 느슨해져서 선재 수용홈(151)에서 이탈되거나, 선재(150)가 끊어지는 일이 빈번하였다. 선재(150)가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면, 선재(1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살대(140)가 살대 수용홈(142)에서 이탈되므로, 차양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느슨해진 선재(150)를 다시 꼬아주거나 선재(15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모든 살대(140)를 다시 조립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1-031209호가 제공되었다.
도 3a 및 도3b에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차양장치의 하부살통 및 판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 살통(200)의 하부에는 손잡이부(23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플랜지부(23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231)의 외주면에는 살대(270)가 수용되는 살대 수용홈(242)이 형성되고, 살대 수용홈(242)의 양 측면에는 플랜지부에 내장된 환형박판(250)의 원주선을 따라 형성된 판스프링(251)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판스프링(251)의 중앙에는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살대(270)와 하부 살통(200)의 결합을 위해서, 살대(270)가 살대 수용홈(242)에 삽입되면, 살대(270)의 단부가 슬릿(S) 부분을 밀어서 판스프링(251)이 변형되어 슬릿(S)의 간격이 벌어지고, 벌어진 슬릿(S)을 통해 살대(270)가 삽입된다. 살대(270)가 삽입되는 동안 판스프링(251)은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살대(270)에 형성된 고정 통공(271)이 판스프링(251)에 다다르면, 고정 통공(271)을 통하여 변형되었던 판스프링(251)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판스프링(251)의 양쪽 단부에 고정 통공(271)이 관통되어 살대(270)가 고정된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의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환형박판(250)의 두께는 약 0.4mm이므로, 살대(270)에 비교적 강한 하중이 가해지는 큰 우산이나 차양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강한 바람 등 차양장치의 살대(27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판스프링(251)이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에는, 환형박판(250)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환형박판(250)에 연결된 살대(270) 전체를 분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장치의 살대와 살통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살대와 살통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살대와 살통의 연결 부분이 파손된 경우에 부분적인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차양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2는 통상적인 차양장치의 하부 살통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a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양장치의 하부 살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양장치의 하부 살통에 장착된 판스프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살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살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살통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f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g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살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살통의 플랜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살통과 살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에 따른 살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탄성부재 301 : 돌기부
400 : 하부 살통 410 : 플랜지부
412 : 살대 삽입홈 413 : 돌기 관통구
500 : 살대 501 : 돌기 고정공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지지대, 탄성부재가 내장된 상부 살통 및 하부 살통, 주 살대 및 받침 살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살통의 하단과 상기 하부 살통의 상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살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살대 삽입홈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지지대, 상부 및 하부 살통, 탄성부재가 내장된 주 살대 및 받침 살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살통의 하단과 하부 살통의 상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살대 삽입홈이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살대 양 측면에 형성된 돌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지지대, 상부 및 하부 살통, 양 측면에 걸림편이 형성된 주 살대 및 받침 살대를 포함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은 주 살대 및 받침 살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양장치의 살대와 살통을 결합함으로써, 살대와 살통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며, 살대와 살통의 결합 부분이 파손된 경우에 부분적인 수리가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4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300)는 통상적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제작된다. 판형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판스프링부(302)의 전개형을 형성하고, 판스프링부(302)의 중앙부를 U자형으로 성형한 후, 돌기부(301)를 형성한다.
돌기부(301)는 판스프링부(302)의 단부에 형성되고, 돌기부(301)의 상단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내지 도 4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하부 살통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 살통(400)은 차양장치의 지지대(도 1의 110 참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여기에 결합된 받침 살대(도 1의 142)를 통하여 주 살대(도 1의140 참조)를 펴고 접을 수 있다.
하부 살통(400)은 중앙에 지지대(도 1의 110 참조)가 관통되는 지지대 관통구(411)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사용자가 하부 살통(40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420)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부 살통(40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410)가 형성된다. 실시예 1에서는 플랜지부(410)의 형상이 8각형이나, 8각형 외에도 12각형, 16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42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가락 형태의 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41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00)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장착공간(415)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지지대 관통구(41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410)의 가장자리에는 살대 삽입홈(4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살대 삽입홈(412)의 양 측면에는 돌기 관통구(413)가 각각 형성된다. 살대 삽입홈(412)의 폭은 살대가 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살대의 폭과 거의 유사한 폭을 갖는다. 돌기 관통구(413)의 직경은 탄성부재(300)의 돌기부(301)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살대 삽입홈(412)은 결합되는 살대의 가동범위에 따라 살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재 장착공간(415)의 중앙부에는 탄성부재(300)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나사 체결부(414)가 돌출 형성된다.
탄성부재(300)는 다수개의 살대 삽입홈(412)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데, 탄성부재(300)의 돌기부(301)가 살대 삽입홈(412)에 형성된 돌기 관통구(413)를 관통하여 살대 삽입홈(412)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이 때, 돌기부(301)가 돌출된 길이는 살대 삽입홈(412)에 삽입되는 살대의 재질의 두께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플랜지부(410)에는 플랜지부 덮개(430)가 결합된다. 플랜지부 덮개(430)는 플랜지부(41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서, 가장자리에 살대 삽입홈(432)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지지대 관통구(43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 덮개(430)에는 플랜지부(41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서 복수개의 나사 삽입구(435)가 형성되고, 나사(434)가 나사 삽입구(435)를 관통하여 플랜지부의 나사 체결부(414)에 결합됨으로써, 플랜지부 덮개(430)와 플랜지부(4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차양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차양장치가 노후되거나, 심한 외력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된 경우, 나사(434)를 해제하여 플랜지부(410)로부터 플랜지부 덮개(430)를 분해함으로써, 파손된 탄성부재(300) 및 살대를 각각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4e 내지 도 4g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의 살대가 살대 삽입홈에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통상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는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살대는 사각 파이프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살대 삽입홈(432)에 장착되는 살대(500)의 단부에는 돌기 고정공(501)이 형성된다. 살대(500)가 살대 삽입홈(432)에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살대 삽입홈(432)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301)와 살대(500)의 단부가 접하게 되고, 살대(500)가 계속 삽입됨에 따라, 탄성부재(300)가 변형되어 돌기부(301)는 살대(500)의 단부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이 때, 돌기부(301)가 살대(500)의 단부에 의해 쉽게 벌어지게 하기 위해서 돌기부(301)의 단부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대(500)가 완전히 삽입되어 돌기 고정공(501)이 돌기부(301)와 같은 위치에 이르면, 돌기부(301)는 변형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 고정공(501)에 삽입된다. 돌기부(301)에 의해 지지되는 살대(500)는, 돌기부(301)의 외주면과 돌기 고정공(501)의 측면이 접하므로, 회전운동은 가능하지만, 살대 삽입홈(43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 관통구(413)는 돌기부(3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살대(500)는 자유롭기 회전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살통(도 1의 120 참조)은 하부살통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되, 살대(500)의 가동범위만이 상이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탄성부재의 일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320)의 판스프링부(322)에 형성된 돌기부(321)가,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면, 살대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도 4e 내지 도 4g 참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살대 삽입홈(432)의 양측면에 돌출되는 돌기부(321)의 경사면에 의해, 삽입되는 살대(500)의 단부에 돌기부(322)가 쉽게 밀려서 판스프링부(322)가 변형된다. 또한, 일단 돌기부(321)와 돌기 고정공(501)이 완전히 결합되면, 돌기부(322)의 경사면 반대 측면에 형성된 수직면에 의해 살대(500)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살대 삽입홈(4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탄성부재(320) 및 살대(500)를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제작하면, 견고한 차양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차양장치는 거의 실외에서 사용되므로, 우천시에 쉽게 습기와 접하며, 해변에 설치된 차양장치의 경우에는 공기 중에 분산되는 염분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20)를 스테인리스 등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하면 차양장치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도 5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탄성부재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340)의 판스프링부(342)의 양측 단부가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절개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절곡되어 돌출부(341)가 형성된다. 돌출부(341)는 상술한 탄성부재의 일 변형예의 돌기부와 같이, 살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살대와의 결합이 용이하며, 살대에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편(341)의 단부에 의해 살대가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탄성부재(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34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걸림편(341)을 동시에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면, 탄성부재(340) 형성 공정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살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6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의 일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살대(510)의 단부(511) 양측면에 돌기 고정공(512)이 형성되며, 돌기 고정공(512)의 전방에는 경사면(513)이 형성된다. 경사면(513)은 살대(510)가 살대 삽입홈(도 4e 내지 도 4g 잠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살대 삽입홈 양측면에 돌출된 돌기부를 더욱 용이하게 측 방향으로 벌리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사용되는 살대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살대(520)의 단부(521) 양측면에 돌기 고정공(522)이 형성되며, 돌기 고정공(522)의 전방에는 곡면(523)이 형성된다. 곡면(523)은 상술한 살대의 일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살대(520)가 살대 삽입홈(도 4e 내지 도 4g 잠조)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사용되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살대가 도시되어 있다.
살대(600)의 단부(601)에는 양 측면에 돌기 관통구(602)가 형성되며, 탄성부재(610)의 돌기부(611)가 돌기 관통구(602)를 관통하여 살대(60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탄성부재(610)는 판스프링부(612)의 양단부에 돌기부(611)가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다.
살대(600)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돌기부(611)는, 외력에 의해서 판스프링부(612)가 탄성 변형되면 살대(60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 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10)는 스테인리스 등 탄성과 내식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사용되는 살통의 플랜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부(710)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탄성부재가 장착되지 않고 돌기 관통구와 동일한 위치에 돌기 고정공(713)이 형성된다. 돌기 고정공(713)은 탄성부재의 돌기부 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돌기부가 삽입되면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외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미 설명 부호는 지지대 관통구(711), 살대 삽입홈(712) 및 나사 체결부(714)이다.
도 7c 내지 도 7e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의 살대가 살대 삽입홈에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살대(610)의 폭은 살대 삽입홈(712)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살대(610)가 플랜지부(710)에 형성된 살대 삽입홈(712)에 삽입되면, 살대(610)의 양측면에 돌출된 탄성부재(610)의 돌기부(611)가 살대 삽입홈(712)의 입구부분에 의해서 살대(61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므로, 판스프링부(612)가 탄성 변형된다.
살대(610)가 계속 삽입됨에 따라, 돌기부(611)가 돌기 고정공(713)에 이르면, 돌기부(611)는 변형된 판스프링부(612)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 고정공(713)에 삽입된다. 따라서, 살대(610)는 살대 삽입홈(7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710)는 상부 살통(120)과 하부 살통(130)에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탄성부재의 돌기부와 살대의 단부의 변형예와 같이, 살대(610)가 살대 삽입홈(712)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에 따른 살대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 차양장치에 쓰이는 살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가 사용된다.
살대(800) 단부의 양측면이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살대(800)와 연결된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돌출부(812)가 형성된다. 돌출부(812)는 탄성부재(도 5b의 340 참조)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살대 고정홈에 결합은 용이하되,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다.
살대(8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탄성부재를 별도로 장착하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 공정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양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차양장치의 살대가 노후하거나, 강한 외력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살대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에 환기창을 부가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차양장치은, 차양장치 밑에서 요리 등을 행하면 가열된 공기, 요리중에 발생한 연기 및 음식 냄새 등이 차양장치 상부에 집결되어 외부로 잘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환기창이 형성된 2중 차양장치가 사용된다. 2중 차양장치는 우천시에 비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양장치 상부에 형성된 환기창에 별도의 살대를 구비하여 환기창을 가리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를 이용한 차양장치에 환기창을 부가한 변형예(900)는, 지지대(910)의 상단에 상부 살통(920) 및 하부 살통(930) 외에 환기창 살통(910)을 더 포함한다. 주 살대(940)와 받침 살대(941)를 연결하는 체결구(942)와, 주 살대(940)와 상부 살통(920)의 연결 부분 중앙부에 링크 부재(944)를 설치하고, 링크 부재(944)와 환기창 살대(943)를 연결하여, 주 살대(940)가 하부 살통(930)의 움직임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면, 환기창 살대(943)도 연동되어 움직인다.
이 때, 환기창 살통(910), 상부 살통(920) 및 하부 살통(930) 또는 환기창 살대(943), 주 살대(940) 및 받침 살대(941)에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환기창이 부가된 차양장치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살대 및 살통의 수리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양장치의 살통 및 살대에 탄성력을 이용한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살통과 살대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생산효율이 증대되며,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여 살통 및 살대가 노후하거나, 심한 외력에 의해 살대 및 살통의 탄성부재가 일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파손된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살통;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살통;
    상기 상부 및 하부 살통에 원주선 방향을 따라 내장되고, 양단에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상기 상부 살통에 내장된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주 살대; 및
    일단이 상기 주 살대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살통에 내장된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받침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살통의 하단과 상기 하부 살통의 상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살대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돌기 관통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돌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살대 삽입홈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살통의 하단에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살대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돌기 관통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돌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살대 삽입홈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다각형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각 변의 중앙부에 상기 살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1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살대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는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몸체와 연결된 부분이 절곡되어, 절개된 부분이 몸체에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살대 및 받침 살대의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측의 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살대 및 받침 살대의,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측의 단부의 모서리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3.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원주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살통;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원주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부 살통;
    상기 상부 살통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 살대;
    상기 하부 살통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받침 살대; 및
    상기 주 살대 및 받침 살대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주 살대 및 받침 살대에 형성된 돌기 관통구를 관통하고 돌출되어, 상기 주 살대 및 받침 살대가 상기 상부 살통의 살대 삽입홈과 상기 하부 살통의 살대 삽입홈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살통의 하단과 상기 하부 살통의 상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살대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돌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살통의 하단에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살대 삽입홈의 양측면에는 돌기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다각형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각 변의 중앙부에 상기 살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1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원형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살대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살대 및 상기 받침 살대의, 상기 살대 결합홈과 연결되는 측의 단부의 모서리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는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부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3.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원주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살통;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원주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부 살통;
    양 측면에 각각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몸체와 연결된 부분이 절곡되어, 절개된 부분이 몸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살통의 살대 삽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 살대; 및
    양 측면에 각각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몸체와 연결된 부분이 절곡되어, 절개된 부분이 양 측면에서 돌출된 탄성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살통의 살대 삽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받침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4.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환기창 살통;
    상기 환기창 살통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상부 살통;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살통;
    상기 환기창 살통, 상기 상부 살통 및 상기 하부 살통에 원주선 방향을 따라 내장되고, 양단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상기 환기창 살통에 내장된 탄성부재에 일단이 결합되는 환기창 살대;
    상기 상부 살통에 내장된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 살대;
    일단이 상기 주 살대에 피봇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살통의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받침 살대; 및
    상기 환기창 살대와 상기 주 살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25. 차양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살대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살통에, 돌기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각 돌기부를 살대 삽입홈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대 삽입홈에, 양측면에 돌기 고정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살대를 삽입하여, 상기 살대와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조립방법.
  26. 차양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살대의 단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살대의 양측면에 돌기부를 돌출시키는 단계; 및
    양측면에 돌기 고정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 삽입구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살통에 상기 살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조립방법.
KR1020010050233A 2001-08-21 2001-08-21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10088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33A KR20010088684A (ko) 2001-08-21 2001-08-21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33A KR20010088684A (ko) 2001-08-21 2001-08-21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84A true KR20010088684A (ko) 2001-09-28

Family

ID=1971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33A KR20010088684A (ko) 2001-08-21 2001-08-21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684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249Y1 (ko) * 1987-10-12 1989-12-2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알 신축 샤프트의 연결구조
JPH04279106A (ja) * 1991-03-06 1992-10-05 Phoenix:Kk 傘骨
US5387048A (en) * 1993-08-03 1995-02-07 Kuo; Cheng M. L. Securing means for telescopic sticks of a multiple-fold umbrella
JPH07298914A (ja) * 1994-05-10 1995-11-14 Koichi Kinugawa
WO1998008412A1 (en) * 1996-08-30 1998-03-05 Maxx Worldwide Hinge between bone and crown of sunshades with a diameter larger than 2 meters
KR200181838Y1 (ko) * 1999-10-28 2000-05-15 정준표 이중파라솔
KR20010031209A (ko) * 1998-09-30 2001-04-16 사또 히로미 우산의 런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249Y1 (ko) * 1987-10-12 1989-12-20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알 신축 샤프트의 연결구조
JPH04279106A (ja) * 1991-03-06 1992-10-05 Phoenix:Kk 傘骨
US5387048A (en) * 1993-08-03 1995-02-07 Kuo; Cheng M. L. Securing means for telescopic sticks of a multiple-fold umbrella
JPH07298914A (ja) * 1994-05-10 1995-11-14 Koichi Kinugawa
WO1998008412A1 (en) * 1996-08-30 1998-03-05 Maxx Worldwide Hinge between bone and crown of sunshades with a diameter larger than 2 meters
KR20010031209A (ko) * 1998-09-30 2001-04-16 사또 히로미 우산의 런너
KR200181838Y1 (ko) * 1999-10-28 2000-05-15 정준표 이중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541B2 (en) Umbrella support apparatus
US20070051399A1 (en) One-touch type foldable tent
KR200372631Y1 (ko) 텐트 프레임
KR20010088684A (ko) 탄성력을 이용한 차양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H11141193A (ja) 折畳み式テント
US20060185701A1 (en) Umbrella skeleton
USD586452S1 (en)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shade
KR200272635Y1 (ko) 절첩식 텐트용 폴
KR100419008B1 (ko) 텐트의자
CN210841820U (zh) 一种遮阳伞的防风结构
KR0129576Y1 (ko)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0119935Y1 (ko)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200282117Y1 (ko) 방충, 방풍망용 설치구
CN215837451U (zh) 一种便于快速单独拆卸伞骨连接结构的流苏遮阳伞
KR101797807B1 (ko) 윈드브레이크 조립구조
KR100934434B1 (ko) 우산
JP2023546662A (ja) キャノピー用スラットルーフ、スラットルーフを組み立てるための部品キット、スラットルーフを有するキャノピー
CN213247282U (zh) 太阳伞
TW202300060A (zh) 傘支撐結構
KR100727589B1 (ko) 파라솔의 프레임
KR950006814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파라솔
CN207714908U (zh) 一种门窗拉手安装结构
KR200210252Y1 (ko) 사각 파라솔
JP3098210U (ja) 灯籠の窓枠取付構造
KR200250525Y1 (ko) 텐트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