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935Y1 -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935Y1
KR0119935Y1 KR2019940009896U KR19940009896U KR0119935Y1 KR 0119935 Y1 KR0119935 Y1 KR 0119935Y1 KR 2019940009896 U KR2019940009896 U KR 2019940009896U KR 19940009896 U KR19940009896 U KR 19940009896U KR 0119935 Y1 KR0119935 Y1 KR 0119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ent
rotor
length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473U (ko
Inventor
주동수
Original Assignee
주동수
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수, 배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동수
Priority to KR2019940009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935Y1/ko
Publication of KR950033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935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속한 기술분야]
텐트 및 차양용 조절장치
[고안의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텐트나 천막 또는 차양등에 사용되는 포올을 손쉽게 조작하여 필요한 길이로 늘리거나 줄여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수의 토막관(2)을 차례로 끼워서 연결한 안테나식포올(1)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토막관(2)하단에 테이퍼면(3) 및 나사부(4)를 가진 회전자(A)를 일체로 체결하고, 상기 회전자(A)에 결합되는 나팔관형 고정자(B)하부에는 내면나사부(7)를, 상단 나팔관에는 다수의 분할형 쪽편(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함.
[고안의 중요한 용도]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Description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 2 도는 종래 사용되던 포올의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또 다른 종래 포올의 분리사시도.
제 4 도는 종래 포올의 스톱퍼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사시도.
제 6 도는 나사결합이 느슨하게 풀려서 관체를 늘리거나 줄여 줄수 있게한 상태도.
제 7 도는 나사조임에 의해 고정자가 상승하여 쐐기 기능을 한 위치고정상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9 도는 마찰방지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식 포올2 : 토막관
3 : 테이퍼면4 : 나사부
A : 회전자B : 고정자
6 : 쪽면7 : 내면나사부
11 : 마찰방지관12 : 내향돌출테
본 고안은 텐트나 천막 또는 차양등에 사용되는 포올을 손쉽게 조작하여 필요한 길이로 늘리거나 줄여서 고정시킬 수 있게한 텐트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장많이 사용되는 포올은 제 2도에 도시된 끼워 맞춤식 조립포올이 알려져 있으며, 상단은 확장소켓(S)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확장소켓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관(T)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포올은 각각 토막형으로된 다수의 포올을 연속적으로 끼워 맞춤하여 하나의 장대형 포올을 조립하게 되는바, 이는 다수의 포올토막을 분리시킨 상태로 휴대및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시에는 일일히 필요한 토막을 찾아 끼워야하고 사용후에는 이들을 다시 하나씩 분리해체 시켜서 보관해야하는 사용상의 불편점도 있다.
특히 이러한 분해조립식에 있어서는 부품을 분실할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사용중에 바람이 심하게 불게되면 차양이 들뜨면서 상승함에 의해 토막관의 연결부가 빠져버려 차양이 붕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같은 분해 조립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져 안출된 것이 제 3도의 안테나식 포올이다.
안테나식포올은 각각 굵기가 다른 토막관을 차례로 끼워서 통상의 안테나 처럼 길게 뽑아 주거나 짧게 줄여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것이며, 이러한 안테나식포올은 종래 조립식포올에 비해서 적은부피로 휴대 가능하고 분실우려해소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안테나식포올은 필요한 길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단계형으로된 많은 구멍(H)이 형성되고 각각의 관체 하단에는 다단게 구멍(H)에 끼워질 수 있는 스톱퍼돌기(F)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한 위치의 구멍(H)에 스톱퍼돌기(F)가 끼워지면 길이가 고정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테나식포올의 스톱퍼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토막관을 길게 늘려주기 위해서 뽑아올릴때 원하지 않는 위치의 구멍에 돌기가 걸려지거나 또는 매구멍마다 칸칸이 걸려질때가 허다하여 돌기를 일일히 눌러주면서 길게 뽑아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점이 있으며, 사용중에 어린이가 돌기를 눌러주면 순식간에 내려앉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다른 문제점은 제작상에 있다.
즉, 다수의 토막관마다 많은 구멍을 일일히 천공해야하고 또한 하단에는 스톱퍼돌기를 판스프링으로 고정해야하는 제작상의 난점때문에 양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를 낮출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취급사용이 편리한 포올이 길이조절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테나식포올의 길이 조절장치는 많은 다단계 구멍이나 스톱퍼돌기를 이용하지 않고 소음없이 관체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위치고정이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극히 간편한 조작구성에 특징이 있는바,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굵기가 다른 다수의 토막관(2)을 차례로 끼워서 안테나식포올(1)을 형성하는 구성은 공지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은 각각의 토막관(2)하단에 테이퍼면(3)및 나사부(4)를 가진 회전자(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자(A)에는 별도의 고정자(B)가 결합되어 한조를 이루고 있다.
고정자(B)는 상단이 나팔관형으로 벌어져 있으며 그외연이 다수의 분할선(5)에 의해 신축가능한 쪽편(6)을 이루고 있고 하부관 내면에는 회전자 나사부(4)에 결합되는 내면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A)에 나사결합된 고정자(B)는 타측 토막관(20)에 삽입되어 그 내면에 기대어 지는 상태로 있으며, 신축탄성을 가진 쪽편(6)이 타측토막관(20)내면에 버팀식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A)를 회전시켜도 고정자(B)는 비회전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는 토막관(2)을 길게 뽑아주거나 짧게 내려줄 수 있는 길이조절작용이 용이하다.
또한 토막관(2)을 필요한 길이로 늘리거나 줄여준 상태에서 토막관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나사조임방향) 고정자(B)는 고정되고 그대신 회전자(A)가 회전하여 이들의 나사조임작용이 이루어지며 이와동시 고정자(B)가 상승하면서 그 쪽편(6)이 회전자(A)의 테이퍼면(3)에 의해 벌어져서 제 7도의 상태처럼 타측토막관(20)내면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이때부터는 토막관이 더이상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없는 위치고정상태에 있게 되며, 이와 동일방법으로 나머지 관체들도 길이조절을 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펼쳐진 안테나식포올(1)을 접어 줄때는 각각의 토막관들을 반대방향(나사풀림방향)으로 돌려 주면 회전자(A)와 고정자(B)나사결합이 풀리면서 고정자(B)가 하강하여 테이퍼면(3)에서 벗어나게 되고, 그 즉시 신축탄성을 가진 쪽편(6)들이 원상태로 오므라지면서 복원되어 제 6도의 상태로 있게 되며, 이때부터는 외부관 또는 내부관을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막관을 분리해체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나사풀림방향으로 토막관을 계속 회전시키면 고정자(B)와 회전자(A)의 나사결합이 해체되므로 토막관을 뽑아내어 분리시킬 수 있으며 고정자(B)는 타측토막관 내측에 남아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자(B)를 분리시키지 않고 회전자(A)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함께 뽑아 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토막관상단에는 제 8도및 제 9도에서 처럼 연질합성수지재질의 마찰방지관(11)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마찰방지관(11)의 상단은 내향돌출테(12)를 형성하여 삽입되는 타측관체가 외측관체내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소음도 방지되게 하며, 관체상단의 날카로운 절단면이 사용자의 손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최상단 관체에 끼워지는 마찰방지관에는 고정링(13)의 연결끈(14)을 일체로 되게 성형하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으로서, 종래 고정링만을 꼭지에 끼워 주므로서 고정링을 자주 분실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된 본 고안은 각각의 토막관을 손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필요한 길이에서 해당토막관을 1-2회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고정자(B)가 쐐기기능을 하여 해당토막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기능을 수행하므로 종래 다단공을 이용한 길이 조절장치에 비해서 월등히 간편하게 취급,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도 훨씬 간편하고 외관이 깨끗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토막관(2)을 차례로 끼워서 연결한 안테나식 포올(1)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토막관(2) 하단에 테이퍼면(3) 및 나사부(4)를 가진 회전자(A)를 일체로 체결하고, 상기 회전자(A)에 결합되는 나팔관형 고정자(B) 하부에는 내면나사부(7)를, 상단나팔관에는 다수의 분할형 쪽편(6)을 형성하여서 된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자(B) 상단의 나팔관형 신축탄성부의 직경을 토막관의 내경보다 크게하여 상태 토막관(20) 내면에 버팀식으로 밀착되게 한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2019940009896U 1994-05-04 1994-05-04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0119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96U KR0119935Y1 (ko) 1994-05-04 1994-05-04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96U KR0119935Y1 (ko) 1994-05-04 1994-05-04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73U KR950033473U (ko) 1995-12-16
KR0119935Y1 true KR0119935Y1 (ko) 1998-07-01

Family

ID=6086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896U KR0119935Y1 (ko) 1994-05-04 1994-05-04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9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717A (ko) * 2002-07-04 2002-08-09 이국훈 신축이 용이한 텐트용 폴
KR20020064718A (ko) * 2002-07-04 2002-08-09 이국훈 신축이 용이한 텐트용 폴
KR101458326B1 (ko) * 2013-11-13 2014-11-04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공기베어링과 축의 조립을 위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717A (ko) * 2002-07-04 2002-08-09 이국훈 신축이 용이한 텐트용 폴
KR20020064718A (ko) * 2002-07-04 2002-08-09 이국훈 신축이 용이한 텐트용 폴
KR101458326B1 (ko) * 2013-11-13 2014-11-04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공기베어링과 축의 조립을 위한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73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784A (en) Sun and wind shield
US6186157B1 (en) Windproof umbrella having compact folded structure
ITRM980064A1 (it) Intelaiatura pieghevole di una tenda per collegare la tela della tenda all'intelaiatura formando un corpo singolo
US9839268B2 (en) Wind-resistant umbrella frame structure
KR0119935Y1 (ko)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CA1247071A (en) Post top luminaire clamp
US6155018A (en) Staff structure with a flag elevating device
KR0129576Y1 (ko)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100967234B1 (ko) 레저용 의자의 차양장치
KR200398330Y1 (ko) 견고한 고정수단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
KR101743219B1 (ko) 파라솔 거치장치
KR200394899Y1 (ko) 비닐하우스용 처마 지지구
KR10090100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US6527421B1 (en) Lampshade frame with segmented ribs to achieve both an erect and collapsed state
KR200343694Y1 (ko) 파라솔 고정용 지지대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316776Y1 (ko) 우산 지지대
CN218206089U (zh) 一种帐篷的支撑杆及骨架
CN211500021U (zh) 一种具有旋转装置的旗杆
KR200319730Y1 (ko) 파라솔과 그 지지대
CN219500560U (zh) 一种遮阳伞的伞座夹紧机构
CN218246760U (zh) 窗帘杆
KR20020064718A (ko) 신축이 용이한 텐트용 폴
US20090049657A1 (en) Awning clamping assembly
KR100291080B1 (ko) 그늘막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