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63Y1 -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63Y1
KR200281363Y1 KR2020020010412U KR20020010412U KR200281363Y1 KR 200281363 Y1 KR200281363 Y1 KR 200281363Y1 KR 2020020010412 U KR2020020010412 U KR 2020020010412U KR 20020010412 U KR20020010412 U KR 20020010412U KR 200281363 Y1 KR200281363 Y1 KR 200281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
locking
protrusio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0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63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골조에 있어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절첩식 천막에서 펼친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절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성으로는 조절핀(10)이 설치되는 조절블럭(20)의 설치구멍(21) 입구측 조금 안쪽에 설치구멍(21)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22)을 형성하며,
여기에 조절핀(10)과 함게 삽입되는 마개(11)에는 상기 걸림구멍(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구멍(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걸림돌기(12)는 걸림구멍(22)으로 삽입되는 쪽 선단에 경사부(13)를 구성하며, 걸림돌기(12)의 주변에는 'ㄷ'형의 절개부(14)를 구성하여 걸림돌기(12)가 탄성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ㄸ다라서 본 고안은 조절핀(10)을 조립하는 공정이 마개(11)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대로 밀어넣기먼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에 따르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for adjusting pin of tent frame}
본 고안은 천막골조에 있어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절첩식 천막에서 펼친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절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천막의 지주는 직경이 큰 대경관체와 그 내부로삽입되는 직경이 작은 소경관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주는 천막을 접은 상태에서는 대경관체의 내부로 삽입이 되어 전체적인 길이를 작게하고, 천막을 펼칠 때는 소경관체를 대경관체로부터 인출하여 길이(높이)를 늘여주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체적인 높이를 필요한 만큼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그러한 조절구조로는 대경관체의 하단에 조절블럭을 고정시키고, 이러한 조절블럭에는 스프링에 의해 내부로 삽입되려는 탄성을 받는 핀을 설치하여 대경관체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내부관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마련된 걸림구멍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높이의 조절이나 절첩을 할 때 상기의 핀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소경관체를 움직이면 소경관체의 걸림구멍에 걸려있던 상태가 해재되므로 소경관체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소경관체를 대경관체 내부로 완전히 밀어넣어 절첩을 하거나 또는 다른 걸림구멍으로 핀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작용을 하는 조절핀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구성을 보면, 지지구에 설치공간을 구성한 후 그 내부에 스프링과 핀을 삽입하고 핀의 후단부에는 핀을 당길때 스프링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마개를 삽입하는데, 상기의 마개는 설치공간의 꼭 맞는 크기로 구성하면서 외면에 접착제를 발라 저절로 빠져나오지 않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마개를 고정시키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접착제의 성능이 오래가지 못함은 당연한 것이고 높이의 조절을 위하여 조절핀을 당기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마개에 상당한 힘이 가해지므로 이러한 조절작용을 자주 반복하다 보면하고 마개가 지지구로부터 이탈되고 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서 조절핀이 조절블럭으로부터 이탈되어 분실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고 따라서 한두개의 조절핀을 분실하여 천막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로 이어지며, 또한 스프링의 교환 등을 위한 수리를 하기위해 조절핀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또 천막에 있어 상기와 같은 조절핀이 설치되는 다른 구조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첩식 천막에 있어서 천막을 펼친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대경관체를 타고 승강하면서 연결간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블럭에도 상기 조절블럭에서와 같은 조절핀 설치구조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블럭도 천막을 펼친상태가 되면 대경관체의 상단으로 상승을 한 후 고정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조절핀을 설치하는 구성을 개량하여 조절핀 및 스프링과 함께 마개를 블럭의 설치구멍에 밀어넣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조절핀을 조립하는 공정이 매우 편리하면서 오래도록 반복하여도 조절핀이 분리되는 일없이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는 수리 등을 위하여 조절핀을 분리하는 것도 매우 용이하도록 개선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절첩식 천막의 한 실시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절핀 11: 마개
12: 걸림돌기 13: 경사부
14: 절개부 20: 조절블럭
22: 걸림구멍 30: 대경관체
31: 소경관체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천막골조에서 신축되는 대경관체(30) 및 소경관체(4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X'형 연결대를 지지하면서 승강된 상태를 고정되게 하는 구성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본 고안은 조절핀(10)이 설치되는 조절블럭(20)의 설치구멍(21) 입구측 조금 안쪽에 설치구멍(21)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22)을 형성하였다.
여기에 삽입되는 마개(11)에는 상기 걸림구멍(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구멍(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걸림돌기(12)는 걸림구멍(22)으로 삽입되는 쪽 선단에 경사부(13)를 구성하였으며, 걸림돌기(12)의 주변에는 'ㄷ'형의 절개부(14)를 구성하여 걸림돌기(12)가 탄성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1은 천막골조, 2는 'X'형 연결간, 3은 지붕살대, 16은 스프링, 17은 손잡이 고리, 120'는 지지블럭, 31은 대경관체의 관통구멍, 41은 소경관체의 조절구멍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설치구조에 의한 작용을 살펴보면, 조절핀(10)의 결합을 위하여 먼저 조절핀(10)에 스프링(16)을 결합하고 마개(11)를 끼운 다음 손잡이 고리(17)를 결합하여 조절핀(10), 스프링(16), 마개(11) 및 손잡이 고리(17)를 먼저 조립한 다음, 이를 조절블럭(20)의 설치구멍(21)에 삽입을 한다.
삽입을 하는 과정에서 마개(11)의 걸림돌기(12)가 설치구멍(21)의 내경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삽입이 되지는 않으나 걸림돌기(12)는 일측에 경사부(13)가 있으면서 주변에 절개부(14)가 있어서 탄성을 가지게되므로 내부방향으로 젖혀지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며, 걸림돌기(12)가 걸림구멍(22)에 다다르면 다시 돌출이 되면서 걸림구멍(22) 속으로 삽입이 된다.
삽입이 된 후에는 걸림돌기(12)가 걸림구멍(22)에 안착이 된 상태이므로 반대방향으로 저절로 빠져나올 수는 없게된다.
이러한 상태로 사용을 하는 도중에 조절핀(10)을 분리해야 할 때는 조절블럭(20)의 외부에서 걸림구멍(22)을 통하여 걸림돌기(12)를 밀어주는 상태에서 손잡이 고리(17)를 당기게되면 조절핀(10)은 걸림구멍(22)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절개부(14)에 의해 걸림돌기(12)가 탄성 작용을 하므로 손쉽게 제거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절핀(10)을 조립하는 공정이 마개(11)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대로 밀어넣기먼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에 따르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저절로 분리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조절핀(10)을 분실하여 천막을 사용하지 못하는 폐단도 없으며, 수리를 위하여 조절핀(10)을설치구멍(21)으로부터 분리할 때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천막골조에서 신축되는 대소경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X'형 연결대를 지지하면서 승강된 상태를 고정되게 하는 조절핀을 결합하는 구성에 있어서,
    조절핀(10)이 설치되는 조절블럭(20)의 설치구멍(21) 입구측 조금 안쪽에 설치구멍(21)에 직각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22)을 형성하며,
    여기에 조절핀(10)과 함게 삽입되는 마개(11)에는 상기 걸림구멍(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구멍(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걸림돌기(12)는 걸림구멍(22)으로 삽입되는 쪽 선단에 경사부(13)를 구성하며, 걸림돌기(12)의 주변에는 'ㄷ'형의 절개부(14)를 구성하여 걸림돌기(12)가 탄성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KR2020020010412U 2002-04-08 2002-04-08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KR200281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12U KR200281363Y1 (ko) 2002-04-08 2002-04-08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12U KR200281363Y1 (ko) 2002-04-08 2002-04-08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63Y1 true KR200281363Y1 (ko) 2002-07-13

Family

ID=7312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12U KR200281363Y1 (ko) 2002-04-08 2002-04-08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45Y1 (ko) 2011-10-21 2013-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60000285U (ko) * 2014-07-15 2016-01-25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160003298U (ko) * 2015-03-17 2016-09-27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텐트의 상단 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45Y1 (ko) 2011-10-21 2013-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60000285U (ko) * 2014-07-15 2016-01-25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83476Y1 (ko) 2014-07-15 2017-05-18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160003298U (ko) * 2015-03-17 2016-09-27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텐트의 상단 프레임
KR200482802Y1 (ko) * 2015-03-17 2017-03-06 애니플레이스 컨셉츠 컴퍼니 리미티드 개선된 접이식 텐트의 상단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310B (zh) 遮篷
US20060016467A1 (en) Bell folding tent
KR20010096458A (ko) 절첩 텐트프레임
KR200281363Y1 (ko)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KR100904640B1 (ko) 캐노피 텐트
KR200398147Y1 (ko) 그늘막 텐트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9990039730U (ko) 절첩식 천막후레임
KR200272635Y1 (ko) 절첩식 텐트용 폴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386303Y1 (ko) 탄지구에 의한 고정구조를 갖는 절첩식 천막 프레임의삽탈식 기둥
KR200347258Y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200433131Y1 (ko) 텐트 폴의 고무줄 고정용 말단부
JP3057223U (ja) ワンタッチ組立式テントフレーム
KR100291080B1 (ko) 그늘막 프레임
KR0119935Y1 (ko) 텐트 및 차양용 포올의 길이 조절장치
KR200199025Y1 (ko) 텐트와 폴의 연결장치
JP7129036B2 (ja) ドーム型テント
CN211822175U (zh) 一种新能源便民路灯
KR100418243B1 (ko)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KR200248277Y1 (ko) 가로봉이 장착되는 다단형 깃대
KR970002474Y1 (ko) 절첩식 텐트용 폴대
KR200206767Y1 (ko) 전투차량용 천막
KR200313457Y1 (ko) 자동닫힘우산의 구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